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748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748A
KR20050089748A KR1020050005110A KR20050005110A KR20050089748A KR 20050089748 A KR20050089748 A KR 20050089748A KR 1020050005110 A KR1020050005110 A KR 1020050005110A KR 20050005110 A KR20050005110 A KR 20050005110A KR 20050089748 A KR20050089748 A KR 2005008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vacuum cleaner
electric blower
main bod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6420B1 (en
Inventor
우시오쇼죠
우에야마슈죠
카마타니카즈마사
모리요시히로
요시다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7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4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보급형 전기청소기의 비용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보급형과 고급형 청소기 본체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하고, 생산성 향상이나 디자인 변경시의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집진부 및 전동송풍기를 갖는 청소기 본체(1)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1)에 탈착이 자유롭게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파이프의 일단측에 접속되는 호스(2)와, 파이프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바닥용 흡입구를 구비하고, 전동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12)는, 호스(2)의 일단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호스(2)의 청소기 본체(1)로의 장착에 의해 조작부(12)와 전동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reduce the cost of the popular vacuum cleaner and at the same time make common use of the vacuum main body and the high-end vacuum cleaner body, and reduce the effort in improving productivity and design changes. O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having a dust collector and an electric blower, a hose 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free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The operation part 12 which has a floor suction port connected to it, and drives and operates an electric blower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edge part of the one end side of the hose 2, and is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1 of the hose 2 by the installation. The operation unit 12 and the electric blower ar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Description

전기 청소기{VACUUM CLEANER} Electric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청소기 본체와 호스를 착탈(着脫)을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capable of freely detaching a vacuum cleaner body and a hose.

종래, 청소기 본체와 호스를 착탈을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에 장착된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하고, 청소기 본체측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호스를 개재시켜 청소기 본체 내로 먼지를 흡인하는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the vacuum cleaner which can detach | detach a vacuum cleaner body and a hose freely can arrange the switch which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mount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a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switches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by the switch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side. BACKGROUND ART An electric vacuum cleaner that sucks dust into a vacuum cleaner body via a hose to which a detachment is freely connected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또한, 청소기 본체 내에 장착된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연장파이프와 호스의 접속부 근방에 위치하는 손잡이 조작부에 배치하고, 손잡이 조작부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호스를 개재시켜 청소기 본체 내로 먼지를 흡인하는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In addition, a switch for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mount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is disposed in a handle operation unit located near the connection part of the extension pipe and the hose, and the switch operation unit switches the handle through a hose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BACKGROUND ART An electric vacuum cleaner that sucks dust into a vacuum cleaner body is known (see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특허문헌 1] 특개평8-168457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cation No. 8-168457

[특허문헌 2] 특개평6-335442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35442

 

전자의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에 장착된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에 배치함으로서, 전동 송풍기와 스위치의 전기 배선을 간략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화한 보급형 전기 청소기로서 사용되고 있다.The former electric vacuum cleaner is used as a popular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reduced cost because the electrical wiring of an electric blower and a switch can be simplified by arrange | positioning the switch which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mount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o a vacuum cleaner main body.

또한, 후자의 전기 청소기는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손잡이 조작부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와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은 호스를 통과할 필요가 있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비용은 상승하지만 사용의 편리함을 향상시킨 고급형 전기 청소기로서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atter electric vacuum cleaner arrange | positions the switch which operates an electric blower to the handle operation par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the wiring which electrically connects an electric blower and a switch needs to pass through a hose. Although this structure raises cost, it is used as an advanced vacuum cleaner which improved the convenience of use.

전자의 보급형 전기 청소기와, 후자의 고급형 전기 청소기의 정렬(line up)화를 도모하려고 한 경우, 각각의 먼지를 흡인하는 흡인성능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보급형과 고급형에 사용하는 전동 송풍기를 공통 사용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 송풍기를 공통 사용화 할 수 있어도, 스위치가 장착된 보급형 청소기 본체와,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고급형 청소기 본체와는 공통 사용화 할 수 없고, 생산성이나 재고 관리가 번거로워 진다거나, 디자인을 변경할 때에도 보급형과 고급형 각각의 청소기 본체의 디자인 변경을 행할 필요가 있고, 디자인 변경에 필요 이상의 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결점이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e line-up of the former popular vacuum cleaner and the latter high-end vacuum cleaner, the electric blower used for the popular type and the high-end type is commonly used to achieve the same suction performance for each dust. Can be mad. However, even if the electric blower can be used in common, it cannot be used in common with the low-cost type vacuum cleaner body equipped with a switch and the high-end type vacuum cleaner main body without a switch, and the productivity and inventory management become cumbersome, Also in the chang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of the main body of each of the high-end type and the high-end type of vacuum cleaner, and there is a drawback that a problem occurs that requires more effort than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급형 전기 청소기의 비용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보급형과 고급형의 청소기 본체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하고, 생산성 향상이나 디자인 변경의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cost of an entry-level vacuum cleaner, to promote common use of the entry-level and high-end type vacuum cleaner bodies, and to reduce the efforts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design chang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은,집진부 및 전동 송풍기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파이프의 일단측에 접속되는 호스와, 파이프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바닥용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는, 호스의 일단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호스의 청소기 본체로의 장착에 의해 조작부와 전동 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1st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is a vacuum cleaner main body which has a dust collecting part and an electric blower, the hose which one end side is freely attachable to a vacuum cleaner body, and the other end side is connected to the one end side of a pipe, An operation part for driving and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which has a floor suction port connected to one end, is provided near the end of one end of the hose, and the operation part and the electric blow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mounting the hose to the cleaner body.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수단은, 집진부 및 전동 송풍기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바닥용 흡입구를 갖는 지주부(支柱部)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지주부에 고정되는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는, 호스의 일단측 단부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호스의 청소기 본체로의 장착에 의해 조작부와 전동 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2nd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is a vacuum cleaner main body which has a dust collecting part and an electric blower, a vacuum cleaner main body which can be attached or detached freely, and a support part which has a suction port for a floor, and one end side is connected to a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detachable part is freely connected, and the other end side is provided with a hose fix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peration part which drives and operates the said electric blower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one end side of a hose, and is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by The operation unit and the electric blow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청소기 본체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경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2nd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operation part inclines to the shape which protrudes outward gradually as it goes to a cleaner main body.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집진부의 집진상태를 표시하는 집진 미터가 배치되어도 좋다.Further, a dust collecting meter for displaying the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operation uni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 또는 제 2 수단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호스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도 좋다.In 1st means or 2nd means for solving the said subject, the said operation par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a hose.

또한, 상기 조작부는 호스와 청소기 본체의 협지에 의해 장착되어도 좋다. Moreover, the said operation part may be attached by the clamping of a hose and a cleaner main body.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호스가 접속된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때에 파지(把持)하는 핸들이 설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the handle may be provided on the operation portion to hold the cleaner body to which the hose is connected.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회동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를 ON·OFF 조작하는 시소(see saw)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그 시소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측이 시소 스위치의 OFF측이 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a see-saw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electric blower may be arranged in the operation section while the see-saw switch may be disposed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body becomes the OFF side of the seesaw switch.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회동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를 ON·OFF 변환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그 시소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과 거의 직행하는 방향으로 시소 스위치가 회동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Further, the seesaw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electric blower is arranged on the operation section while the seesaw switch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eesaw switch rotates in a direction almost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회전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가변하는 볼륨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그 볼륨 스위치를 보호하는 방호벽이 형성되어도 좋다.In addition, a volume switch for vary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as it rotates may be disposed in the operation unit, and a barrier for protecting the volume switch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회전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가변하는 볼륨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그 볼륨 스위치는 볼륨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의 반진행 방향측으로 회전시켰을 때,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최고로 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In addition, a volume switch for vary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as it rotates may be disposed in the operation unit, and the volume switch may be disposed so that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becomes the maximum when the volume switch is rotated to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in the forward direction. .

또한, 상기 시소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는, 호스의 상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호스의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도 좋다.The seesaw switch and the volume switch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hose and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outside the center of the hos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시소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렬로 배치되어도 좋다.The seesaw switch and the volume switch may be arranged in serie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또한, 상기 호스에는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계합(係合)하는 계합수단과 계합수단을 해제하는 계합해제수단이 배치되고,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동일면에 배치되어도 좋다.Further, the hose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cleaner body and an engaging release means for releasing the engaging means, and the engaging release means and the operation portion may be arranged on the same surface.

또한, 상기 조작부는 계합해제수단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해도 좋다.Further, the operation portion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disengagement means.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회동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를 ON·OFF 변환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가 배치되고, 계합해제수단을 조작해서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는, 시소 스위치는 OFF 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The seesaw switch may be arranged in the operation section to rotate the electric blower on and off as it rotates. When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vacuum cleaner body by operating the engagement release means, the seesaw switch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o the OFF side.

또한, 상기 조작부와 계합해제수단에는, 조작부와 계합해제수단 근방을 덮고 조작부와 계합해제수단을 보호하는 케이싱이 장착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operation part and the disengagement means are equipped with the casing which covers the operation part and the disengagement means, and protects the operation part and the disengagement means.

또한, 상기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거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engaging release means and the operation portion may be arranged at positions substantially opposit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거의 직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The engaging release means and the operation portion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which are almost straight.

[실시예]EXAMPLE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에 근거해 설명한다. A first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제 1실시예의 전기 청소기는, 도시하지 않은 집진부(集塵部) 및 전동 송풍기를 구비한 청소기 본체(1)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1)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호스(2)로부터 구성되어 있다(도1 참조). 호스(2)의 타단측은 도시하지 않은 파이프를 개재시켜 바닥용 흡입구에 연통(連通)해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는 캐니스터(Canister)형 전기 청소기이다.The vacuum clean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a vacuum cleaner main body 1 including a dust collecting unit and an electric blower (not shown), and a hose 2 having one end sid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See Fig. 1). The other end side of the hose 2 communicates with the floor suction port via a pipe (not shown). That is, the vacuum cleaner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청소기 본체(1)의 전방상면에는, 집진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閉塞)하는 더스트 커버(3)가 배치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3)는 청소기 본체(1)의 전면중앙에 형성된 개폐부(4)에 손을 삽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계지수단의 계지력(係止力)보다 큰 힘으로 더스트 커버(3) 전면을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서, 집진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1, 도4, 도5참조). 청소기 본체(1)의 전면에는, 집진부에 연통함과 동시에, 호스(2)의 일단측이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흡진구(吸塵口)(5)가 개구해 있다. 흡진구(5)의 측방 근방에는, 전동 송풍기에 전기적으로 연통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호스(2)와 접속 가능한 단자 차입(差入)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도6참조).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the dust cover 3 which closes and closes a dust collecting part freely is arrange | positioned. The dust cover 3 inserts a hand into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 and opens the front surface of the dust cover 3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locking force of the locking means (not shown). By lifting upward, the dust collecting part can be opened (see Figs. 1, 4 and 5). At the front of the cleaner main body 1, a suction port 5 is open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ing part, and one end side of the hose 2 is detachably inserted. Near the side of the suction port 5, the terminal insertion hole 6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blower and whi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se 2 is formed (refer FIG. 6).

호스(2)의 일단측에는 조인트부(7)가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부(7)에는 청소기 본체(1)의 흡진구(5)에 착탈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삽입부(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부(7)의 측면에는 삽입부(8)를 흡진구(5) 내에 삽입함으로서 단자차입구멍(6)에 접속되고, 단자차입구멍(6)을 개재시켜 전동 송풍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9)가 배치되어 있다. 조인트부(7)의 단자(9)와 동일면에는, 청소기 본체(1)에 계탈(係脫)이 자유롭게 계합하는 계합부(10)가 배치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계합부(10)의 계합을 계합해제수단으로서의 훅(11)이 배치되어 있다. The joint part 7 is formed in the one end side of the hose 2. The joint portion 7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8 into whic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is freely inserted in the suction port 5 of the cleaner body 1. 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8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port 5 on the side surface of the joint portion 7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ertion hole 6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blower via the terminal insertion hole 6. The terminal 9 is arrang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terminal 9 of the joint part 7, the engaging part 10 which engages freely in the vacuum cleaner body 1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art 10 is engaged. The hook 11 as a release means is arrange | positioned.

계합부(10)와 훅(11)은 도시하지 않은 부세(付勢)수단에 의해 바깥쪽으로 부세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계합부(10)는 청소기 본체(1)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호스(2)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훅(11)을 안쪽으로 압압(押壓)함으로서 계합부(10)도 안쪽으로 이동해서 계합부(10)의 청소기 본체(1)의 계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호스(2)를 떼어낼 수 있다(도2, 도3참조). The engaging portion 10 and the hook 11 are urged outward by a taxing means (not shown), and the engaging portion 10 is engaged with the cleaner main body 1 in this state. When removing the hose 2 from the cleaner main body 1, by pressing the hook 11 inward, the engagement part 10 also moves inwards, so that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of the engagement part 10 is removed. Since the engagement is released, the hose 2 can be removed (see Figs. 2 and 3).

조인트부(7)의 상면에는 조작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2)에는, 회동시킴으로서 전동 송풍기의 구동을 ON·OFF 변환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13)와,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볼륨 스위치(14)가 호스(2)의 중심부를 벗어난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는 단자(9)와 전기적으로 연통해 있다. 시소 스위치(13)는,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도1에 있어서 상측)에 대해서 거의 평행하게 ON·OFF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이 시소 스위치(13)의 OFF측으로 되어 있다(도1참조).The operation part 12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t part 7. In the operation part 12, the seesaw switch 13 which turns ON / OFF the drive of an electric blower by rotating, and the volume switch 14 which adjusts the output of an electric blower are located in the both sides which were out of the center of the hose 2, respectively. It is arranged.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9. The seesaw switch 13 is arranged in a direction of turning on and off i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upper side in FIG. 1) of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is seesawed. The switch 13 is turned off (see Fig. 1).

볼륨 스위치(14)는, 상방으로부터 보아 측단부가 조인트부(7)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거의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륨 스위치(14)를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1참조).The volume switch 1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in which the side end portion protrudes from the joint portion 7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volume switch 14 is rotated toward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at time,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is arranged so as to maximize (see Fig. 1).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호스(2)를 청소기 본체(1)에 접속한 시소 스위치(13)를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동시키면, 전동 송풍기는 구동하기 때문에, 바닥용 흡입구를 개재시켜 흡인되는 먼지를 집진부에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볼륨 스위치(14)를 임의로 회전시킴으로서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eesaw switch 13 connecting the hose 2 to the cleaner main body 1 is rotated to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electric blower is driven. The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can be collected at the dust collecting unit. At this time,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volume switch 14 arbitrarily.

시소 스위치(13)는, 청소중에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동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이 ON측이 되도록 시소 스위치(13)를 배치한 경우에는, 청소중에 시소 스위치(13)가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시소 스위치(13)는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동하고, 전동 송풍기가 정지하는 불편한 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 1실시예의 시소 스위치(13)는,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이 OFF측이 되도록 배치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시소 스위치(13)가 장해물에 접촉한 경우라도, 전동 송풍기가 정지하는 불편한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esaw switch 13 will rotate toward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 in the advancing direction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For example, when the seesaw switch 13 is disposed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is the ON side, the seesaw switch 13 contacts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so that the seesaw switch 13 is connected to the cleaner main body ( There is a fear that an uncomfortable state of turning to the semi-progress direction side of 1) and stopping of the electric blower may occur. However, since the seesaw switch 13 of the first embodiment is arranged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is the OFF side, even when the seesaw switch 13 contacts an obstacle during cleaning, the electric blower The occurrence of an uncomfortable state of stopping can be prevented.

볼륨 스위치(14)는, 조작하기 쉽도록 측단부를 조인트부(7)로부터 돌출시켜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볼륨 스위치(14)가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볼륨 스위치(14)는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전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볼륨 스위치(14)를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전시키면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저하하도록 볼륨 스위치(14)를 배치한 경우에는, 청소중에 볼륨 스위치(14)가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볼륨 스위치(14)는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전하고,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저하함에 따라 청소에 지장을 끼치는 불편한 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 1실시예의 볼륨 스위치(14)는, 볼륨 스위치(14)를 청소기 본체(1)의 반진행방향 측으로 회전시켰을 때,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최고가 되도록 배치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볼륨 스위치(14)가 장해물에 접촉한 경우라도,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저하하는 불편한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volume switch 14 protrudes the side end part from the joint part 7 so that it may be easy to operate, the volume switch 14 will contact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and the volume switch 14 will be remov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 There is a fear of rotating in the anti-travel direction side. For example, when the volume switch 14 is disposed so that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decreases when the volume switch 14 is rotated to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 in the anti-forward direction side, the volume switch 14 is placed on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By contacting, the volume switch 14 rotates toward the side of the cleaner body 1 in the half advancing direction, and there is a fear that an uncomfortable state that may interfere with cleaning may occur as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decreases. However, since the volume switch 14 of the first embodiment is arranged so that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is the highest when the volume switch 14 is rotated to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body 1 in the anti-forward direction side, the volume switch 14 Even when 14) touches an obstacle, occurrence of an uncomfortable state in which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decreases can be prevented.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는 호스(2)의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의 집진부에 쌓인 먼지를 폐기할 때 등에 더스트 커버(3)를 개방하려고 개폐부(4)에 손을 삽입할 때 등에, 잘못해서 시소 스위치(13)나 볼륨 스위치(14)에 접촉할 우려가 없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disposed at a position outside the center of the hose 2, the dust cover 3 is to be opened when the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of the cleaner body 1 is discarded. When inserting a hand into the opening / closing part 4 or the like, there is no risk of accidentally touching the seesaw switch 13 or the volume switch 14, and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조인트부(7)의 훅(11)이 배치되어 있는 면과,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가 배치되어 있는 면은, 거의 직행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따라서, 호스(2)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떼어내려고 훅(11)을 조작했을 때에, 잘못해서 시소 스위치(13)나 볼륨 스위치(14)에 접촉될 우려가 없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The surface in which the hook 11 of the joint part 7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surface in which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 | positioned are in a substantially linear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when the hook 11 is operated to remove the hose 2 from the cleaner main body 1, there is no possibility of accidental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eesaw switch 13 or the volume switch 14, and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는 청소기 본체(1) 근방의 호스(2)의 조인트부(7)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와 전동 송풍기의 전기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전동 송풍기의 조작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1)에 배치한 전기 청소기에 비해 비용 상승을 극력 억제한 보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for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are arranged in the joint portion 7 of the hose 2 near the cleaner body 1,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 And the electric wiring of the electric blower can be simplified, and the popular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suppressed the cost increase as much as possible compared with the electric cleaner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operation switch of the electric blower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can be provided.

또한, 호스(2)의 타단측 근방의 손잡이 조작부에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배치한 도시하지 않은 호스로 교환함으로서, 청소기 본체(1)를 공통 사용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킨 고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생산성이나 재고의 관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디자인을 변경할 때에도 보급형과 고급형 각각의 청소기 본체의 디자인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디자인 변경에 필요 이상의 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can be used in common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by replacing it with a hose (not shown) in which a switch for operating an electric blower is disposed at a handle operating part near the other end side of the hose 2. An electric cleaner can be provided. Therefore, the common us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can be attained, and the productivity and the manageability of inventory are improved, and the design change of the main vacuum cleaner and the high-end type vacuum cleaner main body does not have to be performed even when changing a design, There is no need for more effort than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이렇게 해서, 보급형 전기 청소기의 비용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보급형과 고급형 청소기 본체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하고, 생산성 향상이나 디자인 변경시의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cos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nd at the same time make common use of the vacuum main body and the high-end vacuum cleaner body, and reduce the effort at the time of productivity improvement or design change.

즉, 제 1실시예에서는, 전동 송풍기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로서 시소 스위치(13)를 이용했지만,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스위치를 사용해도 좋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although the seesaw switch 13 is used as a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e of the electric blower,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Other switches may be used.

또한, 제 1실시예에서는,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가변하기 위해 볼륨 스위치(14)를 이용했지만,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스위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가변할 필요가 없으면, 볼륨 스위치(14)를 폐지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volume switch 14 was used in order to vary the output of an electric blower in 1st Example, it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Other switches may be used. If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does not need to be varied, the volume switch 14 may be closed.

<제 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7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1실시예의 전기 청소기는 캐니스터형 이였지만, 제 2실시예의 전기 청소기는 세로형이다. 7 to 9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vacuum cleaner of the first embodiment was a canister type, but the vacuum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was a vertical type.

제 2실시예의 전기 청소기는, 하부에 바닥용 흡입구(15) 및 상부에 그립(16)을 갖는 지주부(17)와, 지주부(17)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청소기 본체(1a)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1a)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지주부(17)에 접속되는 호스(2a)로 구성되어 있다(도 7참조). The vacuum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part 17 having a bottom suction inlet 15 and a grip 16 at an upper part thereof, a cleaner main body 1a detachably attached to the support part 17, One end sid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1a, and the other end side is comprised by the hose 2a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7 (refer FIG. 7).

도 7에 타나낸 것과 같이, 청소기 본체(1a)를 지주부(17)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립(16)을 잡고 조작하면 업 라이트형 전기 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고, 청소기 본체(1)를 지주부(17)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그립(16)을 잡고 조작하면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고, 청소기 본체(1a)의 손잡이(18)을 한쪽 손으로 잡고 청소기 본체(1a)를 지주부(17)로부터 떼어냄과 동시에, 다른쪽 손으로 그립(16)을 잡고 조작하면 핸디(handy)형 전기 청소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grip body 16 is operated while the cleaner main body 1a is attached to the support part 17, it can be used a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the cleaner main body 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When the grip 16 is removed and operated from (17), the grip 16 can be used as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The handle 18 of the cleaner main body 1a is held by one hand and the cleaner main body 1a is held by the holding portion 17.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handy electric vacuum cleaner by detaching from the head) and simultaneously holding and operating the grip 16 with the other hand.

호스(2a)의 일단측에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인트부(7a)가 형성됨과 동시에, 조작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2a)에는, 시소 스위치(13), 볼륨 스위치(14), 조인트부(7a)에는, 훅(11) 및 도시하지 않은 계합부가 배치되어 있다.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가 배치되어 있는 조작부(12a)는, 청소기 본체(1) 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으로 경사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는, 집진부의 집진상태를 표시하는 집진 미터19가 배치되어 있다(도 8, 도 9참조).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joint portion 7a is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hose 2a, and the operation portion 12a is formed. The hook 11 and the engagement part which are not shown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eesaw switch 13, the volume switch 14, and the joint part 7a in the operation part 12a. The operation part 12a in which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 | positioned inclines in the shape which protrudes outward gradually, toward the cleaner main body 1 side. Further, on the inclined surface, a dust collecting meter 19 indicating a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is arranged (see Figs. 8 and 9).

상기 제 2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업 라이트형 전기 청소기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를 조작해서 전동 송풍기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그립(16)을 잡고 조작한다. 이 때,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를 청소기 본체(1a)에 배치한 경우에 비해,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를 그립(16)측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조작성이 향상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hen used as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operated to drive the electric blower, and at the same time, the grip 16 is held and operated. . At this tim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esaw switch 13 and volume switch 14 for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are disposed on the cleaner main body 1a,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placed on the grip 16 side. Since it can arrange | position, the operability improves by that much.

또한,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가 배치되어 있는 조작부(12a)는,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12a in which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 | positioned is

청소기 본체(1)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경사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조작부(12a)의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집진 미터(19)의 시인성도 마찬가지로 향상한다.Since it inclines in the shape which protrudes outward gradually toward the cleaner main body 1 side, the visibility of the operation part 12a can be improved from above and operability improves. In addition, the visibility of the dust collecting meter 19 is similarly improved.

또한,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는 청소기 본체(1)의 근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와 전동 송풍기의 전기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전동 송풍기의 조작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1)에 배치한 전기 청소기에 비해 비용 상승을 극력 억제한 보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electrical wiring of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nd the electric blower can be simplified, Compared with the electric cleaner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operation switch of a blower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the entry type vacuum cleaner which suppressed cost increase as much as possible can be provided.

또한, 그립(16)에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배치하고, 스위치와 청소기 본체(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통선을 가설한 도시하지 않은 호스로 교환함으로서, 청소기 본체(1)를 공통 사용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킨 고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생산성이나 재고의 관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디자인을 변경할 때에도 보급형과 고급형 각각의 청소기 본체의 디자인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디자인 변경에 필요 이상의 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은 없다.In addition, by arranging a switch for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on the grip 16 and replacing the common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witch and the cleaner main body 1 with a hose (not shown) that hypothesizes,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s commonly u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end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operability. Therefore, the common us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can be attained, and the productivity and the manageability of inventory are improved, and the design change of the main vacuum cleaner and the high-end type vacuum cleaner main body does not have to be performed even when changing a design, There is no problem that requires more effort than necessary to change the design.

이렇게 해서, 보급형 전기 청소기의 비용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보급형과 고급형 청소기 본체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하고, 생산성 향상이나 디자인 변경시의 노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 vacuum cleaner which can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cost of the electric vacuum cleaner and at the same time make common use of the vacuum main body and the high-end vacuum cleaner body, and reduce the effort at the time of productivity improvement or design change.

<제 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3실시예를 타나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10 to 14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서는, 호스(2)의 일단측에 시소 스위치(13)나 볼륨 스위치(14)를 배치한 조작부(12)(12a)를 호스(2)와 일체로 형성했지만, 제 3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b)는 호스(2)와 별체로 형성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the operation units 12 and 12a in which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d on one end of the hose 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se 2.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peration portion 12b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hose 2.

조인트부(7b)의 반청소기 본체측에는, 시소 스위치(13)나 볼륨 스위치(14)가 배치된 조작부(12b)가 나사(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도 11, 도 12참조). 조작부(12b)의 반청소기 본체측에는 호스(2)의 일단측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장착부(21)가 개구해 있다(도 13). 호스(2)를 조작부(12b)의 장착부(21)에 장착했을 때에는, 호스(2)의 일단측에 형성된 접속부(22)가 조작부(12b)에 당접(當接)함으로서, 호스(2)와 조인트부(7b)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13참조). 또한, 조작부(12b)에는 착탈 클램프(23)가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12b)로부터 호스(2)를 떼어낼 때에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도 12참조). On the semi-cleaner main body side of the joint part 7b, the operation part 12b in which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 | positioned is fixed with the screw 20 (refer FIG. 11, FIG. 12). On the semi-cleaner main body side of the operation part 12b, the mounting part 21 which one end side of the hose 2 attaches and detaches freely is opened (FIG. 13). When the hose 2 is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operation portion 12b, the connecting portion 22 formed at one end of the hose 2 abuts on the operation portion 12b, so that the hose 2 and The airtightness of the joint part 7b is maintained (refer FIG. 13). Moreover, the attachment / detachment clamp 23 is formed in the operation part 12b, and it is made to operate when removing the hose 2 from the operation part 12b (refer FIG. 12).

상기 제 3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조작부(12b)는 조인트부(7b)와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12b)에 배치된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와 조인트부(7b)에 배치된 단자(9)의 전기적인 접속작업을 행한 뒤에 일체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b)와 호스(2)는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12b)의 유지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operation portion 12b is separate from the joint portion 7b,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nd the joint portion 7b disposed on the operation portion 12b.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work of the terminal 9 arrange | positioned at is performed, it can integrate, and assembly workability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12b and the hose 2 are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 detachment is freely possible, the holding retention of the operation part 12b can be improved.

즉, 제 3실시예에 있어서, 호스(2)에 형성된 접속부(22b)의 형상을 도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작부(12)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외경을 크게 해서, 호스(2)로부터 조작부(12b)에 걸쳐 외관형상에 튀어나온 것을 없애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함으로서, 조작부(12b)가 장해물에 걸리는 것이 억제되고 청소하기가 쉬워진다.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as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b formed on the hose 2 is directed toward the operation portion 12 side as shown in Fig. 14, the outer diameter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operation portion 12b from the hose 2 is increased.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removes the thing which protruded in the external shape over (). By setting it as this structure, it is suppressed that the operation part 12b is caught by the obstacle, and it becomes easy to clean.

<제 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4실시예의 조작부(12c)도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호스(2)와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15 to 21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peration portion 12c of the four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freely attached to the hose 2.

제 4실시예의 조작부(12c)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24)의 일단측에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가 배치됨과 동시에, 케이스(24)의 타단측에 단자(9)가 배치되고,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와 단자(9)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뒤, 케이스(24)의 개구부를 커버(25)로 덮고 나사(26)로 고정되어 있다(도 18참조). 또한, 조작부(12c)에는 후술할 호스(2)의 조인트부(7c)가 접동(摺動)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삽입부(27)가 개구되고, 삽통부(揷通部)(27)의 일부에는 위치결정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도 19참조).In the operation portion 12c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d on one end side of the case 24 having an opening, and the terminal 9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case 24. It is arrange | positioned, and after connecting the seesaw switch 13, the volume switch 14, and the terminal 9 electrically, the opening part of the case 24 is covered with the cover 25, and is fixed with the screw 26 (FIG. 18). Reference). Moreover, the insertion part 27 in which the joint part 7c of the hose 2 mentioned later is freely inserted in the operation part 12c is opened, and a part of the insertion part 27 is opened. A positioning recess 28 is formed in the recess (see FIG. 19).

호스(2)의 조인트부(7c)의 외주에는, 호스(2)의 축방향으로 위치결정 오목부(28)에 계합하는 위치결정 볼록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볼록부(29)에는, 훅(11) 및 계합부(10)가 배치되어 있다. 조인트부(7c)의 호스(2)측에는 단부(30)가 형성되어 있다(도 20, 도 21참조).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joint portion 7c of the hose 2, a positioning convex portion 29 engaging with the positioning recessed portion 28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ose 2 is formed. The hook 11 and the engagement part 10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ing convex part 29. As shown in FIG. The end part 30 is formed in the hose 2 side of the joint part 7c (refer FIG. 20, FIG. 21).

조작부(12c)는, 위치결정 오목부(28)를 조인트부(7c)의 위치결정 볼록부(29)의 위치에 맞쳐, 단부(30)에 당접할 때 까지 삽입된다(도 16, 도 17참조). 상기 결과, 조작부(12c)는 단부(30)에 의해 호스(2)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됨과 동시에, 위치결정 오목부(28)의 위치결정 볼록부(29)의 계합에 의해 호스(2)의 외주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8)를 청소기 본체(1)의 흡진구(5) 내로 삽입하고, 단자(9)를 단자차입구멍(6)에 접속함으로서 조작부(12c)는 청소기 본체(1)와 호스(2)로 협지(狹持)되어 고정된다.The operation part 12c is inserted until it contacts the end part 30, matching 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28 with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convex part 29 of the joint part 7c (refer FIG. 16, FIG. 17). ). As a result of this, the operation part 12c is restricted to the movement to the hose 2 side by the end part 30, and the engagement of the positioning convex part 29 of 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28 of the hose 2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regulated. In this state, the insertion part 8 is inserted into the suction opening 5 of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9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nsertion hole 6, so that the operation part 12c is connected with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a hose. It is pinched and fixed by (2).

상기 제 4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조작부(12c)에는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와 단자(9)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소 스위치(13) 및 볼륨 스위치(14)와 단자(9)의 전기적인 접속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7)에 형성된 단부(30), 위치결정 볼록부(29)나 조작부(12c)에 형성된 위치결정 오목부(28)에 의해, 조작부(12c)를 조인트부(7c)에 용이하게 가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인트부(7c)의 청소기 본체(1)로의 장착에 의해 조작부(12)를 고정할 수 있고, 조작부(12c)의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c)는 호스(2)와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12c)의 유지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seesaw switch 13, the volume switch 14, and the terminal 9 are arranged on the operation unit 12c, the seesaw switch 13, the volume switch 14, and the terminal ( The electrical connection work of 9)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operation part 12c is easy to the joint part 7c by the edge part 30 formed in the joint part 7, the positioning convex part 29, and the positioning recessed part 28 formed in the operation part 12c. It can be temporarily fixed, and the operation part 12 can be fixed by attaching the joint part 7c to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mountability of the operation part 12c can be improved.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12c is comprised with the hose 2 and attachment / detachment freely, the holding | maintenance storage property of the operation part 12c can be improved.

<제 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22 to 26 show a fif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5실시예에서는, 호스(2)의 청소기 본체(1)의 계합을 해제하는 훅(11)은, 청소기 본체(1)의 상면측에 또한 조작부(12d)와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다(도 22, 도23참조). 훅(11)과 조작부(12)는 호스(2)의 지름방향에 대해서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2d)나 계합부(10) 및 훅(11) 근방을 상방으로부터 덮고, 조작부(12d)나 계합부(10) 및 훅(11)을 보호하는 케이싱(31)이 1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31)은, 나사(32)에 의해 조인트부(7d)에 고정되어 있다(도 23 내지 도26참조).In the fifth embodiment, the hook 11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of the hose 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on the same surface as the operation portion 12d (FIG. 22). , See FIG. 23). The hook 11 and the operation part 12 are formed in the substantially same heigh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se 2. Moreover, the casing 31 which covers the operation part 12d, the engaging part 10, and the vicinity of the hook 11 from upper direction and protects the operation part 12d, the engaging part 10, and the hook 11 consists of one part. It is. The casing 31 is fixed to the joint portion 7d by the screw 32 (see FIGS. 23 to 26).

상기 제 5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조작이 필요한 훅(11) 및 조작부(12d)가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조작부(12)가 훅(11)의 보호 기능을 하기 때문에, 청소중에 훅(11)이 장해물에 접촉하고, 갑자기 호스(2)가 청소기 본체(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d)나 계합부(10) 및 훅(11)을 보호하는 케이싱(31)을 1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12d)나 계합부(10) 및 훅(11)을 조인트부(7)에 배치한 상태에서, 케이싱(31)을 나사(32)에 의해 조인트부(7d)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the structure of the said 5th Example, since the hook 11 and operation part 12d which require operation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me surface, operability improves.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part 12 functions as a protection function of the hook 11, it can prevent that the hook 11 contacts an obstacle during cleaning, and the hose 2 abruptly comes out of the cleaner main body 1 during cleaning. Moreover, since the casing 31 which protects the operation part 12d, the engagement part 10, and the hook 11 can be comprised by one component, the operation part 12d, the engagement part 10, and the hook 11 are In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at the joint part 7, the casing 31 can be assembled only by fixing to the joint part 7d with the screw 32, and assembly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즉, 제 5실시예에 있어서, 호스(2)의 지름방향에 대해서 조작부(12d)를 훅(11)보다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갑자기 호스(2)가 청소기 본체(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fifth embodiment, the operation part 12d may be projected outward from the hook 11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se 2. 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hose 2 from falling out of the cleaner body 1.

<제 6실시예>Sixth Embodiment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5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27 to 29 show a six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6실시예에서는, 호스(2)의 청소기 본체(1)로의 계합을 해제하는 훅(11)은, 청소기 본체(1)의 하방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부(12e)는, 청소기 본체(1)의 상방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훅(11)과 조작부(12e)는 호스(2)의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도 28, 도 29참조).In the sixth embodiment, the hook 11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ose 2 to the cleaner main body 1 is disposed below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operation unit 12e is the cleaner main body 1. Are arranged above each side. That is, the hook 11 and the operation part 12e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substantially opposite position of the hose 2, respectively (refer FIG. 28, FIG. 29).

상기 제 6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훅(11)과 조작부(12e)는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12e)의 시소 스위치(13)나 볼륨 스위치(14)를 조작할 때에 잘못해서 훅(11)을 조작할 우려가 없고, 호스(2)가 갑자기 청소기 본체(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since the hook 11 and the operation portion 12e are disposed at almost opposite positions, respectively, when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of the operation portion 12e are operat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operating the hook 11 by mistak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se 2 from suddenly falling out of the cleaner body 1.

<제 7실시예>Seventh Embodiment

도 30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7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30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7실시예에서는, 시소 스위치(13)는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과 거의 직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볼륨 스위치(14)의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으로부터 측단부에 걸쳐, 볼륨 스위치(14)가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벽(33)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seesaw switch 13 is disposed so as to rotate in a direction almost perpendicular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 Further, a barrier wall 33 which prevents the volume switch 14 from contacting the obstacle is formed from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of the volume switch 14 to the obstacle.

상기 제 7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시소 스위치(13)를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과 거의 직행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시소 스위치(13)가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회동하고, 운전상태가 갑자기 변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스위치(14)의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으로는, 방호벽(3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볼륨 스위치(14)가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볼륨 스위치(14)가 파손되거나, 볼륨 스위치(14)가 회전해서 갑자기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변환되는 등의 불편한 상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since the seesaw switch 13 is arranged to rotate in a direction almost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 the seesaw switch 13 rotates by contacting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Therefore, the operation st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verted suddenly. Further, since the barrier wall 33 is form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of the volume switch 14, the volume switch 14 breaks due to the volume switch 14 contacting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comfortable state such as the volume switch 14 being rotated and suddenly chang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제 8실시예>Eighth Embodiment

도 3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8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7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8실시예에서는, 시소 스위치(13)와 볼륨 스위치(14)는,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Fig. 31 shows an eigh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

상기 제 8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시소 스위치(13)와 볼륨 스위치(14)는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의 조작부(12g)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고, 조작부(12g)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ighth embodiment, since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 The width of the operation part 12g can be narrowed, and the operation part 12g can be made slim.

<제 9실시예><Ninth Embodiment>

도 32 또는 도 33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9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8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32 or 33 shows a nin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9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h)는,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인트부(7h)에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됨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의 조작부(12h)를 덮는 것과 같은 형태로 핸들(34)이 조작부(12h)에 배치되어 있다(도 32, 도33참조). 핸들(34)은,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호스(2)를 청소기 본체(1)에 장착한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를 운반할 때에 파지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ninth embodiment, the operation portion 12h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joint portion 7h similarly to the third embodiment, and to cover the operation portion 12h on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body 1. The furnace handle 34 is disposed on the operation unit 12h (see FIGS. 32 and 33). The handle 34 is gripped when carrying the cleaner main body 1 in the state which attached the hose 2 to the cleaner main body 1, as shown in FIG.

상기 제9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핸들(34)에 의해, 청소중에 시소 스위치(13)나 볼륨 스위치(14)가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전동 송풍기의 운전상태가 갑자기 변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를 운반할 때에 파지하는 핸들(34)을, 조작부(12h)의 보호에 병용해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inth embodiment, the handle 34 prevents the seesaw switch 13 and the volume switch 14 from contacting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and preven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blower from being suddenly changed. can do. Moreover, since the handle 34 gripped when carrying the cleaner main body 1 is used together with the protection of the operation part 12h, a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제 10실시예>Tenth Embodiment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10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9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34 to 36 show a ten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실시예 내지 제 9실시예에서는, 호스(2)를 청소기 본체(1)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동 송풍기와 시소 스위치(1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청소기 본체(1)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코드가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또한, 시소 스위치(13)가 ON측으로 회동해 있는 상태에서, 호스(2)를 청소기 본체(1)에 장착하면, 갑자기 전동 송풍기가 작동할 우려가 있다.In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since the electric blower and the seesaw switch 13 ar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the hose 2 is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1, for example, the cleaner main body 1 If the hose 2 is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 while the power cord (not shown) is plugged into the outlet and the seesaw switch 13 is turned to the ON side, the electric blower may suddenly operate. There is concern.

이에 대해서, 제 10실시예에서는, 청소가 완료해서 호스(2)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는, 시소 스위치(13)가 OFF측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시소 스위치(13)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에 거의 평행하게 회동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1)의 진행방향측이 ON측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 도 4참조). 또한, 훅(11i)의 선단부(35)는 시소 스위치(13)의 후단(OFF측)의 상면을 덮고 있다. 호스(2)를 청소기 본체(1)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계합부(10) 및 훅(11i)은 나사(36)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부세됨에 따라 계합부(10)는 청소기 본체(1)에 계합해 있다. 또한, 훅(11i)의 선단부(35)와 시소 스위치(13)의 후단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소 스위치(13)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호스(2)의 일단측 호스(2)의 외주는 상 호스 커버(37)와 하 호스 커버(38)로 덮여 보호되어 있다. 상 호스 커버(37)와 하 호스 커버(38)는, 조인트부(7i)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도 35, 도 36참조).In contrast, in the tenth embodiment,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d and the hose 2 is remov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 the seesaw switch 13 is rotated to the OFF sid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esaw switch 13 is arranged to ro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 and is disposed such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is turned on (Fig. 3). , See FIG. 4). The tip end portion 35 of the hook 11i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F side) of the seesaw switch 13. In the state in which the hose 2 is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1, the engaging part 10 and the hook 11i are urged outward by the biasing force by the screw 36, and the engaging part 10 is a cleaner main body. It is engaged in (1). Moreover, sinc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ip end part 35 of the hook 11i and the rear end of the seesaw switch 13, the seesaw switch 13 can be rotated freely. Moreov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one end side hose 2 of the hose 2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upper hose cover 37 and the lower hose cover 38. The upper hose cover 37 and the lower hose cover 38 are constituted separately from the joint portion 7i (see FIGS. 35 and 36).

상기 제 10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도 3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호스(2)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떼어낼 때에, 훅(11i)을 안쪽으로 밀면 계합부(10)가 안쪽으로 이동하고 계합부(10)와 청소기 본체(1)의 계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훅(11i)의 선단부(35)가 시소 스위치(13)의 후단에 당접해서 시소 스위치(13)를 OFF측(후측)으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다음번에 사용할 때에 호스(2)가 청소기 본체(1)에 장착된 때에, 전동 송풍기가 갑자기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36, when the hose 2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1, when the hook 11i is pushed inward, the engaging portion 10 moves inward and the engaging portion is moved inward. While the engagement between the 10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is released, the tip end portion 35 of the hook 11i abuts on the rear end of the seesaw switch 13 to rotate the seesaw switch 13 to the OFF side (back side). Therefore, when the hose 2 is attached to the cleaner main body 1 at the next use, the electric blower can be prevented from operating suddenly.

<제 11실시예><Eleventh embodiment>

도 37 또는 도 38은 본 발명에 관계된 전기 청소기의 제 1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 1실시예 내지 제 10실시예와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37 or 38 shows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to tenth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실시예 내지 제 9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호스(2)의 일단측 호스(2)의 외주를 보호하는 호스 커버는 제 10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 호스 커버와 하 호스커버의 2부품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조인트부와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the hose cover protect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se 2 on one end side of the hose 2 is the same as the tenth embodiment of the two parts of the upper hose cover and the lower hose cover.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joint portion.

이에 대해서, 제 11실시예의 호스 커버(39)는, 상 호스 커버와 하 호스 커버를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조인트부(7j)와 일체로 형성해 있다. 상기 제 11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호스 커버(39)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부품 가짓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se cover 39 of the eleventh embodimen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hose cover and the lower hose cover,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joint portion 7j.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enth embodiment, by integrally forming the hose cover 39,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assembly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 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는, 청소기 본체 근방의 호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와 전동 송풍기의 전기배선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전동 송풍기의 조작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에 배치한 전기 청소기에 비해 비용의 상승을 극력(極力) 억제한 보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 of this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part which drives and drives an electric blowe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se | pipe near a cleaner body, electrical wiring of an operation part and an electric blower can be simplified, and the operation switch of an electric blower is cleaned Compared with the vacuum clean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main body, the entry type vacuum cleaner which suppressed the increase of cost as much as possible can be provided.

또, 호스의 타단측 근방의 손잡이 조작부에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배치한 호스로 교환함으로서, 청소기 본체를 공통 사용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킨 고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placing the hose with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at the handle operation part near the other end side of the hose,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an be used in common, and an advanced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operability can be provided.

따라서, 청소기 본체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생산성이나 재고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디자인을 변경할 때에도 보급형과 고급형 각각의 청소기 본체의 디자인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디자인 변경에 필요 이상의 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the common us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an be achieved, productivity and inventory control can be improved, and the design change of the main vacuum cleaner and the high-end vacuum cleaner main body is not required even when the design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requiring more effort than necessary.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전동 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는, 청소기 본체 근방의 호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청소기 본체에 배치한 전기 청소기에 비해서, 조작부를 그립(grip)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그 만큼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부와 전동 송풍기의 전기배선을 간소화할 수 있고, 전동 송풍기의 조작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에 배치한 전기 청소기에 비해 비용의 상승을 극력 억제한 보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part which drives and operates an electric blowe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se | pip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ompared with the vacuum cleaner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operation part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operation part is located in a grip 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bility by that, and to simplify the electrical wiring of the control unit and the electric blower, and to suppress the increase in cost as much as possible compared to the electric vacuum cleaner in which the operation switch of the electric blower is disposed on the vacuum cleaner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try type vacuum cleaner.

또한, 그립에 전동 송풍기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배치하고, 스위치와 청소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통전선을 가설한 호스로 교환함으로서, 청소기 본체를 공통 사용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을 향상시킨 고급형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a switch for operating an electric blower on the grip and replacing a current-carrying lin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witch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an be used in common, and the high-quality electric machine improves operability. A cleaner can be provided.

따라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소기 본체의 공통 사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생산성이나 재고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디자인을 변경할 때에도 보급형과 고급형 각각의 청소기 본체의 디자인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디자인 변경에 필요 이상의 노력을 요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common use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can be achieved, and productivity and inventory control can be improved, and the design change of the main vacuum cleaner and the high-end vacuum cleaner main body is not necessary even when the design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requiring more effort than necessary.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는 청소기 본체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경사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의 조작부의 시인성(視認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3 of this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part inclines in the shape which protrudes outward gradually toward the cleaner main body, visibility of the operation part from upper direction can be improved and operability is improved. It can improve such an effect.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집진 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4 of this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a dust collecting meter.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의 전기 배선을 행한 후에 호스와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부의 유지 보존성(Maintenance)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5 of this invention, since it can integrate with a hose after electrical wiring of an operation part, assembly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nd maintenance maintenance of an operation part can be improved, etc. Has an effect.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의 전기 배선을 행한 후에 호스와 일체화해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부의 유지 보존성(Maintenance)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6 of this invention, since it can fix and integrate with a hose after carrying out the electrical wiring of an operation part, assembling workability can be improved more and maintenance maintenance of an operation part can be improved. It has such an effect.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구성에 의하면, 핸들에 의해, 청소중에 조작부가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송풍기의 운전 상태가 갑자기 변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때에 파지하는 핸들을 조작부의 보호에 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7 of this invention, since a handle can prevent an operation part from contacting an obstacle during cleaning, it can prevent the operation state of an electric blower abruptly changing, and conveys a cleaner main body. The handle to be gripped at the time of use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rotec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us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측이 OFF측으로 되도록 시소 스위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시소 스위치가 장해물에 접촉한 경우에도, 시소 스위치가 OFF측으로 회동해서 전동 송풍기가 갑자기 정지하는 불편한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8 of this invention, since the seesaw switch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a vacuum cleaner main body may turn OFF, even if a seesaw switch contacts an obstacle during cleaning, a seesaw switch will turn to OFF and an electric blower will be ro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comfortable state of sudden stopping and the like.

본 발명의 청구항 9의 구성에 의하면,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측과 거의 직행하는 방향에 시소 스위치가 회동하도록 배치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시소 스위치가 장해물에 접촉한 경우에도, 시소 스위치가 회동해서 운전상태가 갑자기 변환되는 불편한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9 of this invention, since the seesaw switch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eesaw switch may rotate in the direction which goes almost directly to the advancing direction side of a vacuum cleaner main body, even if a seesaw switch contacts a obstacle during cleaning, a seesaw switch will rotate and drive | oper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comfortable state in which the state is suddenly converted.

본 발명의 청구항 10의 구성에 의하면, 볼륨 스위치에는, 방호벽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볼륨 스위치가 장해물에 접촉함으로서 볼륨 스위치가 파손되거나, 볼륨 스위치가 회전해서 갑자기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변환되는 등의 불편한 상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lume switch is provided with a barrier, the volume switch comes in contact with an obstacle during cleaning, causing the volume switch to be damaged, or the volume switch rotating to suddenly change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uncomfortable state.

본 발명의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하면, 볼륨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의 반진행 방향측으로 회전시켰을 때,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최고가 되도록 배치해 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볼륨 스위치가 장해물에 접촉한 경우라도,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저하하는 불편한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lume switch is rotated to the anti-forward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body, since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is arranged to be the highest, even when the volume switch contacts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the electric blow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uncomfortable state in which the output of the light is lowered.

본 발명의 청구항 12의 구성에 의하면, 시소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는 호스의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의 집진부에 쌓인 먼지를 폐기할 때 등에 잘못해서 시소 스위치나 및 볼륨 스위치에 접촉될 우려는 없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2 of this invention, since the seesaw switch and the volume switch are arrange | positioned out of the center of a hose, when a dust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on part of a vacuum cleaner body was discarded, it contacted a seesaw switch and a volume switch by mistake. There is no fear of malfunction, and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malfunction.

본 발명의 청구항 13의 구성에 의하면, 시소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의 조작부의 폭을 좁게 할 수 있고, 조작부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3 of this invention, since the seesaw switch and a volume switch are arrange | positioned in series with the advancing direction of a cleaner main body, the width | variety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direction which goes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a cleaner main body can be narrowed, and an operation part It has the effect of being slimmer.

본 발명의 청구항 14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이 필요한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가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조작부가 계합해제수단의 보호 기능을 하기 때문에, 청소중에 계합해제수단이 장해물에 접촉해서 갑자기 호스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4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releaseability and the operation portion are arranged on the same surface, and the operation portion serves to protect the release release means.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hose from suddenly coming off the cleaner body in contact with the obstacle.

본 발명의 청구항 15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는 계합해제수단에 의해 바깥쪽으로 돌출해있기 때문에, 청소중에 계합해제수단이 장해물에 접촉해서 갑자기 호스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5 of this invention, since the operation part protrudes outward by the disengagement means, the effect which can more reliably prevent the disengagement means from contacting the obstacle during cleaning, and suddenly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Has

본 발명의 청구항 16의 구성에 의하면,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낼 때에, 계합해제수단을 조작하면 시소 스위치를 OFF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음번에 사용할 때 호스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전동 송풍기가 갑자기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6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engagement means is operated when the hose is detached from the cleaner body, the seesaw switch can be rotated to the OFF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lower from operating suddenly.

본 발명의 청구항 17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나 계합해제수단을 보호하는 케이싱을 1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나 계합해제수단을 배치한 상태에서, 케이싱을 고정하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7 of this invention, since the casing which protects an operation part and an engagement release means can be comprised by one component, it can be assembled only by fixing a casing with the operation part or an engagement release means arrange | position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y workability.

본 발명의 청구항 18의 구성에 의하면,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조작할 때에 잘못해서 계합해제수단을 조작할 우려가 없고, 호스가 갑자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8 of this invention, since the disengagement means and the operation part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substantially opposite position, respectively, there is no possibility of operating the disengagement means by mistake when operating an operation part, and a hose abruptly removes from a cleaner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out.

본 발명의 청구항 19의 구성에 의하면, 계합해제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면과 조작부가 배치되어 있는 면은 거의 직행하는 위치관계에 있기 때문에, 조작부를 조작할 때에 잘못해서 계합해제수단을 조작할 우려가 없고, 호스가 갑자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19 of this invention, since the surface in which the disengagement means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surface in which the operation part is arrange | positioned are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n unintentional operation of an engagement release means may be carried out when operating an operation part. There is no effect, and the hose can be prevented from suddenly falling out of the cleaner body.

도 1 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1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Fig. 1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first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이고,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same vacuum cleaner and shows a state where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도 3 은, 도2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viewed from the side.

도 4 는, 도1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4 is a side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side.

도 5 는, 도1을 다른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5 is a side view of FIG. 1 seen from another side. FIG.

도 6 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의 전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the cleaner main body of the same vacuum cleaner.

도 7 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2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second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the same vacuum cleaner.

도 9 는,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측면도로서,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다.9 is a side view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illustrating an enlarged state.

도 1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3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Fig. 10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third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로서,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11 is a top view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where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도 12는,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로서, 호스로부터 조작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Fig. 12 is a top view of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sam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where the operation portion is removed from the hose.

도 13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를 호스측에서 본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looked at the operation part of the same vacuum cleaner from the hose side.

도 14는,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로서, 변형예를 나타낸다.14 is a top view of an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illustrating a modification.

도 15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4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Fig. 15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four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측의 호스단부의 상면도로서,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Fig. 16 is a top view of the hose end portion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of the sam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where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도 17은, 도16을 청소기 본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FIG. 17 is a side view of FIG. 16 seen from the cleaner main body side. FIG.

도 18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이다.18 is a top view of an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도 19는, 도 18을 청소기 본체에서 본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looked at FIG. 18 from the cleaner main body.

도 20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측의 호스단부의 상면도로서, 조작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Fig. 20 is a top view of the hose end portion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of the sam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where the operation portion is removed.

도 21은, 도 20을 청소기 본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It is a side view which looked at FIG. 20 from the cleaner main body side.

도 2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5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Fig. 22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fif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로서,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Fig. 23 is a top view of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sam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where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cleaner body.

도 24는, 도 23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24 is a side view of FIG. 23 viewed from the side. FIG.

도 25는,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케이싱(포장)의 상면도이다.25 is a top view of a casing (packing) of an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도 26은, 도 25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26 is a side view of FIG. 25 viewed from the side. FIG.

도 2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6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27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a six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도 27을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28 is a side view of FIG. 27 viewed from the side. FIG.

도 29는, 도 27을 다른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FIG. 29 is a side view of FIG. 27 viewed from another side; FIG.

도 30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7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30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a seven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8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Fig. 31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eigh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9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측면도이다.32 is a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a nin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상면도이다.33 is a top view of an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도 3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 10 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상면도이다.34 is a top view of the vacuum cleaner of a tenth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는, 도 34를 측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FIG. 35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34 viewed from the side. FIG.

도 36은, 도 34를 다른 측면에서 본 측단면도이다.FIG. 3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4 viewed from another side. FIG.

도 3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의 측단면도이다.Fig. 3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operation portion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first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38은, 동일 전기 청소기의 조작부를 다른 면에서 본 단면도이다.3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on unit of the same vacuum cleaner viewed from another surface.

[부호의 간단한 설명][Short description of symbols]

1 청소기 본체 2    호스1 Vacuum cleaner body 2 hose

10    계합부 11   훅10 Engagement 11 Hook

12    조작부 13  시소 스위치  12 control panel 13 seesaw switch

14    볼륨 스위치 15 바닥용 흡입구14 Volume switch 15 Floor intake

17 지주부(支柱部) 19 집진 미터17 Shoring Section 19 Dust Collecting Meter

31 케이싱 34 핸들31 casing 34 handle

Claims (19)

집진부 및 전동 송풍기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파이프의 일단측에 접속되는 호스와, 파이프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바닥용 흡입구를 구비하고, And a vacuum cleaner main body having a dust collector and an electric blower, a hose connected at one end to a cleaner body freely,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and a floor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e, 상기 전동 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는, 호스의 일단측의 단부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호스의 청소기 본체로의 장착에 의해 조작부와 전동 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n operation unit for driving and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is installed near the end of one end of the hose, and the operation unit and the electric blow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mounting the hose to the cleaner main body.   집진부 및 전동 송풍기를 갖는 청소기 본체와, 청소기 본체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됨과 동시에, 바닥용 흡입구를 갖는 지주부(支柱部)와, 일단측이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지주부에 고정되는 호스를 구비하고, The vacuum cleaner body having the dust collector and the electric blower and the vacuum cleaner body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support part having the floor suction port, and one end side are freely attach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and the other end side is supported. Having a hose fixed to the main part, 상기 전동 송풍기를 구동 조작하는 조작부는, 호스의 일단측 단부 근방에 설치됨과 동시에, 호스의 청소기 본체로의 장착에 의해 조작부와 전동 송풍기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n operation unit for driving and operating the electric blower is installed near one end side of the hose, and the operation unit and the electric blow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mounting the hose to the cleaner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조작부는 청소기 본체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경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operation unit is an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in a shape such as gradually protrudes outward toward the cleaner body.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작부에는 집진부의 집진상태를 표시하는 집진 미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 dust collecting meter for displaying a dust collecting stat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조작부는 호스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operation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se.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조작부는 호스와 청소기 본체의 협지(挾持)에 의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said operation portion is attached by a sandwich between the hose and the cleaner bod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조작부에는 호스가 접속된 청소기 본체를 운반할 때에 파지(把持)하는 핸들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said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the handle which is gripped when carrying the cleaner main body with a hose connected to the said operation par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조작부에는 회동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를 ON·OFF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시소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측이 시소 스위치의 OFF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 seesaw switch for turning the electric blower on and off in response to rotation, and the seesaw switch is arranged such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f the cleaner body is the OFF side of the seesaw switc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조작부에는 회동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를 ON·OFF 변환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시소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과 거의 직행하는 방향으로 시소 스위치가 회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seesaw switch for displacing the electric blower on and off is disposed on the operation unit, and the seesaw switch is disposed such that the seesaw switch rotates in a direction almost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vacuum cleaner.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조작부에는 회전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가변하는 볼륨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볼륨 스위치를 보호하는 방호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a volume switch for vary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as it rotates, and a protective wall for protecting the volume switch.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회전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의 출력을 가변하는 볼륨 스위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볼륨 스위치는 볼륨 스위치를 청소기 본체의 반진행 방향측으로 회전시켰을 때, 전동 송풍기의 출력이 최고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In addition, a volume switch for varying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is disposed in the operation unit, and the volume switch is disposed so that the output of the electric blower is the highest when the volume switch is rotated toward the anti-forward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Electric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시소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는, 호스의 상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호스의 중심부를 벗어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seesaw switch and the volume switch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hose and are disposed at positions outside the center of the hose, respectively.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상기 시소 스위치와 볼륨 스위치는, 청소기 본체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the seesaw switch and the volume switch are arranged in series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leaner bod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호스에는 청소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계합(係合)하는 계합수단과 계합수단을 해제하는 계합해제수단이 배치되고,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the disengagement means for disengaging the disengagement means and the disengagement means for disengaging the disassembly means from the hose body, and the disengagement means and the operation portion are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조작부는 계합해제수단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said operation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disengagement means.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조작부에는 회동함에 따라 전동 송풍기를 ON·OFF 변환 조작하는 시소 스위치가 배치되고, 계합해제수단을 조작해서 호스를 청소기 본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는, 시소 스위치는 OFF 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seesaw switch is arranged on the operation section to rotate the electric blower on and off as it rotates. When the hose is removed from the vacuum cleaner body by operating the engagement release means, the seesaw switch is configured to rotate to the OFF side. cleaner.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조작부와 계합해제수단에는, 조작부와 계합해제수단 근방을 덮고 조작부와 계합해제수단을 보호하는 케이싱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And the casing for covering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disengagement means and protecting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disengagement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거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nd said disengagement means and said operating portion are disposed at positions substantially opposed to each oth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계합해제수단과 조작부는, 거의 직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And the disengagement means and the operation portion are disposed at positions which are almost straight.
KR1020050005110A 2004-03-05 2005-01-19 Vacuum cleaner KR1006464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1711A JP2005245805A (en) 2004-03-05 2004-03-05 Vacuum cleaner
JPJP-P-2004-00061711 2004-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748A true KR20050089748A (en) 2005-09-08
KR100646420B1 KR100646420B1 (en) 2006-11-23

Family

ID=3502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110A KR100646420B1 (en) 2004-03-05 2005-01-19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45805A (en)
KR (1) KR100646420B1 (en)
CN (1) CN100344250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5989B2 (en) * 2011-08-03 2014-03-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same
JPWO2016103620A1 (en) * 2014-12-26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isplay device and stand
CN110891467A (en) * 2017-07-31 2020-03-17 夏普株式会社 Connection hose fo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6913A (en) * 1989-03-17 1990-10-02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KR970032728A (en) * 1995-12-29 1997-07-22 배순훈 Rotating hose handle structure of vacuum cleaner
JP2001204666A (en) * 2000-01-25 2001-07-31 Sanyo Electric Co Ltd Electri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3520A (en) 2005-09-07
KR100646420B1 (en) 2006-11-23
JP2005245805A (en) 2005-09-15
CN100344250C (en)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8267B (en) Vacuum cleaner
AU2009202138B2 (en) Upright type cleaner
KR100646420B1 (en) Vacuum cleaner
JP2015024124A (en) Vacuum cleaner
RU2004123350A (en) VACUUM CLEANER BRUSH
KR20040087186A (en) bagless vacuum cleaner
JP2007190110A (en) Dust collecting device
JP2012190736A (en) Terminal cover, inverter and power tool equipped with them
JP2008161503A (en) Vertical vacuum cleaner
JP2005152492A (en) Vacuum cleaner
JP2012135511A (en) Vacuum cleaner
JP2004074097A (en) Dust collector
JP4177290B2 (en) Vacuum cleaner
JP405214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456171B1 (en) Safety apparatus for wet and dry vacuum cleaner
JP4482999B2 (en) Vertical vacuum cleaner
KR20100007692A (en) Upright type cleaner
JPH0686742A (en) Floor suction implement of vacuum cleaner
CN114571414A (en) Dust collection accessory and electric tool
KR101574634B1 (en) Safaty apparatus of auxiliary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cleanear
JP2004073686A (en) Dust collector
KR20060058972A (en)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200163948Y1 (en) Indraft motor mounting struture of vacuum cleaner for handcarry
KR200357162Y1 (en) Structure of moter cover combine of a vacuum cleaner
JPH07327891A (en) Connector for cleaner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