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757A -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757A
KR20050087757A KR1020050072395A KR20050072395A KR20050087757A KR 20050087757 A KR20050087757 A KR 20050087757A KR 1020050072395 A KR1020050072395 A KR 1020050072395A KR 20050072395 A KR20050072395 A KR 20050072395A KR 20050087757 A KR20050087757 A KR 2005008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th
data processing
processing terminals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형
Original Assignee
(주)다산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다산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5007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7757A/ko
Publication of KR2005008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변압기의 2차측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량과 전압량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데이터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수집함으로써 각 수용가의 부하상태를 원격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원 배치 및 효율적인 인력 관리가 가능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수용가나 또는 일정 수용가 단위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력선과 병렬 접속되어 설정된 전압량과 전류량으로 부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제 1∼제 N 변압기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전류계와 전압계를 통해 상기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량을 실시간 검출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며, 그 상단 소정부에 화상 캡쳐하는 CCD CAMERA가 설치됨으로써 필요시나 설정시간대별로 화상을 캡쳐하여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량 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면서, 해당 수용가의 원격 검침데이터를 누적 저장하게 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캡쳐 화상을 전송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 및 각종 설비의 이상유무를 화면으로 판단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짐으로써 원격 검침 및 감시가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단기등 주변설비의 제어가 필요할 경우 상위의 감시제어 서버에서 유/무선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보냄으로서 제1 ~ 제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B시리얼 포트를 통하여 차단기등 주변 설비의 제어를 원격에서 쉽게 구현 할 수 있으며, 또한 전력선 통신인 PLC를 이용하여 각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사용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원격 검침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양한 통신매체를 통해 유무선으로 전력량 및 전압량을 원격 검침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수용가의 부하 공급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다수의 변압기의 습도 및 온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위험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해당 변압기 및 각종설비의 화상데이터를 제공받음으로써 사고 출동시와 비근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각종 상황을 화상을 통하여 체크가 원격으로 가능하게 된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WATCHING TRANSFORMER AND LOADER AND CONTROLING CUTTER AND SOME DEVICES LIKE IT AND METHODS OF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다수의 변압기의 2차측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량과 전압량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데이터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수집함으로써 각 수용가의 부하상태를 원격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원 배치 및 효율적인 인력 관리가 가능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신기술과 전자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각종 산업체에서 자동 감시시스템을 설비함으로써 인력의 감소를 통한 운영비용의 축소를 추진하고 있으며, 다수의 설비에 대한 원격 통합관리를 행하고 있다.
하지만, 각 수용가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직접 인력을 파견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량계를 수작업으로 육안 검침하고 있다.
또한, 하절기에는 주상변압기를 포함한 변압기가 높은 기온으로 인해 단선되거나, 장마철의 누수나 높은 습도에 의해 합선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나, 이러한 습도 및 온도상태를 감시할 아무런 대책도 아직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주상변압기와 같은 높은 위치에 설치된 변압기의 경우에는 육안으로도 그 상태 감시가 매우 어려우므로 사고발생전에는 거의 상태확인은 물론이고, 온도 및 습도의 검출도 역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변압기의 2차측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량과 전압량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데이터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수집함으로써 각 수용가의 부하상태를 원격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정전구간 및 정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차단기등 시설물들을 원격에서 제어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원 배치 및 효율적인 인력 관리가 가능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변압기에 화상 캡쳐를 행할 수 있는 캡쳐수단을 제공하며, 그 캡쳐수단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다수 변압기의 현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변압기에 습도 및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부가하고, 해당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원격지에 위치된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변압기 온도 및 습도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변압기에 화상 캡쳐를 행할 수 있는 캡쳐수단을 제공하며, 그 캡쳐수단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캡쳐 구동되게 설정함으로써 원격의 서버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제공받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변압기의 2차측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량과 전압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한계 전압량 및 전류량을 설정하고, 습도 및 온도 한계값을 설정함으로써 해당 한계값을 벗어나는 시점에 원격의 서버로 해당 검출값이 한계값을 초과함을 경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감시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 및 시설물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B시리얼 통신 포트를 설정하여, 원격 서버의 명령에 의하여 차단기 및 시설장비를 제어 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수용가의 전력량계의 사용량을 전력선을 이용하는 PL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원격서버의 DB에 저장하여, 요구에 따라 데이터를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가나 또는 일정 수용가 단위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력선과 병렬 접속되어 설정된 전압량과 전류량으로 부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제 1∼제 N 변압기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전류계와 전압계를 통해 상기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량을 실시간 검출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며, 그 상단 소정부에 화상 캡쳐하는 CCD CAMERA가 설치됨으로써 필요시나 설정시간대별로 화상을 캡쳐하여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량 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면서, PLC 통신을 통하여 수용가의 전력량계로부터 검침한 데이터는 원격 검침데이터로 누적 저장하게 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캡쳐 화상을 전송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이상유무를 화면으로 판단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짐으로써 원격 검침 및 감시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는 그 내부에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에 대해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화상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공지의 CCD CAMERA와; 상기 CCD CAMERA와 접속되어 그 CCD CAMERA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비디오 입력포트와; 상기 비디오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내부에 공지의 Mpeg 계열의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된 화상압축부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함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함체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측 권선과 접속되어 해당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제공되는 전압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계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측 권선과 접속되어 해당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제공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계와; 원격 서버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의해서 차단기 및 각종 설비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한 B시리얼 포트와;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사용전력량을 검침 할 수 있도록 설정된 PLC 통신 모듈과;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와 각각 접속되어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A센서모듈과;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와 각각 접속되어 전압계 및 전류계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B센서모듈과; 상기 A센서모듈 및 B센서모듈과 각각 접속되어 그 A센서모듈 및 B센서모듈로부터 인가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A/D 컨버터와; 상기 CCD CAMERA를 회전 및 틸트, 줌인 구동시키기 위한 CCD CAMERA 촬상구동부와; CCD CAMERA 촬상구동부에 대해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한 A시리얼포트와;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별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센서를 통한 감지 시간데이터 및 화상캡쳐 시간데이터, 온도, 습도, 전압, 전류값의 위험 한계값을 저장하며, 각각의 상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기설정된 시간간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를 구동시켜 각 신호값을 인가받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변압기 및 부하감시 및 차단기등을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토록 제어하며, 상기 CCD CAMERA 촬상구동부 및 CCD CAMERA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상을 캡쳐하고 화상 압축함으로써 원격의 변압기 및 부하감시 및 차단기등을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모듈은 이더넷 포트와 웹통신 모듈, 위성 통신모듈, CDMA 통신모듈, TRS 통신모듈,Power Line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전압량, 전류량, 화상데이터, 습도, 온도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온도, 습도데이터, 전류, 전압데이터,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으며, 그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내부에 웹서버, TRS송/수신기, CDMA 송/수신기, 위성 송/수신기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수단이 구성된 통신모듈과; 원격지에 일정하게 산포된 제 1∼제 N 변압기의 원격 검침 및 감시를 위해 그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부설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관리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시점 및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의 위험한계범위 값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키설정을 행하는 키설정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된 화상데이터, 전압, 전류량데이터, 온도, 습도데이터를 압축 해제시키기 위한 데이터 압축해제부와;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에 대한 한계 위험값을 초과할 때 및 변압기의 화상데이터가 기저장 화상데이터와 상이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와; 상기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보구동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면 표시를 위한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니터 구동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설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위치정보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상저장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습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습도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전압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압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전류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류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사고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고이력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각 가정의 전력 사용량을 저장하는 전력사용량 DB와; 다수의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연계되어 제 1∼제 N 변압기의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화상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제 1∼제 N 변압기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부터 받은 제어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통신모듈과 각 수용가의 전력량계로부터 데이터를 검침 할 수 있도록 구성한 PLC 통신 모듈과; 이상 발생시 경보발생부를 구동시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키설정된 각종 시간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CCD CAMERA 및 전압계, 전류계를 통해 화상데이터 및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캡쳐 화상을 압축하고,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화상데이터에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기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화상데이터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화상비교한 결과가 동일 화상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경보를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데이터 검출시간을 전송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검출 시간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타이머에 의해 해당 검출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검출시간이 도래된 경우에는 상기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CCD CAMERA 및 전압계, 전류계를 구동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온도 및 습도값을 검출하고, 비디오 입력포트를 통하여 화상데이터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온도 및 습도값을 기저장된 온도 및 습도값과 대비하여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온도 및 습도값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전압계, 전류계를 통해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로 화상 캡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변압기의 화상데이터를 캡쳐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변압기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전압계, 전류계를 통해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전력 사용량 DB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 제어서버가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 제어서버가 해당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특정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분석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명령어 분석을 통해 해당 차단기 및 개폐기를 스위칭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변압기의 2차측에 각각 부착되어 전류량과 전압량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데이터를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수집함으로써 각 수용가의 부하상태를 원격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원 배치 및 효율적인 인력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다수의 화상 캡쳐를 행할 수 있는 캡쳐수단을 제공하며, 그 캡쳐수단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토록 함으로써 현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변압기와 같은 다수의 변압기에 전류량과 전압량을 감지하는 센서 즉, 전류계 및 전압계를 2차측 권선에 접속하여 전압과 전류량을 측정하고, 해당 측정 데이터를 원격의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과전압 및 과전류 발생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해당 변압기의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면서 원격 검침 및 감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격서버는 그러한 각 수용가나 또는 주상변압기 등의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값을 수집함으로써 각 지역단위 즉, 구, 면, 읍, 동, 시, 도 등의 지역단위에 대한 부하량을 검출하여 시간대별, 월별, 계절별 부하 데이터를 누적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력 부족에 대한 대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변압기와 같은 다수의 변압기에 CCD CAMERA를 설치하여 필요시나 일정 시간간격마다 화상데이터를 캡쳐하여 원격 서버에서 관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각 수용가나 또는 일정 수용가 단위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력선과 병렬 접속되어 설정된 전압량과 전류량으로 부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제 1∼제 N 변압기(A1∼An)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전류계와 전압계를 통해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량을 실시간 검출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며, 그 상단 소정부에 화상 캡쳐하는 CCD CAMERA가 설치됨으로써 필요시나 설정시간대별로 화상을 캡쳐하여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량 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해당 수용가의 전력량계로부터 수신한 전력량을 원격 검침데이터로 누적 저장하게 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캡쳐 화상을 전송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이상유무를 화면으로 판단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의 내부에는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별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 1 데이터베이스(DB1)와, 캡쳐된 화상데이터 및 사고 리스트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제 2 데이터베이스(DB2)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제시한 데이터 통신망이라 함은 일반 웹망은 물론이고, 위성 통신망, CDMA망, TRS망, Power Line 통신망이 모두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에 구비된 통신모듈은 이더넷 포트와 웹통신 모듈, 위성 통신모듈, CDMA 통신모듈, TRS 통신모듈, Power Line 통신모듈중 어느 하나이상이 구성되게 하거나, 모두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 내에도 역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다양한 통신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신모듈은 각각 개별적으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각각 개별적인 통신모듈 자체에 대해서 본 발명은 권리를 청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내부에는 통신모듈, CCD CAMERA, 비디오 입력포트, 화상압축부, 온도센서, 습도센서, 전압계, 전류계, A센서모듈, B센서모듈, A/D 컨버터, CCD CAMERA 촬상구동부, A시리얼포트, B시리얼포드, PLC 통신 모듈, 외부센서, 센서포트, 데이터저장부, 제어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참조부호 2는 이더넷 포트와 웹통신 모듈, 위성 통신모듈, CDMA 통신모듈, TRS 통신모듈, Power Line 통신모듈 등으로 이루어져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에 대해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3은 각 가정 및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사용된 전력량을 검침 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인 PLC 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는 화상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공지의 CCD CAMERA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6은 상기 CCD CAMERA(4)와 접속되어 그 CCD CAMERA(4)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비디오 입력포트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8은 상기 비디오 입력포트(6)를 통해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내부에 공지의 Mpeg 계열의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된 화상압축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0은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내부에 구비되어 함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2는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내부에 구비되어 함체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4는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2차측 권선과 접속되어 해당 제 1∼제 N 변압기(A1∼An)를 통해 제공되는 전압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계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6은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의 2차측 권선과 접속되어 해당 제 1∼제 N 변압기(A1∼An)를 통해 제공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계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온도센서(10) 및 습도센서(12)와 각각 접속되어 온도센서(10) 및 습도센서(12)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A센서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20은 상기 전압계(14) 및 전류계(16)와 각각 접속되어 전압계(14) 및 전류계(16)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B센서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상기 A센서모듈(18) 및 B센서모듈(20)과 각각 접속되어 그 A센서모듈(18) 및 B센서모듈(20)로부터 인가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A/D 컨버터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4는 상기 CCD CAMERA(4)를 회전 및 틸트, 줌인 구동시키기 위한 CCD CAMERA 촬상구동부를 나타내는 바, 그 CCD CAMERA 촬상구동부(24)는 CCD CAMERA(4)를 화상 캡쳐하기 위해 구동시키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조부호 26은 CCD CAMERA 촬상구동부(24)에 대해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한 A시리얼포트를 나타내며, 참조부 27은 원격에서 수신한 명령을 받아 차단기 등의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B시리얼포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8은 기타 각종 감지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기타의 외부센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30은 상기 외부 센서(28)와 접속되어 그 외부센서(28)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기 위한 센서포트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2는 상기 온도센서(10) 및 습도센서(12), 상기 전압계(14) 및 전류계(16)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별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센서를 통한 감지 시간데이터 및 화상캡쳐 시간데이터, 온도, 습도, 전압, 전류값의 위험 한계값을 저장하며, 각 변압기의 상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4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2)에 기설정된 시간간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0) 및 습도센서(12), 상기 전압계(14) 및 전류계(16)를 구동시켜 각 신호값을 인가받아 상기 통신모듈(2)을 통해 상기 변압기 및 부하감시 및 차단기등을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토록 제어하며, 상기 CCD CAMERA 촬상구동부(24) 및 CCD CAMERA(4)를 구동제어함으로써 화상을 캡쳐하고 압축함으로써 원격의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그 내부에 통신모듈, 단말기 관리부, 키설정부, 데이터 압축해제부, 경보발생부, 경보구동부, 모니터, 모니터 구동부, 단말기 위치정보 DB, 화상저장 DB, 온도데이터 DB, 습도데이터 DB, 전압데이터 DB, 전류데이터 DB, 사고이력 DB, 제어부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참조부호 40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인가되는 온도, 습도데이터, 전류, 전압데이터,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으며, 그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내부에 웹서버, TRS송/수신기, CDMA 송/수신기, 위성 송/수신기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수단이 구성된 통신모듈을 나타낸다.
참조부호 42는 원격지에 일정하게 산포된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원격 검출 및 감시를 위해 그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부설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관리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4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시점 및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의 위험한계범위 값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키설정을 행하는 키설정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6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된 화상데이터, 전압, 전류량데이터, 온도, 습도데이터를 압축 해제시키기 위한 데이터 압축해제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8은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에 대한 한계 위험값을 초과할 때 및 변압기의 화상데이터가 기저장 화상데이터와 상이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0은 상기 경보발생부(48)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보구동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2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면 표시를 위한 모니터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4는 상기 모니터(5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니터 구동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6a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설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위치정보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6b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상저장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6c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데이터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6d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습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습도데이터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6e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전압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압데이터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6f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전류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류데이터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6g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사고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고이력 DB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56h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전송된 각가정의 전력 사용량을 저장하는 DB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8은 다수의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와 연계되어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화상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제 1∼제 N 변압기(A1∼An)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이상 발생시 경보발생부(48)를 구동시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 키설정된 각종 시간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를 제공하고, 그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 원격의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가 온도, 습도, 전압량, 전류량을 검출하는 센서들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전송할 시간간격을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그 시간간격 데이터에 따라 해당 시간이 도래되면 온도, 습도, 전압량, 전류량 데이터, 화상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해당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데이터, 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격 감시를 행하면서 각 가정의 전력량계로부터 사용량을 원격검침을 행하고, 해당 검출값이 위험 설정값을 초과하였는 지를 판단하여 필요시 점검을 행하고, 인가된 화상데이터는 기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자동 비교하여 외관상 이상유무가 발생되었는 지를 실시간 체크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CCD CAMERA(4) 및 전압계(14), 전류계(16)를 통해 화상데이터 및 전압, 전류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내부에 구비된 화상압축부(8)를 통해 해당 화상데이터를 압축하고,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화상데이터에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해당 화상데이터의 압축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기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화상데이터인 지를 판단함에 따라 변압기(A1∼An) 및 각종 시설물의 외관상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에서 화상비교한 결과가 동일 화상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해당 오차범위 즉,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고,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b의 경우는 다른 실행 예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 데이터 검출시간을 전송하여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에는 데이터 검출시간이 설정된다. 이때, 데이터 검출시간이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가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검출데이터를 전송할 빈도수를 나타낸 것으로, 10분에 1회 전송과 같은 전송 시간간격이 설정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하절기에는 변압기와 관련된 사고가 빈번하며, 전력 소비가 큰 시점이므로 5분에 1회씩 전압, 전류, 화상데이터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면, 동절기에는 이와 반대로 20분에 1회 정도씩 해당 변압기의 상태를 체크하도록 시간설정을 행하고, 필요시 해당 검출시간을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의 관리자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검출 시간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타이머에 의해 해당 검출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검출시간이 도래된 경우에는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CCD CAMERA(4) 및 전압계(14), 전류계(16)를 통해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고, 또한 비디오 입력 포트(4)를 통하여 화상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내부에 구비된 화상압축부(8)를 통해 해당 화상데이터를 압축하고,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화상데이터에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해당 화상데이터의 압축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기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화상데이터인 지를 판단함에 따라 변압기(A1∼An) 및 기타 시설물의 외관상 이상유무를 판단하게된다.
만약,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에서 화상비교한 결과가 동일 화상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해당 오차범위 즉,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고,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온도센서(10) 및 습도센서(12)를 통해 온도 및 습도값을 검출하고, 또한 비디오 포트(4)를 통하여 화상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가 검출된 습도 및 온도값을 단일의 패킷데이터로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인가된 습도 및 온도데이터를 기저장된 온도 및 습도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오차범위 즉,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온도값과 습도값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저장하고,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전압계(14), 전류계(16)를 통해 전압, 전류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해당 오차범위 즉,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고,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자동으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 화상 캡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CCD CAMERA(4)를 통해 해당 변압기(A1∼An) 및 각종 시설물에 대한 화상을 캡쳐하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화면 출력하여 관리자가 육안으로 해당 변압기(A1∼An) 및 각종 시설물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온도센서(10) 및 습도센서(12)를 통해 온도 및 습도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인가된 온도값과 습도값을 기설정된 온도값 및 습도값과 대비하여 해당 오차범위 즉,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온도 및 습도값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저장하고,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자동으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 화상 캡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CCD CAMERA(4)를 통해 해당 변압기(A1∼An) 및 각종 시설물에 대한 화상을 캡쳐하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해당 화상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화면 출력하여 관리자가 육안으로 해당 변압기(A1∼An) 및 각종 시설물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 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1∼제 N 변압기(A1∼An)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의 PLC 통신 모듈(3)을 통하여 각 가정의 전력량계로부터 사용한 전력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데이터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PDSCS)는 수집된 각각의 데이터를 전력사용량 DB에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B1∼Bn)는 해당 명령을 수신하여 분석한 후, B시리얼 포트(32)를 통하여 해당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양한 통신매체를 통해 유무선으로 전력량 및 전압량을 원격 검침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수용가의 부하 공급상태를 체크할 수 있고, 다수의 변압기의 습도 및 온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위험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상 발생시 해당 변압기 및 각종시설물의 화상데이터를 제공받음으로써 사고 출동시와 비근한 변압기 및 각종시설물의 체크가 원격으로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상태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n:제1∼제N 변압기, B1∼Bn:제1∼제N 데이터처리단말기,
PDSCS: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

Claims (11)

  1. 각 수용가나 또는 일정 수용가 단위로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력선과 병렬 접속되어 설정된 전압량과 전류량으로 부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제 1∼제 N 변압기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접속된 전류계와 전압계를 통해 상기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량을 실시간 검출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며, 그 상단 소정부에 상기 제 1∼제 N 변압기 및 각종 시설물를 화상 캡쳐하는 CCD CAMERA가 설치됨으로써 필요시나 설정시간대별로 화상을 캡쳐하여 원격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각각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검출된 전압 및 전류량 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면서, 해당 수용가의 원격 검침데이터로 누적 저장하게 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캡쳐 화상을 전송받아 상기 제 1∼제 N 변압기 및 시설물의 이상유무를 화면으로 판단하기 위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짐으로써 원격 검침 및 감시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는 그 내부에 유/무선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에 대해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화상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공지의 CCD CAMERA와; 상기 CCD CAMERA와 접속되어 그 CCD CAMERA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한 비디오 입력포트와; 상기 비디오 입력포트를 통해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내부에 공지의 Mpeg 계열의 압축 알고리즘이 내장된 화상압축부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함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함체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센서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측 권선과 접속되어 해당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제공되는 전압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계와; 상기 제 1∼제 N 변압기의 2차측 권선과 접속되어 해당 제 1∼제 N 변압기를 통해 제공되는 전류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계와;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와 각각 접속되어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A센서모듈과;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와 각각 접속되어 전압계 및 전류계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B센서모듈과; 상기 A센서모듈 및 B센서모듈과 각각 접속되어 그 A센서모듈 및 B센서모듈로부터 인가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시키는 A/D 컨버터와;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부터 받은 차단기 및 각종 시설물을 제어하기위한 명령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B 시리얼포트와; 전력선을 이용하여 각 가정 및 수용가에 설치된 전력량계로부터 사용전력량을 원격검침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PLC통신 모듈과; 상기 CCD CAMERA를 회전 및 틸트, 줌인 구동시키기 위한 CCD CAMERA 촬상구동부와; CCD CAMERA 촬상구동부에 대해 제어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한 A시리얼포트와;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로부터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단말기별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센서를 통한 감지 시간데이터 및 화상캡쳐 시간데이터, 온도, 습도, 전압, 전류값의 위험 한계값을 저장하며, 각 변압기의 상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기설정된 시간간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상기 전압계 및 전류계를 구동시켜 각 신호값을 인가받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토록 제어하며, 상기 CCD CAMERA 촬상구동부 및 CCD CAMERA를 구동제어함으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 상기 제 1∼제 N 변압기 및 시설물에 대한 화상을 캡쳐하고 화상 압축함으로써 원격의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이더넷 포트와 웹통신 모듈, 위성 통신모듈, CDMA 통신모듈, TRS 통신모듈, Power Line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변압기의 전압량, 전류량, 화상데이터, 습도, 온도, 각 수용가의 전력사용량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온도, 습도데이터, 전류, 전압데이터,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으며, 그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내부에 웹서버, TRS송/수신기, CDMA 송/수신기, 위성 송/수신기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수단이 구성된 통신모듈과; 원격지에 일정하게 산포된 제 1∼제 N 변압기 및 각종 시설물의 원격 검출 및 감시를 위해 그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부설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 관리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시점 및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의 위험한계범위 값을 설정하는 등 다양한 키설정을 행하는 키설정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된 화상데이터, 전압, 전류량데이터, 온도, 습도데이터를 압축 해제시키기 위한 데이터 압축해제부와;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에 대한 한계 위험값을 초과할 때 및 변압기의 화상데이터가 기저장 화상데이터와 상이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부와; 상기 경보발생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경보구동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전압 및 전류량, 온도, 습도량, 화상데이터에 대한 화면 표시를 위한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니터 구동부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설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 위치정보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화상저장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온도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습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습도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전압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압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전류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류데이터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제 N 변압기의 사고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고이력 DB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각 가정의 전력 사용량을 저장하는 전력사용량 DB와; 다수의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와 연계되어 제 1∼제 N 변압기의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온도, 습도, 전류량, 전압량, 화상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제 1∼제 N 변압기 및 각종 시설물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이상 발생시 경보발생부를 구동시켜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키설정된 각종 시간설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6.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CCD CAMERA 및 전압계, 전류계를 통해 화상데이터 및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캡쳐 화상을 압축하고,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화상데이터에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기저장된 화상데이터와 인가된 화상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 화상데이터인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화상비교한 결과가 동일 화상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경보를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각 가정의 전력량계로부터 사용량을 검출하여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해당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데이터 검출시간을 전송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검출 시간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타이머에 의해 해당 검출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검출시간이 도래된 경우에는 상기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CCD CAMERA 및 전압계, 전류계를 구동시키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
  8.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화상데이터 및 온도 및 습도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는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온도 및 습도값을 기저장된 온도 및 습도값과 대비하여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온도 및 습도값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경보를 구동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
  9.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전압계, 전류계를 통해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기설정된 전압량 및 전류량과 대비하여 한계 위험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해당 전압량과 전류량이 한계 위험값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값을 원격 검침값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한계 위험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 단말기로 화상 캡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변압기의 화상데이터를 캡쳐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변압기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화면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
  10. 다수의 수용가 및 전주 등에 분포된 제 1∼제 N 변압기에 각각 설치된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의 전압계, 전류계를 통해 전압, 전류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전압 및 전류데이터를 포함시켜 단일의 패킷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해당 데이터를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다수의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서버가 인가된 전압량과 전류량을 전력 사용량 DB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
  11.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 제어서버가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 제어서버가 해당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특정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차단기 제어명령 패킷을 분석하는 과정과;
    해당 제 1∼제 N 데이터 처리 단말기가 명령어 분석을 통해 해당 차단기 및 개폐기를 스위칭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감시제어방법.
KR1020050072395A 2005-08-08 2005-08-08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7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95A KR20050087757A (ko) 2005-08-08 2005-08-08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95A KR20050087757A (ko) 2005-08-08 2005-08-08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57A true KR20050087757A (ko) 2005-08-31

Family

ID=37270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395A KR20050087757A (ko) 2005-08-08 2005-08-08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775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94B1 (ko) * 2006-06-27 2007-04-25 (주)태성계전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0746531B1 (ko) * 2006-04-26 2007-08-07 (주)지트론시스템 무선신호를 활용한 구내전력량 자동제어장치 및 이에적합한 제어방법
KR100790462B1 (ko) * 2006-08-18 2008-01-0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로 온도 감지 시스템
WO2009020885A1 (en) * 2007-08-03 2009-02-12 Flir Systems, Inc.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KR100902346B1 (ko) * 2007-06-08 2009-06-12 조상희 공동주택의 세대 내 전력 공급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7851758B1 (en) 2005-09-29 2010-12-14 Flir Systems, Inc. Portable multi-function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351672B1 (ko) * 2012-09-27 2014-01-15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병렬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CN109557361A (zh) * 2018-11-19 2019-04-02 哈尔滨理工大学 用于ggd型电控柜的远程监视无线电压表
KR20200056160A (ko) * 2018-11-14 2020-05-2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부하율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부하율 관리 장치
CN114454765A (zh) * 2022-01-07 2022-05-10 宇消安全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动车识别监测系统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1758B1 (en) 2005-09-29 2010-12-14 Flir Systems, Inc. Portable multi-function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US8822922B1 (en) 2005-09-29 2014-09-02 Flir Systems, Inc. Portable multi-function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US8242445B1 (en) 2005-09-29 2012-08-14 FLIR Sysems, Inc. Portable multi-function insp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746531B1 (ko) * 2006-04-26 2007-08-07 (주)지트론시스템 무선신호를 활용한 구내전력량 자동제어장치 및 이에적합한 제어방법
KR100709694B1 (ko) * 2006-06-27 2007-04-25 (주)태성계전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0790462B1 (ko) * 2006-08-18 2008-01-0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로 온도 감지 시스템
KR100902346B1 (ko) * 2007-06-08 2009-06-12 조상희 공동주택의 세대 내 전력 공급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8124923B2 (en) 2007-08-03 2012-02-28 Flir Systems, Inc.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CN101821635A (zh) * 2007-08-03 2010-09-01 弗莱尔系统公司 无线远程检测器系统和方法
US7728275B2 (en) 2007-08-03 2010-06-01 Flir Systems, Inc.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US8368001B2 (en) 2007-08-03 2013-02-05 Flir Systems, Inc.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US8742315B2 (en) 2007-08-03 2014-06-03 Flir Systems, Inc. Wireless remote detectors systems and methods
WO2009020885A1 (en) * 2007-08-03 2009-02-12 Flir Systems, Inc. Wireless remote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KR101351672B1 (ko) * 2012-09-27 2014-01-15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병렬 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56160A (ko) * 2018-11-14 2020-05-22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부하율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 부하율 관리 장치
CN109557361A (zh) * 2018-11-19 2019-04-02 哈尔滨理工大学 用于ggd型电控柜的远程监视无线电压表
CN114454765A (zh) * 2022-01-07 2022-05-10 宇消安全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动车识别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7757A (ko)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변압기 부하감시 및 차단기를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8472B1 (ko)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RU262247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служи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US7969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ical conductor monitoring system
KR100622986B1 (ko) 원격 검침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장치
US20090231764A1 (en) Capacitor Bank Moni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WO1999010854A1 (en) Battery capacity monitoring system
CN202929124U (zh) 变电站高压并联电容器智能在线监测系统
KR20170049423A (ko) 배전반 고장 감시 시스템
KR100721251B1 (ko) 지중배선계통 사고 감시 시스템
CN109409536B (zh) 一种采集系统主站对通信单元的资产信息进行处理的方法及系统
CN110474424A (zh) 一种配电房智能监控系统
CN117078017A (zh) 一种用于电力电网设备监控智能化决策分析系统
KR20090120653A (ko) 웹기반 수변전설비 원격감시시스템
US20100305887A1 (en) Voltage monitoring in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CN108663970B (zh) 一种电力操作安全监控系统
KR1005773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전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KR101264869B1 (ko) 현장 감시 장치,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계통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6602707A (zh) 远程电力监控系统
CN100489547C (zh) 电力设备在线故障预诊装置
US11454654B2 (en)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te and the quality of low-voltage networks
CN109633332B (zh) 一种电力系统中设备自动定检方法和故障录波装置
CN111198540B (zh) 一种设备监控方法及装置
KR100602011B1 (ko) 지능형 전자식 전력량계의 네트워크 시스템
KR100396394B1 (ko) 전기설비의 원격감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