KR20050091788A -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788A
KR20050091788A KR1020057013943A KR20057013943A KR20050091788A KR 20050091788 A KR20050091788 A KR 20050091788A KR 1020057013943 A KR1020057013943 A KR 1020057013943A KR 20057013943 A KR20057013943 A KR 20057013943A KR 20050091788 A KR20050091788 A KR 2005009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ization
location
content
bandwidth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터 보리스 이. 알. 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9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2Modify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pictures by optical filters or diffusing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위치에서 저-대역폭 시각화, 즉 존재 정보가 예컨대, 제 2 위치의 관람자들의 실루엣의 투사, 또는 제 2 위치에서 기록된 오디오의 시각화 등의 제 2 위치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추상적인 형태로 렌더링되는 시각화를 투사함으로써, 제 1 위치의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1 위치의 관람자들로 하여금 제 2 위치의 관람자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허용함로써, 사회적 존재감이 그들 제 1 관람자들에 생성된다. 또한, 제 1 위치의 컨텐트의 보강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시스템은, 상기 컨텐트를 제시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수단, 제 2 위치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저-대역폭 시각화를 생성하기 위한 시각화 수단, 및 제 1 위치에서 저-대역폭 시각화를 투사하기 위한 투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시각화 수단은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and system for augmenting presentation of content}
본 발명은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에게 사회적 존재감(social presence)의 기분을 제공함으로써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접속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이들 기술들 상에 구축하는 미래 응용 기기의 사용자 이익을 위한 탐구가 중요하게 된다. 대화형 텔레비전(interactive television)과 같은 향상된 기술들의 도입은 소비자들의 기대된 행동 변화를 초래하지 못했다. 이에 대한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는 매력적인 사용자 이익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컨텐트의 부재였다. 그러나, 대화형 텔레비전을 위한 충분한 컨텐트의 생성은 충분한 소비자들이 대화형 텔레비전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매력적일 수 있다.
소비자들은 그들의 접속성이 소비자들 자신들을 위해 이익을 부가하는 경우에만 네트워크 인에이블링된 CE 디바이스들에 투자를 시작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익 중 하나는 사회적 존재감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회적 존재감은 함께 하는 기분을 말한다. 접속된 CE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원격 위치들로부터 동일한 컨텐트를 즐기면서 함께 하는 기분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들의 물리적 존재가 네트워크-접속된 기기들의 컨텐트일 수 있으므로, 접속된 CE 디바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이익이 특별한 컨텐트의 이용 가능성이 없이 생성될 수 있다. 접속성이 우리의 삶 및 우리의 하루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용 중 더 많은 부분이 되면서, 네트워크 기반 구조들이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인에이블러(enabler)가 될 것이 예측된다. 인터넷을 통한 채팅(chatting), 및 이동 전화기들을 통한 SMS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함에도, 시스템-조정 통신 및 정보 교환(system-mediated communication and exchanging information)에 대한 것이 더 많이 존재한다. 또 다른,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된 디바이스들을 위한 사회적 존재감의 생성이다.
존재의 개념은 카테고리들: 물리적 존재 및 사회적 존재로 광범위하게 그룹핑될 수 있다. 물리적 존재는 어딘가에 물리적으로 위치된 의식을 말한다. 이는 예컨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을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반면에, 사회적 존재감은 다른 어떤 사람과 함께 하는(및 통신) 의식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초점은 다른 위치에 있는 감각에 맞춰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하는 기분에 맞춰진다.
사회 생활에서, 사람들은 그들이 상호 작용하는 다수의 그룹들 중 일부이다. 이러한 그룹의 멤버인 기분을 그룹 어트렉션(group attraction)이라 한다. 그룹의 멤버들이 서로를 물리적으로 방문하고,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또는 어떤 다른 컨텐트 아이템을 함께 관람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컨텐트를 관람하는 사람들간에 그룹 어트렉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이루기 위해 알려진 하나의 방식은 각각의 위치들에 이들 위치들의 관람자들의 참여를 기록하는 카메라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 기록들은 다른 위치들의 관람자들이 기록된 관람자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기록들이 보여질 수 있는 다른 위치들에 전송된다. 이것이 사회적 존재감의 일부 기분을 생성함에도, 이 해결책의 단점은 관찰되는 기분을 또한 생성하는 것이다. 집안의 카메라들은 개입적이고, 사람들이 카메라들 앞에서 불편한 기분을 느끼게 하는 경향이 있다. 제공된 해결책에는 카메라의 사용이 요구되고, 따라서 카메라의 개입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러나, 개입의 인지를 생성하는 것은 카메라가 아니라 전체 이미지 투사(projection)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실루엣의 투사 형태의 저-대역폭 투사를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에 사회적 존재감의 기분을 제공하면서 관찰되는 기분을 감소시키는 기술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제 2 위치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저-대역폭 시각화를 제 1 위치에서 투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컨텐트를 제시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수단, 제 2 위치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저-대역폭 시각화를 생성하기 위한 시각화 수단, 및 저-대역폭 시각화를 제 1 위치에서 투사하기 위한 투사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제 1 위치의 관람자들이 제 2 위치의 관람자들을 관찰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사회적 존재감의 기분이 제 1 관람자들에 대해 생성된다. 제 1 위치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유사한 시각화를 제 2 위치에서 동시에 투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본 양상은 제 1 위치에서 투사되는 시각화가 저-대역폭 시각화, 즉 존재 정보가 예컨대, 제 2 위치의 관람자들의 실루엣의 투사, 또는 제 2 위치에서 기록된 오디오의 시각화 등의 추상적인 형태로 렌더링되는 시각화인 것이다. 본 발명자에 의해 실시된 경험적인 연구는 원격 위치들에서의 움직임의 저-대역폭 시각화는 사회적 존재감의 의식, 및 그룹의 일부인 기분(그룹 어트렉션)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동시에, 저-대역폭 시각화는 움직임들의 완전한 시각화 보다 덜 마음을 어지럽혔다(distracting). 이는 또한 제 1 위치의 관람자들에 의해 관찰되는 기분을 제 2 위치의 참여자들에게 전체 비디오 기록 및 투사가 사용되었던 제어 그룹에서 보다 덜 준다.
E. Pedersen 및 T. Sokoler의 논문 "AROMA: abstract presentation of presence supporing mutual awareness", Proceedings of CHI '97, ACM, 1997 은 주변 인식의 목적을 위해, 원격 존재의 의식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는 원격 위치에서의 더 추상적인 시각화를 생성하기 위해 시각 이미지의 디그라데이션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논문은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것 또는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컨텐트의 동시 관람 동안 사회적 존재감의 기분의 생성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
상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각화 수단은 2개의 후속하여 기록된 이미지들간의 차이를 계산하도록 배열된 비주얼라이저(visualizer)에 결합된, 미리 결정된 간격들에서 제 2 위치의 관람자들의 이미지들을 기록하도록 배열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라이저는 상기 차이를 투사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투사 수단은 저-대역폭 시각화로서 상기 차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픽셀들의 적은 수만이 전송되는 것이고, 이는 비주얼라이저 및 투사 수단의 계산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 방식으로, 제 2 위치의 사람들의 실루엣이 효과적인 방식이면서도 간단하게 디스플레이된다.
본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각화 수단은 기록된 오디오를 주어진 척도 상의 컬러 값으로 매핑하도록 배열된 비주얼라이저에 결합된, 제 2 위치에서 오디오를 기록하도록 배열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라이저는 상기 컬러 값을 투사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투사 수단은 저-대역폭 시각화로서 상기 컬러 값에 대응하는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다.
카메라 대신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사회적 존재감의 기분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이크로폰도 또한 사람들이 불편한 기분을 느끼고 관찰되는 기분을 느끼게 하는 점에서 카메라와 동일한 단점을 갖는다. 기록된 오디오를 주어진 척도 상의 컬러 값으로 매핑하고 기록된 오디오 자체를 재생하는 대신 컬러 값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찰되는 기분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여전히, 투사되는 컬러들이 제 1 위치의 관람자들로 하여금 제 2 위치의 사람들의 기분을 알도록 허용하므로, 사회적 존재감의 기분이 충분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20)을 통해 상호 접속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및 120)은 텔레비전 수신기들을 포함하고, 어떤 종류의 디바이스라도 가능하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들, 라디오들, 영화 투사 시스템들 등으로 쉽게 대체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가 제 1 위치로부터 물리적으로 다른 제 2 위치에 위치된다고 가정한다. 디바이스들(110, 120)은 동일한 집의 상이한 방들 내, 동일한 거리의 상이한 집들 내, 상이한 도시들, 또는 상이한 대륙들내에 위치될 수 있다. 네트워크(120)를 통한 접속으로 인해, 물리적인 거리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관람자들(111 및 112)은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트를 보는 중이다. 동시에, 관람자들(131, 132, 및 133)은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30)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동일한 컨텐트를 보는 중이다. 카메라(115)는 관람자들(111, 112)의 이미지들을 기록하기 위해 제공되고, 카메라(135)는 관람자들(131 내지 133)의 이미지들을 기록하기 위해 제공된다. 기록된 이미지들의 품질이 높지 않아도 되므로, 저렴한 "웹캠(webcam)"이면 충분하다. 카메라들(115, 135)은 각각의 비주얼라이저들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라이저들은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및 120)내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도시 생략)로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및 120) 위에 설치된 투사기들(116, 136)이 또한 제공된다. 투사기들(116, 136)은 관람자들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및 120) 상에 투사되는 이미지들을 관찰하도록 허용하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및 120)이 충분히 크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및 120) 뒤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비주얼라이저들은 예컨대 초 당 1개의 이미지와 같은 미리 결정된 간격들에서 카메라들로부터 이미지들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내의 비주얼라이저는 접속된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후속 이미지들 간의 차이를 계산한다. 통상적으로, 이는 후속 이미지들내의 대응하는 위치들에서의 픽셀 값들을 감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방식으로 얻어진 델타들(deltas)은 다른 위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접속된 투사기에 전송된다. 카메라(115)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들로부터 얻어진 델타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부터 투사기(136)에 전송되고, 카메라(135)에 의해 기록된 이미지들로부터 얻어진 델타들은 투사기(116)에 전송된다. 후속 이미지들간에서 변화된 픽셀들만을 전송함으로써, 요구된 데이터 전송 용량의 실질적인 절약이 얻어진다.
투사기들(116, 136)은, 얻어진 방식 때문에, 각각 제시되는 관람자들(131 내지 133, 및 111 내지 112)의 실루엣의 투사를 초래하는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투사의 예가 도 2에 예시된다. 도 2로부터 3명의 관람자들(131, 132, 133)이 제시되는 컨텐트를 다소 수동적으로 관찰하는 중임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함에도, 이들 3명의 관람자들이 정확히 누구인지, 어떤 복장을 하고 있는지, 및 정확히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세히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3명의 관람자들은 관찰되는 기분을 느끼지 않아도 된다.
카메라들(115, 135)의 사용에 대한 대안은 마이크로폰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제 1 및 제 2 위치들에서 오디오를 기록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110, 120)내의 비주얼라이저들은 기록된 오디오를 수신하고, 이 기록된 오디오를 주어진 척도상의 컬러 값으로 매핑한다. 예컨대, 기록된 오디오의 볼륨이 1 내지 100의 척도로 매핑될 수 있다. 다수의 적절한 대안들이 존재한다. 그 다음에, 컬러 값은 수신된 컬러 값에 대응하는 컬러가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위치의 투사기들(116, 136)에 전송된다. 이 방식으로, 제 1 위치에서의 오디오 볼륨의 변화는 예컨대, 오디오 볼륨의 변화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청색으로부터 적색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또는 컬러의 명암 또는 밝기가 변화되기 때문에, 컬러의 변화에 의해 제 2 위치에서 인지된다. 이 대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에서 제시되는 컨텐트 아이템을 볼 때조차도 배경의 컬러 변화들은 쉽게 관찰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임에도 저렴하게 구현된다.
제 1 또는 제 2 위치들에서 기록된 오디오를 시각화하는 다른 방식들이 또한 가능하다. 카메라 대신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 존재감의 기분의 충분한 생성을 허용하면서도 덜 개입적이다.

Claims (9)

  1. 제 2 위치의 컨텐트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저-대역폭 시각화를 제 1 위치에서 투사(project)함으로써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augment)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폭 시각화는 상기 제 2 위치의 상기 관람자들의 실루엣의 투사를 포함하는, 보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루엣의 투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컨텐트가 제시되는 디스플레이 뒤에서 투사되는, 보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루엣의 투사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컨텐트가 제시되는 디스플레이 위에서 투사되는, 보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대역폭 시각화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기록된 오디오의 시각화를 포함하는, 보강 방법.
  6. 제 1 위치에서의 컨텐트의 보강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제시하기 위한 프리젠테이션 수단, 제 2 위치의 상기 컨텐트의 관람자들의 참여의 저-대역폭 시각화를 생성하기 위한 시각화 수단, 및 상기 저-대역폭 시각화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투사하기 위한 투사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트의 보강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수단은 2개의 후속하여 기록된 이미지들간의 차이를 계산하도록 배열된 비주얼라이저에 결합된, 미리 결정된 간격들에서 상기 제 2 위치의 상기 관람자들의 이미지들을 기록하도록 배열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라이저는 상기 차이를 상기 투사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투사 수단은 상기 차이를 상기 저-대역폭 시각화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 컨텐트의 보강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수단은 기록된 오디오를 주어진 스케일 상의 컬러 값으로 매핑하도록 배열된 비주얼라이저에 결합된, 상기 제 2 위치에서 오디오를 기록하도록 배열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비주얼라이저는 상기 컬러 값을 상기 투사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에 결합되고, 상기 투사 수단은 상기 컬러 값에 대응하는 컬러를 상기 저-대역폭 시각화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배열된, 컨텐트의 보강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 수단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투사 수단에 접속된, 컨텐트의 보강된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KR1020057013943A 2003-01-28 2003-12-18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1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0168.8 2003-01-28
EP03100168 2003-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788A true KR20050091788A (ko) 2005-09-15

Family

ID=3279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943A KR20050091788A (ko) 2003-01-28 2003-12-18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15012A1 (ko)
EP (1) EP1590958A1 (ko)
JP (1) JP2006513669A (ko)
KR (1) KR20050091788A (ko)
CN (1) CN1745584A (ko)
AU (1) AU2003290386A1 (ko)
WO (1) WO2004068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1256B1 (en) * 2008-08-04 2012-0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device with peripheral viewing means
US9141862B2 (en) * 2008-09-26 2015-09-22 Harris Corporation Unattended surveillance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WO2010067280A1 (en) 2008-12-11 2010-06-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silhouette image representation
CN102473267B (zh) * 2009-06-30 2016-09-0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消费产品的设计
US20110181780A1 (en) * 2010-01-25 2011-07-28 Barton James M Displaying Content on Detected Devices
US20110183654A1 (en) * 2010-01-25 2011-07-28 Brian Lanier Concurrent Use of Multiple User Interfac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813A (en) * 1981-06-04 1987-12-01 Compression Labs, Inc. Low bandwidth video tele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US5960173A (en) * 1995-12-22 1999-09-28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enabling awareness of others working on similar tasks in a computer work environment
WO1999020010A1 (en) * 1997-10-09 1999-04-22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Variable bandwidth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7123745B1 (en) * 1999-11-24 2006-10-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ving objects in video conferencing and other applications
JP4182464B2 (ja) * 2001-02-09 2008-1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ビデオ会議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5584A (zh) 2006-03-08
US20060215012A1 (en) 2006-09-28
AU2003290386A1 (en) 2004-08-23
JP2006513669A (ja) 2006-04-20
EP1590958A1 (en) 2005-11-02
WO2004068856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1202B2 (en) Virtual reality system including social graph
RU2621644C2 (ru) Мир массового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удале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присутствия
Gibbs et al. Teleport–towards immersive copresence
US10701426B1 (en) Virtual reality system including social graph
CN107147899B (zh) 一种采用led 3d屏幕的cave显示系统及方法
US20170237941A1 (en) Realistic viewing and interaction with remote objects or persons during telepresence videoconferencing
Gotsch et al. TeleHuman2: A Cylindrical Light Field Teleconferencing System for Life-size 3D Human Telepresence.
WO1999049648A9 (fr) Procede et systeme de creation de programmes video
CN113518232B (zh) 视频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Steptoe et al. Acting rehearsal in collaborative multimodal mixed reality environments
WO202109557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Ryskeldiev et al. Streamspace: Pervasive mixed reality telepresence for remote collaboration on mobile devices
CA2859521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conferencing among a plurality of locations
KR20120060548A (ko) 마커 기반 3차원 입체 시스템
CN109996060B (zh) 一种虚拟现实影院系统及信息处理方法
KR20110006976A (ko) 전시관용 인터렉티브제어시스템
KR20050091788A (ko) 컨텐트의 프리젠테이션을 보강하는 방법 및 시스템
Ogi et al. Usage of video avatar technology for immersive communication
JP2021512402A (ja) マルチビューイング仮想現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7465737B2 (ja) 授業システム、視聴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915798A (zh) 实时视频生成方法、多摄像头直播方法及装置
Krum et al. Social impact of enhanced gaze presentation using head mounted projection
US202300371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an et al. Enabling genuine eye contact and accurate gaze in remote collaboration
KR101816446B1 (ko) 평면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텔레프레전스 이론을 적용한 3 차원 콘텐츠 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