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775A - 트롤리 휘일용 저어널 베어링 - Google Patents

트롤리 휘일용 저어널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775A
KR20050086775A KR1020057009364A KR20057009364A KR20050086775A KR 20050086775 A KR20050086775 A KR 20050086775A KR 1020057009364 A KR1020057009364 A KR 1020057009364A KR 20057009364 A KR20057009364 A KR 20057009364A KR 20050086775 A KR20050086775 A KR 2005008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liding member
wheel assembly
hub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찰스 씨. 프로스트
Original Assignee
푸로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로스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푸로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4Bearings of rotating parts, e.g. for soil-work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1/00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with guided towing cabl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210)는 허브부(21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는 휘일부(212)와, 휘일부와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217)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는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정합하기 위한 정합면을 형성한다. 활주 부재의 정합면은 활주 부재 둘레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주연방향으로 반경방향 돌출부(217a)를 형성한다. 반경방향 돌출부는, 허브에 대해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활주 가능하게 정합할 수도 있다. 휘일 조립체는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형성하고, 휘일 조립체의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활주 부재와 휘일 또는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체(216a, 216b)를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트롤리 휘일용 저어널 베어링{JOURNAL BEARING FOR TROLLEY WHEEL}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롤리 휘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트롤리용 휘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트롤리는 통상 허브와 트롤리 아암에 대한 휘일의 원활한, 일반적으로 저마찰의 구름을 허용하도록 각각의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허브와 휘일 사이에 베어링을 갖는다. 그러나, 베어링은 통상 윤활제를 필요로 하고, 휘일 조립체와 트롤리가 페인트 프로세스를 통해 주행함에 따라, 오일 또는 윤활제가 베어링으로부터 취출 또는 누설 또는 떨어진다면, 다양한 페인트 프로세스로 오염될 수도 있다. 또한, 예비 페인트 세척 작동 등은 통상 베어링의 윤활제를 분해하여, 베어링의 조기 파손을 야기할 수도 있는, 부식성이 매우 강한 재료 또는 용액을 사용한다.
종래의 저어널 베어링은 통상의 롤러 베어링에 대한 우려를 회피하도록 이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어널 베어링은 통상 고마찰 조립체여서, 컨베이어 시스템을 따르는 휘일의 원할한, 저마찰의 구름을 제공하지 못한다. 저어널 베어링은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지 않고, 휘일과 허브 사이에 고마찰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저어널 베어링은 종종, 허브에 대해 휘일의 원활한 회전을 제공하도록 윤활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에 대한 본 기술 분야에서의 요구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2는 컨베이어 조립체의 비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롤리 아암으로 조립된, 도1의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단부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또 다른 트롤리 아암에 장착된, 도1 및 도2의 휘일 조립체와 유사한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다른 단부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4a는 도4의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허브에 대해 트롤리 휘일의 저마찰 구름을 제공하고, 고온과 부식성 세척 화학물질 등을 견딜 수 있어서, 불리한 환경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베어링없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베어링이 없는 휘일 조립체는 또한 윤활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사용시 페인트 프로세스 등으로 오염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컨베이어 트롤리용 트롤리 휘일 조립체는 허브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는 휘일부와, 휘일부와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는 휘일부와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정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합면을 형성한다. 활주 부재의 정합면은 활주 부재 둘레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주연 방향으로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돌기를 형성한다. 반경방향 돌출부는, 허브에 대해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활주 가능하게 정합한다.
반경방향 돌출부는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의 대응되게 만곡된 정합면과 정합하는 만곡된 반경방향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활주 부재와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는, 활주 부재와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의 축방향 정렬을 유지하도록,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는,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활주 부재와 삽입 부재 중 하나는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활주 부재와 삽입 부재 중 다른 하나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고 상부에 저마찰 코팅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베이어 트롤리용 트롤리 휘일 조립체는 허브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는 휘일부와, 그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는 활주 부재와 휘일부 및/또는 허브부 사이에 저마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활주 부재는, 대체로 원형 또는 다르게는 둥근 또는 만곡된 단면부, 또는 휘일 조립체를 함께 축방향으로 보유하고, 휘일 조립체의 축방향 로딩 및/또는 반경방향 로딩시 원활한 성능을 유지하도록, 또 다른 활주 부재 및/또는 허브부 및/또는 휘일부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요철이 있거나 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활주 부재 또는 부재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 내에서, 금속 재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내구성의 저마찰 재료,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 등과 같은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재료, 세라믹 재료,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형태에서, 휘일 조립체의 활주 부재는 중합체 활주 부재와, 중합체 활주 부재와 휘일 또는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금속 활주 부재를 포함한다. 금속 활주 부재 및 중합체 활주 부재에는 대체로 원형의 또는 다르게는 둥글거나 또는 만곡된 길이방향 단면이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어서, 활주 부재 중 하나의 둥근 부분은 다른 활주 부재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둥근형 그루브 또는 채널과 결합한다. 금속 활주 부재는, 중합체 활주 부재 및/또는 휘일 조립체의 허브부 및/또는 휘일부에 대해 금속 활주 부재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키도록, 저마찰계수 또는 다이아몬드형 코팅 등과 같은 슬릭(slick) 코팅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베이어 트롤리용 트롤리 휘일 조립체는 허브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는 휘일부와, 휘일부와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활주 조립체를 포함한다. 활주 조립체는, 휘일부가 허브부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서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활주 부재 및 제2 활주 부재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는 사이에 환형 활주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휘일부가 허브부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 활주 부재 사이에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둥근 또는 만곡된 또는 축방향으로 요철이 있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도록 활주 인터페이스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활주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반경방향 외향 또는 내향으로 돌출되고, 휘일 조립체를 함께 보유하고 활주 부재, 및 휘일부와 허브부의 축방향 정렬을 유지하여 휘일 조립체의 축방향 트러스트 또는 로딩 및/또는 반경방향 로딩시 원활한 성능을 유지하도록 다른 활주 부재 및/또는 허브부 및/또는 휘일부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부분 또는 그루브와 결합하는, 둥글거나 만곡된 단면부를 가질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활주 조립체의 활주 부재 중 하나는, 서로 및/또는 휘일부 또는 허브부에 대한 부분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켜, 허브에 대해 휘일부의 회전을 향상시키도록, 다이아몬드형 코팅(DLC) 등과 같은 저마찰계수 또는 슬릭 코팅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활주 부재 중 하나는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활주 부재 또는 휘일 또는 허브부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형태에서, 플라스틱 활주 부재는 내부 중합체부와 외부 중합체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내부 중합체부는 허브부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될 수도 있고, 외부 중합체부는 휘일부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된다. 금속 활주 부재는 대체로 원추형인 링 또는 부분 원추형 링 등과 같은 금속 링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내부 및 외부 중합체 활주 부재 사이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중합체 활주 부재는 허브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될 수도 있고, 금속 활주 부재는, 허브부에 대해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휘일부에 인접하여 중합체 활주 부재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된다. 다르게는, 금속 활주 부재는 허브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될 수도 있고, 중합체 활주 부재는, 허브부에 대해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휘일부에 인접하여 금속 활주 부재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및/또는 금속(또는 다르게는 적절한 재료) 활주 부재의 다른 배열이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형태에서, 활주 부재 양자 모두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거나 양자 모두는 중합체 재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내구성이 있고 마모면 또는 활주 인터페이스면에 충분한 저마찰계수를 제공하는, 세라믹 재료,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가 활주 조립체의 활주 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활주 부재 중 하나 이상은 활주 부재 및/또는 활주 부재와 휘일 조립체의 휘일부 또는 허브부 사이에 저마찰계수를 제공하는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어링 또는 윤활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휘일 조립체의 허브부에 대한 휘일부의 향상된 회전을 제공하는 베어링이 없는 트롤리 휘일을 제공한다. 휘일 조립체의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활주 부재 또는 부재들은 허브에 대해 휘일부의 원활한 회전을 제공하도록 서로 원활한 활주 결합을 제공한다. 활주 부재 또는 부재들의 저마찰계수로 선택된 재료는 부품들 사이의 활주를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저마찰계수 코팅이 활주 결합을 또한 향상시키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활주 부재에는 서로 또는 휘일 조립체의 허브부 또는 휘일부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활주 부재 또는 부재들은, 휘일부와 허브부의 정렬을 유지하고 허브부에 대해 휘일부의 원활한 회전을 제공하도록, 또 다른 활주 부재의 또는 허브부의 또는 휘일부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채널 또는 그루브 또는 요철이 있는 정합면 내부에 그리고 이를 따라서 결합하기 위해, 대체로 원형 또는 부분 원형 또는 다르게는 만곡되거나 또는 요철이 있는 단면 또는 정합면과 같은,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축방향으로 요철이 있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있거나 또는 만곡된 정합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이점, 목적 및 특징은 도면과 연관된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과 내부에 표시된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면, 트롤리 휘일 조립체(10)는 금속 휘일부(12)와,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14)와, 휘일부(12)와 허브부(14) 사이에 위치 설정 또는 개재되는 플라스틱 저어널 베어링 부재(16)를 포함한다(도1 및 도2). 플라스틱 저어널 베어링(16)은, 휘일 조립체(10)의 허브부(14)에 대해 휘일부(12)의 원활한 저마찰 구름을 제공하는, 공학적 열가소성 저마찰 화합물 또는 재료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일 조립체(10)는 볼트 온(bolt-on) 휘일 및 트롤리 구성의 일부일 수도 있는데, 여기서 휘일 조립체(10)는 볼트 또는 다른 체결구(20)를 거쳐 트롤리 아암에 볼트 결합된다. 허브부(14)는 아암부(18)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휘일부(12)는, 휘일 조립체(10)와 아암(18)이 트롤리 컨베이어 시스템의 I 비임(22) 등을 따라 주행함에 따라, 허브부(14)에 대해 회전한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휘일 조립체는 트롤리 구조에 대한 스웨이지형(swaged) 휘일의 일부일 수도 있고, 여기서 트롤리 아암(18')은 허브부(14)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구역(14a)과 결합하는, 확개부(18a')를 거쳐 허브부(14)에 고정된다. 휘일 조립체를 트롤리 아암에 연결시키는 다른 수단이,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행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저어널 베어링(16)은, 복합 섬유와 고체 윤활제가 합금된 열가소성 기재의 사용에 의해 형성되는 공학적 열가소성 화합물과 같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재료는 내알칼리성이며, 대부분 유기 및 무기 용액이어서, 부식성 세척 용액 등과의 접촉에 견딜 수 있다. 베어링 재료는 대략 250°F 이상까지 단속하는 능력으로, 연속해서 대략 -40°F 내지 200°F의 온도 범위를 가질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재료는 대략 450°F 이상일 수 있는 재료와 같이, 고온일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는, 휠 조립체(10)의 허브부(14)에 대해 휘일부(12)의 원활한 회전을 제공하도록, 금속 휘일부(12)와 저어널 베어링(16) 및/또는 금속 허브부(14)와 저어널 베어링(16) 사이의 저마찰 활주 접촉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베어링 재료는 또한, 특정 트롤리 및 트롤리 컨베이어 조립체의 용도에 따라, 트롤리 휘일이 받게 될 수도 있는 다양한 불리한 환경을 견딜 수도 있다.
휘일 조립체(10)는 금속 휘일부(12)를 허브부(14)와 정렬된 상태로 보유하도록 기능하는 플라스틱 트러스트 베어링(24)과 강철 또는 금속 워셔(26)를 더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부(14)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또는 링(14b)을 포함하고, 휘일부(12)는 허브부(14)의 링(14b)과 휘일부(12) 사이의 플라스틱 저어널 베어링(16)의 확개형 링부(16a)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영역(12a)을 포함한다. 휘일부(12)는 또한 내부에 트러스트 베어링(24)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2a)에 대향하는 또 다른 리세스(12b)를 포함하는데, 이는 부품들을 함께 보유하도록 허브부(14)의 플랜지 또는 링(14b)을 향해 휘일부(12)와 플라스틱 저어널 베어링(16)을 가압한다. 워셔(26)는 이어서, 허브부(14) 둘레에 모든 부품들을 추가로 보유하도록, 허브부(14)와 트러스트 베어링(24)에 대해 가압한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휘일부(12)와 허브부(14)는 금속 부품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적어도 정합 또는 마모면(12c, 14c)에 부품들의 저마찰계수 표면을 제공하도록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 있는데, 이는 휘일부(12)가 허브부(14)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플라스틱 저어널 베어링(16)과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예를 들어, 허브 및 휘일부는,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Teflon 유형 재료, 경질 카본 또는 다이아몬드형 코팅(DLC) 또는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내구성있고 저마찰계수의 재료 또는 슬릭 코팅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저마찰 코팅은, 드릴 비트, 탭 및 다른 절삭 공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DLC 코팅과 같은 내구성의 저마찰 타입의 코팅 또는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정합 마모면 상의 이러한 저마찰계수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저마찰 계수 코팅은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시 부품들의 마모를 감소시킨다. 저마찰계수 표면 및/또는 코팅은 또한 오일 또는 그리스 등과 같은 임의의 액체 윤활제가, 휘일부(12)가 허브부(14)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품들 사이에 필요하게 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4 및 도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110)는 외부 금속 또는 강철 휘일부(112)와,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114)와, 휘일부(112)와 허브부(114) 사이에 위치 설정 및 개재되는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116)를 포함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116)는 내부 삽입 또는 활주 부재(116a)와, 외부 삽입 또는 활주 부재(116b)와, 내부 및 외부 삽입체(116a, 116b) 사이에 위치 설정 또는 개재되는 삽입 또는 활주 부재(117)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및 외부 삽입체(116a, 116b)는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고, 활주 부재(117)는 금속 재료를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부재(117)는, 대체로 원형 또는 둥근형 또는 만곡된 단면을 갖는 링형 삽입체 또는 부분을 형성하는 상승부 또는 반경방향 돌기 또는 반경방향 돌출부(117d)를 갖는 정합면(117c)을 형성하고 함께 고정할 수도 있는 한쌍의 대향식으로 만곡된 금속판 또는 링(117a, 117b)을 포함한다(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또는 둥근 단면은 휘일 조립체의 중심선 또는 축(119)을 따라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취해져서, 만곡되거나 또는 요철이 있는 부분은 가변 반경을 갖는 정합면에 의해 형성된다). 활주 부재(17)의 대향식으로 만곡된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부분(117d)은 내부에 개구를 갖는 중공 링부(117e)를 형성한다. 링(117a, 117b)의 반경방향 상승 또는 돌출부는 반경방향 외향 및 내향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고, 삽입체(116a, 116b)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결합하고, 플라스틱 삽입부(116a, 116b) 둘레에 주연방향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환형 리세스 또는 그루브 또는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만입부 내부에 끼워맞춰진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17a, 117b)은 링(117a, 117b)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변경된 반경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어서, 반경방향 돌출부(117d)는 링(117a, 117b)의 대향 단부보다 크거나 작은 반경에 의해 형성된다. 삽입체(116a, 116b)는 또한, 링(117a, 117b)의 정합면과 대체로 대응하는 정합면을 형성하도록, 그를 따라 변경된 반경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및 외부 삽입체(116a, 116b)를 갖는 활주부(117a, 117b)의 대향식으로 만곡된 부분(117d)과 정합면(117c)의 결합 또는 정합면은 내부 플라스틱 삽입부(116a)와 허브부(114)에 대해 외부 삽입부(116b)와 휘일부(112)를 축방향으로 보유하고 휘일 조립체의 원활한 작동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삽입체(116a, 116b)는 개별 허브부(114)와 휘일부(112)에 각각 고정, 고착 또는 접착되거나 다르게는 부착되고, 링부(117a, 117b)는 허브(114)에 대해 휘일부(11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활주 인터페이스를 따라 개별 플라스틱 삽입체(116a, 116b)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체(116a, 116b) 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휘일 조립체의 대향 단부에 또는 그를 향해 대향 단부 또는 링을 갖는 이편 삽입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삽입부 또는 부분(116a, 116b)들의 이편 구조는 허브 둘레에 그리고 휘일 조립체의 허브부와 휘일부 사이에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116)의 조립을 쉽게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삽입체의 단부 중 하나는 개별 휘일부와 허브부에 위치 설정될 수도 있고, 휘일부는 허브부 둘레에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활주부(117a, 117b)는 이어서 삽입체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 리세스 내부에 반경방향 돌출부를 갖는 단부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삽입체(116a, 116b)의 다른 단부는 제1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될 수도 있고, 휘일 및 허브부 사이의 제 위치에 활주 부재(117a, 117b)를 보유하도록 휘일 또는 허브부에 고정 또는 부착 또는 가압 또는 다르게는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활주부(117a, 117b)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휘일 조립체(10)에 대해 상술된 저마찰 코팅과 유사한 저마찰 코팅 등으로 [적어도 삽입체(116a, 116b)와 결합 또는 정합하기 위해 그 정합면(117c) 상에] 코팅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부분 또는 삽입체(116a, 116b)는 저어널 베어링(16)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은 저마찰계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강철, 청동,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금속 재료와 같은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활주 삽입체 또는 부분(117)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내구성 있고 충분한 저마찰 표면을 제공하는 중합체 재료, 세라믹 재료,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삽입체 또는 부분(116a, 116b)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내구성 있고 충분한 저마찰 표면을 제공하는 금속 재료, 세라믹 재료,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그리고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 또는 처리될 수도 있다).
둥근 또는 만곡된 또는 다르게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링과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된 삽입체의 정합 결합 또는 활주 인터페이스는 휘일 조립체의 반경방향 로딩 및/또는 축방향 트러스트 또는 로딩시 허브부 상의 휘일부의 정렬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의 반경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요철이 있는 정합 결합은 휘일 조립체의 작동시 부품들의 결속없이 원활한 성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116)는 따라서 윤활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로딩 조건시 휘일 조립체(110)의 원활한 작동을 제공할 수도 있다. 휘일 조립체(110)는 또한 트러스트 워셔 등에 대한 필요성을 없앨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휘일 조립체(210)가 도시되는데, 이는 금속 또는 강철 휘일부(212),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214), 휘일부(212)와 허브부(214) 사이에 개재된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 또는 삽입 또는 활주 부재(216)를 포함한다. 휘일 조립체(110)와 유사하게, 휘일 조립체(210)의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216)는 활주 부재 또는 삽입부 또는 내부 및 외부 삽입부(216a, 216b) 사이에 위치 설정된 링(217)을 포함한다.
활주 부재(217)는, 대체로 원형 또는 둥근형 단면을 갖고, 내부 및 외부 삽입부(216a, 216b) 모두에 주연방향으로 그리고 이들 사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리세스 또는 그루브 또는 채널과 결합 또는 정합 또는 그 내부에 끼워맞춰지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정합면(217a)을 형성하는, 대체로 원추형의 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링부 또는 부재는,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분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른 길이방향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둥글거나 또는 평평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돌기 또는 반경방향 돌출 또는 연장부를 갖는 요철이 있는 형태와 같은, 상이한 단면 형태를 갖는 다른 형상의 링을 포함할 수도 있고, 삽입부는 링부와 대체로 균일하게 결합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다. 활주 부재 또는 링부(217)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저마찰 코팅으로 코팅될 수도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는 삽입체(216a, 216b)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한다. 삽입체 또는 삽입부(216a, 216b)는 허브 및 휘일부(214, 212)에 각각 고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삽입부(216a, 216b)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저마찰계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삽입 및/또는 링부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금속 재료,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휘일 조립체(210)를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 삽입부(216a, 216b)는 각각 두개의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두 개의 플라스틱 삽입체의 일 측면 또는 단부가 함께 조립될 수도 있고, 활주 부재 또는 삽입체(217)가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216)와 휘일 조립체(210) 둘레에 그리고 그 내부에 위치 설정된 후에, 다른 측면이 조립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310)는 금속 또는 강철 휘일부(312)와,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314)와, 휘일부(312)와 허브부(314) 사이에 위치 설정 또는 개재되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 또는 장치(316)를 포함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316)는 허브부(314) 둘레에 위치 설정되는 내부 링 삽입체 또는 부분 또는 활주 부재(316a)(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휘일 조립체의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해 허브부 둘레에 위치 설정되는 한쌍의 링부 또는 링부)를 포함한다. 링부(316a)는 그 둘레에 주연방향으로 그루브 또는 리세스 또는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만입부를 형성한다. 대체로 원형 또는 둥근형 단면을 갖는 대체로 원추형의 금속 링 또는 활주 부재(317)가 링 또는 링들(316a)을 따라 그루브(316b) 내부에 위치 설정되고, 휘일부(312)의 정합면 또는 내부면 둘레에 주연방향으로 연장되는 휘일부(312)의 대응되게 형성되는 그루브 또는 반경방향 돌출부(312a) 내부에 또한 수용되어,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316)를 주위에 휘일부(312)와 휘일 조립체(310)의 허브부(314)를 보유한다. 활주 부재 또는 링(317) 또는 그루브(312a, 312b)는 활주 부재가 그루브(312a, 316b) 사이에 그리고 그들과 결합하는 경우, 극(315)이 플라스틱 링(316a)과 휘일부(312) 사이에 존재하고, 이에 의해 허브부(314)에 대한 휘일부(312)의 활주 결합이 활주 부재 또는 링(317)과 내부 삽입체 또는 링(316a) 사이에 이루어져, 그들이 서로에 대한 회전함에 따라 부품들의 결속을 제한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방지하도로 하는 크기로 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활주 부재 또는 링부(317)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고, 내부 삽입체 또는 링 또는 링들(316a)은, 허브부(314)에 대해 휘일부(312)의 구름을 향상시키도록,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410)는 금속 또는 강철 휘일부(412)와,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414)와, 휘일부(412)와 허브부(414) 사이에 개재된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416)를 포함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416)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부품들이 역으로 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316)와 설계에 있어 유사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7의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416)의 금속 링부(417)는 허브부(414) 둘레에 내부 금속 링 또는 링들을 포함하고, 플라스틱 링부(416a)는 대체로 원형 또는 둥근형 단면을 갖는 대체로 원추형인 플라스틱 링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링부(416a)는, 상술된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316)와 유사하게, 금속 링(417) 둘레에 그리고 링(417)의 내부 그루브(417a) 내부에 주연방향으로 위치 설정된다. 링(416a)의 반경방향 외향 돌출부 또는 요철이 있는 정합면(416a)은 휘일부(412)의 내부 정합면 둘레에 주연방향으로 형성된 외부 그루브(412a)와 결합하거나 또는 그 내부에 그리고 그를 따라 수용된다. 활주 결합은 따라서 휘일부(412)가 허브부(414)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플라스틱 링(416a)과 금속 링(417) 및/또는 휘일부(412)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휘일부(412) 또는 적어도 휘일부(412)의 내부 정합면(412a)은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고, 금속 링(417)의 외부 정합면[적어도 그루브(417a)를 따름]은 또한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510)는 금속 또는 강철 휘일부(512)와,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514)와, 휘일부(512)와 허브부(514) 사이에 위치 설정 또는 개재된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516)를 포함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516)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위치 설정된 링 또는 삽입체 또는 활주 부재(516a)[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516)와 휘일 조립체(5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두 개의 삽입체]와 반경방향 외향으로 위치 설정된 활주 부재 또는 링 또는 삽입체(517)를 포함한다. 활주 부재 또는 삽입체(517)는 삽입체(516a)의 정합면 내에 그리고 그 둘레에 대응되게 형성된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만곡된 또는 둥근 그루브 또는 채널(516b) 내부에 정합 또는 결합하는 그 정합면 상의 그리고 그 둘레에 만곡된 또는 둥근 릿지 또는 링(517a)과 같은 반경방향 내향 돌기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삽입체(516a)의 정합면 내에 그리고 그 둘레에 활주 부재 또는 삽입체(517)를 보유하고, 축방향 트러스트 및/또는 반경방향 로딩 조건시 휘일 조립체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한다.
휘일부(512)는 휘일부(512)의 정합면(512a)을 따라 활주 부재(517)로부터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된 리세스부 또는 채널(512b)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플랜지(517b) 내부에 그리고 그 사이에서 활주 부재(517)에 대해 보유될 수도 있다. 활주 부재(517)는 휘일부(512)에 (휘일부에 부착, 접합, 가압 끼워맞춤 또는 다르게는 고정되는 바와 같이) 대체로 고정식으로 장착되고, 활주 결합은 활주 부재(517)와 삽입체(516a) 사이에 제공되는데, 이는 또한 허브부(514)에 대체로 고정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활주 부재(517)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활주 부재(517)의 반경방향 내향 정합면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어서, 금속 활주 부재(517)와 저어널 베어링(516)의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삽입체 사이의 활주를 향상시킨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활주 부재 또는 삽입체(517) 및/또는 내부 삽입체(516a)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 등과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의 활주 부재 또는 삽입체 사이의 활주를 더 향상시킨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610)는 금속 또는 강철 휘일부(612)와, 금속 또는 강철 허브부(614)와, 휘일부(612)와 허브부(614) 사이에 위치 설정된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를 포함한다. 허브부(614)는 중심부(614a)와, 중심부(614a)의 일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616)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방향 상승부(614b)를 포함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616)는, 허브부(614)의 중심부(614a) 둘레에 위치 설정되고, 상승된 허브부(614b)와 맞닿는 내부 링부 또는 삽입체(617a)를 포함한다. 상승된 허브부(614b)와 내부 링부(617a)는 허브부(614) 둘레에 주연방향으로 채널 또는 그루브 또는 반경방향 돌기 또는 리세스(617b)를 형성 또는 한정하도록 조합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616)는 내부 만곡된 삽입체 또는 스페이서 또는 활주 부재(616a)와 외부 만곡된 삽입체 또는 스페이서 또는 활주 부재(616b)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대체로 그 사이에 원형 통로 또는 링형 통로를 형성하도록 대향식으로 만곡될 수도 있다. 대체로 원추형의 (또는 다르게는 대체로 둥글거나 만곡된) 링부 또는 활주 부재(617c)가 삽입체(616a, 616b) 사이에 형성된 대체로 원형 또는 둥근형 통로 내에 그리고 그를 따라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링(617c)과, 대응되게 형성된 삽입체(616a, 616b)는 휘일부(612) 내에 형성된 대응 그루브(612a) 내부에 그리고 상승된 허브부(614b)와 내부 링부(617a)의 접합부에 형성된 대응 그루브(617b)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링(617c)과 삽입체(616a, 616b)는, 링(617c)이 삽입체(616a, 616b) 사이에 그리고 그 사이에 형성된 둥근 통로 내부에 위치 설정되는 경우, 간극(615)이 삽입체(616a, 616b) 사이에 존재하도록 크기가 맞춰질 수도 있다. 휘일부와 허브부 사이의 활주 결합 또는 인터페이스는 따라서 링의 정합면 또는 면들과 삽입체 또는 스페이서(616a, 616b) 둘레에 그루브 또는 채널을 따라 형성된 정합면 사이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링(617c)은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내부 삽입체(616a)와 외부 삽입체(616b)에 대한 금속 링(617c)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키도록,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 등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링 또는 부분(617a, 617c) 및/또는 삽입체 또는 스페이서(616a, 616b) 및/또는 허브부(614)는,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휘일 조립체(610)의 허브부(614)에 대한 휘일부(612)의 원활한 이동 또는 회전을 향상시키도록, 금속 재료와 같은 다른 적절한 재료와,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와, 세라믹 재료와,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 휘일 조립체(710)는, 활주 조립체 또는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가 휘일부(712)와 허브부(714) 사이에 위치 설정 또는 개재된 상태로 휘일부(712)와 허브부(714)를 포함한다. 허브부(714)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고, 허브부(714)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외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만곡거나 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내부 금속부(714a)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돌출부(714a)는, 저어널 베어링 부재(716)의 한쌍의 링부 또는 활주 부재(716a, 716b)를 수용하기 위해, 허브부(714) 둘레에 한쌍의 부분 원형 또는 만곡된 트랙 또는 통로 또는 패널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716)는 플라스틱 링(716a, 716b)에 대한 원형 또는 만곡된 통로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부 또는 활주 부재 또는 스페이서(717)를 더 포함한다. 링(716a, 716b)은 대체로 원추형이고, 대체로 원형 또는 다르게는 둥글거나 또는 요철이 있거나 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링(716a, 716b)과 스페이서(717)와 허브부(714)는 따라서 부분(714a, 717)의 채널 내에 그리고 그를 따라 활주 결합을 거쳐 반경방향 및/또는 축방향 트러스트 또는 로딩시 휘일 조립체(710)의 원활한 구름 작동을 제공하도록 협력 작동할 수도 있다.
저어널 베어링(716)의 외부는 휘일부(712)에 대체로 고정식으로 장착 또는 고착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허브부(714a)와 외부 휘일부(717)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허브부(714a)의 외부 정합면(714b)은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고, 외부(717)의 내부 정합면은 또한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링(716a, 716b)은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 등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어서, 링(716a, 716b)과 내부 금속 허브부(714a)와 외부 금속부(717) 사이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킨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내부 및 외부(714a, 717) 및/또는 링(716a, 716b)은,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내부 허브부(714a)와 외부(717)와 휘일부(712)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키도록, 금속 재료와 같은 적절한 재료와,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와, 세라믹 재료와,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가, 특정 플라스틱 부품과 금속 부품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예시적 활주 부재 또는 삽입체 또는 부분 또는 링은,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금속 재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와, 저마찰 열가소성 재료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와, 세라믹 재료와,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또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하기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삽입체, 링 또는 부분 및/또는 휘일 조립체의 허브 또는 휘일부가,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마찰 코팅 또는 재료 등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 및 형상이 도시되고 상술되었지만, 활주 부재와 휘일 및 허브부의 명백히 다른 형상, 형태 그리고 배열이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브부에 대한 트롤리 휘일 조립체의 휘일부의 향상된 회전을 제공하는 베어링이 없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베어링이 없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는 베어링 또는 윤활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허브부에 대한 휘일부의 원활한 구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휘일부와 허브부 사이에 저마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부재 또는 삽입체 또는 링의 대체로 원형의 또는 부분 원형의 또는 다르게는 둥글거나 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만곡된 정합면과, 다른 삽입체 또는 허브부 또는 휘일부의 대응되게 형성된 채널 또는 그루브 또는 반경방향 돌출부 또는 축방향 만곡부는 활주 부품들의 대체로 균일한 결합을 제공해서, 휘일 조립체의 축방향 트러스트 및/또는 반경방향 로딩시 휘일 조립체의 원활한 구름 작동을 제공한다. 둥글거나 또는 축방향으로 요철이 있는 삽입체 또는 활주 부재는 따라서 부품들의 결속을 제한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휘일 조립체의 단부 또는 단부들에서 트러스트 워셔 등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의 선택된 재료는 부품들 사이의 향상된 저마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종래의 베어링의 윤활제를 분해시킬 수도 있는 많은 용액에 대한 실질적인 내성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양호한 플라스틱 재료는, 트롤리 조립체를 둘러쌀 수도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도록, 고온에 견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어링이 없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는 플라스틱과 금속 부품 사이에, 특히 금속 부품이 저마찰 코팅 등으로 코팅되는 경우, 윤활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어서, 휘일 조립체는 윤활제가 페인트 프로세스로 오염될 수도 있는 페인트 프로세싱 스테이션 등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할 수 있다.
특정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의 수정과 변형이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실시될 수도 있고, 특허법의 규정에 따라 해석되는 바와 같이, 이는 후속의 청구의 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배타적인 특성 또는 특권이 청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기와 같이 한정된다.

Claims (38)

  1. 컨베이어 트롤리용 트롤리 휘일 조립체이며,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된 휘일부와,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 부재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정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합면을 형성하고, 상기 활주 부재의 상기 정합면은 상기 활주 부재 둘레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주연방향으로 반경방향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반경방향 돌출부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과 활주 가능하게 정합하여 상기 허브부에 대해 상기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돌출부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되게 만곡된 정합면과 정합하는 길이방향으로 만곡된 반경방향 돌출부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돌출부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휘일부는 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갖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돌출부는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허브부는 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갖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돌출부는 반경방향 내향 및 외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은 상기 휘일부 및 상기 허브부에서 형성된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부재와,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활주 부재와,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되게 형성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형성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 중 하나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나는 그 위에 저마찰 코팅을 갖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는, 상기 활주 부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 및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의 축방향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되게 형성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는 두 개의 대향 단부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단부 삽입부는 상기 대응되게 형성되는 정합면을 함께 형성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휘일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부는 적어도 하나의 허브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휘일 삽입부는 대응되게 형성되는 외부 정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허브 삽입부는 대응되게 형성되는 내부 정합면을 형성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는 금속 재료, 중합체 재료,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 세라믹 재료 및 플루오로카본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4. 컨베이어 트롤리용 트롤리 휘일 조립체이며,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된 휘일부와,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사이에 요철이 있는 제1 정합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링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상기 요철이 있는 제1 정합면은 상기 허브부, 상기 휘일부 및 또 다른 활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요철이 있는 제2 정합면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활주 부재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활주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와, 상기 허브부, 상기 휘일부 및 또 다른 활주 부재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저마찰계수를 제공하는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 상기 휘일부 및 또 다른 활주 부재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또 다른 활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활주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활주 부재와,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금속 활주 부재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활주 부재는 저마찰계수 또는 슬릭 코팅으로 코팅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활주 부재에 대한 상기 금속 활주 부재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키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는 금속 재료, 중합체 재료,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 세라믹 재료 및 플루오로카본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부, 상기 휘일부 및 또 다른 활주 부재 중 상기 적어도 하나는 또 다른 활주 부재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주 부재는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활주 부재는 중합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는, 상기 휘일부가 상기 허브부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중합체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부와 상기 금속부는 상기 중합체부와 상기 금속부 및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의 축방향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되게 형성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는 저마찰계수 또는 슬릭 코팅으로 코팅되어 상기 중합체부에 대한 상기 금속부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키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부는 내부 중합체부와 외부 중합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중합체부는 상기 허브부에 인접하여 결합된 상태로 위치 설정되고, 상기 외부 중합체부는 상기 휘일부에 인접하여 결합된 상태로 위치 설정되고, 상기 금속부는 상기 내부 및 외부 중합체부 사이에 대체로 개재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는, 상기 요철이 있는 제1 정합면을 갖고, 상기 내부 중합체부와 상기 외부 중합체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내부 중합체부 및 외부 중합체부 중 적어도 하나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는 금속 링을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부는 상기 허브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되고, 상기 금속부는 상기 휘일부에 인접하여 상기 중합체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어 상기 허브부에 대해 상기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는 상기 허브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되고, 상기 중합체부는 상기 휘일부에 인접하여 상기 금속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어 상기 허브부에 대해 상기 휘일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8. 컨베이어 트롤리용 트롤리 휘일 조립체이며,
    허브부와,
    상기 허브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설정되는 휘일부와,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활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 조립체는 상기 허브부에 대한 상기 휘일부의 회전을 제공하고, 상기 활주 조립체는 활주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1 활주 부재 및 제2 활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주 부재 및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활주 인터페이스에 대체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활주 인터페이스에 대체로 대응하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활주 부재 및 제2 활주 부재 사이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제1 활주 부재 및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활주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주 부재는 중합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금속부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저마찰계수 또는 슬릭 코팅으로 코팅되어 제1 활주 부재 및 제2 활주 부재 사이의 활주 이동을 향상시키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주 부재는 상기 허브부와 상기 휘일부 중 하나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고, 상기 트롤리 휘일 조립체는 상기 허브부와 상기 휘일부 중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고,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제1 활주 부재와 제3 활주 부재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제1 활주 부재와 제3 활주 부재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1 활주 부재 및 제3 활주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태로 위치 설정되는 링형 부재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부재는 대체로 원추형인 링을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주 부재는 상기 휘일부와 상기 허브부 중 하나에 위치 설정되는 이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편 부재는 상기 휘일 조립체의 대향 축방향 단부를 향해 위치 설정되는 대향 단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 단부 부재와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활주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도록 협력 작동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주 부재는 상기 허브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되고,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휘일부에 인접하여 위치 설정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주 부재는 상기 허브부에 대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상기 휘일부에 대체로 고정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주 부재는 금속 재료, 중합체 재료,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 세라믹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주 부재는 금속 재료, 중합체 재료, 공학적 열가소성 재료, 플루오로카본 재료 및 세라믹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트롤리 휘일 조립체.
KR1020057009364A 2002-11-26 2003-11-26 트롤리 휘일용 저어널 베어링 KR20050086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936102P 2002-11-26 2002-11-26
US60/429,361 2002-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775A true KR20050086775A (ko) 2005-08-30

Family

ID=3239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364A KR20050086775A (ko) 2002-11-26 2003-11-26 트롤리 휘일용 저어널 베어링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80469B2 (ko)
EP (1) EP1567400A2 (ko)
JP (1) JP2006508006A (ko)
KR (1) KR20050086775A (ko)
CN (1) CN1726145A (ko)
AU (1) AU2003300805A1 (ko)
BR (1) BR0316712A (ko)
CA (1) CA2507049A1 (ko)
MX (1) MXPA05005532A (ko)
WO (1) WO200404812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064B1 (ko) * 2021-09-14 2022-04-01 김용수 가이드 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900496D0 (sv) 1999-02-12 1999-02-12 Pharmatrix Ab Vaccine formulation
JP3555844B2 (ja) 1999-04-09 2004-08-18 三宅 正二郎 摺動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69198B2 (en) 2002-11-06 2005-11-29 Nissan Motor Co., Ltd. Low-friction sliding mechanism
EP1482190B1 (en) * 2003-05-27 2012-12-05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Rolling element
BRPI0411646A (pt) * 2003-06-24 2006-08-08 Glacier Garlock Bearings Inc montagem de rolo de bucha alojada
JP4863152B2 (ja) 2003-07-31 2012-0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歯車
KR101003865B1 (ko) 2003-08-06 2010-12-30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저마찰 접동 기구, 저마찰제 조성물 및 마찰 감소 방법
JP4973971B2 (ja) 2003-08-08 2012-07-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摺動部材
JP2005054617A (ja) * 2003-08-08 2005-03-03 Nissan Motor Co Ltd 動弁機構
US7771821B2 (en) 2003-08-21 2010-08-10 Nissan Motor Co., Ltd. Low-friction sliding member and low-friction sliding mechanism using same
EP1508611B1 (en) 2003-08-22 2019-04-17 Nissan Motor Co., Ltd. Transmission comprising low-friction sliding members and transmission oil therefor
US7334527B2 (en) * 2004-04-06 2008-02-26 Frost, Inc. Trolley attachment
JP2006027450A (ja) * 2004-07-16 2006-02-02 Kayaba Ind Co Ltd キャスタ
US7316436B1 (en) * 2006-02-22 2008-01-08 John Kummings Differential wheel mounting for railroad car
US20080011119A1 (en) * 2006-07-17 2008-01-17 Georg Bartosch Self-lubricating cam/rail follower
US7673567B2 (en) * 2006-07-21 2010-03-09 Phelan James V Turbofan powered locomotive and monorail
US7775162B1 (en) * 2006-08-07 2010-08-17 Cislo Lawrence Roller for trolley assembly
US8308368B2 (en) * 2007-07-13 2012-11-13 Rexnord Industries, Llc Track roller
US20090044719A1 (en) * 2007-08-14 2009-02-19 Frost, Inc. Trolley assembly with non-rotatable axle
US8474097B2 (en) * 2009-06-12 2013-07-02 Stefan B. Andren Roller assembly
JP6072408B2 (ja) * 2011-09-22 2017-02-01 Ntn株式会社 滑り軸受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677608B2 (en) * 2013-11-13 2017-06-13 Cnh Industrial America Llc Agricultural rolling basket bearing assembly
US9745786B2 (en) 2015-05-19 2017-08-29 Krown Lab, Inc. Roller assemblies for hanging panels
US10913610B2 (en) 2019-04-12 2021-02-09 Sst Systems, Inc. Conveyor roller tur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6533A (en) * 1985-10-15 1992-10-20 Hoffman Frank F Replaceable plastic trolley wheel and method
US4993328A (en) * 1988-08-22 1991-02-19 Allor Manufacturing, Inc. Trolley assembly
US5398618A (en) * 1991-02-26 1995-03-21 Vfv Polymers Pty. Ltd. Conveyor trolley wheel assembly
ATE263097T1 (de) * 1999-05-03 2004-04-15 Cersa Nv Sa Förderer für die industrie zum fördern von bauteilen in grossen me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064B1 (ko) * 2021-09-14 2022-04-01 김용수 가이드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300805A1 (en) 2004-06-18
WO2004048126A3 (en) 2004-12-16
CA2507049A1 (en) 2004-06-10
JP2006508006A (ja) 2006-03-09
MXPA05005532A (es) 2005-10-26
AU2003300805A8 (en) 2004-06-18
EP1567400A2 (en) 2005-08-31
WO2004048126A2 (en) 2004-06-10
US20040109621A1 (en) 2004-06-10
CN1726145A (zh) 2006-01-25
US6880469B2 (en) 2005-04-19
BR0316712A (pt) 200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6775A (ko) 트롤리 휘일용 저어널 베어링
US4874349A (en) Seal and dust guard assembly for a universal joint trunnion
HU216762B (hu) Szilárd kenésű csapágy, gyűrű alakú, szilárd kenőbetét szilárd kenésű csapágyhoz, és eljárás csapágy szilárd kenőanyaggal való kenésének biztosítására
EP2048386B1 (en) A bearing assembly with overmoulded annular bodies of plastic material
US20150137486A1 (en) Spherical plain bearing for an articulated joint
CN102792036A (zh) 用于具有功能层的公差环的系统、方法和装置
US5230569A (en) Bearing assemblies
US5865678A (en) Two-piece thrust washer for universal joint
US6904680B2 (en) Method of making a guide bushing
JPS6343623B2 (ko)
WO2008074063A1 (en) Ball joint
US20080193067A1 (en) Tapered roller bearing for a planetary rotary member
GB2051259A (en) Linear recirculating rolling bearing
US20060062502A1 (en) Solid lubrication of rod end bearings
US4722240A (en) Thrust washer assembly for speed gear shaft
EP3246603B1 (en) Seal ring and sealing structure
EP0029395A2 (fr) Procédé de fabrication et de montage d'un palier à roulement à rouleaux cylindriques, et palier obtenu par sa mise en oeuvre
US6416226B1 (en) Preloaded cushioned bearing assembly
GB2246402A (en) Roller bearing with plastics ring and metal bushing for use in a chain
EP2368055A1 (en) A bearing assembly
CN110285139A (zh) 一种低摩擦特大型双列圆锥滚子回转支承
CN102852977A (zh) 闭式碳石墨保持器滚动轴承及制作方法
EP3411600B1 (en) Roller bearing with enhanced roller-end and flange contact
CA2392347A1 (en) Conveyor components
US3617103A (en)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