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853A -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853A
KR20050088853A KR1020040014402A KR20040014402A KR20050088853A KR 20050088853 A KR20050088853 A KR 20050088853A KR 1020040014402 A KR1020040014402 A KR 1020040014402A KR 20040014402 A KR20040014402 A KR 20040014402A KR 20050088853 A KR20050088853 A KR 2005008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application
dynamic memory
transa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8853A/ko
Priority to CNB2004100889500A priority patent/CN1317911C/zh
Publication of KR2005008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8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트랜젝션이 오류를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세션과 트랜젝션에 전역변수로 할당된 동적 메모리 점유를 강제 해제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각 응용 프로그램이 점유하는 동적 메모리와 정적 메모리의 할당과 해제를 제어하며,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오류를 감시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저장되고 출력되는 응용부;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동적과 정적 메모리를 제공하는 메모리부;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부;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해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각 운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초기과정; 상기 과정에서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고 검출하는 경우 해당 세션에 통보하는 검출과정; 상기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한 제어부는 세션이 구성하는 트랜젝션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구성하는 모든 세션에 할당된 동적 메모리를 차례로 강제 점유 해제하는 강제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MANAGING DYNAMIC MEMORY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오류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특히, 트랜젝션이 전역변수에 의하여 할당받고 점유한 동적 메모리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세션의 동적 메모리 할당을 강제 해제하여 오류 발생을 줄이고 전체 동적 메모리의 이용률을 제고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되고, 해당 기지국(BS)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신장비는, 실제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작고, 통신을 위한 대기(STANDBY) 상태로 휴대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므로, 운용률 또는 사용률이 낮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낮은 운용률 또는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일 예로, 무선 온라인 게임(ONLINE GAME), 무선인터넷(WIRELESS INTERNET) 접속, 문자메시지 전송, 영상메시지 전송 등이 있고, 휴대단말기 제조사(MAKER)에서 개발 생산하므로 제공되는 부가기능(이하 부가서비스라 함), 일 예로, 전화번호부(PHONE-BOOK) 관리, 메모 작성, 메시지 작성, 스케줄 관리, 게임, 카메라, 전자계산기, 알람, 착신벨 설정 등과 같이 다양하며, 계속 새로운 부가서비스가 개발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이 내장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메모리(MEMORY) 할당을 필요로 하고, 상기 각 프로그램에 할당되는 메모리는 동적(DYNAMIC) 메모리와 정적(STATIC) 메모리가 있다.
상기 정적(STATIC) 메모리는 해당 프로그램에 고유하게 할당되는 것으로, 다른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없는 것이고, 상기 동적(STATIC) 메모리는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전역변수(GLOBAL VARIABLE 또는 PARAMETER)에 의하여 할당받아 사용하고, 사용 완료되면 반납하는 것으로, 공통(COMMON)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이다.
휴대단말기(MS)에 사용되는 각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다수의 세션(SESSION) 또는 엠엠아이(MMI: MAN MACHINE INTERFACE)로 분류되며, 상기 엠엠아이(MMI)는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과, 네트웍을 관리하며 실질적으로 일반 데이터를 처리하는 트랜젝션(TRANSACTION)이 있다.
상기 세션(SESSION) 또는 엠엠아이(MMI)는 정적(STATIC) 메모리를 독자적으로 할당받아 점유 사용하는 것으로, 해당 정적 메모리 점유 및 사용에 오류(ERROR)가 발행하여도 다른 프로그램 운용에 영향이 없다.
상기 트랜젝션(TRANSACTION)은 사용 후 반납하여야 하는 공용(COMMON)의 동적(DYNAMIC) 메모리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동적 메모리는 프로그램의 오류 등으로 할당 및 점유 사용 도중에 오류(ERROR)가 발생되면, 상기 오류(ERROR)에 의하여 할당 점유된 동적 메모리의 점유해제 및 반납이 진행되지 않게되므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에 장애가 발생한다.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동적 메모리를 주로 점유하는 트랜젝션에 오류 발생의 경우, 다른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 운용에 장애가 발생하므로, 휴대단말기가 다운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랜젝션에 의하여 발생하는 동적 메모리 점유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이용개념 설명도 이고, 도2 는 휴대단말기 트랜젝션 메모리의 구성상태 설명도 이며, 도3 은 휴대단말기 세션과 이동통신 시스템 서버와의 신호 흐름상태 설명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이용개념을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를 가입자(CLIENT)라 하고,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가입자와 무선접속(AIR INTERFACE)(1-1)하여 모든 프로그램의 운용을 제어 관리하고 분석하여 해당 처리하는 것을 서버(SERVER)라고 하며, 상기 무선접속에는 주로 트랜젝션이 사용된다.
상기 서버(SERVER)와 가입자(CLIENT) 사이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이 운용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가 송수신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단위로 트랜젝션(TRANSACTION)과 세션(SESSION) 또는 엠엠아이(MMI)가 있으며, 다수의 트랜젝션이 모여서 하나의 세션을 구성하고, 하나의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은 다수의 세션에 의하여 운용된다.
즉. 응용 프로그램은 다수의 세션 또는 엠엠아이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세션 또는 엠엠아이는 다수의 트랜젝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트랜젝션은 운용을 위한 데이터 전송의 최소 단위인 동시에 실질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므로, 하나의 특정한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에 오류(ERROR)가 발생하고 휴대단말기의 다른 중요 기능에 오류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입자 또는 휴대단말기에는 다양한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구비되고 있으며, 각 프로그램은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코어(PROTOCOL CORE) 파트(1-3)와, 상기 프로토콜(1-3)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부 창(WINDOW)을 통하여 보여주기 위한 엠엠아이(MMI: MAN MACHINE INTERFACE) 파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가입자(CLIENT) 또는 휴대단말기에 일체로 구비되는 메모리(MEMORY)를 단독적이고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정적(STATIC) 메모리 영역과, 전역변수(GLOBAL VARIABLE 또는 PARAMETER)에 의하여 동적(DYNAMIC)으로 할당받고 점유하여 사용하는 동적 메모리 영역이 있다.
상기 첨부된 도2에는, 트랜젝션이 전역변수에 의하여 동적 할당받아 점유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된 후에 점유 해제하여 반환하는 동적 메모리의 구성상태를 도시하였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면에 도시된 동적(DYNAMIC) 메모리는, 오버헤드로 세션(SESSION) 또는 엠엠아이(MMI)를 표시하는 M 영역과, 트랜젝션(TRANSACTION)을 표시하는 T 영역을 구비하고, 데이터(DATA)를 기록하는 MEM 영역을 구비하는 상태이다.
일 예로, 상기 그룹1의 메모리 영역은 30 K BYTE이고, 상기 그룹2의 메모리 영역은 50 K BYTE 이며, 상기 그룹3의 메모리 영역은 100 K BYTE를 도시한 것이며,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은 할당받은 전역변수를 분석하여 최적 크기의 메모리를 동적으로 할당받아 점유하고, 점유 상태가 오버헤드의 M 영역과 T 영역에 각각 기록된다.
즉,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은, 다수의 세션에 의한 M 영역으로 구성되어 점유하고, 각 세션은 다수의 트랜젝션에 의한 T 영역으로 구성되어 점유하며, 상기 점유된 메모리(MEM) 영역은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크기에 의하여 그룹1, 그룹2, 그룹3을 모두 사용하는 혼합상태이거나 또는 어느 한 그룹에 편중되는 상태 등이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휴대단말기의 세션과 이동통신 시스템 서버와의 신호 흐름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로그인(LOGIN)을 처리하는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에 의한 세션(SESSION)이 로그인 요청(LOGIN REQUEST)을 하면(ST10), 휴대단말기(MS)의 무선부는 이통시스템(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부에 로그인 요청 신호를 인스탄트 메시지인 트랜젝션(TRANSACTION)을 통하여 무선송신하고(ST20), 해당 서버(SERVER)에 의하여 분석처리되어 이통시스템의 무선부를 통하므로 로그인 응답(LOGIN RESPONSE) 신호를 휴대단말기의 무선부에 트랜젝션으로 회신한다(ST30).
상기 휴대단말기 무선부는, 이용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요청신호(CLIENT CAPABILITY REQUEST)를 송신하고(ST40), 상기 이통시스템 무선부는 이용 가능한 상태임을 통보하는 회신신호(CLIENT CAPABILITY RESPONSE)를 송신한다(ST50).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무선부는, 이용 가능한 목록 요청신호(GET LIST REQUEST)를 송신하고(ST60), 상기 이통시스템 무선부는 이용 가능한 목록을 통보하는 회신신호(GET LIST RESPONSE)를 송신한다(ST70).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 무선부는, 상기 목록을 관리하도록 요청신호(LIST MANAGE REQUEST)를 송신하고(ST80), 상기 이통시스템 무선부는 목록을 관리하도록 하는 회신신호(LIST MANAGE RESPONSE)를 송신한다(ST90).
상기 휴대단말기(MS)의 무선부와 이통시스템의 무선부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트랜젝션에 의하여 전송되는 인스탄트 메시지(INSTANT MESSAGING)이고, 이통시스템은 해당 서버와 통신하여 응답(RESPONSE) 신호를 무선부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휴대단말기 무선부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세션에 로그인이 완료되었다는 신호(LOGIN RESPONSE)를 전송(ST100) 하는 동시에 상기 이통시스템의 무선부에 현재 상태의 정보를 요청(GET PRESENCE REQUEST)하고(ST110), 상기 이통시스템의 무선부는 현재 상태의 정보를 회신(GET PRESENCE REQUEST)하며(ST120), 상기의 회신을 받은 휴대단말기의 무선부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세션에 현재의 결과(PRESENCE RESULT)를 통보하므로 로그인(LOGIN)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수행이 종료된다(ST130).
상기 일 예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의 각 트랜젝션은, 상기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동적 메모리를 할당받을 수 있는 전역변수에 의하여 동적 메모리 점유 및 데이터 처리와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와 전송이 완료되면 할당받은 메모리의 점유를 해제하여 반환한다.
그러나, 특정 트랜젝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할당받고 점유한 메모리의 점유 해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동시에 점유된 메모리의 반환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므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이 동적 메모리를 할당받지 못하여 운용 오류 또는 장애가 발생되고, 결국 휴대단말기의 운용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특정 트랜젝션에 오류 발생하는 경우, 해당 트랜젝션이 속해있는 세션이 관리하는 모든 동적 메모리와 해당 세션이 속해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관리하는 모든 동적 메모리의 점유를 강제 해제하고 반환하므로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휴대단말기 전체 운용을 원활하게 하는 휴대단말기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각 응용 프로그램이 점유하는 동적 메모리와 정적 메모리의 할당과 해제를 제어하며,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오류를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저장되고 출력되는 응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동적과 정적 메모리를 제공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해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장치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각 운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초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고 검출하는 경우 해당 세션에 통보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한 제어부는 세션이 구성하는 트랜젝션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구성하는 모든 세션에 할당된 동적 메모리를 차례로 강제 점유 해제하는 강제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를 설명하면, 휴대단말기의 제어부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부(100)와,
상기 무선부와 접속되고 휴대단말기의 각 응용 프로그램이 점유하는 동적 메모리와 정적 메모리의 할당과 해제를 제어하며,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오류를 감시하는 것으로,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트랜젝션의 운용상태를 감시하여 오류(ERROR)가 발생하면, 해당 세션에 통보하고 구성되는 모든 트랜젝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의 점유를 차례로 강제 해제하며,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구성되는 모든 세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의 점유를 차례로 강제 해제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동적과 정적 메모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 응용 프로그램의 세션을 위한 정적 메모리 영역과 트랜젝션을 위한 동적 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으로,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각각 필요로 하는 정적 메모리를 포함하여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주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할당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저장되고 출력되는 응용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으로, 상기 응용부(140)의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부(130)에서 할당하고 점유한 메모리부(120)의 동적 메모리 영역 사용이 완료되면 점유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110)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부(130)에 통보하는 메모리 해제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종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여 표시하는 입출력부(1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부(140)를 검색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읽고 설정(SETTING)하며, 상기 설정된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OPERATING)을 위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주소 할당 제어신호인 전역변수(GLOBAL VARIABLE)를 할당받는다.
상기 제어부(110)는 메모리 할당부(130)로부터 할당된 전역변수에 의하여 메모리부(120)의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으며, 상기 할당된 메모리 영역에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고정적으로 할당되는 정적 메모리 영역이 있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트랜젝션 처리를 위하여 공용 메모리로부터 해당 처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할당받고 점유하며 해당 처리가 끝나면 점유 해제를 통하여 반납하여야 하는 동적 메모리 영역이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을 위하여 할당된 정적 메모리와 동적 메모리를 이용하여 해당 운용을 하며, 프로그램의 운용과정에서 세션의 관리를 받으며 이통시스템(이동통신시스템) 무선부와 휴대단말기 무선부(100) 사이에서 실질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는지 또는 정상적으로 운용되는지를 감시한다.
상기 감시에서 트랜젝션에 오류 발생이 없으면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상기 감시에서 트랜젝션에 오류 발생이 검출되면, 상기 오류가 검출된 트랜젝션을 관리하는 세션(session) 또는 엠엠아이(MMI)에 통보하고, 상기 세션이 관리하는 모든 트랜젝션이 상기 전역변수에 의하여 메모리부(120)로부터 할당받고 점유하여 운용중인 모든 동적 메모리 영역을 상기 메모리 해제부(150)에 의하여 강제로 메모리의 할당 점유가 해제된다.
상기 세션에 구성되는 모든 트랜젝션이 해당 순서에 의하여 동적 메모리 점유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이 관리하는 모든 세션에 대하여 점유하고 있는 동적 메모리 점유를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20)의 동적 메모리 자원 할당 용량이 증가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공용 메모리인 동적 메모리 자원의 운용을 원활하게 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전체적 운용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각 운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제어부(110)에 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구성되는 각 트랜젝션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진 초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고 검출하는 경우 해당 세션에 통보하는 것으로, 상기 초기과정에서 감시하는 트랜젝션의 운용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트랜젝션의 운용에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해당 세션에 통보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진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한 제어부는 세션이 구성하는 트랜젝션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구성하는 모든 세션에 할당된 동적 메모리를 차례로 강제 점유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세션을 구성하는 모든 트랜젝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를 순서에 의하여 차례로 점유 해제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의 세션이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구성되는 모든 세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를 순서에 의하여 차례로 점유 해제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강제과정과,
상기 검출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각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행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정상 운용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의 제어부(110)는 응용부(140)로부터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을 읽고 운용하는지 판단하며(S100), 상기 판단(S100)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의 세션(SESSION) 또는 엠엠아이(MMI)가 관리하는 각각의 트랜젝션이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를 감시한다(S110).
상기 감시(S110)에서,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운용되고(S160), 상기 감시(S110)에서 특정한 트랜젝션에 운용 오류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20), 상기 오류 발생한 트랜젝션을 관리하는 세션에 오류 발생 정보를 통보하고(S130), 상기 트랜젝션이 관리되는 세션의 모든 트랜젝션이 전역변수에 의하여 할당받고 점유 중인 동적 메모리 영역을 차례로 점유 해제(S140)하며,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관리하는 모든 세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를 소정의 순서에 의하여 차례로 점유 해제한다(S15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특성상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동시 구동되는 상태에서,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에는 휴대단말기의 운용 장애로 발전하는 것을, 본 발명은, 오류 발생한 응용 프로그램이 점유한 모든 동적 메모리를 강제로 할당해제 하므로, 다른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어느 하나의 트랜젝션 오류에 의하여 동적 메모리를 계속 점유하므로, 전체 운용에 장애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산업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각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 중에 트랜젝션에 의하여 장애를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이 점유하는 모든 동적 메모리의 점유를 해제하고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위하여 할당하므로, 동적 메모리의 이용률을 최대화하고 휴대단말기의 메모리를 늘리는 것과 같은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이용개념 설명도,
도2 는 휴대단말기 트랜젝션 메모리의 구성상태 설명도,
도3 은 휴대단말기 세션과 이동통신 시스템 서버와의 신호 흐름상태 설명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기능 구성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무선부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부
130 : 메모리할당부 140 : 응용부 150 : 메모리해제부
160 : 입출력부

Claims (11)

  1. 휴대단말기의 각 응용 프로그램이 점유하는 동적 메모리와 정적 메모리의 할당과 해제를 제어하며,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오류를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기록저장되고 출력되는 응용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동적과 정적 메모리를 제공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 응용 프로그램의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해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통신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제어부의 감시와 제어에 의하여 각종 제어명령과 다이얼링 신호 및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여 표시하는 입출력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각 응용 프로그램의 세션을 위한 정적 메모리 영역과 트랜젝션을 위한 동적 메모리 영역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할당부는,
    다수 응용 프로그램이 각각 필요로 하는 정적 메모리를 포함하여 동적 메모리를 할당하는 주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해제부는,
    상기 응용부의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되기 위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부에서 할당하고 점유한 상기 메모리부의 동적 메모리 영역 사용이 완료되면 점유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 할당부에 통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트랜젝션의 운용상태를 감시하여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세션에 통보하고 구성되는 모든 트랜젝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의 점유를 차례로 강제 해제하며,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구성되는 모든 세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의 점유를 차례로 강제 해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7.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각 운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세션과 트랜젝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초기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생하고 검출하는 경우 해당 세션에 통보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오류를 검출한 제어부는 세션이 구성하는 트랜젝션과,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구성하는 모든 세션에 할당된 동적 메모리를 차례로 강제 점유 해제하는 강제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과정에서 판단하여 각 트랜젝션에 오류가 발행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정상 운용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과정은,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운용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구성되는 각 트랜젝션의 운용상태를 감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과정은,
    상기 초기과정에서 감시하는 트랜젝션의 운용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트랜젝션의 운용에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해당 세션에 통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과정은,
    상기 세션을 구성하는 모든 트랜젝션이 점유한 동적메모리를 순서에 의하여 차례로 점유 해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세션이 포함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구성되는 모든 세션이 점유한 동적 메모리를 순서에 의하여 차례로 점유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방법.
KR1020040014402A 2004-03-03 2004-03-03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50088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02A KR20050088853A (ko) 2004-03-03 2004-03-03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CNB2004100889500A CN1317911C (zh) 2004-03-03 2004-11-09 对便携终端的动态存储器进行管理的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402A KR20050088853A (ko) 2004-03-03 2004-03-03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853A true KR20050088853A (ko) 2005-09-07

Family

ID=3503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402A KR20050088853A (ko) 2004-03-03 2004-03-03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88853A (ko)
CN (1) CN1317911C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469A (en) * 1990-07-30 1994-10-11 Delphi Data, A Division Of Sparks Industries, Inc. Method for detecting program errors
CA2136154C (en) * 1994-11-18 1999-08-24 Jay William Benayon User control of multiple memory heaps
US7007071B1 (en) * 2000-07-24 2006-02-28 Mosai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ol starvation in a shared memory switch
US6701451B1 (en) * 2000-08-11 2004-03-02 Emc Corporation Selective correction of data errors
CN1183453C (zh) * 2001-12-21 2005-01-05 上海贝尔有限公司 一种内存管理系统及其分配方法
JP2003288266A (ja) * 2002-03-28 2003-10-10 Fujitsu Ltd メモリ割当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5327A (zh) 2005-09-07
CN1317911C (zh)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63B1 (ko) 스케쥴 내용에 따라 메신저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메신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0421431C (zh) 一种实现即时消息通信的方法
US20030119540A1 (en) Contact list-based group call
CN109347934B (zh) 消息推送方法和系统以及服务器、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8068866B2 (en) Group communication server
CN111586098A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188643B (zh) Pdu会话的建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8540500B (zh) 多人通话的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0527118C (zh) 在通信网络中提供实体状态信息的方法和系统
JP2000101504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その通信速度切換方法
CN112312494A (zh) 通信方法及终端设备
EP1169872B1 (en) Managing service components of mobile terminal
US11265969B2 (en) Management device, terminal device,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050088853A (ko) 휴대단말기의 동적 메모리 관리장치 및 방법
US20020002620A1 (en) Server apparatus to distribute music data
JP2022141926A (ja) 管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710784A (zh) 北斗rdss无线资源动态分配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4650501A (zh) 北斗rdss无线资源动态分配方法、系统、服务终端及存储介质
CN103888621A (zh) 一种呼叫方法、设备及系统
KR100833290B1 (ko) 메시지 일괄 수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259052B1 (ko) 개인 휴대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전송속도 결정방법
CN110213319B (zh) 接入方法及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KR100690821B1 (ko) 문자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40087204A (ko) 멀티미디어 자동응답 시스템
KR100680747B1 (ko) 가입자 상태정보를 홈위치등록기에 보다 용이하게업데이트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