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273A -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273A
KR20050088273A KR1020050073277A KR20050073277A KR20050088273A KR 20050088273 A KR20050088273 A KR 20050088273A KR 1020050073277 A KR1020050073277 A KR 1020050073277A KR 20050073277 A KR20050073277 A KR 20050073277A KR 20050088273 A KR20050088273 A KR 2005008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hone
incoming call
call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5965B1 (en
Inventor
양재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965B1/en
Publication of KR2005008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2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9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본 발명은 TV(television)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이하 "TV폰"이라 칭함)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TV 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TV 폰이 TV 모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과정과, TV 유니트를 자동적으로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TV 폰의 동작 모드를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바로 스위칭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television mobile 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V phone") in which a television (television) and a mobile phone are integrat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TV phone, the process of alarming the user when the phone receives an incoming call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TV mode, and automatically deactivates the TV unit, the operation of the TV phon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mode directly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Description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How to control the operation mode of a television mobile phone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TV(television)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이하 "TV폰"이라 칭함)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television cellular 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V telephone") in which a television (television) and a cellular phone are integrated.

휴대폰(portable telephone)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단순한 통화 기능 이외에 소비자의 요구(needs)에 따라 여러 가지의 기능이 더 부가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계산기 기능, 바이오리듬 체크 기능 및 TV, 비디오 카메라 및 화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들이 추가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TV폰이라 함은 이동 통신 전화 기능 이외에 휴대폰의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TV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형태의 휴대용 이동 무선 전화기를 칭한다. With the rapid spread of portable telephones, various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to simple telephone func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consumers. For example, a calculator function, a biorhythm check function, and a TV, a video camera, and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s are being developed. Here, the TV phone refers to a portable mobile wireless telephone in which a TV broadcast program can be viewed using a display device of a mobile phone in addi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function.

상기와 같은 TV방송 수신 기능을 위해서 휴대폰 내에는 적어도 2개의 RF회로(radio frequency unit)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휴대폰의 고유 메세지(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과 TV방송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며, 동작 모드도 크게 폰 모드(phone mode)모드와 대기모드(waiting mode) 및 상기 대기모드를 겸용하는 TV 모드(TV mode)로 구별된다. 상기 TV폰은 TV 모드에서 수신되는 텔레비전 방송의 화면 및 음성을 휴대폰의 표시장치인 LCD(liquid crystal display) 혹은 TFT(thin film transistor)와 스피커 혹은 이어폰을 각각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TV 모드 상태에서 전화 착신 및 문자 메시지의 착신을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이 일반적인 휴대폰과는 달라야한다. For the TV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t least two radio frequency units must be present in the mobile phon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frequency band required for transmitting / receiving the unique messages (voice and data) of the mobile phone and the frequency band of the TV broadcas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operation mod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phone mode, the waiting mode, and the waiting mode. The TV mode is also used as the standby mode. Since the TV phone must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a speaker or earphone, which are the display devices of the mobile phone, to receive the screen and sound of a television broadcast received in the TV mode, the call is received in the TV mode. And the method of notifying the user of the receipt of the text message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normal mobile phone.

왜냐하면, 휴대폰의 표시장치와 스피커에서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 및 음성이 각각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화 착신이 발생되거나 문자 메시지가 착신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 줄 수 있는 방법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TV 폰은 TV 모드에서 전화 착신(in- coming call) 및 문자 메시지의 착신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새로운 기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re is no way to notify the user immediately when an incoming call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while the screen and voice of the broadcast program selected by the display device and the speaker of the mobile phone are respectively output.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such a TV phone requires a new function for informing a user more quickly and accurately of an incoming call and a text message in the TV mode.

또한, TV 폰을 이용하여 TV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착신에 응답하는 경우(전화사용을 승인하는 경우)에는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상대방인 호출자와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며,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TV와 관련된 회로의 동작을 디스에이블(Disable)하여야 한다. 만약, TV폰을 이용하여 TV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착신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전화사용을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착신을 거부하여야만 시청 중이었던 TV를 원활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전화착신 상태에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answering an incoming call (approving the use of the phone) while watching a TV program using a TV phone, the user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to talk with the caller who is the other party. And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associated with the TV should be disabled to prevent battery drain. If the user does not answer the call when the user is watching the TV program using the TV phone (if the user does not approve the use of the phone), the user must be denied the call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TV smooth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nsure that the user is not delivered to the incoming call sta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TV와 휴대폰이 일체화되어 음성 송수신 및 TV 방송수신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된 TV 폰에서 전화 착신 시 자동으로 TV수신모드에서 폰모드로 전환되는 TV 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mode control method of a TV phone which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a TV reception mode to a phone mode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from a TV phone configured to integrate TV and a mobile phone to sel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voice and TV broadcast.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V 방송을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TV 모드에서 상대방의 호출에 의해 착신 신호가 수신될 때 자동으로 전화 착신을 사용자에게 알람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폰 모드 혹은 착신 거부 모드로 전환되는 TV 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alert the user of an incoming call when an incoming signal is received by a call of the other party in a TV mode for outputting a TV broadcast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phone mode or a call rejection mode.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is switched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V 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TV 폰이 TV 모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과정과, TV 유니트를 자동적으로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TV 폰의 동작 모드를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바로 스위칭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TV phone, the process of alarming the user when the phone receives an incoming call message from a base station in a TV mode, and automatically deactivating the TV unit,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s of switching directly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또한 본 발명은 TV 폰의 TV 모드에서 착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TV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TV 모드에서 착신호 발생 시 착신호의 발생을 표시하는 과정과, 통화 확인키가 입력되면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TV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cessing an incoming call signal in the TV mode of the TV phone, performing the TV mode, displaying the generation of the incoming call when the incoming call occurs in the TV mode, and when the call confirmation key is input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mode to the phone mode, otherwise to maintain the TV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TV 폰의 TV 모드에서 착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이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for processing the incoming signal in the TV mode of the TV phon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directly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when the answering machine switching mode is se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levision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참조번호 16, 30 및 32들 각각은 휴대폰 모듈 내의 MRFU(mobile radio frequency unit), MSP(mobile station processor)(30) 및 키패드(order key pad)들이다. 이러한 회로들은 통상적인 디지털 휴대폰,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휴대폰 내에 적용되는 회로들에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더 부가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하는 설명에 의해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s 16, 30, and 32 are each a mobile radio frequency unit (MRFU), a mobile station processor (MSP) 30, and an order key pad in a mobile phone module. Such circuits are configured by further adding the components for per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to circuits applied in a conventional digital cellular phone, for exampl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phone,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understood by self.

그리고 18, 34, 36, 38 및 40들은 TV 유니트, OSD(ON-screen display), 멀티플렉서(multiplexer: 이하 "MUX"라 칭함), TV 음성신호처리부 및 표시장치들이다. 여기서 상기 TV유니트(18)와 TV음성신호처리부(38)가 TV 모듈이다. 18, 34, 36, 38 and 40 are TV units, on-screen displays (OSDs), multiplex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Xs"), TV audio signal processing units and display devices. The TV unit 18 and the TV audio signal processor 38 are TV modul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TV 폰의 동작 모드가 TV 모드의 일 때 전화 착신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TV 모드를 폰 모드로 전환하거나 TV 모드를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MSP(30)내의 메모리 블럭(도시하지 않음)에 마스크 되어 있다. 2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television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TV mode by reception of an incoming call messag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shown in FIG. 1 is a TV mode. To switch to phone mode or to maintain TV mode. This program is masked in a memory block (not shown) in the MSP 30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TV 폰의 동작 모드가 TV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 하에 설명한다. 상기 도 1과 같은 TV 폰의 전화 착신의 알람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어 사용자에게 알람된다. 예를 들면, TV 음성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제1착신모드와, TV 음성을 뮤트(mute)하고 TV 영상의 출력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제2착신모드와, TV 영상 표시 화면의 특정 위치에 전화 착신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3착신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shown in FIG. 1 is set to the TV mode before explain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of the incoming call of the TV phone as shown in FIG. 1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d is alarmed to the user. For example, a first incoming mode for "turning on / off" TV sound, a second incoming mode for muting TV sound and "on / off" switching output of TV image, and a TV video display screen Assume that any one of the third incoming call modes for displaying the incoming call message at a specific position of is set.

도 1과 같이 구성된 TV 폰이 동작되면, 전파를 대기로 송신하거나 대기중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2)는 대기중의 전파를 수신하여 이에 접속된 대역수신필터(14)와 MRFU(16)로 공급한다. 상기 대역수신필터(14)는 수신되는 주파수중 TV 방송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만을 대역 통과 필터링하여 출력단에 접속된 TV 유니트(18)에 입력시킨다. When the TV phon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is operated, the antenna 12 which transmits radio waves to the air or receives air waves in the air receives the air wave in the air and is connected to the band receiving filter 14 and the MRFU 16 connected thereto. To supply. The band reception filter 14 performs band pass filtering on only the frequencies of the TV broadcast frequency bands among the received frequencies and inputs them to the TV unit 18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이와 같은 상태에서 TV 폰의 동작 모드가 TV 모드로 설정되면, MSP(30)는 TV유니트(18) 및 TV 음성신호처리부(38)로 전원제어신호(PW)를 공급하여 동작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MSP(30)는 키패드(32)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선택신호 혹은 이전에 시청하고 있던 채널을 선택하는 채널선신호(CH-S)를 TV 유니트(18)내의 위상동기루프(phase looked loop: 이하 "PLL"이라고 칭함)(22)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PLL(20)은 이에 대응하는 동조주파수(SEL-F)를 발진하여 TV 튜너(20)로 제공하며, 상기 TV 튜너(20)는 상기 동조주파수(SEL-F)와 상기 대역수신필터(14)를 통한 수신 신호를 합성하여 다운컨버팅(down converting)된 영상중간주파신호(VIF:video intermediate frequency)와 음성중간주파신호(AIF;audio intermediate frequency)를 출력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is set to the TV mode, the MSP 30 supplies the power control signal PW to the TV unit 18 and the TV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8 to enable operation. The MSP 30 inputs a channel selection signal input from the keypad 32 or a channel line signal CH-S for selecting a channel that has been previously watched. 22 to " PLL " At this time, the PLL 20 oscillates a corresponding tuning frequency (SEL-F) to provide to the TV tuner 20, and the TV tuner 20 provides the tuning frequency (SEL-F) and the band reception filter. The received signal through 14 is synthesized to output a down converted video intermediate frequency (VIF) and an audio intermediate frequency (AIF).

상기 TV 튜너(20)의 출력에 접속된 영상복조부(24)는 상기 영상중간주파신호(VIF)를 복조하여 복합영상신호(Vcomp: composit Video signal)를 출력노드에 접속된 NTSC디코더(영상디코더)(26)로 공급함과 동시에 영상신호의 동기신호(Sync)를 문자삽입신호 발생기(28)으로 제공한다. 상기 NTSC디코더(26)은 상기 복합영상신호(Vcomp)를 디코딩하여 R,G,B의 색신호로서 MUX(36)의 A단자로 제공다. An image demodulator 24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TV tuner 20 demodulates the vide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VIF to convert a composite video signal Vcomp into a NTSC decoder connected to an output node.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Sync) of the video signal to the character insertion signal generator (28). The NTSC decoder 26 decodes the composite video signal Vcomp and provides it to the A terminal of the MUX 36 as a color signal of R, G, and B.

상기 문자삽입신호 발생기(28)은 상기 동기신호(sync)를 카운팅하여 그 카운팅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일 때 문자삽입신호를 발생하는 문자삽입신호 발생한다. 즉, 상기 문자삽입신호 발생기(28)는 내부에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수평라인의 위치 값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카운터의 값과 메모리의 출력 값을 비교하여 동일할 때 수평동기신호의 귀선기간까지 활성화된 문자삽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 필드 혹은 프레임의 주기로 일정 구간의 문자 삽입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The character insertion signal generator 28 generates a character insertion signal that counts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generates a character insertion signal when the counting value is a preset value. That is, the character insertion signal generator 28 compares a counter for counting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herein with a memory in which a position value of a horizontal line is stored, and compares the value of the counter with an output value of the memory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equal. Comprising a comparator for generating a character insertion control signal activated up to a period of time to generate a character insertion control signal of a predetermined interval in each field or frame period.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TV 유니트(18)는 MSP(30)로부터 전원제어신호(PW)의 활성화에 의해 동작되어 채널선택신호에 따른 방송채널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 착신 시 착신 메시지가 삽입되기 위한 구간제어신호를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삽입 신호의 발생은 착신 알람 모드가 제3착신모드의 택스트 모드일 때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Therefore, the TV unit 18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the activation of the power control signal PW from the MSP 30 to output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f the broadcast channel according to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incoming message upon incoming call. It can be seen that the section control signal for inserting is generated. The generation of this character insertion signal will be very useful when the incoming alarm mode is the text mode of the third incoming mode.

한편, MUX(36)은 TV 모드시, MSP(30)로부터 "로우"의 상태로 출력되는 영상선택신호(SEL-M)에 의해 상기 NTSC디코더(26)로부터 출력되는 R, G, B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노드에 접속된 표시장치(40)내의 ADC(analog to dital converter)(42)로 입력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MUX 36 outputs R, G, and B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NTSC decoder 26 by the video selection signal SEL-M output from the MSP 30 in the "low" state in the TV mode. Is selected and input to the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42 in the display device 40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ADC(42)는 입력되는 R, G, B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타이밍 제어부(44)에 입력시킨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44)는 의사수직동기신호 및 의사수평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발생기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영상데이타에 의해 출력단에 접속된 TFT-LCD(46)를 구동하여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게 한다. The ADC 42 digitally converts the inputted R, G, and B video signals and inputs them to the timing controller 44. The timing controller 44 includes a synchronous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seudo vertical synchronous signal and a pseudo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to drive the TFT-LCD 46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by the input image data so that the screen is displayed.

또한, 상기 MSP(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제어신호(PW)에 의해 동작되는 TV음성신호처리부(38)는 상기 TV 튜너(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중간주파신호(AIF)를 신호처리 하여 TV방송프로그램의 음성신호를 스피커(SP)를 통해 재생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TV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8, which is operated by the power control signal PW output from the MSP 30, processes the voic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IF output from the TV tuner 20 to broadcast TV. The audio signal of the program is reproduced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SP.

따라서, 상기 도 1과 같은 TV 유니트(18)과 TV 음성신호처리부(38) 및 표시장치(40)들은 MSP(30)의 TV 모드의 제어에 의한 채널선택의 TV 방송프로그램의 영상 및 음성을 수신하여 재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 중에 사용자가 키패드(32)에 위치된 채널선택 키를 조작하여 소망하는 채널을 선택하면, MSP(30)가 채널선택신호(CH-S)를 변경함으로써 PLL(22)의 출력 및 동조주파수도 변경되어 TV튜너(20)의 채널이 변경된다. Accordingly, the TV unit 18, the TV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8, and the display device 40 as shown in FIG. 1 receive the video and audio of the TV broadcast program of channel selection by controlling the TV mode of the MSP 30. It can be seen that the playback.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channel by operating a channel selection key located on the keypad 32 during the operation, the MSP 30 changes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CH-S to output and tune the PLL 22. The frequency is also changed so that the channel of the TV tuner 20 is changed.

한편, 상기 안테나(12)에 접속된 MRFU(16)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수신 주파수대역의 전파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력증폭 후 상기 안테나(12)를 통해 무선 전파한다. 이러한 MRFU(16)는 통상적인 휴대폰내의 RF파트와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회로(Base band analog circuit)를 조합하여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CDMA방식의 무선송수신파트와 아날로그 신호를 CDMA방식의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고, CDMA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BBA회로로서, "QUALCOMM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BBA2.X(Q5312CDMA)"의 칩과 RF유니트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RFU (16) connected to the antenna 12 receives the radio wave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requency band of the portable telephone,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mplifies the power after the antenna 12 Radio waves through. The MRFU 16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combining a baseband analog circuit and an RF part in a typical mobile phone. For example, "BBA2.X" (Q5312CDMA) produced by "QUALCOMM" is a BBA circuit that converts a CDM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art and an analog signal into CDMA digital data and converts CDMA digital data into an analog signal. It can be made by combining the chip of "" and the RF unit.

상기 MRFU(16)에 접속된 MSP(30)는 키패드(32)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MSP(30)는 MRFU(16)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데이타의 신호처리 및 보코딩 등을 통해 수신된 순방향 채널 데이타 메시지의 분석,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능 및 이의 역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재생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CDMA 방식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MRFU(16)를 통해 역방향 채널로 송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MSP(30)는 수신된 순방향 채널 데이터 메시지가 전화착신에 관계된 메시지인 경우,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를 분석하여 도 3과 같은 착신 모드를 제어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화 착신 상태를 알람한다. 이러한 MSP(30)는 미합중국에 소재하는 "QUALCOMM사"에서 원칩 형태로 공급하는 "MSM2300"를 이용할 수 있다. The MSP 30 connected to the MRFU 16 analyzes a command provided from the keypad 32 and generates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the MSP 30 analyzes the received forward channel data message through demodulation, deinterleaving and decoding, data signal processing and vocoding, and the like. Has a function of reproducing an audio signal and its reverse function. For example, the reproduced analog audio signal is output to the speaker SP, and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is converted into a CDMA digit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reverse channel through the MRFU 16. Has the function to make In addition, when the received forward channel data message is a message related to the incoming call, the MSP 30 analyzes the incoming alarm mode set in the internal memory and controls the incoming mode as shown in FIG. 3 to call the user who is watching TV. Alarm incoming status. The MSP 30 may use the "MSM2300" supplied in a one-chip form from "QUALCOMM company"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상기 MSP(30)의 출력노드에 접속된 OSD(34)는 상기 MSP(30)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발생제어데이터에 대응하는 OSD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전술한 MUX(36)의 또다른 입력단자 B로 제공한다. 상기 MUX(36)은 TV 모드시, 상기 MSP(30)로부터 "로우"의 상태로 출력되는 영상선택신호(SEL-M)에 의해 입력단자 A로 입력되는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단자에 접속된 ADC(42)로 공급하게 된다.The OSD 34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MSP 30 generates an OSD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generation control data output from the MSP 30 to another input terminal B of the MUX 36 described above. to provide. The MUX 36 selects an image input to the input terminal A by the image selection signal SEL-M output from the MSP 30 in a "low" state in the TV mode, and connects the ADC to the output terminal. Supply to (42).

이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TV폰의 작동이 TV수신모드로 동작되어 소망하는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청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MSP(30)는 MRFU(16)의 출력을 모니터링(Monitoring)하여 자신을 호출하기 위한 휴대폰 전화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도 2의 102과정에서 검색한다. 이때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MSP(30)는 TV 모드로 계속 동작된다. 여기서,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라 함은 휴대폰을 호출하기 위한 링 정보 및 SMS(short message service)의 문자 메시지를 모두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operation of the TV phone shown in FIG. 1 is operated in the TV reception mode and is listening to the broadcast program of the desired channel, the MSP 30 monitors the output of the MRFU 16 to monitor itself. In step 102 of FIG. 2, a mobile phone call incoming call message is received. At this time, if no incoming call related message is received, the MSP 30 continues to operate in the TV mode. Here, the call-related incoming message includes both ring information for calling a mobile phone and a text message of SMS (short message service).

상기 MRFU(16)를 통해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사기 MSP(30)은 104과정에서 내부의 메모리 영역에 설정된 착신 알람 모드를 검색한다. 여기서 착신 알람 모드라 함은 이미 전술한 제1, 제2 및 제3착신모드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MSP(30)는 104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착신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화 착신이 있었음을 알린다. 예를 들어, 전화 착신 알람 모드가 벨 모드, 진동모드 및 램프(무음) 모드들 중 하나로 설정됨에 따라서 현재 시청하고 있는 TV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신호 혹은 음성신호 및 OSD(34)의 출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알람할 수 있다. 즉, TV음성 신호 처리부(38)의 출력을 뮤트(Mute)시키거나, 표시장치(40)을 통해 화면상의 출력을 제어하여 재생화면을 스위칭 시키거나, 특정 문자가 표시하여 알람할 수 있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MSP(30)가 TV음성신호 출력제어부(38)에 접속된 뮤트 신호의 활성화/비활성화, MUX(36)의 선택신호(SEL-M) 및 문자삽입신호에 동기하여 OSD(34)로 출력하는 문자발생제어신호(CD)등의 출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는 것들이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oming call related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MRFU 16, the fraudulent MSP 30 searches for an incoming alarm mode set in the internal memory area (104). In this case, the incoming alarm mode means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coming mode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MSP 30 notifies the user that there is a cal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call mode in step 104. For example, the incoming call alarm mode is set to one of the bell mode, the vibration mode, and the lamp (silence) mode, so that the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f the currently watching TV program and the output of the OSD 34 are properly controlled. Can be alarmed. That is, a method of muting the output of the TV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8, controlling the output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device 40, switching the playback screen, or displaying a specific character to alarm Can be applied. This control is performed by the OSD 34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SP 30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mute signal connected to the TV audio signal output control unit 38, the selection signal SEL-M of the MUX 36, and the character insertion signal. These can be executed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output of a character generation control signal (CD) or the like that is output as

상기 104과정에서 전화 착신을 알람한 MSP(30)는 106과정에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내부 메모리영역의 플래그를 검색하여 판단한다. 여기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라 함은 전화 착신이 있을 때 자동적으로 응답하여 상대방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의미한다.In step 104, the MSP 30, which alarms the incoming call,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ing machine switching mode is set by searching for a flag in the internal memory area. In this case, the auto answer switching mode refers to a mode set by the user to automatically answer a call when there is an incoming call so that a call can be made with the other party.

상기 106과정에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로 설정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MSP(30)는 110과정에서 파워제어신호(PW)를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켜 TV 유니트(18)와 TV 음성 신호 처리부(38)의 전원을 "오프"한다. 이와 같이 전원을 오프하는 이유는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MSP(30)는 112과정에서 MRFU(16)로 전화 착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공급하여 통화모드로 천이한다. 상기 112과정에 의한 전화 착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MRFU(16)는 수신된 신호를 역방향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통상의 휴대폰의 콜 프로시저와 같이 상대방과 휴대폰과의 통화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06 that the automatic response switching mode is set, the MSP 30 transitions the power control signal PW to an inactive state in step 110 to supply power to the TV unit 18 and the TV audio signal processing unit 38. "Off". The reason for turning off the power is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The MSP 30 then transitions to the call mode by supplying a response message to the incoming call to the MRFU 16 in step 112. The MRFU 16, which receives the response message for the incoming call in step 112,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verse channel to form a call channel between the other party and the mobile phone as in a normal mobile phone call procedure. do.

만약, 106과정에서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MSP(30)는 108과정에서 키패드(32)상에 설정된 전화 사용 허용키(SEND KEY, OK KEY 혹은 END KEY를 제외한 ANY KEY) 선택신호가 발생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TV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전화 착신을 인지하고 키패드상에 위치된 샌드(Send) 키 등을 선택하면, MSP(30)는 108과정에서 이를 검출하고, 전술한 110과정 이후를 실행하여 TV를 오프한 후 상대방과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If the answering machine switching mode is not set in step 106, the MSP 30 selects a telephone use allowance key (ANY KEY except SEND KEY, OK KEY or END KEY) set on the keypad 32 in step 108; To see if it occurs. When the user watching the TV recognizes the incoming call and selects the Send key located on the keypad in the above state, the MSP 30 detects this in step 108 and the process after step 110 described above. To turn off the TV and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그러나, 상기 108과정에서 전화 사용 허용키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MSP(30)는 114과정에서 전화 착신을 거부하는 키, 예를 들면, 엔드 키(ENF KEY)가 선택되었는지를 키패드(32)의 출력을 읽어 검색한다. 이때, 아무런 키패드(32)상에 위치된 키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화 착신을 인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과정으로부터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순방향 채널을 통해 전화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104과정의 동작에 의해 전화 착신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08 that the telephone use permission key is not input, the MSP 30 determines whether a key for rejecting a call, for example, an ENF KEY, is selected in step 114 of the keypad 32. Read and retrieve the output. At this time, if no key located on the keypad 32 is sel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incoming call,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Therefore, when the incoming call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forward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the incoming call is delivered to the user by the operation of step 104 described above.

만약, TV 방송의 영상 및 음성이 재생 출력되는 상태에서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신호를 인지한 사용자가 전화를 거부하기 위하여 키패드(32)상에 위치된 엔드키를 선택한 경우, MSP(30)는 116과정에서 착신을 거부한다. 착신의 거부는 MRFU(16)를 통해 수신된 순방향 채널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MSP(30)가 순방향 채널의 데이터에 포함된 링 데이터에 의해 스피커(SP)로 출력하는 링 톤 데이터의 출력을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현재 착신되는 링 관련 데이터의 출력을 디스에이블하면 현재 표시장치(40)의 TFT-LCD(46)를 통해 재생되는 영상과 TV음성신호처리부(38)로는 계속하여 선택된 채널의 영상과 음성이 재생 출력되어 진다. If the user who recognizes a signal indicating that a telephone call has been received while the video and audio of the TV broadcast is reproduced and output, selects an end key located on the keypad 32 to reject the telephone call, the MSP 30 may call 116. Reject incoming call in the process. The rejection of the call disables the output of the ring tone data outputted to the speaker SP by the ring data included in the data of the forward channel by the MSP 30 analyzing the data of the forward channel received through the MRFU 16. By doing so. In this way, when the output of the ring-related data that is currently received is disabled, the video and audio of the currently selected channel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to the video and TV audio signal processor 38 that is currently played through the TFT-LCD 46 of the display device 40. The playback is outpu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2와 같은 제어에 의해 사용자는 TV를 시청을 하는 상태에서 전화 착신이 발생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TV 폰의 동작 모드를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TV유니트를 오프시킴으로써 TV와 휴대폰의 동시 동작에 의한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TV 폰의 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receives a call while watching TV under the control as shown in FIG. 2, the user is alerted to the user,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in the TV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automatically switching to the mode and turning off the TV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discharged due to th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e TV and the mobile phone, and to use the TV phone more efficient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V와 휴대폰이 일체화된 TV 폰의 TV 모드에서 전화착신 시 폰 모드로의 전환을 비교적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TV 모듈과 관련된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세이빙(Saving)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saving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ircuit associated with the TV module while at the same time making it easy to switch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of the incoming call of the TV phone in which the TV and the mobile phone are integrated. ) Can be made easi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levision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2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of a television cellular 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TV 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In the operation mode control method of the TV phone, TV 폰이 TV 모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하는 과정과, Alarming the user when the TV phone receives an incoming call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TV mode; TV 유니트를 자동적으로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TV 폰의 동작 모드를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바로 스위칭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And automatically deactivating the TV unit and directly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TV phone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는 휴대폰을 호출하기 위한 링 정보 또는 문자 메시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The call-related incoming message is any one of ring information or a text message for calling a mobile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process 상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표시부에 문자 메시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on a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n incoming call related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process 상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TV 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온/오프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on / off switching of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speaker of a TV phone when the incoming call-related incoming message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larm process 상기 전화 관련 착신 메시지 수신 시 TV 오디오 신호를 뮤트(Mute)시키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TV 영상 신호를 온/오프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muting the TV audio signal upon receiving the telephone-related incoming message, and switching on / off the TV video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V 폰의 TV 모드에서 착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processing the incoming call in the TV mode of the TV phone, TV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Performing the TV mode, TV 모드에서 착신호 발생 시 착신호의 발생을 표시하는 과정과,Displaying an incoming call when the incoming call is generated in a TV mode; 통화 확인키가 입력되면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전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TV 모드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when the call confirmation key is input, switching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otherwise, maintaining the TV mo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자동 응답 전환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TV 모드에서 폰 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If the answering machine switching mode is se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witching directly from the TV mode to the phone m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rking process is 착 신호 발생 시 표시부에 문자 메시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displaying a text message on the display unit when an incoming call occu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rking process is 착 신호 발생 시 TV 폰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온/오프 스 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switching on / off an audio signal output from a speaker of a TV phone when an incoming signal is gener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rking process is 착신호 발생 시 TV 오디오 신호를 뮤트시키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신호를 온/오프 스위칭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muting the TV audio signal and switching the video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n / off when an incoming call is generat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착신 호는 음성 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incoming call is a voice cal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착신 호는 문자 메시지 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incoming call is a text message call.
KR1020050073277A 2005-08-10 2005-08-10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KR1006059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277A KR100605965B1 (en) 2005-08-10 2005-08-10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277A KR100605965B1 (en) 2005-08-10 2005-08-10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063A Division KR100547841B1 (en) 1998-12-26 1998-12-26 Control Method of Operation Mode Switching of Television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273A true KR20050088273A (en) 2005-09-05
KR100605965B1 KR100605965B1 (en) 2006-08-02

Family

ID=3727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277A KR100605965B1 (en) 2005-08-10 2005-08-10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96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965B1 (en)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841B1 (en) Control Method of Operation Mode Switching of Television Mobile Phone
KR100539871B1 (en) How to Display Received Messages on a Television Cell Phone
KR100310346B1 (en) Television portable telephone
JPH08125723A (en) Output method for call termination sound, power supply method and portable telephone set
KR10060596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in television phone
KR100319272B1 (en) Method for displying infomation in a television phone
JP4580821B2 (en) Emergency alert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emergency alert broadcast receiving method
JP2003110666A (en) Electronic equipment
KR100330850B1 (en) Tv telephone and method for listening tv audio signal by close folder cover
JP4327741B2 (en) Mobile phone
KR100605957B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ear-mike and operational method thereof
KR100651402B1 (en) Method for blocking arrival of the signal
KR100330851B1 (en) Tv phone and method for due to calling watch television
KR1011264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all receiving alarm
KR100678861B1 (en) Mobile phone capable of forced manner mode,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setting up a forced manner mode thereof
KR100282060B1 (en) How to Switch Answering Machine on Your Telephone Using a Television
JP2013034239A (en) Mobile phone and function setting method thereof
KR20010048818A (en) Method for changing mode in a television phone
JP2003110657A (en) Mobile wireless terminal
KR20010011061A (en) Method for selecting broadcasting channel by regional groups in a television phone
JP2003111030A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