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546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546A
KR20050090546A KR1020040015673A KR20040015673A KR20050090546A KR 20050090546 A KR20050090546 A KR 20050090546A KR 1020040015673 A KR1020040015673 A KR 1020040015673A KR 20040015673 A KR20040015673 A KR 20040015673A KR 20050090546 A KR20050090546 A KR 20050090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zone
filter
panel
ozon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4488B1 (en
Inventor
서정상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488B1/en
Publication of KR2005009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48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01D2251/104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6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the sterilisation of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소형의 오존발생기를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하여 공기정화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indoor air, wherein a small ozone generator is installed inside the air purifier to improve the air purifying capacity.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00)과,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에 구비되어 오존을 발생하여 유해한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오존발생기(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기(240)는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발생부(242)와; 생성된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분사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부(242)와 오존분사부(244)는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작용이 가능하여 실내공기를 깨끗하고 청결한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panel 200 to form a front appearance and the ozone generator 240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0 to remove harmful organic substances by generating ozone Has The ozone generator 240 includes an ozone generator 242 for generating ozone; It comprises an ozone injection unit 244 for releasing the generated ozone. On the other hand, the ozone generator 242 and the ozone injection unit 244 are form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sterilization is possible to keep the indoor air in a clean and clean best state.

Description

공기청정기 { Air cleaner}Air cleaner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다양한 방향에서 입체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다음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indoor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er configured to suck and purify air three-dimensionally in various directions and to discharge the air upward.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集塵)하고 체취나 담배냄새 등의 악취를 탈취한다.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contaminated air and converts it into fresh air. The contaminated air is sucked into a fan to collect fine dust or bacteria by a filter, and deodorizes odors such as body odor and tobacco smell. .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필터에 따른 공기정화방식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데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필터는 형태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이온식으로 구분되며, 이들 방식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air clean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ir pur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lter. Filters used in air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mechanical, electric, and ionic types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each method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예를 들면, 기계식은 집진필터를 이용하여 그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곰팡이, 애완동물털, 꽃가루)등을 제거함으로써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계식은 공기로 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는 하나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 주어야 하고 악취나 바이러스, 세균등을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For example, mechanical is a method of purifying air by using a dust collecting filt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ungus, pet hair, pollen, etc.)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it. Such a mechanical method effective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but the filter ha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remove odors, viruses, bacteria, and the like.

전기식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 극판과 - 극판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 극판을 통과하는 공기중의 이물질 입자에 + 극이 형성되게 하고, + 극을 띤 이물질 입자가 - 극판에 전기적으로 흡착되게 함으로써 공기가 정화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전기식은 비교적 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 극판과 - 극판에 이물질이 부착되었을 때 정화 능력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 극판과 - 극판을 자주 닦아주어야 하고,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으며, 기계식과 마찬가지로 악취나 바이러스, 세균등을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By passing air through the + and-plate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electrical forms + poles on foreign matter particl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 pole plates, and + foreign matter particles with poles are electrically adsorbed on the pole plates. The air is purified. This electric typ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but when the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 plate and the plate, the purification ability drops sharply. Likewis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remove odors, viruses, bacteria, etc.

이온식은, 공기중에 이온을 주입하여 이물질 입자에 이온이 흡착되게 한 후, 이들 공기를 + 극의 집진판을 통과시킴으로써, 그 집진판이 이온이 부착된 이물질 입자를 흡착케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이온식은 별도의 팬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소음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으나, 집진판을 자주 세정하여야 하며, 악취나 바이러스, 세균등을 제거할 수 있다.The ion type is a method of purifying air by injecting ions into the air to allow the ions to be adsorbed to the foreign matter particles, and then passing these air through the positive electrode dust collector plate to adsorb the foreign matter particles to which the ions are attached. This ion type has the advantage of very low noise by not using a separate fan, but the dust collector must be cleaned frequently, it can remove odors, viruses, bacteria and the like.

이 외에도, 활성탄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나, 효과적인 악취제거를 위하여 많은 양의 활성탄이 필요하고, 이 방식도 바이러스나 세균등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odors in the air using activated carbon, but a large amount of activated carbon is required for effective odor removal, and this method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viruses or bacteria cannot be removed.

최근에는 이러한 여러 가지 방식을 혼용해서 사용하거나 각각의 방식중 장점만을 취하여 공기정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세균이나 바이러스등을 제거할 수 있고 유지비용이 저렴한 공기 정화기의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methods can be used in combination, or by taking advantage of each method, air purifying ability can be improved. Further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ir purifiers, which can remove bacteria or viruses, and inexpensive maintenance costs, are actively conducted. have.

도 1 은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커버(20) 및 전면커버(2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커버(30)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0,30)와 상기 케이스(20,30)의 내측에 설치되는 팬(11), 상기 팬(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산하는 자외선램프(12), 상기 케이스(20,30) 내의 자외선램프(12)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필터(50,60,80,90)들로 구성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eneral air cleaner, the front cover 20 forming the front of the air cleaner 10 and the rear cover 3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over 20. A case (20,30) consisting of a fan (11) installed inside the case (20,30), an ultraviolet lamp (12)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an (11) to emit ultraviolet rays, and the case (20).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50, 60, 80, 90)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ultraviolet lamp 12 in the (30).

우선 상기 케이스의 전면커버(20)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1)와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22),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판(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20,30)중 후면커버(30)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31)가 구비된다.First, the front cover 20 of the case has a suction port 21 for sucking air, a discharge port 22 for discharging the sucked air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er 10 (not shown). ) And the like. And the rear cover 30 of the case (20, 3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31 for sucking the air.

한편, 케이스(20,30)의 내부에는 토출구(22) 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팬(11)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20,30) 내부에는 광촉매필터(80) 사이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산하는 자외선램프(12)가 구비된다. 상기 자외선램프(12)에서 발산된 자외선에 의해 광촉매필터(80)가 반응하여 산화작용을 일으켜 오염된 먼지 등에 섞여있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을 박멸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case (20, 30) is provided with a fan 11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port 22 side forcibly discharge air from the inside of the case to the outside, the photocatalyst filter inside the case (20, 30) An ultraviolet lamp 12 is provided between the 80 and emits ultraviolet rays. The photocatalyst filter 80 reacts with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ultraviolet lamp 12 to cause oxidation, thereby erasing bacteria and viruses mixed with contaminated dust.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공기청정기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팬(11)이 회전을 하게되고 이때 발생하는 흡인력으로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청정기(10)의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air cleaner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the fan 11 is rotated to suck th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air cleaner 1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at this time do.

이때 상기 전면커버(20)에 형성된 흡입구(21)와 후면커버(30)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해서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팬(11)에 의해 상부로 흡입되며 이때 상기 케이스(20,30)의 내부에 구성된 각종필터(50,60,80,90)를 거치면서 흡입된 외부공기가 정화된다.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21 formed in the front cover 20 and the suction port 31 formed in the rear cover 30 is sucked upward by the fan 11, and the case 20, 30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various filters (50, 60, 80, 90) configured in the inside is purified.

이렇게 정화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20,30)의 상부에 위치한 토출구(22)를 통해서 상방으로 배출되게 된다.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2 located above the cases 20 and 3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air clea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청정기(10)는 상기 케이스(20,30) 내부에 각종필터(50,60,80,90) 중에서 광촉매필터(80)의 산화작용을 이용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의 세균이나 박테리아 등과 같은 유해한 유기물질들을 살균하여 제거하게 된다.The conventional air cleaner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bacteria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oxidation of the photocatalyst filter 80 among the various filters 50, 60, 80, and 90 inside the cases 20 and 30. Harmful organic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re sterilized and remov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광촉매필터(80)에 의한 살균작업은 수준높은 살균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워 소비자가 만족할 만한 공기정화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 추가의 광촉매필터(80)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자외선램프(12)와 광촉매필터(80)등 구성품의 종류가 많고 부피가 커서 설치되는 공간적 효율을 고려했을 때도 효과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terilization operation by the photocatalyst filter 80 as described above is difficult to expect a high sterilization effect, so that the consumer cannot satisfactory air purification ability.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additional photocatalyst filter 80 to increase the sterilization effect is not effective even when considering the spatial efficiency of the large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the ultraviolet lamp 12 and the photocatalyst filter 80 and the volume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청정기의 내측에 소형의 오존발생기를 설치하여 흡입공기 속에 함유된 해로운 유기물질을 제거하여 실내공기를 청결하게 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small ozone generator inside the air cleaner to remove harmful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take air to clean the indoor air To provide a purifi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구비되어 오존을 발생하여 유해한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to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front, an ozone generator provided o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to generate ozone to remove harmful organic substance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figuration to include.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기는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발생부와; 생성된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zone generator includes an ozone generator for generating ozone; It comprises an ozone injection unit for releasing the generated ozone.

상기 오존발생부와 오존분사부는 각각 분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zone generating unit and the ozone spraying unit are each formed separately.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에 포함된 해로운 세균과 박테리아와 같은 해로운 유기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이 구현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s realized by effectively removing harmful organic substances such as harmful bacteria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indoor ai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0)과 전면판넬(200),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300)과 후면판넬(400),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판넬(500), 그리고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600)에 의해 전체 외관이 구성된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100 and the front panel 200 to form a front appearance, the rear appearance The overall appearance is constituted by the rear frame 300 and the rear panel 400 forming the side, the side panel 500 forming the side appearance, and the top panel 600 forming the top appearance.

도 3 과 도 4 는 전면프레임과 전면판넬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전면프레임(100)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조립체(7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곽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테두리가 성형되고,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3 an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ront frame and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front frame 1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he space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filter assembly 700 for purifying the air An edg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molded so as to be formed,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to be opened.

이러한 개구된 전면에는 전면판넬(200)이 결합되고, 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정화에 필요한 구성물들이 장착된 오리피스(8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우측면에는 다수개의 필터가 결합되어 형성된 필터어셈블리(730)가 안착된 필터케이스(7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출입되도록 필터케이스출입구(120)가 형성된다.The front panel 200 is coupled to the opened front surface, and the orifice 800 to which components necessary for air purif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mounted to the rear surface. In addition, the filter case entrance 12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frame 100 such that the filter case 720 in which the filter assembly 730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ilters is seated is slidably entered.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좌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측면흡입구(260s)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통공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통공부(140)와 같은 형상의 하면흡입구(26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조작버튼(620)이 설치되는 버튼설치공(160)이 더 형성된다.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frame 100 is formed a suction through-hole 140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ide suction port 260s to be describ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is the suction through A lower surface suction opening 260b having the same shape as 140 is formed.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tton installation hole 160 is installed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20.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전면 상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판넬(200)이 결합되는 전면판넬결합홈(170)이 형성되고, 후면 가장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리피스와 체결되는 오리피스결합돌기(180)가 다수개 형성된다.In addition, a front panel coupling groove 170 to which the front panel 200 to be described below is coupled is formed at the fron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frame 100, and an orifice coupling protrusion 180 is coupled to the orifice to be described below at the rear edge. ) Are formed.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전방에는 전면판넬(20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대략 사각형상의 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판넬가이드(28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가이드(280)는 상기 전면판넬(200)과 전면프레임(100)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The front panel 2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100. The front panel 2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front panel guide 280 is formed along the edge. The front panel guide 28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front panel 200 and the front frame 1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가이드(280)는 상기 전면판넬(200)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는데 측면의 일부와 하면의 일부가 단락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락된 틈을통해서 전방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전면흡입구(260f)를 확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guide 280 is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front panel 200, so that a part of the side and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are short-circuited. The front suction port 260f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front is sucked may be secured through the shorted gap.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면 상부에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상태를 볼 수 있는 표시창(220)이 형성되고, 후면 대략 중앙부에는 오존이 발생하여 흡입공기중의 세균을 살균하고, 필터내부의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는 오존발생기(2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방에는 전방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데코판넬(도시되지 않음)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In addition, a display window 220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nel 200 to view the operation state of the air cleaner. The ozone is generat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ide to sterilize the bacteria in the intake air, and the bacteria inside the filter. The ozone generator 24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growth of the. In addition, the front panel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corative panel (not shown) to enhance the front appearance.

상기 전면판넬(200)의 배면 대략 중앙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기(240)가 장착되는 장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10)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각 모서리부분만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상부에 형성된 상부장착부(210a)와 하부에 형성된 하부장착부(210b)로 각각 구성된다.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0, a mounting portion 210 in which the ozone generator 24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is formed. The mounting portion 2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each corner portion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composed of an upper mounting portion 210a and a lower mounting portion 210b formed at a lower portion, respectively.

도 5 와 도 6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오존발생기와 상기 오존발생기가 전면판넬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210)에 고정되는 오존발생기(240)는 대략 사각형상의 제어장치가 탑재된 PCB기판(242a)으로 형성된 오존 발생부(242)와 상기 오존발생부(242)에 소정의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오존발생부(242)에서 생성된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분사부(244)로 구성된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zone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mounted on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zone generator 240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21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zone generating unit 242 formed of a PCB substrate 242a equipped with a control device and the ozone component which is connected to the ozone generating unit 242 by a predetermined connection means to emit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ing unit 242 It consists of a four quarters (244).

그리고 상기 오존발생부(242)는 상기 전면판넬(200)의 하부장착부(210b)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오존분사부(244)는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부장착부(210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에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오존발생기(240)가 상기 전면판넬(200)의 내측에 설치가능하게 된다.The ozone generator 24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wer mounting portion 210b of the front panel 200, and the ozone injection portion 244 is inserted into the upper mounting portion 210a of the front panel 200. It is fixed. In this case, since the front panel 2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fram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zone generator 240 can be installed inside the front panel 200.

도 7 은 후면프레임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은 후면프레임과 후면판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상기 후면프레임(30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같이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오리피스(800)와 결합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팬(820)과 모터(840)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곽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테두리가 형성된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ar frame,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rear frame and the rear panel,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rear frame 300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as the front frame 100 The front is opened and formed. The open front is coupled to the orifice 800, and an edg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to the outside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an 820 and the motor 840 are described below.

상기 후면프레임(300)의 양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후면흡입구(260r)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통공부(32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흡입통공부와 같은 형상의 하면흡입구(26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에는 상기 흡입통공부(320)로 유입된 공기가 정화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340)가 형성된다.Both sides of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with a suction through-hole 320 into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rear suction hole 260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has a lower surface suction hole 260b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uction through-hole. Is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340 for purify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through part 3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300)의 후면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향발산캔(880)을 설치하기 위한 향발산캔삽입구(360)가 형성되고, 전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오리피스와 결합되는 오리피스결합돌기(380)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300)의 후면 하단에는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후면프레임의 내부로 안내하는 후방통공부(330)가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top of the rear frame 300 is formed with a diverging can insertion hole 360 for installing the fragrance diffuser can 880 to be described below, the front edge of the orifice coupl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orifice ( A plurality of 380 is formed. A rear through hole 330 is further formed at a lower rear side of the rear frame 300 to guide air sucked from the rear into the rear frame.

상기 후면프레임(300)의 후방에는 후면판넬(400)이 설치된다. 상기 후면판넬(400)은 대략 사각형상의 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후면판넬가이드(420)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판넬가이드(420)는 상기 후면판넬(400)과 후면프레임(300)이 서로 이격되어 설치 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The rear panel 4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ar frame 300. The rear panel 4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rear panel guide 420 is formed along the edge. The rear panel guide 42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rear panel 400 and the rear fram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후면판넬가이드(420)는 상기 후면판넬(400)의 외곽을 따라서 형성되는데, 상기 후면판넬가이드(420) 측면의 일부와 하면의 일부가 단락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락된 틈을 통해서 후방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후면흡입구(260r)를 확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guide 420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panel 400, and a part of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rear panel guide 420 is formed to be shorted. The rear suction port 260r through which the air at the rear side may be sucked may be secured through the shorted gap.

도 9 는 오리피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300)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오리피스(800)가 결합된다. 상기 오리피스(800)의 대략 중앙부에는 흡입한 공기의 이동통로가 되는 오리피스공(810)이 상기 오리피스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ifice,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orifice 800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air. An orifice hole 810, which is a moving passage of the sucked air,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orifice 800 so as to penetrate substantial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orifice.

상기 오리피스(800)의 후면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팬(820)과 상기 팬(820)을 구동시키는 모터(840), 그리고 상기 모터(840)를 감싸는 모터캡(844)이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8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기 위한 모터마운트(842)가 오리피스공(810)을 가로질러 결합된다.The rear center portion of the orifice 800 has a fan 82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outside air, a motor 840 for driving the fan 820, and a motor cap 844 surrounding the motor 840. Is formed, the motor mount 842 for supporting the motor is coupled across the orifice hole 810 to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orifice 800.

상기 오리피스(800)의 전면 상단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컨트롤박스(850)와 상기 컨트롤박스(85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컨트롤박스커버(852)가 설치되며, 상기 오리피스(800)의 후면 상단에는 환봉형상의 세라믹히터(870)가 구비된다.A control box 850 having a plurality of parts and a control box cover 85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ntrol box 850 are install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orifice 800, and the rear top of the orifice 800 is provided. The rod-shaped ceramic heater 870 is provided.

상기 세라믹히터(870)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어셈블리(730)를 거치면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오리피스(800)를 거쳐서 밖으로 배출될때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적절한 온도로 정화된 공기를 가열해 주기 위한 것으로 오리피스(800) 후면 상단을 가로질러 부착된다. The ceramic heater 870 is provided for heating the purified air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hen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rifice 800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730 to be described below. The orifice 800 is attached across the rear top.

한편, 오리피스(800) 후면의 좌측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될때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향을 첨가하여 발산함으로서 정화된 공기의 품질을 한층더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향발산캔(880)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left of the rear of the orifice 800 is provided a fragrance bale can 880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purified air by adding a scent to the user's preference when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

상기 오리피스(800)의 전면 상단부와 후면 하단부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300)과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결합되는 체결돌기(860)가 다수개 성형된다.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대략 사각형상의 전방안내구(450)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860 coupled to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re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and the rear lower end of the orifice 800. The lower end of the orifice is formed.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front guide 450 is formed to guide the air suck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도 10 은 필터가이드와 구성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오리피스(800)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필터가이드(74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가이드(740)는 전방이 개구된 형상으로 상기 오리피스(80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00)에 수용된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guide and the component,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orifice 800 is provided with a filter guide 740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ront frame 100. The filter guide 740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orifice 800 in the shape of the front opening is received in the front frame 100.

상기 필터가이드(740)의 하측에는 부직포필터와 같이 주기적으로 교환을 해주어야 하고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필터들을 보관할 수 있는 예비필터보관소(7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터가이드(740)의 우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케이스(720)가 슬라이딩하면서 출입되기 위해 필터케이스출입구(744)가 형성되어 있다.The filter guide 740 has a preliminary filter storage 742 that can be stored periodically and exchanged like a nonwoven filter and can be stored folded or rolled filter. On the other hand, the right side of the filter guide 740 has a filter case entrance 744 is formed so that the filter case 720 to be described below to slide in and out.

상기 필터가이드(740)의 우측에는 상기 필터케이스출입구(744)에 상기 필터케이스(720)을 삽입한 후에 상기 필터케이스출입구(74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필터가이드도어(760)가 더 구비된다.On the right side of the filter guide 7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guide door 76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lter case entrance 744 after the filter case 720 is inserted into the filter case entrance 744. do.

한편, 상기 필터케이스(720)는 전방이 개구된 장방형의 형상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어셈블리(73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케이스(720)의 우측에는 상기 필터가이드(740)의 필터케이스출입구(744)를 통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케이스손잡이(722)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case 720 i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front opening is equipped with a filter assembly 730 to be described below. On the right side of the filter case 720 is formed a filter case handle 722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while sliding through the filter case entrance 744 of the filter guide 740.

도 11 은 필터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필터어셈블리(730)는 다수개의 필터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730)는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730a)가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리필터(730a)는 상대적으로 큰 구멍을 가지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망사면에는 항균작용을 하도록 별도의 제품이 첨가되기도 한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Referring to FIG. 11, the filter assembly 73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ilters. The filter assembly 730 has a front surface of a prefilter 730a for removing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from among dust included in the air to be sucked. The prefilter 730a is made of a mesh having a relatively large hole, and a separate product may be added to the mesh surface to have an antibacterial effect.

상기 프리필터(730a)의 후측에는 프리필터(730a)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2차적으로 걸러주는 헤파(HEPA)필터(730b)가 구비된다. 상기 헤파필터(730b)는 항균효과를 가진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코팅된 고성능 필터로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거의 99.97%이상 제거가 가능하다.At the rear of the prefilter 730a, a HEPA filter 730b for secondarily filtering fine du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730a is provided. The hepa filter 730b is a high-performance filter coated with a catechin component of green tea having an antibacterial effect, and can remove almost 99.97% of fine dust of 0.3 micrometer (μm).

상기 헤파필터(730b)의 후측에는 공기중의 냄새입자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탈취필터(730c)가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730c)는 초강력 활성탄 필터가 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공기 중의 담배냄새와 음식냄새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The rear side of the HEPA filter 730b is provided with a deodorizing filter 730c that primarily filters odor particles in the air. The deodorizing filter 730c may be mainly used as a super strong activated carbon filter, and has an effect of deodorizing the smell of tobacco and food in the air.

상기 탈취필터(730c)의 후측에는 기존 탈취필터보다 탁월한 냄새제거력으로 김치냄새와 담배냄새 및 생선비린내 등을 말끔히 제거하는 카본나노볼(CNB)필터(730d)가 구비된다. The rear side of the deodorizing filter (730c) is provided with a carbon nano-ball (CNB) filter (730d) to remove the smell of kimchi, tobacco smell, fish fish, etc. with superior odor removal than conventional deodorizing filter.

카본나노볼(CNB)은 2백~5백nm 크기의 구(球)형 탄소 구조체로 표면에 수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높은 표면 흡착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표면 흡착면적이 높다는 것은 악취 성분과 유기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Carbon nano ball (CNB) is a spherical carbon structure with a size of 200 to 500 nm, and has a high surface adsorption area because it contains pores of several nanometers on its surface. As such, the high surface adsorption area means that the ability to adsorb odorous components and organic substances is excellent.

한편 상기 카본나노볼필터(730d)에 사용되는 카본나노볼은 실리카(Silica) 전구체를 이용한 7단계 합성 방법을 통해 탄소 구조체의 외피 두께와 기공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종 오염원 별로 흡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carbon nanoballs used in the carbon nanoball filter 730d can arbitrarily control the thickness and pore size of the carbon structure through a seven-step synthesis method using silica precursors, thus maximizing adsorption capacity for various pollutants. You can do it.

뿐만 아니라, 상기 카본나노볼필터(730d)에서는 탄소 구조체의 내부 빈 공간에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촉매를 첨가시킴으로써 오염물의 흡착과 분해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기존 활성탄에 비해 악취가스 제거 능력이 8~12배나 높으며 수질오염 물질 제거와 관련된 흡착력도 15배 이상 높다.In addition, the carbon nanoball filter 730d has the characteristic of simultaneously adsorbing and decomposing contaminants by adding a catalyst that decomposes malodorous substances into an internal empty space of the carbon structure, and removes malodorous gases as compared to existing activated carbon. The capacity is 8 ~ 12 times higher and the adsorption power related to water pollutant removal is 15 times higher.

상기 카본나노볼필터(730d)의 후측에는 오존제거필터(730e)가 구비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730e)는 공기중의 오존(O₃)을 제거하는 것으로, 특히 아래에서 설명할 오존발생기(240)에서 발생된 오존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An ozone removal filter 730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arbon nanoball filter 730d. The ozone removal filter 730e removes ozone (O₃) in the air. In particular, the ozone removal filter 730e prevents ozone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24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from entering the indoor space, thereby making it a health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상기 오존발생기(240)의 후측에는 필터어셈블리(7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나노은필터(730f)가 구비된다. 상기 나노은필터(730f)는 지구상에서 항균성이 가장 강한 금속인 은을 망에 코팅하여 필터 구석의 세균번식까지 억제하도록 하는 것으로, 은으로 이루어진 나노실버가 나노실리카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The rear side of the ozone generator 240 is provided with a nano-silver filter (730f)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assembly 730. The nano silver filter 730f is to suppress the bacteria propagation at the corner of the filter by coating silver, which is the metal having the strongest antimicrobial on the earth,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nano silver made of silver is bonded to the nano silica.

상기 나노은필터(730f)는 수지로 형성되는 망에 나노은을 코팅처리하거나, 수지로 망을 형성할 때 나노은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The nanosilver filter 730f is manufactured by coating nanosilver on a mesh formed of a resin or adding nanosilver particles when forming a mesh with a resin.

한편, 공기청정기의 상부에는 상면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600)이 설치된다. 상기 상면판넬(600)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후면프레임(300)과 결합되어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4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anel 60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air cleaner to form a top appearance. The upper panel 6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rear end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340 is combined with the rear frame 300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상기 상면판넬(600)의 전단부에는 다수의 조작버튼(620)이 삽입되는 다수의 버튼홀(640)이 성형되고, 후단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340)를 개폐하는 토출구커버(680)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button holes 640 into whic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620 are inserted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panel 600, and at the rear end thereof, opening and closing a discharge port 34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The outlet cover 680 is formed.

한편, 상기 토출구커버(680)의 하측에는 상기 토출구(340)에서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원활하게 상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루버(660)가 구비된다. 상기 루버(660)는 일축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며, 정화된 공기의 토출경로가 되는 그릴형상의 통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cover 680 is provided with a louver 660 for guiding the discharged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40 smoothly upward. The louver 660 is rotatable upward with respect to one axis, and has a plurality of grill-shaped vent holes that serve as discharge paths of purified air.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300)이 결합된 측면에는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판넬(500)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판넬(500)의 중앙부에는 측면판넬(500)의 외관디자인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사이드데코(51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데코(5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흡입구(260s)가 형성되어 측방향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Side panels 50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to form a side appearanc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panel 500, a side deco 51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urther enhance the exterior design of the side panel 500, and side suction holes 260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deco 510. It is formed to suck the lateral air.

한편 상기 측면판넬(500)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측면판넬가이드(530)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판넬(500)은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300)이 결합한 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측면흡입구(260s)가 형성되게 된다.Meanwhile, the side panel 500 has side panel guides 530 having predetermined heights a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Therefore, the side panel 50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is coupled, the side suction opening (260s) that can suck the outside air is formed.

또한, 상기 측면판넬(500)의 상단면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5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anel 500 is provided with a handle 520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ir cleaner as needed.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00)의 전면 양측단과 후면프레임(300)의 후면 양측단에는 공기청정기를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지지부재(90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900)는 상기 전면판넬(200)의 전면 양측단에 설치되는 전면포스트(920)와 상기 후면판넬(400)의 후면 양측단에 설치되는 후면포스트(940)의 4개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900 are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frame 100 and rear and rear ends of the rear frame 300 to separate the air cleaner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pport member 900 includes four front posts 920 installed at both front ends of the front panel 200 and four rear posts 940 installed at both rear ends of the rear panel 400.

상기 지지부재(900)의 하측에는 지지부재(9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발판(922,942)이 전면포스트(920) 및 후면포스트(940)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발판(922,942)의 하면에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900, height adjustment footrests 922 and 942 are provided on the front post 920 and the rear post 940, respectively, to enable height adjustment of the support member 900, and the height adjustment footrest 922 and 942. )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wheel (not shown)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air cleaner.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체흡입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의하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공기청정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버튼(620)을 조작하여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조작버튼(6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모터(840)의 구동에 의해 팬(820)이 회전하게 되어 정화하고자 하는 공간의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기하게 된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uction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air purifier by applying power,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620 to select a required function. do. When the operation button 620 is pressed, the fan 820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840 to inhale the air of the space to be purified into the air cleaner.

이와 동시에 상기 루버(66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토출구(340)를 개방시키고, 공기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340)와 루버(660)를 거쳐서 상방으로 토출된다.At the same time, the louver 660 is rotated upwardly about the rotation axis to open the discharge port 340, and the air purified in the air cleaner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0 and the louver 660. .

이때, 정화하고자 하는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전면판넬(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전면판넬가이드(280)와 상기 전면프레임(100)이 결합될때 생성되는 이격된 공간에 의한 양 측면의 전면흡입구(260f)에서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air of the space to be purified is sucked, first by the spaced space generated when the front panel guide 280 and the front frame 100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ont panel 200 is coupled The front air inlet 260f on both sides sucks air from the front side.

그리고, 상기 측면판넬(500)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측면판넬가이드(530)와 상기 전면프레임(100) 및 후면프레임의(300) 측면이 결합될때 생성되는 이격된 공간에 의한 양 측면의 측면흡입구(260s)에서 양측방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 panel guides 53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panel 50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both sides by spaced spaces generated when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are coupled. The suction port 260s sucks air from both sides.

또한, 상기 측면판넬(50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데코(510)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도 측면흡입구(260s)가 더 생성되어 양측방에서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흡입구(260s)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좌/우측에 각각 4개씩 형성되어 측방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 suction holes 260s are further generated on both sides of the side deco 510 form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ortion of the side panel 500 to suck air from both sides. Accordingly, four side suction holes 260 s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ir cleaner, respectively, to suck side air.

그리고 상기 후면판넬(400) 또한 후면판넬(4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면판넬가이드(420)와 후면프레임(300)이 결합될때 생성되는 소정의 이격된 공간에 의한 양측면과 하면의 후면흡입구(260r)에서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400 also has rear suction holes 260r on both sides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ar panel guide 420 formed at the edges of the rear panel 400 and a predetermined space generated when the rear frame 300 is coupled. Inhale air from the rear.

한편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지지부재(920,940)에 의해서 바닥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100)과 후면프레임(300)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흡입구(260b)가 생성되어 하방의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게 된다.Meanwhile, the air clean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upport members 920 and 940, and a lower surface suction port 260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frame 100 and the rear frame 300 is generated to provide air downward. To inhale smoothly.

따라서, 상기 팬(820)의 회전력으로 공기청정기의 전/후방과 좌/우측방, 그리고 하방을 통해 공기정화를 위한 실내공간의 공기가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되게 된다. 즉, 공기청정기의 토출구(340)가 있는 상면을 제외한 전(全)방향에 걸쳐서 실내공기의 입체적인 흡입이 일어나게 된다.Therefore, the air of the indoor space for air purification is sucked into the air cleaner through the front / rear, left / right, and bottom of the air cleaner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n 820. That is, three-dimensional suction of indoor air occurs over the entire direction except for the upper surface where the discharge port 340 of the air cleaner is located.

상기와 같이 입체적으로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존발생기(240)에서 발생된 오존에 의해 살균된다. 즉, 상기 오존은 외부에서 흡입된 외부공기에 분사되며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필터어셈블리(730)를 살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air cleaner in three dimensions as described above is sterilized by ozone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240. That is, the ozone is injected into the outsid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o sterilize the air sucked in and the filter assembly 730.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청정기 내부의 전방에서 필터어셈블리(730)을 통과하여 지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발생기(2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오존발생기(240)가 작동한다.More specifically,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730 in front of the inside of the air cleaner. At the same time, the ozone generator 240 operate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ozone generator 240 that forms ozone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0 and generates ozone.

상기 오존발생기(240)에서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발생부(242)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PCB기판(242a)의 제어장치가 전원을 공급받게 되면, 상기 오존발생부(242)와 연결된 상기 오존분사부(244)는 산소의 흐름에 고압의 전기흐름을 주어 코로나방전(Corona Discharge)이 일어나게 하고, 오존을 발생시켜 세균이나 박테리아와 같은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하게 된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ozone generator 242 that generates ozone in the ozone generator 240, and the control device of the PCB substrate 242a receives power, the ozone powder connected to the ozone generator 242 is supplied. The sander 244 generates a high pressure electric flow to the flow of oxygen to cause corona discharge, generates ozone, and reacts with organic materials such as bacteria and bacteria to generate oxygen.

상기 오존발생기(240)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은 산소분자(O2)가 코로나방전을 통해 오존(O3)으로 변환되며, 상기 오존은 곰팡이, 바이러스, 박테리아, 대장균, 악취 등의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산소원자를 하나 잃음으로써, 다시 깨끗한 산소분자로 변환된다.The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240 is converted to ozone (O 3 ) oxygen molecules (O 2 )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the ozone reacts with contaminants such as mold, viruses, bacteria, E. coli, odors, etc. By losing one oxygen atom, it is converted into clean oxygen molecule again.

통상 오존은 무색의 자극성냄새가 있는 기체로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오존은 대략 115℃에서 끓으며, 192.5℃에서 용해된다. 오존가스는 공기보다 1.5배 가량 무거우므로, 오존이 발생되면 공기밑으로 가라앉는 성질이 있다.Normally ozone is a colorless and irritating gas with strong oxidizing power. Ozone boils at approximately 115 ° C and dissolves at 192.5 ° C. Ozone gas is 1.5 times heavier than air, so when ozone is generated, it sinks under the air.

한편, 오존은 백여년 전부터 유럽, 미국 등에서 대규모 수도 정수장을 필두로 여러 분야에서 안전하게 대량 사용되어오고 있으며, 자연적으로는 지구 성층권에 오존층을 형성하여, 강력한 태양자외선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해 주고 있다.On the other hand, ozone has been used safely and largely in various fields, such as large-scale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for more than 100 years, and naturally forms an ozone layer in the global stratosphere to protect humans from strong solar ultraviolet rays.

이러한 오존은 장시간 근무환경에서의 허용농도는 0.1ppm이며, 해수욕장의 상쾌한 공기는 0.05ppm정도의 자연 오존이 포함되어 있고, 삼림속의 신선한 공기에는 0.03ppm정도의 오존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보통사람이면 0.01~0.03ppm정도의 오존이 공기중에 포함된 것을 냄새로 감지 할 수 있다.The ozone has a permissible concentration of 0.1 ppm in a long working environment, fresh air in the beach contains about 0.05 ppm of natural ozone, and fresh air in the forest often contains about 0.03 ppm of ozone. Ordinary people can detect the smell of ozone in the 0.01 ~ 0.03ppm in the air.

또한, 오존은 살균력이 강하여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균을 제거하며, 또한 강력한 표백력을 가지고 있고, 담배연기, 기타 악취를 내는 가스, 각종 유해유기물질의 유기물과 반응하여 무해화하는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ozone has a strong bactericidal power to remove bacteria and viruses, and also has a strong bleaching power, and has an excellent effect of reacting with organic substances of tobacco smoke, other odorous gases, and various organic substances.

상기와 같이 살균력이 강한 오존이 상기 전면판넬(200)의 후면에 설치된 오존발생기(240)에서 발생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필터어셈블리(730)을 지나기전에 살균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240)와 인접한 상기 필터어셈블리(730) 내부에는 오존의 작용에 의해서 세균등이 증식되기가 어렵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trong ozone is generated from the ozone generator 24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0 so that air sucked in various directions is sterilized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730. In the filter assembly 730 adjacent to the ozone generator 240, it is difficult for bacteria and the like to proliferate due to the action of ozone.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730)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어셈블리(730)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은 물론 냄새까지도 제거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lter assembly 7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 assemblies and has various functions, the filter assembly 730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 the air as well as odors.

즉 상기 프리필터(730a)에서는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먼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며, 이러한 프리필터(730a)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상기 헤파(HEPA)필터(730b)에 의해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99.97%이상이 거의 제거된다.That is, in the prefilter 730a, dust of relatively large size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is primarily filtered out, and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730a is filtered by the HEPA filter 730b. More than 99.97% of fine dust of 0.3 micrometer (micrometer) is almost eliminated.

그리고 상기 헤파필터(730b)를 통과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입자 등은 1차적으로 상기 탈취필터(730c)에 의해 제거된 다음, 이러한 탈취필터(730c)보다 더 강력한 냄새제거력을 구비한 카본나노볼(CNB)필터(730d)에 의해 재차 제거된다. The odor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730b are first removed by the deodorization filter 730c, and then carbon nanoparticles having stronger odor removal power than the deodorization filter 730c. It is removed again by the ball (CNB) filter 730d.

상기 오존제거필터(730e)에서는 오존발생기(240)에서 발생된 오존이 제거되고, 상기 나노은필터(730f)에서는 필터에서의 세균번식까지 억제된다.In the ozone removal filter 730e,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240 is removed, and in the nanosilver filter 730f, bacteria propagation in the filter is suppressed.

상기 필터어셈블리(730)를 통과하면서 이물과 냄새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800)의 중앙부에 설치된 팬(820)으로 유입된 다음, 상기 팬(820)의 회전력에 의해 원심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팬(820)에 의해 토출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상면에 형성된 토출구(340)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The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nd odors ar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730 is introduced into the fan 8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orifice 800 and then discharg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an 820. The air discharged by the fan 820 is discharged back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leaner.

그리고, 이러한 공기청정기를 장시간 사용한 다음에는 상기 필터를 교환하여야 한다. 이때에는 상기 측면판넬(500)을 탈거한 다음, 상기 측면판넬(5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필터도어(760)를 탈거하여 상기 필터가이드(740) 내부에 있는 필터케이스(720)의 필터를 슬라이딩 하도록 인출한 후 필요한 필터를 교환하면 된다.Then, after using such an air cleaner for a long time, the filter should be replaced. At this time, the side panel 500 is removed, and then the filter door 760 provided inside the side panel 500 is removed to remove the filter of the filter case 720 inside the filter guide 740. Pull it out to slide and replace the required filter.

새로운 필터어셈블리(530)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If the new filter assembly 530 is to be mounted, the reverse order of separation described above is us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발명을 기초로 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730)가 프리필터(730a), 헤파필터(730b), 탈취필터(730c), 카본나노볼필터(730d), 오존제거필터(730e), 나노은필터(730f)의 순서로 결합되어 있으나, 이러한 결합구성은 필요에 따라 각각의 필터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lter assembly 730 is a prefilter 730a, a hepa filter 730b, a deodorization filter 730c, a carbon nanoball filter 730d, an ozone removal filter 730e, and a nanosilver filter. Although coupled in the order of 730f, it is obvious that such a coupling configuration may change each filter position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730)가 프리필터(730a), 헤파필터(730b), 탈취필터(730c), 카본나노볼필터(730d), 오존제거필터(730e), 나노은필터(730f)의 총 6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러한 필터 중 하나 이상이 제외되거나 별도의 필터가 더 부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lter assembly 730 is a prefilter 730a, a hepa filter 730b, a deodorization filter 730c, a carbon nanoball filter 730d, an ozone removal filter 730e, and a nanosilver filter 730f. Although a total of six filters are shown as an example, one or more of these filters may be excluded or a separate filter may be added.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에서는, 오존발생기가 전면판넬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판넬은 전면프렝미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결합되어 상기 오존발생기가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ozone generato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The front panel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ozone generator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따라서 흡입공기가 내부에서 정화될때,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오존발생기가 발생하는 오존의 강력한 살균력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해로운 유기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의 품질이 보다 개선되어 소비자의 공기정화 성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take air is purified inside, the harmful organic substances are firstly removed by the strong sterilizing power of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뿐만아니라, 상기 오존발생기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을 구성할 필요 없이 본래 생성되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오존발생기를 설치하면서도 가장 흡입효율이 높고, 모든 흡입공기들이 집중되는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 필터어셈블리의 전방에 상기 오존발생기를 설치함으로써 공간절약효과는 물론 살균효과의 극대화를 구현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of the front panel where the suction efficiency is the highest while all the suction air is concentrated while installing the ozone generator by utilizing the space that is originally generated without having to configure an additional space for installing the ozone generator, By installing the ozone generator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creating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realizing a space saving effect and maximizing sterilization effect.

도 1 은 종래 공기청정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cleaner.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전면프레임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ront frame of the air clea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넬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front pane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요부구성인 오존발생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zone generator which is a main componen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판넬에 오존발생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ozone generator is mounted on the front pane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후면프레임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rear frame of the air clea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후면프레임과 후면판넬의 결합을 보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rear frame and the rear panel of the air clea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오리피스의 후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configuration of an orifice of an air clean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가이드와 구성품들을 보인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guide and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기청정기의 필터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ssembly of the air clean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청정기의 전체 흡입구조를 보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uction structur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전면프레임 120,744. 필터케이스출입구100. Front frame 120,744. Filter case entrance

140,320. 흡입통공부 160. 버튼설치공140,320. Suction hole 160. Button installation work

170. 전면판넬결합홈 180,380. 오리피스결합돌기170.Front panel coupling groove 180,380. Orifice Coupling

200. 전면판넬 210. 장착부200. Front panel 210. Mounting part

210a. 상부장착부 210b. 하부장착부210a. Upper mounting portion 210b. Bottom Mount

220. 표시창 240. 오존발생기220. Display window 240. Ozone generator

242. 오존발생부 242a. PCB기판242. Ozone generator 242a. PCB board

244. 오존분사부 260b.하면흡입구244. Ozone spray unit 260b.Bottom suction

260f.전면흡입구 260r.후면흡입구260f.front inlet 260r.rear intake

260s.측면흡입구 280. 전면판넬가이드Side suction 280 Front panel guide

300. 후면프레임 330. 후방통공부300. Rear frame 330. Rear vent

340. 토출구 360. 향발산캔삽입구340. Outlet port 360.Hyangbalsan can insert

400. 후면판넬 420. 후면판넬가이드400. Rear Panel 420. Rear Panel Guide

450. 전방안내구 500. 측면판넬450. Front Guide 500. Side Panel

510. 사이드데코 520. 손잡이510.Side Deco 520.Handle

530. 측면판넬가이드 600. 상면판넬530. Side panel guide 600. Top panel

620. 조작버튼 640. 버튼홀620. Operation Buttons 640. Button Hole

660. 루버 680. 토출구커버660. Louver 680. Outlet cover

720. 필터케이스 722. 필터케이스손잡이720. Filter case 722. Filter case handle

730. 필터어셈블리 730a. 프리필터730. Filter assembly 730a. Prefilter

730b. 헤파필터 730c. 탈취필터730b. HEPA filter 730c. Deodorization Filter

730d. 카본나노볼필터 730e. 오존제거필터730d. Carbon Nano Ball Filter 730e. Ozone removal filter

730f. 나노은필터 740. 필터가이드730f. Nano Silver Filter 740. Filter Guide

742. 예비필터보관소 760. 필터가이드도어742. Preliminary filter storage 760. Filter guide door

800. 오리피스 810. 오리피스공800. Orifice 810. Orifice Ball

820. 팬 840. 모터820.Fan 840.Motor

842. 모터마운트 844. 모터캡842.Motor mount 844.Motor cap

850. 컨트롤박스 852. 컨트롤박스커버850. Control box 852. Control box cover

860. 체결돌기 870. 세라믹히터860. Fastening protrusions 870. Ceramic heater

880. 향발산캔 900. 지지부재880. Hyangbalsan Can 900. Supporting members

920. 전면포스트 922,942. 높이조절발판920.Front Post 922,942. Height adjustment

940. 후면포스트940. Rear Post

Claims (3)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A front panel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ront panel, 상기 전면판넬의 후면에 구비되어 오존을 발생하여 유해한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And an ozone generato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to generate ozone to remove harmful organic substan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zone generator,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발생부와;An ozone generating unit generating ozone; 생성된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Air cleaner comprising an ozone injection unit for releasing the generated ozo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부와 오존분사부는 각각 분리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The air purifier of claim 2, wherein the ozone generating unit and the ozone spraying unit are separately formed.
KR1020040015673A 2004-03-09 2004-03-09 Air cleaner KR100564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73A KR100564488B1 (en) 2004-03-09 2004-03-09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673A KR100564488B1 (en) 2004-03-09 2004-03-09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546A true KR20050090546A (en) 2005-09-14
KR100564488B1 KR100564488B1 (en) 2006-03-29

Family

ID=3727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673A KR100564488B1 (en) 2004-03-09 2004-03-09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4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98B1 (en) * 2007-05-29 2009-01-28 최문희 Cov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198B1 (en) * 2007-05-29 2009-01-28 최문희 Cover structure of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488B1 (en)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788B1 (en) Naturally humidifying air cleaner using water filtering method and activated carbon filtering method
KR20100069339A (en) Air cleaning and purifying system applying phytoncide
KR100776386B1 (en) Air cleaner using nano composte photcatalyst filter
KR101352776B1 (en) Air cleaner
KR100575309B1 (en)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KR20080085964A (en) Air cleaner for elevator
KR20110001310U (en) Air creaning apparatus with a dust-collecting filter
KR20060111025A (en) Deodorant filter for air cleaner
JP2008012060A (en) Air cleaner
KR100564488B1 (en) Air cleaner
KR100564493B1 (en) Air cleaner
KR100633181B1 (en) A filter-assembly of air cleaner
KR100564496B1 (en) Filter device of air cleaner
KR100575315B1 (en) Air cleaner
KR100564487B1 (en) Air cleaner
KR100633183B1 (en) Air cleaner
KR100575308B1 (en) Air cleaner
KR100564478B1 (en) A air cleaner
KR100587092B1 (en) Air purifier
KR100575318B1 (en) Air purifier
KR100564476B1 (en) A air cleaner
KR200262735Y1 (en) Air cleaner
KR100687360B1 (en) Air cleaner system
KR20050087231A (en) A air cleaner
KR100564479B1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