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309A -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309A
KR20050091309A KR1020040016660A KR20040016660A KR20050091309A KR 20050091309 A KR20050091309 A KR 20050091309A KR 1020040016660 A KR1020040016660 A KR 1020040016660A KR 20040016660 A KR20040016660 A KR 20040016660A KR 20050091309 A KR20050091309 A KR 20050091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rrangement
key arrangement
placeme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임상빈
김병성
Original Assignee
넥스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비(주) filed Critical 넥스비(주)
Priority to KR102004001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1309A/ko
Publication of KR20050091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3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 배치가 가변되는 정보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공되는 행렬 형태의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키 표시부와, 키 표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키 영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응하는 키의 정보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pseudo)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로 이루어진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키 배치로 이루어진 서브 키 배치 그룹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키 배치의 영상을 생성하여 키 표시부에 제공하고,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선택된 특정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되는 키 배치가 관용 키 배치에 매우 근접하여 사용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면서도, 동시에 어느 정도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NFORMATION INPUTTING SYSTEM WITH A VARIABLE ARRANGEMENT OF KEYPAD,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엿보기를 통한 정보유출을 방지하는 안전한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포, 은행 등에서의 각종 카드의 사용이나, 텔레뱅킹, 인터넷뱅킹 등의 금융거래에서 비밀번호 및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한 금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고객이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개인정보 및 거래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다각도의 대책이 수립되고 있다. 출금표에서 비밀번호 기재란을 삭제하고 출금시 또는 신용카드 결제시 비밀번호 입력기를 이용하는 방안과, 고객의 개인정보와 거래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은행 내부자에 의하여 고객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해킹을 통한 정보 유출은 수많은 관련 보안업체들의 노력으로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있다.
그렇지만 고객은 정보입력 과정에서 비밀번호 및 개인정보의 물리적인 노출에 여전히 무방비 상태로 놓여 있다. 사용자가 현금자동지급기(cash dispensor: CD), 현금자동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 비밀번호입력기(PIN pad)의 키패드(key pad)에서 비밀번호 및/또는 개인정보를 입력할 때, 입력중인 키나 손동작을 주위에서 엿보거나, 키에 남겨진 손자국이나 지문, 키패드 마모를 조사하거나, 키를 누를 때 나는 소리를 청취하는 등의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비밀번호 및/또는 개인정보는 유출될 수 있다. 나아가 몰래카메라 촬영과 망원경을 동원한 엿보기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물리적인 정보 유출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므로 기존의 키패드를 계속 사용한다면, 고객정보 암호화 저장과 해킹 방지에 대한 관리가 강화될수록 향후에는 더욱더 심해질 전망이다.
금융거래 뿐만 아니라, 휴대폰, PDA,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터의 발전과 데스크탑 PC, 키오스크(kiosk), 판매시점관리(point of sale: POS) 단말기, 사무실 및 아파트 출입문의 도어록(door lock)과 같은 디지털 출입 장치, 키 입력 방식의 귀중품 보관 장치 등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하여 공개 장소에서 더욱더 많은 정보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정보기기에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은 그 정보기기의 가시거리 내에 있는 불특정한 사람이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정보 입력 과정에서는 많은 경우 개인정보, 거래정보, 기밀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들이 입력되고 처리되므로 엿보기 등의 물리적 유출에 대한 방지가 중요해진다.
악의적인 염탐자(peeper)는 사용자의 모니터나 키패드 엿보기를 통해 염탐하거나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손동작 등을 엿보아 정보를 염탐한다. 숙련된 염탐자는 잠깐의 모니터, 키패드 엿보기나 손동작 염탐을 통해 상당히 높은 정확도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해독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이용을 끝낸 후 정보기기를 떠났을 때 염탐자는 키패드 위에 있는 손자국이나 지문, 키패드 마모 등의 입력 자국을 채취하여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해독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자국을 탐지하여 자국을 남긴 숫자를 유추하는 공격을 이하 "자국 탐지 공격"이라고 한다.
종래의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방법이 도 1a 및 도 1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하방형 관용 키 배치(도 1a에 도시됨)는 전화기에 많이 사용되는 관용 키 배치로서, 행렬요소가 고정 키 배치되고 행렬의 좌상부터 우하까지 차례로 숫자가 증가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1->2->3…8->9->0). 상방형 관용 키 배치(도 1b에 도시됨)는 컴퓨터나 전자계산기에 많이 사용되는 관용 키 배치로서, 행렬요소가 고정 키 배치되고 행렬의 좌하부터 우상까지 차례로 숫자가 증가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0->1->2->3…8->9). 여기서 도 1b에 도시된 상방향 관용 키 배치에서의 "0->1" 뿐만 아니라 도 1a에 도시된 하방향 관용 키 배치에서의 "9->0"도 숫자 증가 방향으로 관습적으로 인지되고 있다는 점에 주의하라. 즉,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키키 배치의 숫자를 10을 법(modulus)으로 하는 숫자로서 인지하고 있다.
관용 키 배치가 널리 사용되는 이유로는 ⅰ) 첫째,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숫자를 셀 때 0 또는 1부터 시작하여 셈을 한다는 점과, ⅱ) 둘째, 좌상부터 우하까지 또는 좌하부터 우상까지 키 배치된 숫자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는 점과, ⅲ) 셋째, 숫자를 세는 관습과 부합하도록 행렬의 맨 윗 줄 또는 맨 아래 줄은 "0" 또는 "1"부터 시작하거나 "9" 또는 "0"으로 끝난다는 점이다. 키 배치가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관용 배치와 가까울수록 관습과 일치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덜 느낀다.
도 1c는 행렬요소가 무작위로 가변 키 배치되는 유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무작위 가변 키 배치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키를 입력함에 있어서 익숙하지 않아 불편하고, 또한 정확한 키를 찾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입력 시간 증가와 불편은 짧은 시간내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사람들의 습관과 상충하여 사용자에게 거부감마저 줄 수 있다. 아울러 키 입력 시간 증가로 인해 염탐자가 염탐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더 생기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키패드 키 배치 방법의 다른 예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미국특허 제4,857,914호(발명자는 Thrower임)에 개시된 행 스크롤 쉬프트(row scroll shift) 방법이다. 도 2에 도시된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에서는 키 입력의 편의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보안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하여 한 행을 한 단위로 하여 위아래로 스크롤 쉬프트하므로써 총 4가지 경우로 자판을 가변 키 배치한다. 이 때 한 행 내에서는 숫자키 및 문자키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에서는 가변 키 배치의 모든 경우의 수가 4가지 밖에 되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우수한 편은 아니다. 또한 0이 있는 행은 가운데에만 숫자키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손동작을 염탐한 결과 오른쪽 또는 왼쪽 열의 키를 눌렀다면 그 행은 0이 있는 행이 아니란 증거가 되므로 보안성은 더욱 낮아진다. 또한, 행렬의 맨 윗 줄 또는 맨 아래 줄이 "0" 또는 "1"부터 시작하거나 "9" 또는 "0"으로 끝나지 않는 경우가 생기므로 관습과 일치하지 않아 키 입력이 다소 불편하고 입력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종래의 키패드 키 배치 방법의 다른 예로서, 한국특허출원 2003-0039049(출원인은 넥스비, 발명의 명칭은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임)에 개시된 키패드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의 예들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a 및 도 3b는 하나의 비숫자키를 임의 위치에 배치하는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두개의 비숫자키를 임의 위치에 배치하는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는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2*5 행렬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방법에서는 각각의 예에서 최소한 10가지 이상의 가변 키 배치가 가능하므로 보안성이 높다. 또한 키 배치된 숫자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편리한 측면이 있지만, 행렬의 맨 윗 줄 또는 맨 아래 줄이 "0" 또는 "1"부터 시작하거나 "9" 또는 "0"으로 끝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관습과 일치하지 않아 키 입력이 다소 불편하고 입력 시간이 중가할 수 있다.
키 배치와 관련된 여러 성능을 우수(A), 양호(B), 부족(C) 등급으로 간단히 표시한다면 종래 기술을 대체로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 먼저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도 2에 도시됨)은 엿보기 방지엔 B등급, 자국탐지공격 방지엔 B등급, 관용 키 배치에 비해 사용이 약간 불편하므로 편리함에서는 B등급이다.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됨)은 엿보기 방지엔 A등급, 자국탐지공격 방지엔 A등급, 관용 키 배치에 비해 사용이 약간 불편하므로 편리함에서는 B등급이다. 이와 같은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과"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은 보안성이 높지만 낯설어 사용이 약간 불편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전면적으로 도입하기는 어렵다.
지난 수십년간 키패드의 엿보기 방지 및 자국탐지공격 방지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다수의 가변 키 배치 기술이 개발되는 등 많은 노력이 있어왔지만 실제 적용이 극히 미미한 것은 그만큼 관용 키 배치에서 가변 키 배치로 변경하기가 어렵다는 증거이다. 오랜 세월 숙달되어 온 관용 키 배치를 가변 키 배치로 바꾸는 건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편리함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고 천천히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사회심리적 조건을 성숙시켜야 한다. 따라서, 보안성은 약간 부족하더라도 관용 키 배치와 가까워서 사용이 편리한 형태의 가변 키 배치부터 도입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보안성을 높이는 가변 키 배치를 구현하면서도 사용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도록 관용 키 배치에 매우 근접한 형태의 가변 키 배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 배치가 가변되는 정보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공되는 행렬 형태의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키 표시부와, 상기 키 표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키 영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응하는 키의 정보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pseudo)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로 이루어진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키 배치로 이루어진 서브 키 배치 그룹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키 배치의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키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선택된 특정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특정 키 배치에서 숫자 "0" 키가 해당 행에서 좌우로 임의로 쉬프트된다. 또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은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키 배치에 대한 거울 키 배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은 상기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2개 또는 4개의 키 배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을 이루는 키 배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의사 관용 키 배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되는 행렬 형태의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키 표시부와, 상기 키 표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키 영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응하는 키의 정보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로 이루어진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키 배치로 이루어진 서브 키 배치 그룹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키 배치의 영상을 상기 키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특정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해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할 때의 손동작을 염탐자가 엿보아 해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수단 위에 있는 손자국이나 지문, 키패드 마모 등의 입력 흔적을 염탐자가 채취하여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해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되며 염탐자의 부정 사용 시도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정보입력을 할 때 키패드를 염탐자가 측면에서 엿보아 해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 또는 신호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입력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300)는 키패드 입력장치 제어시스템(302)과 키(key) 디스플레이(304), 키패드 입력 수단(306), 호스트 컴퓨터가 있는 경우 호스트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와 이러한 입력장치 제어시스템(302)을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또한 카드로부터 각종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 장치(308)가 함께 구비된다.
입력장치 제어시스템(302)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거나 자체적으로 현재 시점에 해당하는 특정 키 배치의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영상을 키 디스플레이(304)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키 디스플레이(304)는 일반적인 LCD, CRT, EL 디스플레이 모니터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모니터에 숫자키 또는 문자키를 디스플레이하여 키 디스플레이(304)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키 디스플레이(304)는 LED의 배열로 구성되거나,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단한 7-세그먼트 LED의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키패드 입력 수단(306)은 투명한 키패드로서 키 디스플레이(304)를 덮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키 디스플레이(304)의 각각의 키 아래에 키 버튼이 놓여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키패드 입력 수단(306)과 키 디스플레이(304)의 여러 가지 조립 키 배치 구조는 한국특허출원 1999-0012741의 공개공보와 같은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 디스플레이(304)가 디스플레이하는 특정 키 배치의 숫자키 또는 문자키를 보면서 상응하는 키패드 위에 있는 키를 입력하고, 키패드 입력 수단(306)은 입력된 키 값을 입력장치 제어시스템(302)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 입력 장치(300)를 주위가 밝은 곳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키 디스플레이(304)에서 반사된 주변광이 사용자 눈에 입사하여 영상의 대비(contrast)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의 일 예로서 3M사가 판매하고 있는 "3MTM Privacy Computer Filters"와 같은 주변광 차단 필터(310 또는 312)를 키 디스플레이(304)의 전면에 부착한다. 주변광 차단 필터는 광투과율이 입사각에 의존하는 광필터로서, 입사각이 특정 각도 이상인 광을 차단하는 필터이다. 또한 주변광 차단 필터는 입사각이 특정 각도 이상인 광을 차단하므로 측면에 있는 사용자 주위의 사람들에게 현재의 자판 키 배치가 노출될 확률을 감소시킨다.
도 7d에 도시되어 바와 같이, 하나의 주변광 차단 필터(310)를 키 디스플레이(304) 전체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키 디스플레이(304)와 키패드 입력 수단(306)과, 주변광 차단 필터(310) 를 적층 조립하는데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도 7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변광 차단 필터 배열(312)를 각각의 해당 키에만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도 키 디스플레이(304)와, 키패드 입력 수단(306)과, 주변광 차단 필터 배열(312)을 적층 조립하는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사방으로 주변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직교하는 2겹의 주변광 차단 필터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키 디스플레이(304)로서 범용 모니터를 사용하고 터치스크린과 같은 키패드 입력 수단(106)을 사용하는 키패드 입력장치에서도 주변광 차단 필터를 부착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키패드 보다는 기계적인 촉감이 있는 키패드가 선호되는 상황이 많다. 이럴 때 기계적인 촉감이 있는 키패드에 주변광 차단 필터 배열(312)을 키패드에 부착하는 것이 많은 경우 효과적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전용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키 디스플레이로서 LED 배열이나 7-세그먼트 LED 같은 간단한 전용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가변 키 배치 정보 입력 장치의 제어는 전용 제어시스템으로 수행한다.
입력장치 제어 수단(404)은 보안 성능 제어부(432), 암호화부(434), 관리부(436)로 이루어지며, 키 영상 생성수단(406)과 키패드 자판배치수단(408)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 제어 수단(404)은 사용자 입력부(438)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키 배치 유형에 따른 숫자키 또는 문자키 영상을 키 디스플레이(412)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키 배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키 배치 유형에는 후술할 쉬프트 키 배치 유형 등이 있다.
보안 성능 제어부(4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적절한 키 영상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키 영상 생성수단(406)과 키패드 자판배치수단(408)에 전송한다. 키 영상 제어정보는 키 배치 유형정보 등을 포함한다.
키 영상 생성수단(406)은 보안 성능 제어부(432)로부터 제공받은 키 영상 제어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키 배치의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영상을 생성하고 키 디스플레이 제어기(410)에 제공한다. 키 디스플레이 제어기(410)는 키 디스플레이(412)에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키패드 자판배치수단(408)은 보안 성능 제어부(432)에서 결정된 키 배치 유형 가운데에서 현재 시점의 키 배치를 결정한다. 이 때 난수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 자판배치수단(408)은 결정된 현재 시점의 키 배치를 입력장치 제어 수단(404)에 전송하고, 입력장치 제어 수단(404)의 관리하에 키 영상 생성수단(406)이 이러한 키 배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키 디스플레이 제어기(410)를 통해 키 디스플레이(412)에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키 디스플레이(412)에 디스플레이된 키 배치를 보면서 키패드(414)에서 정보를 입력한다. 키패드(414)에서 입력된 키는 키패드 제어기(416)에서 해당하는 위치 키 값으로 판독되고 판독된 위치 키 값이 키패드 자판배치수단(408)의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변환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실제 키 값은 입력장치 제어 수단(404)의 관리부(436)에서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호스트 컴퓨터(240)가 존재하여 입력된 실제 키 값을 호스트 컴퓨터(440)에 전송하고 호스트 컴퓨터(440)의 관리수단(422)은 실제 키 값을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거나 금융거래 중계를 하는 것과 같은 후속 처리를 한다. 이 때 일례로 실제 키 값을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어락과 같은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 제어 수단(202)의 관리부에서 허가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범용 모니터에 적용된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드라이버(510)가 영상을 제어한다. 키패드(506)로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한다.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은 보안 성능 제어부(532), 암호화부(534), 관리부(536)로 이루어지며, 키 영상 생성수단(506)과 키패드 자판배치수단(508)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은 사용자 입력부(538)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키 배치 유형에 따른 숫자키 또는 문자키 영상을 모니터(514)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키 배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보안 성능 제어부(53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적절한 키 영상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키 영상 생성수단(506)과 키패드 자판배치수단(508)에 전송한다. 키 영상 제어정보는 키 배치 유형정보 등을 포함한다.
모니터 정보 획득 수단(520)은 모니터(514)의 해상도,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 수직동기(vertical sync), 수평 동기(horizontal sync) 등의 정보를 읽어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에 제공한다.
키 영상 생성수단(506)은 보안 성능 제어부(532)로부터 제공받은 키 영상 제어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키 배치의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영상을 생성하고, 그래픽 드라이버(510)는 이러한 영상을 비디오 제어기(512)에 제공한다. 비디오 제어기(512)는 키 영상을 모니터(514)에 디스플레이한다.
키패드 자판배치수단(508)은 결정된 현재 시점의 키 배치를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에 전송하고,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의 관리하에 키 영상 생성수단(506)이 이러한 키 배치에 해당하는 영상을 비디오 제어기(512)를 통해 모니터(514)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모니터(514)에 디스플레이된 키 배치를 보면서 터치스크린과 같은 키패드(516)에서 정보를 입력한다. 키패드(516)에서 입력된 키는 키패드 제어기(518)에서 해당하는 위치 키 값으로 판독되고 판독된 위치 키 값이 키패드 자판배치수단(518)의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변환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실제 키 값은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의 관리부(536)에서 처리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 제어 수단(504)에서 실제 키 값을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거나 금융거래 중계를 하는 것과 같은 후속 처리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시스템 기본값으로 또는 오퍼레이터가 디폴트 디스플레이 보안 성능 수준을 설정한다(600). 다음에는 디폴트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정보입력모드가 되어 사용자의 사용을 대기한다(602). 디폴트 정보입력모드는 자판 가변 키 배치 정보입력모드일 수 있고 일반 정보입력모드일 수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키 배치를 변경할 지 여부를 선택한다(604). 단계(604)에서 키 배치 변경을 선택하면 키 배치 유형을 변경하거나 키 배치를 변경하여(606), 키 디스플레이(104)에 디스플레이한다(608). 단계(604)에서 키 배치 변경을 선택하지 않으면 단계(610)로 간다. 단계(610)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정보를 키 값으로 해독하고 후속처리를 진행한다(612).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한 후에는 입력 종료 신호가 발생하고 디폴트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614).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키 입력 단위마다 키를 재배치하고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횟수의 키 입력 단위마다 키를 재배치 가변한다. 예를 들어, 2개의 키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키 재배치가 일어나고 다음 2개의 키는 새로운 키 배치 상태에서 키를 입력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종래 키 배치에서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이란 숫자키를 숫자 크기 증가 순으로 선을 그어 표시한 것으로서 근접한 숫자가 키 배치된 형태를 보여준다. 먼저 도 11a 내지 도 11c는 종래의 하방형 관용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개략적인 키 배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형 관용 키 배치에서는 키패드의 숫자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므로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은 교차(cross)가 없이 매끄럽다. 여기서, 키패드는 10을 법(modulus)으로 하는 mod 10의 형태를 갖고 있다고 관습적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9와 0은 근접 숫자이고, 9->0을 근접 숫자 증가라 볼 수 있다.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은 0->1->2->3…8->9->0와 같다.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상방형 관용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형 관용 키 배치에서 숫자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므로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은 교차가 없이 매끄럽다. 이러한 동선을 가진 키 배치는 사람의 일상적인 습관에 부합되어 입력의 편리성을 나타내는 필요조건이 된다. 아울러 상기 두 가지의 관용 키 배치에서는 숫자를 세는 관습과 부합하도록 행렬의 맨 윗 줄 또는 맨 아래 줄이 "0" 또는 "1"부터 시작하고 "9" 또는 "0"으로 끝나고 있어 편리하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종래의 행 무작위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개략적인 키 배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행을 무작위로 배치한 한 경우. 키패드의 숫자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그리면 하나 이상의 교차가 생기게 된다. 이 경우는 관습적으로 효율적인 키 배치라고 할 수 없으며 입력에 불편함과 시간 증가가 생긴다.
도 14a 및 도 14b는 종래의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의 경우, 숫자 크기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키 배치이므로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은 교차가 없이 매끄럽다. 하지만, 행렬의 맨 윗 줄이 "0" 또는 "1"부터 시작하지도 않고 "9" 또는 "0"으로 끝나는 줄도 아니므로 관습과 일치하지 않아 입력에 약간의 불편함과 입력 시간 증가가 생길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종래의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의 두가지 예에서의 실제 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c는 도 15b에 도시된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나의 비숫자키(non-numeric key : 보통 *, # 등으로 표시된 경우가 많음)를 우하측에 고정하고 키패드 행렬 요소를 쉬프트하여 키 배치하는 방법의 두 경우와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모두 11가지 경우의 키 배치가 있으므로 보안성이 비교적 높고 그림에서 보듯이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은 교차가 없이 매끄럽다. 또한, 항상 맨 위에 "1"부터 키 배치되고 맨 아래 줄이 "0"으로 끝나므로 관습에 부합하는 측면이 있으나, 사용자가 상기 키 배치에서 행렬 요소가 쉬프트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관용 키 배치로 착각함으로써 입력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불편함은 양호(B) 등급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종래의 행렬요소 쉬프트 키 배치의 일종인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의 두 가지 예에서의 실제 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6c는 도 16b에 도시된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비숫자키를 가운데 고정하고 시계방향으로 행렬 요소를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사각 회전 키 배치에서는 키의 순서는 뒤바뀌지 않고 시작점이 임의로 선정된다.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은 교차가 없이 매끄러워 효율적인 키 배치라고 할 수 있다. 맨 위 줄에 1, 2와 같은 숫자부터 키 배치되지 않을 경우도 있으나 사람이 원형 다이얼 키버튼을 누르던 습관이 있으므로 입력 불편함은 양호(B) 등급이다.
이와 같은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은 보안성은 우수하지만 가변 키 배치 개념을 처음 도입해야 하는 시점에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오랜 세월 동안 숙달되어 온 관용 키 배치를 가변 키 배치로 바꾸는 건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보안성은 약간 부족하더라도 관용 키 배치와 가장 가까우면서 편리한 가변 키 배치부터 도입해야 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 방법에서는, 두 가지 관용 키 배치와 두 가지 의사(pseudo) 관용 키 배치를 포함한 총 4가지 키 배치 가운데서 두 가지 이상의 조합으로 가변 키 배치한다. 이러한 키 배치는 보안성이 약간 부족하지만 관용 키 배치와 가장 가까우면서 편리한 가변 키 배치이다.
먼저 도 17a는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도 17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도 17c는 도 17b의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도 17b에 도시됨)는 하방형 관용 키 배치(도 17a에 도시됨)의 "0"이 있는 맨 아래줄이 맨 위로 이동하여 키 배치된 방법이다.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는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이 교차가 없이 매끄럽고, 행렬의 맨 위 줄이 "0"부터 시작하고 맨 아래 줄이 "9"로 끝나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편리하다. 또한, 한 눈에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가 하방형 관용 키 배치와 다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하방형 관용 키 배치로 착각할 우려도 적다.
도 18a는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도 18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도 18c는 도 18b의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도 18b에 도시됨)는 상방형 관용 키 배치(도 18a에 도시됨)의 "0"이 있는 맨 아래줄이 맨 위로 이동하여 키 배치된 방법이다.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는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이 교차가 없이 매끄럽고, 행렬의 맨 아래 줄이 "1"부터 시작하고 맨 위 줄이 "0"로 끝나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편리하다. 또한, 한 눈에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가 하방형 관용 키 배치와 다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하방형 관용 키 배치로 착각할 우려도 적다.
이하에서는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와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총칭해서 "의사 관용 키 배치"라고 하고, 이 의사 관용 키 배치와 기존의 하방형 관용 키 배치와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총칭해서 "관용 키 배치"라고 한다.
도 17 및 도 18은 널리 사용되는 4*3 키행렬에 대한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이고, 도 19 및 도 20은 2*5 키행렬에 대한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이다. 먼저 도 19a는 2*5 키행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도 19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0a는 2*5 키행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도 20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2*5 키행렬의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도 19b에 도시됨)는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이 좌상에서 우하의 방향이며, 행렬의 맨 위 줄이 "0"부터 시작하고 맨 아래 줄이 "9"로 끝난다. 2*5 키행렬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도 20b에 도시됨)는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이 좌하에서 우상의 방향이며, 행렬의 맨 아래 줄이 "1"부터 시작하고 맨 위 줄이 "0"으로 끝난다. 여기서 2*5 키행렬의 상방형 관용 키 배치는 행렬의 맨 아래 줄이 "0"부터 시작하고 맨 위 줄이 "9"로 끝난다. 다른 실시예로 5*2 키행렬에 대한 확장 조합 가변 배치도 2*5 키 배치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는 상기 4가지의 하방형, 의사 하방형, 상방형, 의사 상방형 키 배치 가운데에서 적어도 2가지 키 배치를 선택하여 조합 가변 키 배치한다.
도 21 및 도 22는 다른 실시예로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0" 쉬프트 서브 키 배치 또는 거울 키 배치를 추가한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를 나타낸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에 의한 숫자키 "0"의 쉬프트 서브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0" 쉬프트 서브 키 배치에서, "0"이 위치한 행의 "0"이 아닌 키는 숫자키가 아니므로 "0"의 위치를 좌우로 쉬프트하여 가변 키 배치할 수 있다. 이렇게 바꾸어도 사용자가 인지하기 어렵지 않기 때문에 편리성을 희생하지 않고 보안성을 약간 높일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거울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 키 배치에서는 거울처럼 키 배치가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의 좌우대칭 형태를 띈다.
본 발명의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 방법은 엿보기 방지엔 B등급, 자국탐지공격 방지엔 B등급으로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도 2에 도시됨)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관용 키 배치에 근접한 자판을 사용하여 거의 관용 키 배치와 다름없이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편리함에서는 A등급이다.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과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됨)이 편리함에서는 B등급인 반면에 본 발명의 방법은 편리함에서는 A등급이다.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과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은 약간 불편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전면적으로 도입하기는 어렵고, 최초의 가변 키 배치로서 본 발명의 방법을 먼저 도입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폰 키패드처럼 하나의 키에 숫자키와 문자키가 다중으로 할당된 키패드에서, 키가 가변 키 배치됨에 따라 숫자키 뿐만 아니라 문자키도 동일하게 새로운 위치로 가변 키 배치되고 이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도 숫자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하여 보안성이 확보되는 상태에서 입력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조합 가변 키 배치에서의 자국 탐지 공격 방지 성능을 논한다. 먼저 도 23a 내지 도 23d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조합 배치에서의 각각의 키 배치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자국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염탐자가 키패드의 각 위치에서 탐지한 자국의 강도를 Si로 표시한다.
도 25a는 하방형 및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으로부터 가변 키 배치를 구현하는 경우의 각 위치에서의 가능한 숫자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5b는 의사 하방형 및 상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에서의, 도 25c는 하방형, 의사 하방형, 상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에서의 도 25d는 하방형, 의사 하방형, 상방형, 관용 상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으로부터 가변 키 배치를 구현하는 경우의 각 위치에서의 가능한 숫자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5a 내지 도 25d에서 "b"(blank)는 "0" 좌우의 비숫자키를 뜻한다. 특정 위치에서의 자국 강도 Si와 자국을 남긴 숫자 n = [1], [2],…,[0],[b1],[b2] 사이의 관계는 s=Tn 과 같다. 여기서 T는 키 배치에 의존하는 키 배치 행렬이다.
도 25a에 도시된 키 배치에서의 s=Tn 관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1 = ([1]+[b1])/2, 즉, S1 위치에서의 자국 S1은 동일한 확률로 [1] 또는 [b1] 키가 눌려짐에 의하여 생긴 것이다. S2 = ([2]+[0])/2, 즉, S2 위치에서의 자국 S2는 동일한 확률로 [2] 또는 [0] 키가 눌려짐에 의하여 생긴 것이다. 이를 행렬(T1)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도 25c에 도시된 키 배치에서의 s=Tn 관계는 다음과 같다. S1 = ([1]+[b1]+[7])/3, 즉, S1 위치에서의 자국 S1은 동일한 확률로 [1], [b1], [7] 키가 눌려짐에 의하여 생긴 것이다. S4 = ([1]+2[4])/3, 즉, S4 위치에서의 자국 S4는 1/3 확률로 [1], 2/3 확률로 [4] 키가 눌려짐에 의하여 생긴 것이다. 이를 행렬(T2)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도 25d에 도시된 키 배치에서의 s=Tn 관계는 다음과 같다. S2 = ([2]+2[0]+[8])/4, 즉, S2 위치에서의 자국 S2는 1/4 확률로 [2], 1/4 확률로 [8], 2/4 확률로 [0] 키가 눌려짐에 의하여 생긴 것이다. 이를 행렬(T3)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자국 탐지 공격이란 자국 강도 Si의 분포와 키 배치 행렬 T를 아는 염탐자가 자국을 남긴 숫자(비밀번호) n(=T-1s)을 유추하는 공격이다. 자국 탐지 공격에서는 염탐자가 키 배치 행렬 T를 안다고 가정한다. 키 배치 행렬 T는 키패드에 정보입력 시도를 몇 번 하면 알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키 배치 행렬 T가 비특이(nonsingular)하여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와 같이 자국을 남긴 숫자 n을 쉽게 알아낼 수 있다. 키 배치 행렬 T의 랭크(rank)가 줄어들고 특이(singular)해질수록 n을 알아내기가 어렵게 되므로 자국 탐지 공격에 강하다. 도 25a에 도시된 키 배치의 T1의 랭크를 계산하면 9이므로 특이하다. 다만, 비밀번호에 1,3,7,9 숫자가 포함되어 S1, S3, S10, S12에 자국이 생긴 다면, 상기 위치에서는 1,3,7,9 숫자 또는 "b"에 의해 자국이 생기므로 상기 위치에 생긴 자국은 모두 해당 숫자 1,3,7,9에 의한 것이므로 자국을 남긴 숫자를 찾기 쉬워진다. 도 25c에 도시된 키 배치의 T2의 랭크를 계산하면 12이므로 비특이하여 자국을 남긴 숫자 n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세 가지 키 배치를 조합할 경우 오히려 행렬이 비특이해져 자국 탐지 공격에 약해진다. 물론, 이 때 염탐자가 자국의 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적 정확히 판별해야만 자국 탐지 공격이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25d에 도시된 키 배치의 T3의 랭크를 계산하면 6이므로 강하게 특이하여 자국을 남긴 숫자 n을 알아내기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자국 탐지 공격에 안전하려면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 및 상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 4가지로 조합 가변 키 배치를 구현하는 것이 좋다. 더 적은 수의 키 배치 경우로 조합 가변 키 배치를 하려면 3가지를 조합하는 것보다는 2가지를 조합하고 "0"을 쉬프트 서브 키 배치하는 편이 더 낫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전술한 구성으로부터 여러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사실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되는 키 배치가 관용 키 배치에 매우 근접하여 사용의 불편함이 최소화되면서도, 동시에 어느 정도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종래의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무작위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하나의 비숫자키를 임의 위치에 배치하는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종래의 두개의 비숫자키를 임의 위치에 배치하는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2*5 행렬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 입력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이 전용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이 범용 모니터에 적용된 실시예의 제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종래의 하방형 관용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개략적인 키 배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종래의 상방형 관용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종래의 행 무작위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개략적인 키 배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종래의 행 스크롤 쉬프트 키 배치에서의 실제 키 구성,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종래의 행렬 요소 쉬프트 키 배치의 두가지 예에서의 실제 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c는 도 15b의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종래의 사각 회전 쉬프트 키 배치의 두가지 예에서의 실제 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6c는 도 16b의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
도 17a는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7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7c는 도 17b의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설명하는 도면.
도 18a는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8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8c는 도 18b의 키 배치의 근접 숫자 증가 동선을 설명하는 도면.
도 19a는 2*5 키행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9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a는 2*5 키행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0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a 내지 도 21c는 본 발명에 의한 숫자키 "0"의 쉬프트 서브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거울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3a 내지 도 23d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 조합 배치에서의 각각의 키 배치의 개략도.
도 24는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자국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a는 하방형 및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에서의, 도 25b는 의사 하방형 및 상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에서의, 도 25c는 하방형, 의사 하방형, 상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에서의 도 25d는 하방형, 의사 하방형, 상방형, 관용 상방형 관용 키 배치의 조합에서의 각 위치에서의 가능한 숫자를 표시한 도면.

Claims (10)

  1. 키 배치가 가변되는 정보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제공되는 행렬 형태의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키 표시부와,
    상기 키 표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키 영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응하는 키의 정보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와,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로 이루어진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키 배치로 이루어진 서브 키 배치 그룹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키 배치의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키 표시부에 제공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선택된 특정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변환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특정 키 배치에서 숫자 "0" 키가 해당 행에서 좌우로 임의로 쉬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은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키 배치에 대한 거울 키 배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은 상기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2개 또는 4개의 키 배치가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을 이루는 키 배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의사 관용 키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6. 가변되는 행렬 형태의 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키 표시부와, 상기 키 표시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키 영상의 소정 위치에서 상응하는 키의 정보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하방형 관용 키 배치, 상방형 관용 키 배치, 의사 상방형 관용 키 배치로 이루어진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2개의 키 배치로 이루어진 서브 키 배치 그룹에서 임의로 선택된 특정 키 배치의 영상을 상기 키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특정 키 배치에 따라 실제 키 값으로 해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특정 키 배치에서 숫자 "0" 키가 해당 행에서 좌우로 임의로 쉬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은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키 배치에 대한 거울 키 배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은 상기 메인 키 배치 그룹에서 2개 또는 4개의 키 배치가 선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키 배치 그룹을 이루는 키 배치 중 적어도 하나는 의사 관용 키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KR1020040016660A 2004-03-11 2004-03-11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091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60A KR20050091309A (ko) 2004-03-11 2004-03-11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660A KR20050091309A (ko) 2004-03-11 2004-03-11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309A true KR20050091309A (ko) 2005-09-15

Family

ID=37273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660A KR20050091309A (ko) 2004-03-11 2004-03-11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13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2996A (zh) * 2015-09-23 2018-07-17 哈瑞克思信息科技公司 用于使用可变键区对身份进行认证的方法和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2996A (zh) * 2015-09-23 2018-07-17 哈瑞克思信息科技公司 用于使用可变键区对身份进行认证的方法和系统
CN108292996B (zh) * 2015-09-23 2021-09-21 哈瑞克思信息科技公司 用于使用可变键区对身份进行认证的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967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US9224272B2 (en) Method of secure data communication
CN101536045B (zh) 视觉代码交易验证
AU2006221804B2 (en) A method of secure data communication
AU20132693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user identification
US9196111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dynamic keypad
JP2005535990A (ja) セルマッチングによって入力されたパスワード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H06318186A (ja) 暗証入力装置
KR20110069567A (ko) 그래픽 다이얼 오티피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그 인증시스템
US20070096946A1 (en) Information inputting system with a variable arrangement of keypad, and control method thereof
Guerar et al. Color wheel pin: Usable and resilient ATM authentication
JP5103978B2 (ja) 認証装置および認証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20050091309A (ko)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07712B1 (ko)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333754Y1 (ko) 가변 키 배치의 정보 입력 장치
US9214051B1 (en) Dynamic touch screen for automated teller machines (“ATMs”)
JP2001350590A (ja) 入力装置
US20140304834A1 (en) Personalized Secure Data Access Techniques
KR20030057056A (ko) 현금 지급기의 비밀번호 보호방법
AU2012202723B2 (en) A Method of Secure Data Communication
KR20190005477A (ko) 키로깅 및 주위노출 방지를 위한 그래픽 이미지 가상키보드 시스템
KR20190006919A (ko) 타이포그래픽을 이용한 해킹 방지 가상키보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040089422A (ko) 엿보기를 통한 정보유출을 방지하는 비공개 정보입력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