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597A -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9597A
KR20050089597A KR1020040015094A KR20040015094A KR20050089597A KR 20050089597 A KR20050089597 A KR 20050089597A KR 1020040015094 A KR1020040015094 A KR 1020040015094A KR 20040015094 A KR20040015094 A KR 20040015094A KR 20050089597 A KR20050089597 A KR 2005008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mp
water
cabinet
washing machin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환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9597A/ko
Publication of KR2005008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는 캐비닛의 베이스에 물 등의 유체가 모아지는 섬프가 형성되고, 상기 섬프와 세탁수 배수장치 사이에 상기 섬프에 물 등의 유체가 충만하게 모아지면 상기 섬프에 모아진 물 등의 유체를 상기 세탁수 배수장치를 통해 하수구 등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배수하기 때문에 기존 장치와 연계하여 간단한 구조로 세탁기의 설치장소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캐비닛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Cabinet Assembly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비닛의 베이스에 물 등이 모아지는 섬프가 형성되고, 섬프가 세탁수 배수장치와 연결되어 섬프에 모아진 물 등이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배수될 수 있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도어(1)가 설치된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적치되는 세탁조(4)와, 상기 세탁조(4)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6) 및 상기 세탁조(4)에 급수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장치(8)와, 상기 세탁조(4)에서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세탁조(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세제의 화학작용, 상기 세탁조(4)의 구동으로 인해 생기는 수류 및 상기 세탁조(4)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한다.
한편, 상기 캐비닛(2)에는 상기 세탁조(4)의 외측에 온도변화로 인해 응축수가 맺히거나 세탁수의 누수 등으로 인해 물이 고일 수 있는 바, 상기 캐비닛(2)의 바닥에는 상기 캐비닛(2)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중앙에 큰 홀(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세탁기가 설치된 장소가 실내이면 상기 캐비닛(2)의 바닥으로 물을 흘려버릴 수 없고, 세탁기가 설치장소의 바닥 위에 바로 설치된 경우 상기 캐비닛(2)의 홀(2a)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2)의 홀(2a)을 통해 상기 캐비닛(2)에 고인 물을 상기 캐비닛(2)의 외부로 흘러보낼 수 있는 경우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에 고인 물을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흘러보낼 수 있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는 비닛의 바닥에 설치되어 유체를 저장하는 섬프(Sump)와; 상기 섬프에 설치된 섬프 수위센서와; 상기 섬프 수위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섬프의 수위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섬프의 유체를 외부로 배수하는 섬프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중앙에 도어(51)가 설치되고 전면 상부에 컨트롤러(52)와 세제박스(53)가 설치된 캐비닛(50)과, 상기 캐비닛(50)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이 행해지는 세탁조(54)와, 상기 세탁조(54)에 연결되어 급수/배수를 행하는 세탁수 급수/배수장치(56/58)와, 상기 세탁조(5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9)와, 상기 캐비닛(50)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닛(50)에 물 등의 유체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섬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50)은 전면 및 상,하면이 개방된 케이스(50a)와, 상기 케이스(50a)의 전면에 취부되고 상기 도어(51)가 설치된 프론트 패널(50b)과, 상기 케이스(50a)의 상면을 덮는 탑 커버(50c)와, 상기 케이스(50a)의 하면을 덮는 베이스(50d)로 이루어진다.
상기 섬프장치는 상기 캐비닛(50)의 바닥, 즉 베이스(50d)에 설치되어 물 등의 유체를 일시 저장하는 섬프(Sump)(62)와, 상기 섬프(62)에 설치되어 상기 섬프(62)의 수위를 감지하는 섬프 수위센서(64)와, 상기 섬프 수위센서(64)의 감지결과, 상기 섬프(62)의 수위(62l)가 설정치(62L)에 도달하면 상기 섬프(62)에 저장된 유체를 배수가 가능한 외부로 안내하여 배수하는 섬프 배수수단(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섬프(62)는 상기 베이스(50d)가 중앙에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50d)의 홈이 상기 섬프(62)가 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50d)에는 상기 세탁수 배수장치(58) 중 일부 및 상기 세탁조(54)를 지지하는 댐퍼(55) 등이 설치되므로, 상기 섬프(62)의 바닥 두께(62t)는 상기 베이스(50d)가 상기 베이스(50d)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의 무게 등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즉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적어도 0.7 내지 1.5mm로 형성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기 섬프(62)의 깊이(62h)는 너무 깊으면 상기 섬프(62)에 물 등의 유체가 장시간 저장되어 악취 등이 생길 수 있고 상기 베이스(50d)의 성형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너무 얕으면 상기 섬프 배수수단(66)이 빈번하게 작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50d)의 강도가 약하게 되므로, 적절한 수치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상기 섬프 수위센서(64)는 상기 섬프(62)에 배치되어 상기 섬프(62)의 수위(62l)에 따라 부양하는 플로트(Float)(64a)와, 상기 플로트(64a)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섬프(62)의 수위(62l)가 설정치(62L)에 도달하면 상기 플로트(64a)와 접점되어 온(ON)동작되는 단자 스위치(64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 스위치(64b)는 상기 섬프(62)의 수위(62l)의 설정치(62L)보다 상기 플로트(64a)의 두께만큼 상기 섬프(62)의 바닥으로부터 더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64a)와 단자 스위치(64b)는 상기 섬프(62)의 수위(62l)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서로 상하로 인 라인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 단자 스위치(64b)가 물 등의 유체에 의해 쇼트되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가 있는 바, 상기 섬프(62)에는 상기 플로트(64a)의 부양을 상하로 일 직선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단자 스위치(64b)를 받치는 스탠드(64c)가 설치된다.
상기 섬프 배수수단(66)은 상기 섬프(62)와 연결된 섬프 배수유로(66a)와,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섬프 수위센서(64)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를 개폐하는 섬프 배수밸브(66b)와,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섬프(62)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를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를 따라 압송하는 섬프 배수펌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세탁수 배수장치(58)가 상기 세탁조(54)와 연결되어 세탁조(54)의 세탁수를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안내하는 세탁수 배수파이프(58a)와, 상기 세탁수 배수파이프(58a)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조(54)의 세탁수를 상기 세탁수 배수파이프(58a)로 압송하는 세탁수 배수펌프(58b)로 구성되는 바, 상기 섬프 배수펌프는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58b)를 이용함으로써 비용 및 구조를 최소화활 수 있다.
이 때,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는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58b)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섬프(62)에 저장된 물 등의 유체가 일단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에 의해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58b)로 안내된 후 상기 세탁수 배수파이프(58a)의 안내를 받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탁시 세탁조(54)에 세탁물을 적치한 후 세탁기를 동작시키면, 먼저, 상기 세탁조(54)에 세탁수와 세제가 공급된 후 구동모터(59)에 의해 상기 세탁조(54)가 구동된다. 그러면, 세탁물이 세제의 화학작용, 상기 세탁조(54)의 구동으로 인해 생기는 수류 및 상기 세탁조(54)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된다.
세탁이 완료되면, 상기 세탁조(54)의 세탁수를 배수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세탁조(54)에는 세탁수와 외부 환경과의 온도차이에 의해 응축수가 맺힐 수 있고 상기 세탁조(54)의 세탁수가 누수될 수도 있는데, 이처럼 캐비닛(50)의 내부에 생긴 물 등의 유체는 상기 캐비닛(50)의 내벽을 따라 일단 상기 캐비닛(50)의 베이스(50d)에 형성된 섬프(62)에 모아진다.
이 때, 상기 섬프(62)에 물 등의 유체가 모아짐에 따라 상기 섬프(62)의 수위(62l)가 상승하다가 상기 섬프(62)의 수위(62l)가 설정치(62L)에 도달하면, 플로트(64a)와 단자 스위치(64b)가 서로 접점되어 상기 단자 스위치(64b)가 온(ON)동작된다. 상기 단자 스위치(64b)가 온(ON)동작되면, 섬프 배수유로(66a)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58b)가 구동되어 상기 섬프(62)에 고여있던 물 등의 유체가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58b)의 압송력에 의해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와 세탁수 배수파이프(58a)를 따라 하수구 등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안내되어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섬프(62)에 고여있던 물 등의 유체가 배수되기 시작하면, 상기 섬프(62)의 수위(62l)가 바로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플로트(64a)와 단자 스위치(64b)가 단락되므로, 상기 플로트(64a)와 단자 스위치(64b)가 접점되면 상기 플로트(64a)와 단자 스위치(64b)가 단락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섬프(62)에 고여있던 물 등의 유체가 배수되도록 제어된다.
물론, 상기 플로트(64a)와 단자 스위치(64b)가 단락됨과 아울러 상기 섬프(62)의 배수작용시간이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섬프 배수유로(66a)는 다시 폐쇄되고, 상기 세탁조(54)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시기가 아니면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58b)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는 캐비닛의 베이스에 물 등의 유체가 모아지는 섬프가 형성되고, 상기 섬프와 세탁수 배수장치 사이에 상기 섬프에 물 등의 유체가 충만하게 모아지면 상기 섬프에 모아진 물 등의 유체를 상기 세탁수 배수장치를 통해 하수구 등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배수하기 때문에 기존 장치와 연계하여 간단한 구조로 세탁기의 설치장소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캐비닛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 50d : 베이스
54 : 세탁조 56 : 급수장치
58 : 배수장치 62 : 섬프
64 : 섬프 수위센서 66 : 섬프 배수수단

Claims (7)

  1. 캐비닛의 바닥에 설치되어 유체를 저장하는 섬프(Sump)와; 상기 섬프에 설치된 섬프 수위센서와; 상기 섬프 수위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섬프의 수위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섬프의 유체를 외부로 배수하는 섬프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상기 캐비닛의 바닥 일부에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의 바닥은 0.7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수위센서는 상기 섬프의 수위에 따라 부양하는 플로트(Float)와; 상기 플로트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섬프의 수위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상기 플로트와 접점되는 단자 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배수수단은 상기 섬프와 연결된 섬프 배수유로와; 상기 섬프 배수유로를 개폐하는 섬프 배수밸브와; 상기 섬프 배수유로 상에 설치된 섬프 배수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배수펌프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어 세탁이 행해지는 세탁조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세탁수 배수펌프이고, 상기 섬프 배수유로는 상기 세탁수 배수펌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KR1020040015094A 2004-03-05 2004-03-05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KR20050089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94A KR20050089597A (ko) 2004-03-05 2004-03-05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94A KR20050089597A (ko) 2004-03-05 2004-03-05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597A true KR20050089597A (ko) 2005-09-08

Family

ID=3727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094A KR20050089597A (ko) 2004-03-05 2004-03-05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95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8924A3 (en) * 2008-08-12 2010-04-08 Sang Soon Ha Pneumatic pump system
KR20200056125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8924A3 (en) * 2008-08-12 2010-04-08 Sang Soon Ha Pneumatic pump system
KR20200056125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69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US20050241675A1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7520283B2 (en) Water level senso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0856783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CA2344979C (en) Drain pump mounted pressure switch for a washing machine
KR20050089597A (ko) 세탁기의 캐비닛 어셈블리
KR20090114602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1866B1 (ko) 식기세척기
JP5430102B2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KR100280605B1 (ko) 드럼세탁기의 급수밸브 고장시 세탁수를 배수시키는 방법
KR20060106029A (ko) 드럼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배수구조
KR20050102929A (ko) 세탁기의 플로트 스위치
KR20070064002A (ko)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100844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100463768B1 (ko) 식기 세척기
CN1779042A (zh) 洗衣机的箱体装配结构
KR20060044168A (ko) 세탁기
CN217186024U (zh) 一种洗碗机的防溢水结构及洗碗机
CN219846439U (zh) 一种清洗机
JPS5920859Y2 (ja) 食器洗浄機
KR101270608B1 (ko) 세탁기의 급수제어방법
KR20070059413A (ko) 세탁기의 수질감지구조
KR20040020711A (ko) 드럼 세탁기의 수위 감지 장치
KR20040023104A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차단장치
KR100360433B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수위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