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379A -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 Google Patents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379A
KR20050087379A KR1020040013146A KR20040013146A KR20050087379A KR 20050087379 A KR20050087379 A KR 20050087379A KR 1020040013146 A KR1020040013146 A KR 1020040013146A KR 20040013146 A KR20040013146 A KR 20040013146A KR 20050087379 A KR20050087379 A KR 20050087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e
pot
water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8900B1 (en
Inventor
신용오
Original Assignee
김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식 filed Critical 김문식
Priority to KR10-2004-001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900B1/en
Publication of KR20050087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3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9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023/0025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on contai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09F2025/005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에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나 가로등과 같은 전주에 장착되어 환경 미화를 위한 화분을 설치하고 화분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해서 관리 비용을 절감시켜 주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pole, such as a pole or street lamp installed on the street installed a planter for the beau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pollen device for the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moisture supply function to automatically supply moisture to the pot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It is about.

본 발명은 전주에 장착되어 화분이 설치되는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물을 공급해 주는 노즐; 상기 노즐에 물을 전달해 주는 급수관; 물이 저장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송수해 주는 펌프;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공급된 물이 누수되면 이를 회수하여 상기 수조로 이송시켜 주는 회수 수단;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설치되어 화분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상기 습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화분 내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수조 내의 물을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le pole is installed mounting pots; A nozz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tted plant installed on the mount; A water supply pipe for delivering water to the nozzle;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A pump for transmitting water in the tank to the water supply pipe;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 installed in the mount and transferring it to the tank;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flower pot installed on the mount to detect humidity in the flower pot; Opera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ng time of the pump; When the time set by the operation means or the humidity in the flower pot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the preset tim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ump to supply the water in the tank to the nozzl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Description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with Automatic Water Supply

본 발명은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에 설치되어 있는 전봇대나 가로등과 같은 전주에 장착되어 화분을 설치하기 위한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e device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more specifically, for poles equipped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for installing a flower pot mounted on a pole, such as a pole or street lamp installed in the horizontal It relates to a flower pot device.

일반적인 도로는 차로와 인도로 구분되어 있고, 차도와 인도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General roads are divided into lanes and sidewalks, and street lamps are usu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idewalks and sidewalks.

그리고, 인도에는 환경 미화를 위하여 화분을 바닥에 그냥 설치하거나 별도의 선반을 준비하여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In addition, in India, in order to beautify the environmen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ots are simply installed on the floor or prepared by installing separate shelves.

이와 같이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화분에는 초본 식물이 식재된 것이 대부분이다.In this way, herbal plants are planted in pots installed around roads.

그런데, 초본 식물은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 비하여, 화분에 식재된 상황이어서 지층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화분 내의 흙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의존하여 생육된다.By the way, herbaceous plants need a lot of moisture for growth, but because they are planted in pots and do not take root in the ground, they are grown entirely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oil in the pots.

따라서, 화분에 심어져 있는 초본 식물들의 경우에 반드시 잦은 횟수로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관리 측면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herbaceous plants that are planted in pots must be frequently supplied with water, so a lot of costs in terms of management.

한편, 상기와 같은 가로용 화분 관리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2002년 7월 13일에 출원되어 2002년 11월 27일에 실용신안등록번호 20-297326호로 등록된 "급수통이 있는 지주형 가로 화단"이 소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implify the management of the horizontal potted plant as described above, filed on July 13, 2002 and register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97326 on November 27, 2002 "holding horizontal flower bed with a water container" This is introduced.

상기 실용신안등록 20-297326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대(90)의 상단에 장착되는 급수통(91), 상기 급수통(91)의 전면에 부착되는 광고판(92), 상기 급수통(91)의 아래에 장착되는 화분받침대(93, 94), 상기 화분 받침대(93, 94) 위에 설치되는 화분(95), 그 일단은 상기 급수통(91)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화분(95) 속에 내장되어 급수통(91)의 물을 화분(95)으로 이송시켜 주는 급수관(96)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97326 is shown in Figure 1, the water supply container 9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tand 90, the advertising board 92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91, the water supply Pots 93 and 94 mounted below the tub 91, pots 95 installed on the pot holders 93 and 94,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container 9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t is composed of a water supply pipe (96) which is embedded in the flower pot (95) to transfer the water of the water container (91) to the flower pot (95).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로 화단은 급수통(91) 내의 물이 상기 급수관(96)을 통하여 화분(95)으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인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급수통(91)과 화분(95) 사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96)에 물의 이동을 단속하는 장치가 없어서 급수통 내의 물이 고갈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낭비의 원인이 되고, 상기와 같이 과량 공급된 물은 회수되지 않은 채 화분 밑으로 누수되어 버려진다.The conventional horizontal flower bed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91 is moved to the flower pot 95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96,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here is no device to control the movement of water in the water supply pipe (96) connected between the water supply tank (91) and the flower pot (95)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until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s exhausted, causing the waste. As such, the excessively supplied water is leaked and discarded under the pot without being recovered.

그리고, 상기 급수통에 부착된 광고판의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급수통의 설치 높이를 사람들의 보행 중 시선 높이와 비슷하게 해야되기 때문에 화분의 설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화분에 의한 미적 효과가 저하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billboard attached to the water container,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water bottle should be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gaze of the people walking, s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lower pot is relatively low, and the aesthetic effect of the flower pot is reduced.

화분의 습도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서 물 공급 관리가 어렵고, 급수통에 공급된 물이 공급 즉시 바로 화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실재로 화분에 물을 직접 주는 것과 다를 바가 없어서 잦은 물 공급에 따른 관리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water suppl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humidity of the pot, and since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is moved to the pot immediately after supplying it, it is no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the pot. I have a problem.

또한,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종류 즉, 초본 식물 또는 목본 식물에 따라 물의 공급량이나 공급 주기가 달라져야 하는데, 상기 종래의 화분 장치는 이와 같은 물 공급 관리가 불가능하다.In addition, the amount of supply or the supply cycle of the water must be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t planted in the pot, that is, the herbaceous plant or the woody plant, and the conventional pollen device cannot manage such water supply.

이에 따라 가로에 설치된 화분을 관리하는 단체에서 화분 관리를 위하여 운용할 수 있는 관리자의 인적 자원 및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절기에는 2∼3일에 한번, 봄/가을에는 1주일에 한번씩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a result, there is a limited amount of human resources and time available for the management of pots in groups that manage potted plants in the stree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manage them once every two to three days in summer and once a week in spring / autumn. It is common.

따라서, 상기 화분 관리 패턴에 적합한 식물을 선택하여 화분에 식재해야만 하기 때문에 미화 환경 조성에 이용되는 식물의 종류가 한정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ype of plants used for the composition of the beautification environment is limited because a plant suitable for the pollen management pattern must be selected and planted in the pot.

또한, 상기 급수통(91)에서 화분(95)으로 물을 공급해 주는 급수관(96)을 설치학 위해서는 상기 급수관(96)의 일단을 상기 급수통(91)에 연결하고 물을 배출하는 타단을 화분(95) 속에 매설해 주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water supply pipe 96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91 to the flower pot 95,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96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91 and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lant (95) It must be buried inside.

따라서, 화분을 교체할 때마다 상기와 같이 급수관(96)을 화분(95)에 매설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very difficult work process that should be embedded in the flower pot (95) as described above each time to replace the pot.

하지만, 현실적으로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관(96)을 화분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식물을 뽑아낸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식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화분 모두에 상기와 같은 급수관(96)을 미리 매설한 상태에서 식물을 식재해야 하기 때문에 화분 식재 작업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급수관(96)의 설치에 따른 막대한 비용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in order to bury the water supply pipe 96 in a potted plant in a state where plants are actually plant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plant is damaged. Since plants must be planted in a state in which the same water supply pipe 96 is embedded in advance, pollen planting work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uge cost loss occurs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96.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로에 설치되어 있는 전주에 환경 미화를 위하여 설치되는 화분의 물 공급 관리를 자동 및 최소의 물 공급 관리를 통하여 화분 관리 비용을 절감시키고, 화분에 의한 광고를 통하여 화분 관리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which is to manage the pots through the automatic and minimal water supply management of the water supply of the pots installed for the beau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installed on the street It is to provide a pollen device for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moisture supply function that can reduce the cost, and can cover the pot management costs through advertising by po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주에 장착되어 화분이 설치되는 장착대;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물을 공급해 주는 노즐; 상기 노즐에 물을 전달해 주는 급수관; 물이 저장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송수해 주는 펌프;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공급된 물이 누수되면 이를 회수하여 상기 수조로 이송시켜 주는 회수 수단;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설치되어 화분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상기 습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화분 내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수조 내의 물을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pole pole is installed planter; A nozz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tted plant installed on the mount; A water supply pipe for delivering water to the nozzle;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A pump for transmitting water in the tank to the water supply pipe; 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 installed in the mount and transferring it to the tank;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flower pot installed on the mount to detect humidity in the flower pot; Opera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ng time of the pump;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nozzle through a water supply pipe by driving the pump when the time set by the operation means or the humidity in the flower pot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time. It provides an electric pole planter with an automatic moisture supply function.

상기 조작 수단은 전주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수단이거나, 상기 제어부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부와 상기 펌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을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는 리모컨으로 이루어진다.The operating means may be mounted on a pol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to input a setting for driving the pump at a predetermined time, or a receiv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 the A remot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setting for driving the pump at a predetermined time, convert the input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 the converted signal to the receiver.

상기 장착대는 전주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가지 형태로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장 형성되어 화분이 놓이는 받침대로 구성되거나; 전주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가지 형태로 연결된 다수의 지지대, 그 중심에 전주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받침대로 구성된다.The mounting bracket is composed of a bracket fixed to the pole, the support is connected to a branch form on one side of the bracket, the support is formed extending to the support to place the planter; Bracket is fixed to the pole,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ed in the form of a branch to the bracket,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the pole is formed in the center is composed of a pedestal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s.

상기 회수 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화분에서 누수되는 물을 모아 주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는 회수관으로 구성된다.The recovery means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is composed of a drip tray for collecting the water leaked from the pot, the collection pipe connecting the drip tray and the water tank.

상기 수조는 상기 장착대와 화분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전주에 장착되거나, 또는 전주가 설치된 지면 아래에 설치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와,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구의 높이가 지면 높이 이하로 매설된다.The tank is installed between the mounting table and the pot, or mounted on the pole, or beneath the ground on which the pole is installed, the tank installed on the ground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storing water, an inlet for injecting water, It is installed in the inlet is composed of a filter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e height of the inlet is buried below the ground height.

상기 장착대는 화분이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놓인 화분을 둘러싸는 통, 광고 내용이 형성되어 상기 통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광고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통을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회전시켜 주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화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광고를 하는 광고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unting bracket is composed of a pedestal in which the pot is installed, a bucket surrounding the pot placed on the pedestal, an advertisement board formed with advertisement contents, and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and further comprising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tub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or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further comprises a billboard for advertising.

상기 제어부는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운드 발생부 및 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ound generator for storing audio data including advertisement contents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ame, and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n a person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실시예)(Example)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주에 장착되어 화분이 설치되는 장착대(도 2에 도시하지 않음),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 수조(17), 상기 수조(17) 내의 물을 송수하는 펌프(16), 화분(19)의 위에 설치되는 노즐(18a), 상기 펌프(16)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노즐(18a)로 전달하는 급수관(18), 상기 장착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화분(19)에서 누수되는 물을 모아서 상기 수조(17)로 회수시켜 주는 회수 수단(17a), 상기 펌프(1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화분(19) 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1), 상기 펌프(16)의 구동 시단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 상기 제어부(1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조작부(15) 또는 무선 조정이 가능한 리모컨(14a) 및 리모컨(14a)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0)에 입력시켜 주는 수신부(1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for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pots for electric poles equipped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table (not shown in FIG. 2) mounted on a pole and installed with pots is provided with water. The stored water tank 17, the pump 16 for delivering water in the water tank 17, the nozzle 18a installed on the pot 19, the water received from the pump 16, the nozzle 18a The water supply pipe 18 to be delivered to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table, the collecting means 17a for collecting the water leaked from the pot 19 to recover the water tank 17,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ump 16 Control unit 10, the humidity sensor 11 for measuring the humidity in the flower pot 19, the operation unit 15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0 by wire to the operation means for setting the driving start of the pump 16.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0 receives the remote control 14a and the remote control 14a capable of wireless adjustment. It is composed of a receiving unit 14 to be input to.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화분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2)와 상기 장착대에 장착되는 광고판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동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temperature sensor 12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 the potted plant and the drive unit 13 for rotating the billboard mounted on the mounting may be further configur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를 각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electric pole pollen device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ach embodiment.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전주는 가로등 폴과 전력선 및 전화선 전주 또는 광고 및 전시물을 지지하기 위한 모든 폴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In each embodiment, the pole is assumed to include street poles and all poles for supporting power and telephone line poles or advertisements and exhibits.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전주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 수단은 관리자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습도 센서(11)는 화분 내에 설치되어 화분 흙의 습도를 측정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pole, the operation means is installed in a position accessible to the manager, the humidity sensor 11 is installed in the pot to measure the humidity of the pot soil.

상기 상기 펌프가 상기 수조에 내장된 수중 펌프인 경우에 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니 등으로 인하여 펌프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조의 내부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의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오니가 침전되는 오니 침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니 침전부에는 드레인 코크가 형성되어 주기적으로 수조를 수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pump is a submersible pump embedded in the tank, in order to prevent the pump from being damaged due to sludge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water, the pump is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inlet of the pump installed below the inside of the tank. It is preferable that a sludge settling portion to be precipitated is formed, and a drain cock is formed in the sludge settling portion to periodically wash the water tank.

1. 제 1실시예(도 3 참조)1. First embodiment (see Fig. 3)

제 1실시예는 한 개의 수조(25)를 이용하여 다수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실시예이다.The first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supplying water to a plurality of pots using one tank (25).

지면에 매설되어 세줘진 전주(20)의 근처 지면에 수조(25)를 매설한다.The water tank 25 is buried in the ground near the electric pole 20 buried in the ground.

상기 수조(25)는 유입구(25a)의 높이가 지면의 높이보다 낮게 이루어져 우천시 지면의 물이 상기 수조(25)에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조(25)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중의 필터가 상기 유입구(25a)에 장착된다.The water tank 25 is made so that the height of the inlet port (25a)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ground so that the water of the ground during the rain flows into the water tank 25,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incom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25) A double filter for preventing is mounted on the inlet 25a.

상기 2중의 필터는 나뭇잎과 같은 비교적 큰 물질을 걸러주는 제 1필터(25b)와, 모래 등과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 주는 제 2필터(25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ouble filter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irst filter 25b for filtering relatively large substances such as leaves, and a second filter 25c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of a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sand.

상기 전주(20)에 장착되어 화분(22)이 설치되는 장착대는 상기 전주(20)에 고정되도록 밴드형으로 이루어진 브래킷(21a)이 그 일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에 화분(22)이 놓이는 받침대(24a)가 연결된 지지대(21)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다수의 장착대가 상기 전주(20)에 나뭇가지와 같이 다수 장착된다.The mounting table is installed on the pole 20, the planter 22 is installed is a bracket 21a made of a band-shaped so as to be fixed to the pole 2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se (22) on which the planter 22 is placed ( 24a) is composed of a support 21 is connected, a plurality of such mounting is mounted on the pole 20, such as a plurality of branches.

상기 받침대(24a)는 화분(22)을 받쳐주는 역할과 함께 동시에 화분(22)에서 누수되는 물을 모아 주는 역할을 겸한다.The pedestal 24a serves to support the pot 22 and at the same time serves to collect water leaked from the pot 22.

그리고, 상기 지지대(21)에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3)과 회수하는 회수관(2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관(23)은 다수의 지지대(21)와 연결되면서 상기 수조(25)에 연결되고, 상기 회수관(24)은 각 받침대(24a)와 연결되면서 상기 수조(25)에 연결된다.The support 21 is coupled to a water supply pipe 23 for supplying water and a recovery pipe 24 for recovering water. The water supply pipe 23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upports 21 to the water tank 25. The recovery pipe 24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5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pedestal 24a.

상기 각 급수관(23)의 일단에는 화분(22)에 물을 분사시켜 주는 노즐(23b)을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관(23a)이 연결된다.One end of each of the water supply pipes 23 is connected to a support pipe 23a for supporting the nozzle 23b for spraying water onto the flower pot 22.

상기 급수관(23)을 통하여 수조(25) 내의 물을 송수하기 위한 펌프(26)는 수조(25) 근처의 지상에 설치되거나, 수중 펌프로 이루어져 수조(25)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pump 26 for transmitting water in the water tank 25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3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near the water tank 25 or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5 by using an underwater pump.

그리고, 상기 전주(20)에는 상기 펌프(2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3에 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며, 상기 화분(22)에는 상기 습도 센서(도 3에 도시하지 않음)가 내설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한 제어를 위한 설정을 가능하게 해 주는 조작부(27)가 상기 전주(20)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not shown in FIG. 3)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pump 25 is built in the electric pole 20, and the humidity sensor (not shown in FIG. 3) is included in the flower pot 22. An operation unit 27, which is internally installed and enables setting for control through the control unit, is installed in the pole 20.

2. 제 2실시예(도 4 참조)2. Second embodiment (see Fig. 4)

제 2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한 개의 수조(35)를 이용하여 다수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실시예이다.The secon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supplying water to a plurality of pots using a single water tank 35 as in the first embodiment.

지면에 매설 고정된 전주(30)의 하단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수조(35)를 고정 설치한다. 이 때, 수조(35) 내의 물을 송수하는 펌프(36)는 수중 펌프를 이용한다.The tank 35 is fixedly installed by using a bracket at the bottom of the electric pole 30 buried in the ground. At this time, the pump 36 which deliver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5 uses an underwater pump.

화분(32)이 장착되는 장착대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인데, 밴드형으로 이루어져 전주(30)에 고정되는 브래킷(31a)에 그 일단이 연결되는 지지대(31), 상기 지지대(3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조(35)에 연결되는 급수관(33) 및 회수관(34), 상기 지지대(31)의 타단에 연결되어 물받이 역할을 겸하는 받침대(34a), 상기 급수관(33)의 각 종단에 연결되어 노즐(33b)을 지지해 주는 지지관(33a)으로 구성된다.The mounting table to which the pot 32 is mounte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has a band type support 3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racket 31a fixed to the electric pole 30, and the support ( 31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33 and the recovery pipe 34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5, the pedestal 34a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31 and serve as a drip tray, and of the water supply pipe 33. It is comprised by the support pipe 33a connected to each end and supporting the nozzle 33b.

상기 펌프(36)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4에 도시하지 않음)와 설정을 위한 조작부(37)는 상기 전주(30)에 설치된다. 그리고, 습도 센서도 화분(32)에 내설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다.A control unit (not shown in FIG. 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ump 36 and an operation unit 37 for setting are provided in the electric pole 30. In addition, the humidity sensor is also built in the pot 3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 제 3실시예(도 5 참조)3. Third embodiment (see Fig. 5)

제 3실시예는 각각의 화분(42)에 독립적으로 수조(43)가 설치되어 물을 공급해 주는 실시예이다.The thir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tank 43 is installed in each pot 42 to supply water.

화분(42) 및 수조(43)가 설치되는 장착대는 밴드형으로 이루어져 전주(40)에 고정되는 브래킷(41a), 상기 브래킷(41a)에 그 일단이 나뭇가지 형태로 연결되는 지지대(41), 상기 지지대(41)의 타단에 연결되는 받침대(41b)로 구성된다.The mounting table in which the flower pot 42 and the water tank 43 are installed is made of a band-like bracket 41a fixed to the electric pole 40, a support 41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racket 41a in the form of a twig, It is composed of a pedestal (41b)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41).

상기 받침대(41b)에 설치되는 화분(42) 및 수조(43)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데, 화분(42)의 아래에 수조(43)가 설치된다.The flower pot 42 and the water tank 43 installed on the pedestal 41b are formed in one piece, and the water tank 43 is installed under the flower pot 42.

상기 수조(43)에는 수중 펌프로 구성된 펌프(도 5에 도시하지 않음)가 내설되며, 상기 펌프로부터 송수된 물은 급수관(44)을 통하여 화분(42) 위에 설치되 노즐(45)에 공급된다.A pump (not shown in FIG. 5) composed of an underwater pump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43, and water received from the pump is installed on the flower pot 42 through a water supply pipe 44 and supplied to the nozzle 45. .

상기 화분(42)에는 습도 센서가 내설되어 있고, 상기 펌프의 구동 시간 설정을 위한 조작부(46)는 상기 전주(4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46) 및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도 5에 도시하지 않음)도 상기 전주(40)에 설치된다.The humid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pot 42, the operation unit 46 for setting the driving time of the pump is installed on the pole 40, th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46 and the humidity sensor A control unit (not shown in FIG. 5) for controlling the pump is also provided in the electric pole 40.

4. 제 4실시예(도 6 참조)4. Fourth embodiment (see Fig. 6)

제 4실시예는 나뭇가지 형태로 화분이 배치되는 상기 제 1∼3실시예와 달리 화분(51)이 전주에 수직 형태로 배치되는 실시예이다.The four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tted plant 51 is arranged in a vertical form on the pole,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which the potted plan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twig.

이를 위하여, 전주(50)에 그 중심부가 장착되도록 환형의 구조로 이루어진 수조(52)가 브래킷(52a)에 의하여 전주(50)에 고정되며, 상기 수조(52)에는 수종 펌프 형태의 펌프(도 6에 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To this end, the tank 52 made of an annular structure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mounted to the pole 50 is fixed to the pole 50 by the bracket 52a, the pump 52 of the type of pump (Fig. Not shown in Figure 6).

상기 화분(51)은 상기 수조(52)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부가 전주(50)에 삽입되는 환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의 화분(51)이 전주(50)에 다단 장착되어 있다.Like the water tank 52, the pot 51 is composed of an annular structure, the center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pole 50, the pollen 51 of such a structure is mounted on the pole 50 multi-stage.

그리고, 상기 전주(50)에 장착된 다수의 화분(51) 중에서 최상단의 화분(51)에는 환형으로 이루어진 분배관(54), 상기 분배관(54)에 하방으로 연결되어 각각 물을 공급받는 다수의 제 1분지관(55), 상기 각각의 제 1분지관(55)의 일단에 각각 장착되어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제 1노즐(56)로 구성된 급수 수단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lower pots 51 mounted on the pole 50 ar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lower pot 51 having an annular distribution pipe 54 and a low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ipe 54 to receive water, respectively. A water supply mea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nozzles 56 which are mount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55 and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ranch pipes 55 to spray water.

또한, 상기 각 화분(51)의 하단에는 누수되는 물을 모아 주는 물받이(51a)가 장착되어 있어서, 각 화분(51)에서 누수되는 물을 모아서 제 2분지관(57) 및 제 2노즐(58)을 통하여 아래의 화분으로 전달해 주며, 최하단의 화분에 장착된 물받이(51a)에 모아진 물은 회수관(53a)을 통하여 수조(52)로 회수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each of the pots (51) is equipped with a drip tray (51a) for collecting the water leakage, the second branch pipe (57) and the second nozzle (58) by collecting the water leaked from each pot (51) It is delivered to the pot below through the water, and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ip tray (51a) mounted on the bottom pot is recovered to the tank 52 through the recovery pipe (53a).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4실시예는 수조(52)로부터 펌프 및 급수관(53)을 통하여 최상단의 화분에 장착된 급수 수단인 분배관(54)과 제 1분지관(55) 및 제 1노즐(56)을 통하여 일단 급수되었다가, 각 물받이(51a)를 통하여 누수된 물이 모아진 후에 제 2분지관(57) 및 제 2노즐(58)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아래의 화단으로 전달되는 것이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distribution pipe 54, the first branch pipe 55, and the first nozzle 56, which are water supply means mounted on the uppermost potted plant from the water tank 52 through the pump and the water supply pipe 53, are provided. Once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the water leaked through each drip tray 51a is collected and sequentially delivered to the flower bed below through the second branch pipe 57 and the second nozzle 58.

한편, 상기 제 4실시예는 그 중심에 상기 전주(50)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조(52), 화분(51), 물받이(51a) 등이 2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결합 수단(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전주(50)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ur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ic pole 50 is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the water tank 52, the flower pot 51, the drip tray 51a, etc. are composed of two sections to facilitate the mounting.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means (for example, bolts and nuts) not shown in the figure is mounted on the electric pole 50.

그리고, 상기 화분(51)에는 습도 센서가 내설되어 있고, 상기 펌프의 구동 시간 설정을 위한 조작부(59)는 상기 전주(5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59) 및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도 6에 도시하지 않음)도 상기 전주(50)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humid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flower pot 51, and an operation unit 59 for setting the driving time of the pump is installed in the electric pole 50, and a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59 and the humidity sensor. Accordingly, a control unit (not shown in FIG. 6) for controlling the pump is also installed in the pole 50.

특히, 상기 제 4실시예의 경우에 중량이 무거운 꽃이나 나무를 비치할 때에 유용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it is useful when carrying a heavy flower or tree.

5. 제 5실시예(도 7 참조)5. Fifth embodiment (see Fig. 7)

제 5실시예는 상기 제 4실시예와 달리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전주(60)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실시예로, 다수의 화분(62)이 장착되는 구조이다.Unlike the fourth embodiment, the fifth embodiment has an annular structure and is independently installed on the pole 60. The fif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 pots 62 are mounted.

제 5실시예는 그 중심부에 전주(60)가 삽입되며, 장착되는 화분(62)의 개수만큼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 물받이(67)와, 상기 물받이(67)의 가장 자리에 원통 구조로 장착되는 하우징(61)과, 그 중심부에 상기 전주(60)가 삽입되며 상기 물받이(67)의 아래에 장착되는 수조(63)가 일체로 형성된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electric pole 60 is inserted into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drip tray 67 formed in the form of a funnel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pots 62 to be mounted, and a housing mount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at the edge of the drip tray 67. 61 and the water tank 63 inserted into the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ntegrally formed with a water tank 63 mounted below the drip tray 67.

그리고, 상기 하우징(61)의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대(64a)가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대(64a)는 전주(60)에 장착되는 브래킷(64)에 고정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s 64a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61, 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64a are fixed to the bracket 64 mounted on the electric pole 6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5실시예는 수조(63)에 내장된 수중 펌프(도 7에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분배관(도 7에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화분(62)의 개수와 동일하게 상방으로 배치된 급수관(65) 및 노즐(66)을 통하여 각 화분에 대한 급수가 이루어진다.The fifth embodiment made as above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pots 62 through the distribution pipe (not shown in Figure 7) connected to the water pump (not shown in Figure 7) built in the water tank (63) The water supply for each pot is mad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5 and the nozzle 66 arranged in the same manner.

한편, 상기 제 5실시예는 그 중심에 상기 전주(60)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우징(61), 수조(63), 물받이(67) 등이 2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져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결합 수단(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을 통하여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전주(60)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fth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ic pole 60 is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the housing 61, the water tank 63, the drip tray 67, and the like are composed of two sections in order to facilitate mounting.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coupling means (for example, bolts and nuts) not shown in the figure is mounted on the pole 60.

그리고, 상기 화분(62)에는 습도 센서가 내설되어 있고, 상기 펌프의 구동 시간 설정을 위한 조작부(69)는 상기 전주(60)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69) 및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도 7에 도시하지 않음)도 상기 전주(60)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humid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flower pot 62, and an operation unit 69 for setting a driving time of the pump is installed in the pole 60, and is applied to a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69 and a humidity sensor. Accordingly, a control unit (not shown in FIG. 7) for controlling the pump is also installed in the pole 60.

6. 제 6실시예(도 8∼도 10 참조)6. Sixth embodiment (see Figs. 8 to 10)

제 6실시예는 상기 제 3실시예와 같이 전주에 가지 형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화분 장치에 관한 실시예이다.The six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ot device that is independently installed in the form of branches in the pole as in the third embodiment.

제 6실시예는 물을 공급하는 수조(74), 상기 수조(74) 위에 장착되어 화분(71)에서 누수되는 물을 모아주는 물받이(73), 상기 화분(71)을 상기 수조(74) 위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지지해 주는 지지부(70), 상기 화분(71)의 외주부를 감싸면서 상기 수조(7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72), 상기 하우징(72)과 상기 수조(74)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72)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수단, 상기 수조(74)로부터 화분(71)으로 물을 공급해 주는 급수 수단으로 구성된다.The sixth embodiment is a water tank 74 for supplying water, a drip tray 73 mounted on the water tank 74 to collect water leaked from the flower pot 71, and the flower pot 71 on the water tank 74. Support portion 70 to support for mounting, the housing 72 is rotatably mounted relative to the water tank 740 while wrapp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ot 71, between the housing 72 and the water tank 74 And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housing 72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74 to the flower pot 71.

상기 지지부(7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화분(71)이 장착되는 환형의 화분 걸이부(70c), 상기 화분 걸이부(70c)에 가로로 형성된 가로 지지부(70b), 상기 가로 지지부(70b)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세로 지지부(70a), 상기 세로 지지부(70a)의 하단에 세로로 형성되어 수조(74)의 하단부를 지지해 주는 하단 지지부(70d)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0, the support part 70 has an annular potted hanger part 70c having a potted plant 71 mounted thereon, a horizontal support part 70b formed horizontally in the potted hanger part 70c, and the horizontal It consists of a vertical support portion 70a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ortion 70b, and a lower support portion 70d formed vert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70a to suppor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water tank 74.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수조(74) 내에 수중 장착되어 물을 송수하는 펌프(도 9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펌프로부터 송수되는 물을 상기 화분(71) 위로 급수해 주는 급수관(74a), 상기 급수관(74a)에 의하여 급수된 물을 화분(71)에 분사시켜 주는 노즐(74b)로 구성된다.The water supply means is a pump (not shown in FIG. 9) mounted in the water tank 74 to transmit water, a water supply pipe 74a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pump to the pot 71, and the water supply pipe It consists of the nozzle 74b which injects the water supplied by 74a to the pollen 71. FIG.

상기 회전 수단은 상기 하우징(72)과 수조(74) 사이에 장착되어 서로를 결합시켜 주면서 그 하단에 상기 하우징(17)의 하단부 및 하부 측단부를 각각 지지해 주는 하단 지지단 및 측단 지지단이 형성된 결합부(75), 상기 결합부(75)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지지단과 측단 지지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7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해 주는 다수의 하단 지지롤러(76) 및 측단 지지롤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상기 하우징(72)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벨트(78a), 상기 수조(74)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벨트(78a)에 장착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도 1의 부재 번호 13) 즉, 모터(78)로 구성된다.The rotating means is mounted between the housing 72 and the water tank 74 and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lower support end and the side support end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and the lower side end of the housing 17 on the lower end thereof, respectively. A plurality of lower support rollers 76 and side support rollers, which are attached to the formed coupling part 75 and the lower support end and the side support end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art 75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housing 72. (Not shown in the drawing), a belt 78a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72, a drive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water tank 74 and mounted on the belt 78a to provide rotational driving force ( 1, that is, the motor 78.

상기 물받이(73)는 상기 결합부(75)와 상기 수조(74)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물받이(73)의 중앙에는 배수구(73a)가 형성되어 있어서 모아진 물은 상기 수조(74)로 회수된다.The drip tray 73 is mount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75 and the water tank 74, and a drain port 73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ater reservoir 73 so that the collected water is recovered to the water tank 74.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5실시예는 상기 제 3실시예와 같이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하여 전주에 장착된다.The fif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pole by the support made of the branched form as in the third embodiment.

그리고, 상기 화분(71)에는 습도 센서가 내설되어 있고, 상기 펌프의 구동 시간 설정을 위한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전주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 및 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펌프를 제어해 주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도 상기 전주에 설치된다.In addition, a humidity sensor is installed in the flower pot 71, and an operation unit (not shown) for setting the driving time of the pump is installed in the pole, and the pump is operated according to signal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and the humidity sensor.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is also installed in the pole.

7. 제 7실시예7. Seventh embodiment

제 7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에 광고를 위한 광고 수단을 장착한 실시예이다.The seven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advertising means for advertisement is mounted in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상기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경우에 화분(22, 32)의 외주면에 광고판을 부착하거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광고통을 제작하여 상기 화분(22, 32)의 외부에 장착하면 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an advertisement board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lower pots 22 and 32, or a separate advertisement box made of a cylindrical shape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lower pots 22 and 32.

그리고, 제 2실시예의 경우에 수조(35)가 전주(3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조(35)의 외주면에 광고판 부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water tank 35 is mounted on the electric pole 30, a billboard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35.

상기 제 3실시예는 수조(43)와 화분(42)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이지만,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분(42)의 외주면에 광고판을 부착하거나 화분(42)의 둘레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광고통을 제작하여 화분(42) 둘레에 장착한다.The third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tank 43 and the flower pot 42 are integrated, but 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 billboard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 pot 42 or the Produce a cylindrical advertising box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and is mounted around the pot (42).

제 4실시예는 전주(50)에 수조(52) 및 다수의 화분(51)이 다단으로 장착되어 있는 실시예이므로, 상기 화분(51) 및 수조(52)의 외주면에 광고판을 부착한다.Since the four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ater tank 52 and the plurality of flower pots 51 are mounted in multiple stages in the electric pole 50, a billboard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lower pot 51 and the water tank 52.

제 5실시예는 하우징(61)의 외주면에 광고판을 부착한다.The fifth embodiment attaches a billboar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61.

제 6실시예는 하우징(72)이 회전 수단인 모터(78)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이므로, 상기 하우징(72)에 광고판을 부착한 후에, 상기 모터(78)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광고 효과가 상승된다.In the sixth embodiment, since the housing 72 is rotated by the motor 78 which is a rotating means, after the advertisement board is attached to the housing 72, the advertisement effect is increased by rotating using the motor 78. .

8. 제 8실시예8. Eighth Embodiment

제 8실시예는 상기 제 7실시예 즉, 상기 제 1실시예 내지 제 6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광고 수단을 장착한 각 구성에 대하여, 광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실시예이다.An eigh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outputting audio including an advertisement or a guidance message for each of the components in which the advertising means is mounted for the components of the seventh embodiment, that is,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

이를 위하여, 각 실시예의 제어부에는 사운드 칩이 연결되며, 상기 사운드 칩에는 광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To this end, a sound chip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of each embodiment, and the sound chip stores audio data including an advertisement or a guidance message.

상기와 같이 사운드 칩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어, 상기 광고판과 더불어 광고 효율을 높여 준다.As described above,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sound chip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by the controller, thereby increasing the advertisement efficiency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board.

한편, 본 발명은 사람들이 오가는 가로에 설치된 가로등이나 전신주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할 때에 상기 사운드 칩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streetlights or telephone poles installed in the street where people come and go, it is preferable to output audio data by the sound chip when people approach within a certain distance.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는 근접 센서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사람이 접근할 때에는 상기 사운드 칩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킨다.Therefore, a proximity sensor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when a person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proximity sensor, the controller outputs audio data by the sound chip.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각,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하는 시각을 설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predetermined time and a time to supply water may be set and output.

특히, 상기 제 6실시예의 모터(78)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때에 상기 사운드 칩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이 광고를 출력하는 대신에 음악 데이터를 이용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음악에 패턴에 맞추어 상기 광고판을 회전시켜 줌으로써 음악과 광고판의 회전을 조화시켜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in outputting audio data by the sound chip when rotating by using the motor 78 of the sixth embodiment, instead of outputting an advertisement as described above, music using music data is output, and By rotating the billboard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ffect by harmonizing the rotation of music and the billboar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가로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이나 전신주와 같은 전주에 화분을 설치함으로써 전주가 나뭇가지 또는 꽃을 연상되도록 환경 친화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be environmentally friendly so that the pole is reminiscent of the branches or flowers by installing a flowerpot on the pole, such as street lamps or telephone poles are installed in the street that people come and go a lot.

또한, 화분의 물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시키고, 화분 등에 장착된 광고판 및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광고를 통하여 광고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비용을 이용하여 상기 화분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agement cost by facilitating the water management of the potted plant, and to cover the cost of the potted plant management by using the costs generated by advertising through the advertising board and audio data mounted on the potted plant. It i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made by those who posses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주형 가로 화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ost-shaped horizontal flower b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ectric pot device for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의 각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3 to 10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each embodiment of the pole planter device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어부 11 : 습도 센서10 control unit 11: humidity sensor

12 : 온도 센서 14 : 수신부12: temperature sensor 14: receiver

14a : 리모컨 15 : 조작부14a: remote control 15: control panel

16 : 펌프 17 : 수조16: pump 17: water tank

18 : 급수관 19 : 화분18: water pipe 19: pollen

Claims (15)

전주에 장착되어 화분이 설치되는 장착대;Mounting pole is mounted on the pole to install the flowerpot;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물을 공급해 주는 노즐;A nozz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tted plant installed on the mount; 상기 노즐에 물을 전달해 주는 급수관;A water supply pipe for delivering water to the nozzle; 물이 저장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and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급수관으로 송수해 주는 펌프;A pump for transmitting water in the tank to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공급된 물이 누수되면 이를 회수하여 상기 수조로 이송시켜 주는 회수 수단;Recovery means for recover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pot installed in the mount and transferring it to the tank; 상기 장착대에 설치된 화분에 설치되어 화분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the flower pot installed on the mount to detect humidity in the flower pot; 상기 펌프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Operating means for setting an operating time of the pump;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상기 습도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상기 화분 내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낮으면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수조 내의 물을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for supplying water in a water tank to the nozzle through a water supply pipe when the time set by the operation means is reached or the humidity in the flower pot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time;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Pole apparatus for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moisture suppl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전주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eans is an operation means mounted on a telephone pol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 to input a setting for driving the pump at a predetermined time. One pole plan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수신부와, 상기 펌프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구동시키기 위한 설정을 입력하고, 입력된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는 리모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ired to the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 setting for driving the pump at a predetermined time, and inputs a setting to convert the input signal into a control signal to wireless Pole apparatus for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moisture suppl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mote control to transmit to the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전주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가지 형태로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장 형성되어 화분이 놓이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moisture suppl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fixed to the pole, the support is connected to a branch form on one side of the bracket, the support is extended to the support is placed on which the planter is placed One pole plan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전주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가지 형태로 연결된 다수의 지지대, 그 중심에 전주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bracket is composed of a bracket fixed to the pole, a plurality of supports connected in the form of branches to the bracket,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the pole in the center thereof is formed by the support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s Pole equipment for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하단에 장착되어 화분에서 누수되는 물을 모아 주는 물받이, 상기 물받이와 상기 수조를 연결하는 회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ecovery means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rip tray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to collect the water leaked from the pot, the collection pipe connecting the drip tray and the water tank One pole plan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장착대와 화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is installed between the mounting table and the flower p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전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telephone p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전주가 설치된 지면 아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tank is installed under the ground on which the electric pole is install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와,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유입구의 높이가 지면 높이 이하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water tank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for storing water, an inlet for injecting water, and a filter installed at the inlet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the height of the inlet is buried below the ground height. Pole equipment for electric pole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화분이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위에 놓인 화분을 둘러싸는 통, 광고 내용이 형성되어 상기 통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광고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of claim 1, wherein the mount includes a pedestal in which the pot is installed, a pail surrounding the pot placed on the pedestal, and an advertisement board formed with advertisement contents and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il. Pole potting device equipped with.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을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회전시켜 주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12. The pole po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barrel relative to the pedest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광고를 하는 광고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vertisement board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to adverti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운드 발생부 및 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sound generator for storing audio data including advertisement contents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사람이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a perso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KR10-2004-0013146A 2004-02-26 2004-02-26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KR100518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146A KR100518900B1 (en) 2004-02-26 2004-02-26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146A KR100518900B1 (en) 2004-02-26 2004-02-26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379A true KR20050087379A (en) 2005-08-31
KR100518900B1 KR100518900B1 (en) 2005-10-05

Family

ID=3727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146A KR100518900B1 (en) 2004-02-26 2004-02-26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90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22A2 (en) * 2008-04-25 2009-10-29 Yu Shin Telegraph pole for underground cable
KR101124648B1 (en) * 2009-06-02 2012-03-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t cultivating system
KR101373452B1 (en) * 2013-07-11 2014-03-13 윤유미 Road light with waste water
KR102004128B1 (en) * 2019-05-27 2019-07-25 안병록 Telephone pole fixture cleaning and cooling device
KR102175528B1 (en) * 2020-07-31 2020-11-10 (주)동화이엔씨 Communica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388B1 (en) 2006-03-20 2007-02-02 장기웅 A self-water supply system of flowering plants
KR100991332B1 (en) * 2008-02-21 2010-11-01 윤영춘 Water supply apparatus for flower pot of street lamp
KR100991338B1 (en) 2008-02-21 2010-11-01 윤영춘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a flower tower
KR100953277B1 (en) 2008-03-05 2010-04-19 장기웅 Landscape architecture apparatus for a wall mounting
KR101480078B1 (en) * 2013-09-13 2015-01-21 씨앤더블 주식회사 The street lamp that have a bedding out a plants fuction
KR101501206B1 (en) * 2013-11-20 2015-03-12 (주)하이닉스몰드 Eco-friendly jardiniere for street
KR200494218Y1 (en) * 2019-08-07 2021-08-30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ratus for plant cultiv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22A2 (en) * 2008-04-25 2009-10-29 Yu Shin Telegraph pole for underground cable
WO2009131322A3 (en) * 2008-04-25 2010-03-11 Yu Shin Telegraph pole for underground cable
KR101124648B1 (en) * 2009-06-02 2012-03-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lant cultivating system
KR101373452B1 (en) * 2013-07-11 2014-03-13 윤유미 Road light with waste water
KR102004128B1 (en) * 2019-05-27 2019-07-25 안병록 Telephone pole fixture cleaning and cooling device
KR102175528B1 (en) * 2020-07-31 2020-11-10 (주)동화이엔씨 Communicatio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900B1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900B1 (en) Automatic Supplying Apparatus of Water for Jardiniere Fitted on Electric Pole
CN2896855Y (en) Columnar planting pergola
CN103444405B (en) Wall body vertical greening method and the plant curtain wall of formation thereof
CN201491551U (en) Wall-used vertical greening box
CN203840833U (en) Ecological three-dimensional greening wall
JP6535945B1 (en) Automatic irrigation type three-dimensional planting device
CN110810063A (en) Cultivation device for landscaping nursery
CN203661759U (en) Aeroponic cultivation device
CN109258204A (en) A kind of garden landscape plant showing stand
CN105850676A (en) Multifunctional flower stand supportive of being timed for automatic watering
CN110714648B (en) Construction method of garden comprehensive type greening facility
CN206525228U (en) A kind of Garden Engineering flower stand
CN213819029U (en) Environment-friendly ecological greening device
CN205694790U (en) A kind of can the Multifunctional flower shelf of timing automatically watering
CN109914670B (en) Suspended ceiling for green building
CN202121983U (en) Automatic watering management device
CN206835737U (en) A kind of garden landscape plants basin
CN209527425U (en) A kind of Portable type room hydroponic plant planting unit
CN208259461U (en) A kind of flower stand
KR20140060061A (en) Apparatus for growing twiner by supplying rainwater
CN215735950U (en) Novel planting pot
CN216795863U (en)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of flowers for landscape garden
CN210226308U (en) Novel container cultivated in a pot
CN210067621U (en) Landscape guardrail
CN213695179U (en) Rack cultivated in a pot is used in afforestation sh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