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24A -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24A
KR20050090824A KR1020040016090A KR20040016090A KR20050090824A KR 20050090824 A KR20050090824 A KR 20050090824A KR 1020040016090 A KR1020040016090 A KR 1020040016090A KR 20040016090 A KR20040016090 A KR 20040016090A KR 20050090824 A KR20050090824 A KR 20050090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ignal
unit
consta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824A/en
Publication of KR20050090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2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동작상태에 따라 상이한 구동전압을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전자기기는, 전원이 연결되면 파워-온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전원으로부터 제1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대기전압공급부,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으로부터 제2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동작전압공급부, 제1입력전압 및 제2입력전압 중 하나가 인가되면, 소정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변환부, 및, 정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파워-온 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대기전압공급부 및 동작전압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내부 발열을 방지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using different driving voltages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is disclosed. The electronic device is a standby voltage supply unit that detects and outputs a first input voltage from a power supply until a power-on signal is received when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and detects and outputs a second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when a power-on signal is received. When one of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the first input voltage and the second input voltage is applied,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 constant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s driven by receiving a constant voltage, and whether to receive the power-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Accordingly, internal heat generation can be prevent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to increase battery usage time.

Description

동작상태에 따라 상이한 구동전압을 사용하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 Electronic device using different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operating state and method thereof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본 발명은 소비전력절감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기기의 현재 동작상태에 따라 상이한 구동전압을 이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wer saving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different driving voltage accor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외부 AC 전원이나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일단 전원이 연결되면, 전자기기의 제어부(즉,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원으로부터 대기전력을 공급받아 신호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파워스위치가 ON되면 제어부는 각 구성유닛들을 제어하여 각각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In general,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AC power source or an internal battery to perform an operation. Once the power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ie, the microprocessor)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standby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maintains the signal standby state.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in such a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controls each of the component units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이 경우, 외부 AC 전원이나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부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압변환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유닛을 일반적으로 정전압 레귤레이터라고 한다. In this case, a device for converting a voltage supplied from an external AC power source or a built-in battery into a constant voltage required for maintaining a standby state in a control unit is required. The component unit performing such a voltage conversion operation is generally called a constant voltage regulator.

정전압 레귤레이터는 크게 시리즈 방식 레귤레이터 및 스위칭 방식 레귤레이터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시리즈 방식 레귤레이터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를 레귤레이터에서 흡수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전압차*출력전류 만큼의 열이 발생하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방열문제도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Constant voltage regulator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series regulators and switching regulators. The series regulator operates by absorb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in the regulator. Therefore, the heat generated as much as the voltage difference * output current, the efficiency is lowered, the problem that the heat dissipation problem also occurs.

스위칭(switching) 방식 레귤레이터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고도 하는데, 스위칭 방식으로 정전압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스위칭 방식 레귤레이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소자 및 스위칭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스위칭 제어회로는 출력단의 전압을 모니터링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한 후, 출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소정 크기의 전압을 유지시키게 된다. Switching mode regulators, also known as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SMPS), are devices that output a constant voltage in a switching mode. The switching regulator basically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and a switching control circuit. The switching control circuit monitors the voltage at the output stage and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n controls the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utput voltage to maintain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한편, 스위칭 방식 레귤레이터는 스위칭 제어회로가 스위칭 소자를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그 중 하나는 스위치의 on-time과 off-time의 비를 조절하는 것인데 이를 PWM(pulse-width modulation)방식 레귤레이터라고 한다. 다른 하나는 PWM에 사용되어지는 switching transistor 대신에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phase angle을 변화시키므로 PCM(phase controlled modulation) 방식 레귤레이터라고 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types of switching regulators, depending on how the switching control circuit controls the switching elements. One of them is to adjust the on-time and off-time ratio of the switch, which is called a pulse-width modulation (PWM) regulator. The other is to use 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instead of switching transistor used for PWM. This method is called a PCM (phase controlled modulation) regulator because it changes the phase angle.

도 1은 배터리로부터 소비전력을 공급받는 종래의 전자기기(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종래 전자기기(10)는 배터리(11), 정전압 레귤레이터(13),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배터리(11)로부터 소정크기의 직류전압이 공급되면, 정전압 레귤레이터(13)는 인가된 직류전압을 제어부(15)가 필요로 하는 소정 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10 that receives power consumption from a battery. Accord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 battery 11, a constant voltage regulator 13, and a controller 15. When a DC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11,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13 converts the applied DC voltage into a constant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required by the control unit 15 and outputs it.

제어부(15)는 정전압 레귤레이터(13)로부터 정전압을 공급받아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작동시켜 파워-온 되면, 제어부(15)는 다른 구성유닛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는 구성유닛들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정전압 레귤레이터(13)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15 receives the constant voltage from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13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switch and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15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other component units and su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component units requiring the driving voltage. 13).

8.4V 배터리(1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15)는 2.5V의 구동전압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1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정전압 레귤레이터(13)는 8.4V의 전압을 2.5V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5)에 인가하여야 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8.4V battery 11 is connected, the controller 15 uses the electronic device 10 that requires a driving voltage of 2.5V as an example, and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13 sets the voltage of 8.4V to the constant voltage of 2.5V. To be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5.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전압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방식의 정전압 IC나, 스위칭 방식의 SMPS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전압 IC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중에서 제어부가 필요로 하는 전압을 제외한 나머지 전압은 열로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정전압 IC에서는 5.9V의 전압이 열로써 소비된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다른 내부 구성유닛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전자기기(10)가 VCR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내부 온도 증가로 인해 VCR 드럼의 성능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화면상에서 깨짐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can selectively use a linear constant voltage IC or a switching SMPS. In the case of using the constant voltage IC, the remaining voltage excluding the voltage required by the controller is consumed as heat from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battery. Therefore, in the constant voltage IC, a voltage of 5.9 V is consumed as heat. As a result,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10 rises, affecting other internal components. That is, i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a video display device for reproducing image data recorded on a VCR tape, the performance of the VCR drum is degraded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temperature, and as a result, a cracking phenomenon may occur on the screen.

한편, 정전압 레귤레이터로써 스위칭 방식의 SMPS를 사용하게 되면, 효율이 증가하여 내부 발열을 방지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대기상태(즉, 배터리가 장착되고, 전자기기(10) 자체의 파워는 OFF상태일 때)에서 SMPS 내부에서 제어부(15)로 대기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비전류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소비가 발생하게 되어 배터리가 빨리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ing type SMPS is used as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to prevent internal heat generation. However, in this case, the consumption current used to apply the standby voltage to the controller 15 inside the SMPS is large in the standby state (that is, when the battery is mounted and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tself is OFF). There is a problem that you los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generated and the battery is quickly consumed.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 각 국가마다 전자제품의 비사용시 소비전력을 절감하고자 하는 추세에 반하므로, 적절한 해결책을 필요로 하고 있다. This problem is contrary to the recent tren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the non-use of electronic products in each country, the need for an appropriate solu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상태에 따라 상이한 구동전압을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using different driving voltages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원이 연결되고 파워-온 신호가 입력되기 전 상태인 신호대기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1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대기전압공급부, 상기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2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동작전압공급부, 상기 제1입력전압 및 상기 제2입력전압 중 하나가 인가되면, 소정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변환부, 및 상기 정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상기 파워-온 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전압공급부 및 상기 동작전압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first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in a signal standby state that is a state before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power-on signal,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detects and outputs a second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when the power-on signal is received, and converts to a consta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when one of the first input voltage and the second input voltage is applied. A constant voltage converter and a controller which is driven by receiving the constant voltage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on signal is received.

이 경우, 상기 대기전압공급부는,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IC, 및, 상기 정전압 IC로부터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ON되어 상기 입력전압을 상기 정전압변환부로 전달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정전압 IC는 리니어 방식으로 전압을 레귤레이팅 하는 IC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input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nto the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 the standby state, and to be turned on when the voltage is applied from the constant voltage IC.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switch for transmitting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In this case, the constant voltage IC refers to an IC that regulates the voltage in a linear manner.

한편, 상기 동작전압공급부는, 상기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PWM 스위칭 방식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2입력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정전압변환부로 인가하는 SMP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on signal is received,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including the SMPS to control the input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by the PWM switching method to convert to the second input voltage and then applied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It is preferable.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전자기기는 상기 대기전압공급부 및 상기 동작전압공급부 상호간의 전류유입을 방지하는 회로격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isolation unit for preventing current from flowing between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공급방법은, 전원이 연결되면 파워-온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구동전압공급방법은, (a)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소정 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파워-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스위칭 방식으로 제어하여 소정 크기의 제2입력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입력전압을 상기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driving voltage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which maintains a standby state until a power-on signal is input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he driving voltage supply method may include: (a) converting an input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into a consta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controller; (b) an input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when the power-on signal is input; Controlling the switching method to a second inpu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c) converting the second input voltage to the constant voltag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controller.

이 경우, 상기 (b)단계는, 상기 입력전압을 PWM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소정 크기의 제2입력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n the step (b), it is preferable to use an SMPS for converting the input voltage into a second inpu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by switching the PWM metho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전자기기는 전원(110), 대기전압공급부(120), 동작전압공급부(130), 회로격리부(140), 정전압변환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ower supply 110, a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an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a circuit isolation unit 140, a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전원(110)은 외부 AC 전원이나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110)이 연결되면 대기전압공급부(120)가 동작하여, 정전압변환부(150)로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정전압변환부(150)는 정전압 IC를 구비하여 대기전압공급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부(160)가 필요로 하는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조작하여 파워-온 시킬 때까지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power source 110 may be an external AC power source or a battery mounted therein. When the power supply 110 is connected,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operates to su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150.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150 includes a constant voltage IC to convert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into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required by the controller 160 and output the converted voltag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maintains the standby state until the user operates the power switch to turn on the power.

한편, 제어부(160)는 파워-온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대기전압공급부(12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을 멈추게 하는 한편, 동작전압공급부(1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구동전압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 경우, 동작전압공급부(130)는 SMPS를 구비하여 전압공급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전압변환부(150)는 동작전압공급부(13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압을 제어부(160)가 필요로 하는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다른 구성유닛들을 제어하여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on is turned on,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to stop the operation,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to supply the driving voltage. . In this case,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n SMPS to increase the voltage supply efficiency.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150 converts the driving voltage applied from the operating voltage supplying unit 130 into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required by the controller 160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controls other component units to enable the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normally.

회로격리부(140)는 대기전압공급부(120) 및 동작전압공급부(130)가 서로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상호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isolates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affect each other.

결과적으로, 대기상태일 때는 정전압 IC를 이용하여 대기전압을 공급하도록 하여 대기상태에서의 소비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파워-온되어 동작상태가 되면 SMPS를 이용하여 동작전압을 공급하도록 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임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고, 발열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by supplying the standby voltage using the constant voltage IC in the standby state. In addition, when the power-on to the operating state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by supplying the operating voltage using the SMPS to increase the battery lif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generation phenomenon.

도 3은 도 2의 전자기기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전자기기(100)는 전원(110)으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대기전압공급부(120)는 제1정전압 IC(121) 및 제1스위치(123)를 포함하며, 동작전압공급부(130)는 SMPS(131) 및 제2스위치(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로격리부(140)는 두개의 다이오드(141, 143)로 구현되고 있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f FIG. 2 in more detail. According to FIG. 3, the electronic device 100 uses a battery as a power source 110. Also,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includes a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and a first switch 123,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includes an SMPS 131 and a second switch 133. In addition, 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is implemented with two diodes 141 and 143.

이하에서는, 도 3에서 DC 8.4 V 배터리(110)를 사용하고, 제2정전압 IC(150)는 2.5V의 전압을 공급하는 유닛을 사용하며, 제1정전압 IC(121) 및 SMPS(131)는 각각 3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in FIG. 3, the DC 8.4 V battery 110 is use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uses a unit for supplying a voltage of 2.5 V, and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and the SMPS 131 are used. The case where a unit which outputs a constant voltage of 3V each is used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도 3에 도시된 회로도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배터리(110)가 연결되면 제1정전압 IC(121), 제1스위치(123), 및 SMPS(131) 각각의 일측에 입력전압 8.4V가 인가된다. 제1정전압 IC(121)는 입력전압을 3V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스위치(123)로 전달한다. 제1스위치(123)는 제1정전압 IC(121)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행하여 입력전압 8.4V를 출력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3, first, when the battery 110 is connected, an input voltage of 8.4 V is appli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the first switch 123, and the SMPS 131. Is approved.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converts the input voltage into a 3V voltage and transfers the input voltage to the first switch 123. The first switch 123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to output an input voltage of 8.4V.

제1스위치로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제1정전압 IC(121)의 출력단은 베이스단에 연결하고, 전원(110)은 컬렉터단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이미터단은 회로격리부(140)에 연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정전압 IC(121)의 출력전압 3V가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가 도통되어 입력전압 8.4 V가 회로격리부(140)로 인가된다. When using a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as the first switch,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At this time, the emitt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Accordingly, when the output voltage 3V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the transistor is turned on, and the input voltage 8.4V is applied to 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회로격리부(140)는 제1다이오드(141) 및 제2다이오드(143)를 이용하여 대기전압공급부(120), 동작전압공급부(130) 및 제2정전압 IC를 연결한다. 따라서, 대기전압공급부(120)에서 출력되는 8.4V는 동작전압공급부(130)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2정전압 IC(150)로 인가된다.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connects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using the first diode 141 and the second diode 143. Therefore, 8.4V output from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20 is applied to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without affecting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130.

한편, 제2정전압 IC(150)는 입력전압 8.4V를 2.5V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인가한다. 제어부(160)는 2.5V의 구동전압에 의해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대기 상태 하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파워-온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제어부(160)외에 다른 구성유닛들은 대기상태하에서 작동하지 않으므로, 제2정전압 IC(150)에서 열이 발생하더라도 전자기기 자체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converts the input voltage 8.4V to 2.5V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can maintain the standby state by the driving voltage of 2.5V. Under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160 waits for the power-on signal of the user. Since the other unit units other than the control unit 160 do not operate in the standby state, even if heat is generated in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there is no problem such as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tself.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조작하여 파워-온 시키게 되면, 제어부(160)는 이를 인식하여 제1정전압 IC(121)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3V 전압 출력동작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제1스위치(123)는 차단된다. W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switch to turn on the power, the controller 160 recognizes this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to stop the 3V voltage output operation. Thus, the first switch 123 is blocked.

반면에, 제어부(160)는 SMPS(131)로 별도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3V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separately to the SMPS 131 to output a voltage of 3V.

이 때, 제1정전압 IC(121) 및 SMPS(131)는 각각 하이펄스가 인가되면 작동되고, 로우펄스가 인가되면 작동을 멈추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로부터 하이펄스신호가 인가되면, SMPS(131)는 전원(110)으로부터 인가된 전압을 3V로 변환하여 제2스위치단자(133)로 인가하게 된다. 이 경우, PWM 방식에 따라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PWM IC를 이용할 수 있다. PWM IC란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폭변조에 의한 제어방식으로 레귤레이터 드라이버(출력트랜지스터)의 온/오프 비(시간비: 듀티)를 제어함으로써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소자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and the SMPS 131 may be controlled by operating when a high pulse is applied and stopping the operation when a low pulse is applied. Accordingly, when the high pulse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60, the SMPS 131 converts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10 into 3V and applies it to the second switch terminal 133. In this case, a PWM IC that controls th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WM method can be used. The PWM IC refer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on / off ratio (time ratio: duty) of the regulator driver (output transistor) in a control method by pulse width modulation as described above.

제2스위치(133)가 도통되어 SMPS(131)의 출력전압이 그대로 회로격리부(140)에 인가되면, 회로격리부(140)는 이를 제2정전압 IC(150)의 입력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정전압 IC(150)는 2.5V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때, 기준전압이 3V 정도로 낮은 SMPS(131)를 사용하게 되면, 제2정전압 IC(150)에 입력되는 전압과 출력되는 전압의 차는 0.5V 정도가 된다. 이러한 전압차는 제2정전압 IC(150)에서 열로 방출되더라도 다른 구성유닛의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미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When the second switch 133 is turned on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SMPS 131 is applied to 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as it is, the circuit isolation unit 140 transfers i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Accordingly,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converts the voltage into a 2.5V voltage and outputs the converted voltage. At this time, when the SMPS 131 having a reference voltage of about 3V is u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input to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and the output voltage is about 0.5V. Such a voltage difference may be regarded as insignificant so as not to affect the action of other constituent units even though heat is emitted from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한편, 사용자가 다시 파워-오프 신호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60)는 SMPS(131)에 로우펄스신호를 전송하여 3V 전압변환동작을 정지시키고, 제1정전압 IC(121)에 하이펄스신호를 전송하여 3V 전압변환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다시 8.4V의 전압이 제2정전압 IC(150)로 입력되고 대기상태가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s the power-off signal again, the controller 160 transmits a low pulse signal to the SMPS 131 to stop the 3V voltage conversion operation, and sends a high pulse signal to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Transmit to perform 3V voltage conversion operation. Accordingly, a voltage of 8.4 V is again input to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and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결과적으로, 동작상태일때는 SMPS(131)를 사용하여 전압을 변환하며, 대기상태가 되면 제1정전압 IC(121)를 사용하여 전압을 변환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voltage is converted using the SMPS 131 in the operating state, and the energy efficiency is maximized by converting the voltage using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in the standby st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공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일단 전원이 공급되면 파워-온 신호가 입력되기 전이라도, 파워-온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제어부(160)에 대기전압을 공급하게 된다(S410). 도 3에 도시된 회로에 따르면, 제1정전압 IC(121) 및 제1 스위치(123)를 이용하여 입력전압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voltage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4, since the standby state must be maintained to recognize the power-on signal even before the power-on signal is input once the power is supplied, the standby voltage is supplied to the controller 160 (S410). . According to the circuit shown in FIG. 3, the input voltage can be extracted using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and the first switch 123.

대기상태에서 파워-온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420), 제어부(160)는 제1정전압 IC(121)의 동작을 정지시키고(S430), SMPS(131)를 작동시킨다(S440). SMPS(131)는 입력전압의 크기를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축소변환하여 제2정전압 IC(15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파워-온되어 동작상태가 되면 제2정전압 IC(150)에서 소비하는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므로 발열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다른 구성유닛의 동작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on signal is input in the standby state (S420), the controller 16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stant voltage IC 121 (S430) and operates the SMPS 131 (S440). The SMPS 131 converts the magnitude of the input voltage into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applies it to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Accordingly, since the voltage consumed by the second constant voltage IC 150 decreases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operates, the heat generation phenomenon is reduced. Therefore, the operation of other structural units is not greatly influenced.

특히, 동작상태일 때는 소비효율이 높은 SMPS(131)를 사용하여 구동전압을 공급하게 되므로, 소비전력을 감소할 수 있어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driving voltage is supplied using the SMPS 131 having high consumption efficiency in the operating stat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ich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ing batteries.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디지털 캠코더 및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모두 갖춘 복합촬영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복합촬영장치는 DVC 모듈(Digital Video Camera module : 210), DSC 모듈(Digital Still Camera module : 220), 제어부(230), 영상신호처리부(240), 입력부(250), 전원(260), 대기전압공급부(270), 동작전압공급부(275), 정전압변환부(280), 시스템버스(290), 디스플레이부(291), VCR부(Video Cassette Recorder unit : 293), 및 메모리카드(Memory Card : 295)를 포함한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having both functions of a digital camcorder and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5, the composit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es a DVC module (Digital Video Camera module: 210), a DSC module (Digital Still Camera module: 220), a controller 230, an image signal processor 240, an input unit 250, a power source. 260,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275,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280, system bus 290, display unit 291, VCR unit (Video Cassette Recorder unit 293), and memory Card (Memory Card: 295).

DVC 모듈(210)이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DVC 모듈(210)은 동영상과 정지영상 모두 촬상가능하나, 정지영상의 화질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상하는데 사용된다. DVC 모듈(210)은 DVC 렌즈부(211), DVC 렌즈구동부(219), DVC CCD(Charge Coupled Device : 213), DVC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 : 215), 및 DVC 신호처리부(217)를 구비한다.The DVC module 210 photoelectrically converts an optical signal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erforms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on the converted signal. The DVC module 210 can capture both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but is mainly used to capture a moving image since the image quality of the still image is poor. The DVC module 210 includes a DVC lens unit 211, a DVC lens driving unit 219, a DVC CCD (Charge Coupled Device) 213, a DVC CDS / AGC / ADC (Correlated Double Sampler / Auto Gain Controller / Analaog-to-Digital). converter: 215, and a DVC signal processor 217.

DVC 렌즈구동부(219)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DVC 렌즈부(211)를 구동하여 줌-인/줌-아웃(zoom-in/zoom-out), 초점자동조절, 조리개의 개폐량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DVC CCD(213)는 DVC 렌즈부(2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DVC CDS/AGC/ADC(215)는 CDS를 사용하여 DVC CCD(213)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고, AGC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한 후, ADC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VC 신호처리부(217)는 DVC CDS/AGC/ADC(215)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휘도(Y)신호와 크로미넌스(C)신호로 분리하고, 이득조정, 윤곽보정 및 AWB(Auto White Balance) 등의 처리동작을 수행한다.The DVC lens driver 219 drives the DVC lens unit 2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to zoom-in / zoom-out, automatically adjust focus, and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aperture. And so on. The DVC CCD 213 converts an optical image incident through the DVC lens unit 21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he DVC CDS / AGC / ADC 215 removes noise from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DVC CCD 213 using the CDS, and adjusts the gain so that the level of the signal is kept constant using the AGC. Convert it to a digital signal using an ADC. The DVC signal processor 217 separates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DVC CDS / AGC / ADC 215 into a luminance (Y) signal and a chrominance (C) signal, gain adjustment, contour correction, and AWB (Auto White). Balance).

한편, DSC 모듈(220)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정지영상을 촬상하는 역할을 한다. DSC 모듈(220)은 DSC 렌즈부(222), DSC 렌즈구동부(221), DSC CCD(223) 및 DSC CDS/AGC/ADC(224), DSC 신호처리부(225), DSC CODEC(COrder/DECoder : 226) 및 DSC 제어부(227)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SC module 220 performs a photoelectric conversion of the optical signal inciden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erforms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process on the converted signal to take a still image. The DSC module 220 includes a DSC lens unit 222, a DSC lens driver 221, a DSC CCD 223, a DSC CDS / AGC / ADC 224, a DSC signal processor 225, a DSC CODEC (COrder / DECoder: 226 and the DSC control unit 227.

DSC 제어부(227)는 제어부(230)와 통신하여, DSC 렌즈구동부(221), DSC 신호처리부(225), DSC CODEC(226)의 동작을 제어한다. DVC 모듈(210) 내부 구성유닛과 마찬가지로, DSC 렌즈구동부(221)는 DSC 제어부(227)의 제어에 따라, DSC 렌즈부(222)를 구동시키고, DSC CCD(223)는 DSC 렌즈부(222)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DSC CDS/AGC/ADC(224)는 DSC CCD(22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SC 신호처리부(225)는 DSC 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 휘도(Y)신호와 크로미넌스(C)신호로 분리하고, 이득조정, 윤곽보정 및 AWB 등을 수행한다. 한편, DSC CODEC(226)은 DSC 신호처리부(225)의 출력신호를 소정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 후 시스템버스(280)를 이용하여 영상신호처리부(240)로 인가한다. The DSC controller 227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ler 230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SC lens driver 221, the DSC signal processor 225, and the DSC CODEC 226. Similar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unit of the DVC module 210, the DSC lens driver 221 drives the DSC lens unit 222 under the control of the DSC control unit 227, and the DSC CCD 223 drives the DSC lens unit 222. The optical image incident through the ligh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Further, the DSC CDS / AGC / ADC 224 removes nois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DSC CCD 223, adjusts the gain so that the level of the signal is kept constant, and then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SC signal processor 225 separat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DSC module 220 into the luminance (Y) signal and the chrominance (C) signal, and performs gain adjustment, contour correction, AWB,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DSC CODEC 226 compresses the output signal of the DSC signal processor 225 in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ormat and then applies the signal to the video signal processor 240 using the system bus 280.

한편, 영상신호처리부(240)는 DVC 모듈(210) 및 DSC 모듈(220) 중 하나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촬영되는 영상은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VCR부(293)나 메모리카드(295)에 기록된다. 또한 재생되는 영상은 디스플레이부(291)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signal processor 240 serves to record the image taken from one of the DVC module 210 and the DSC module 220 on the recording medium, or to reproduce the imag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In this case, the captured image is recorded in the VCR unit 293 or the memory card 29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Also, the reproduced image is output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291.

제어부(230)는 시스템버스(290)를 통해 각 구성유닛들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DVC 촬영, DSC 촬영, DVC 재생, 및 DSC 재생 등의 모드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복합촬영장치는 그 내부구성유닛의 개수가 많고, 제어부(230)의 모드변환이 수시로 이루어지므로 다른 휴대형 전자기기에 비해 배터리소비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내부 발열로 인한 화질저하 등의 문제가 심각하게 느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each component unit through the system bus 290 to perform mode operations such as DVC photographing, DSC photographing, DVC reproduction, and DSC reproduction. Such a composite photographing apparatus has a large number of internal structural units, and the mode conversion of the controller 230 is frequently performed, thereby increasing battery consump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internal heat may be seriously felt.

따라서, 제어부(230)는 전원(260)이 연결되었으나 아직 파워-온 되지 않은 상태일 때는, 대기전압공급부(270)를 이용하여 대기전압을 공급받게 된다. 이 때, 대기전압공급부(270)는 정전압 IC를 포함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260 is connected but not yet powered on, the controller 230 receives the standby voltage using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At this time,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may include a constant voltage IC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standby state.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250)를 통해 파워-온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230)는 이를 인식하여 대기전압공급부(270)로 로우펄스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대기전압공급부(270)는 대기전압공급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동시에 제어부(230)는 동작전압공급부(275)로 하이펄스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동작전압공급부(275)내의 SMPS가 동작하여 제어부(230) 및 기타 내부구성유닛들로 구동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SMPS는 PWM 방식으로 스위칭제어되는 PWM IC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발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질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user inputs a power-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250, the controller 230 recognizes this and transmits a low pulse signal to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Accordingly,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stops the standby voltage supply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230 transmits a high pulse signal to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275. Accordingly, the SMPS in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275 operates to supply the driving voltage to the controller 230 and other internal components. In this case, the SMPS may use a PWM IC that is controlled by PWM. Accordingly, since internal heat generation can be prevented,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can be solved.

대기전압공급부(270) 및 동작전압공급부(275) 중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은 정전압변환부(280)로 공급된다. 정전압변환부(280)는 제어부(230)가 필요로 하는 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제어부(230)가 정상적으로 대기상태 또는 동작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대기전압공급부(270) 및 동작전압공급부(275)간의 전류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회로격리부(미도시)를 추가함으로써 회로의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The voltage supplied from one of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and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275 is supplied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sion unit 280.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280 converts the constant voltage of the magnitude required by the control unit 230 and outputs the same, thereby allowing the control unit 230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or the operating state normally. On the other hand, preferably, the stability of the circuit can be improved by adding a circuit isolation unit (not shown) that can block the inflow of current between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270 and the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27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상태에 따라 리니어방식의 정전압 레귤레이터 및 스위칭 방식의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전자기기가 동작상태일 때는 스위칭 방식의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내부 가열을 방지하여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대기상태일 때는 리니어 방식의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사용시간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ergy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y selectively using a linear constant voltage regulator and a switching constant voltage regulator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in the operating state, the switching type constant voltage regulator is used to prevent internal heating, thereby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device.In the standby state, the linear type constant voltage regulator can be used to minimize the current consumption. do. Accordingly, the battery use time can be increas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내는 회로도,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압인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riving voltag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동영상 및 정지영상을 선택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capturing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0 : 전원 120 : 대기전압공급부110: power supply 120: standby voltage supply unit

130 : 동작전압공급부 140 : 회로격리부130: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140: circuit isolation unit

150 : 정전압공급부 160 : 제어부150: constant voltage supply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6)

전원이 연결되면 파워-온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신호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An electronic device that maintains a signal standby state when a power supply is connected until a power-on signal is received. 상기 신호대기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1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대기전압공급부;A standby voltage supply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first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in the signal standby state;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제2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동작전압공급부; An operating voltage supply unit for detecting and outputting a second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when a power-on signal is received; 상기 제1입력전압 및 상기 제2입력전압 중 하나가 인가되면, 소정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변환부; 및A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converting and outputting a consta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when one of the first input voltage and the second input voltage is applied; And 상기 정전압을 인가받아 구동되며, 상기 파워-온 신호의 수신여부에 따라 상기 대기전압공급부 및 상기 동작전압공급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nd a controller which is driven by receiving the constant voltage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power-on signal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기전압공급부는,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상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소정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 IC; 및A constant voltage IC converting an input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into a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in the standby state; And 상기 정전압 IC로부터 상기 전압이 인가되면 ON되어 상기 입력전압을 상기 정전압변환부로 전달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first switch which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is applied from the constant voltage IC and transfers the input voltage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동작전압공급부는,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상기 파워-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PWM 스위칭 방식으로 제어하여 상기 제2입력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정전압변환부로 인가하는 SMP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receiving the power-on signal, and converting the input voltag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nto the second input voltage by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supplied by the PWM switching method and applying the same to the constant voltage converting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대기전압공급부 및 상기 동작전압공급부 상호간의 전류유입을 방지하는 회로격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circuit isolation unit for preventing current from flowing between the standby voltage supply unit and the operation voltage supply unit. 전원이 연결되면 파워-온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구동전압공급방법에 있어서,In the driving voltage supply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a standby state until a power-on signal is input when the power is connected, (a)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소정 크기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a) converting an input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ource into a constan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and outputting the constant voltage to the controller; (b) 상기 파워-온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스위칭 방식으로 제어하여 소정 크기의 제2입력전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b) converting the input voltage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into a second inpu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when the power-on signal is input by switching; And (c) 상기 제2입력전압을 상기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공급방법.(c) converting the second input voltage into the constant voltag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voltage to the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b)단계는,In step (b), 상기 입력전압을 PWM 방식으로 스위칭하여 소정 크기의 제2입력전압으로 변환하는 SMPS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압공급방법.And a SMPS for switching the input voltage into a PWM method and converting the input voltage into a second input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KR1020040016090A 2004-03-10 2004-03-10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KR200500908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90A KR20050090824A (en) 2004-03-10 2004-03-10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90A KR20050090824A (en) 2004-03-10 2004-03-10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24A true KR20050090824A (en) 2005-09-14

Family

ID=3727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90A KR20050090824A (en) 2004-03-10 2004-03-10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82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94B1 (en) * 2008-05-22 2012-06-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Driving circuitry,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94B1 (en) * 2008-05-22 2012-06-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Driving circuitry,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8487596B2 (en) 2008-05-22 2013-07-16 Canon Kabushiki Kaisha Driving circuitry and an integrated circuit for use there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618B2 (en) Television power supply driving device and television
US7129985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arranged on a single substrate
EP1341380A1 (en) Power standby mode circuitry for audiovisual device
US9152012B2 (en) Power source switching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20080211944A1 (en) Imaging device, imag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or imaging device
US101935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witching elements
CN100548037C (en) The power subsystem that is used for electronic installation
JP4851201B2 (en) Power switch circuit
JP2008067559A (en) Electronic equipment
KR20050090824A (en) Electronic device for using different voltage according to working state and method thereof
JP7145450B2 (en) Imaging device
US20110049985A1 (en) Electronic device
TWI609551B (en)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method
US837349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normal mode and self-refresh mode
US8159842B2 (en) Power converter
JP2004023965A (en) Inrush current prevented power circuit and portable image processor
US7649565B2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igital camera
US8199543B2 (en) Power converter with extremely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JPH0722354B2 (en) Power supply for video camera
JP2001223939A (en) Image pickup device
US7133603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digital camera, and motor controlling method
CN217088219U (en) Power supply circuit of photographic lamp and photographic lamp equipment
JP2004258852A (en) Power supply controller
JP2000324421A (en) Stand-by power source circuit of electronic appliance
JP2006197322A (en) Electronic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