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600A - 공압식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식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600A
KR20050084600A KR1020057005269A KR20057005269A KR20050084600A KR 20050084600 A KR20050084600 A KR 20050084600A KR 1020057005269 A KR1020057005269 A KR 1020057005269A KR 20057005269 A KR20057005269 A KR 20057005269A KR 20050084600 A KR20050084600 A KR 2005008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kingpin
trailer
pneumatic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둔칸 레위즈 스테인
Original Assignee
비 비 트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 비 트러스트 filed Critical 비 비 트러스트
Publication of KR2005008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60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2Auxiliary devices involving supply lines, electric circ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3Brake line couplings, air hoses and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4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comprising a vehicle carrying an essential part of the other vehicle's load by having supporting means for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other vehicle
    • B62D53/08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 B62D53/12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engaging automatically
    • B62D53/125Fifth wheel traction couplings engaging automatically with simultaneous coupling of the servic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호스 및 트레일러를 위한 공압식 커넥터는 영구적 공기 공급부 및 서비스 라인 공기를 트레일러 공압 시스템으로 이송하기 위해 별도의 통로(40, 42)를 포함하도록 변형된 킹핀(22)의 베이스와 결합되기 위하여,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16)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16)은 호스 및 트레일러의 결합시 킹핀 통로에 연결되는 별도의 유사한 통로(18, 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공급부는 포트(30, 32)에 의해 피스톤내로 유입된다.

Description

공압식 커넥터 장치{PNEUMATIC CONNECTOR ARRANGEMENT}
본 발명은 호스 및 트레일러를 위한 공압식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럭/트랙터("호스"로도 언급됨)는 여러 용도중에서도 호스와 트레일러의 제동 시스템 사이에 공기 압력을 제공하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압축된 공기는 수지 케이블 또는 코일 등으로 공지되어 있는 가요성 호스를 통해, 트랙터로부터 트레일러로 분배된다. 트럭에는 2개의 분리된 공기라인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영구적 공급부(트랙터 및 트레일러로의 저장조로의)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브레이크를 작용시키는데 사용되는 서비스 라인을 위한 것이다.
수지 케이블은 특히 비우호적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트랙터 캐브의 벌크 헤드상에서 정지위치에 삽입되어 트레일러 새시의 전방부 즉, 킹핀 축조인트의 전방으로 2m 정도의 위치로 연장되기 때문에, 트럭이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케이블은 약 5m 펼쳐지게 된다. 상기 케이블은 스트레칭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형"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가능한한 짧게 유지된다. 비우호적 환경에 노출되고 잘못 취급되는 일정한 스트레칭, 언코일링, 삽입 및 분리, 섀시상의 스내깅(snagging)은 수지 코일의 파손을 초래하고, 새로운 케이블을 구입하게 되는 지속적인 예방적 행위로 나타난다.
파손되거나 적용불가능한 케이블은 산업적으로 수백만 달러가 소요되어, 수입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트럭이 이동중일 동안 케이블이 파손되었을 때는 일반적으로 작업장과 신속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곳으로부터 멀리 있게 마련이다. 길거리에서 도움을 받으면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며, 직접적인 급료/경상비 뿐만 아니라, 트럭의 가동휴지시간이 연장되고 페이로드를 증가시킨다.
수지 케이블은 하이재킹시 첫번째 공격대상이다. 이러한 케이블은 간단히 절단되거나 도난될 수 있으므로, 트럭의 정지를 유발하고(만일 트랙터로부터 트레일러로의 공기 공급이 중단될 경우, 트레일러의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운전자와 페이로드를 범인의 수중에 놓이게 한다.
트랙터는 제5휘일로 알려진 히칭 시스템(hitching system)을 사용한다. 트레일러는 그 하부측으로 부터 돌출되어 제5휘일의 V와 결합되며 킹핀으로 언급되는 견고한 핀에 삽입된다. 이러한 일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제5휘일은 킹핀을 정위치에 자동으로 고정하므로, 연결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식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확대도.
도 4는 킹핀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선A-A, B-B, C-C를 따른 킹핀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분리위치 및 결합위치에서 피스톤과, 이러한 피스톤을 갖는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피스톤의 등각도.
도 9A는 피스톤의 정면도.
도 9B는 피스톤의 평면도.
도 10은 피스톤이 결합된 킹핀의 베이스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피스톤 부시의 확대도.
도 12는 킹핀 부시의 확대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선택적 공압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소자와 킹핀을 포함하는 호스 및 트레일러를 위한 공압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소자는 영구적 공기 공급부 및 서비스 라인 공기를 위한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소자는 2개의 공기 공급부를 킹핀의 베이스로 분리이송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킹핀은 공기를 트레일러 공압 시스템으로의 분배용 출구로 분리이송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소자는 호스 및 트레일러가 분리되는 제1위치 또는 분리위치와 호스 및 트레일러가 결합되는 제2위치 또는 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커넥터 소자의 운동은 결합동작에 의해 시동되는 공압식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소자는 하우징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은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는 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이러한 입구 포트는 피스톤내에서 별도의 수직 통로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은 공기를 2개의 입구로부터 피스톤 입구 포트로 별도로 전송하기 위해 내측 커넥터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은 공압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중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은 그 주위에 채널을 형성하는 한쌍의 이격된 환형 홈을 부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홈에는 상기 피스톤 입구 포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홈에는 10개가 제공되며, 하부 홈에는 4개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피스톤에는 2세트의 통로가 제공되며, 제1세트의 통로는 피스톤 입구 포트로부터 피스톤의 상부로 연장되는 단일 중앙통로이고, 제2세트의 통로는 피스톤의 상부로 연장되고 중앙 통로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통로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통로 주위에는 10개의 통로가 제공되며, 이러한 다수의 통로는 영구적 공기 공급부를 이송하며, 상기 중앙 통로는 서비스 공기 공급부를 이송한다.
상기 피스톤은 신장된 스텐레스 스틸 소자와, 그 베이스에서 직경이 큰 램(ra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과 연관된 상기 내측 커넥터 소자는 피스톤이 미끄러질 수 있는 중앙 보어와 상하단부를 갖는 신장된 원통형 부시와, 상기 부시의 원통형 몸체 주위에서 이들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중앙 보어로 연장되는 하나이상의 포트를 포함하므로써, 입구로부터 피스톤내의 별도의 통로까지 공기를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2개의 신장된 원통형 부시와 일련의 O링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부시와, 상기 부시와 피스톤 사이 및 부시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공압 밀봉부는 공기 공급부 사이의 분리를 유지시킨다.
상기 킹핀은 현존의 킹핀 칫수와 일치하는 칫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킹핀의 베이스는 피스톤의 상부와 결합되며, 상기 킹핀의 베이스는 일련의 부시와 공압식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식 밀봉부의 제1기능은 공기가 2개의 통로 세트에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제2기능은 피스톤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킹핀내의 적절한 통로내로 지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킹핀은 피스톤의 중앙 통로에 배치될 수 있는 칫수를 갖는 단일의 중앙 통로를 포함하며, 그 주위에는 5개의 동심 통로가 배치되며, 상기 중앙 통로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3개의 포트를 통해 그 상부 근처에서 킹핀을 빠져나오며, 상기 동심 통로는 그 하부에 짧은 거리에 배치된 5개의 수평 포트를 통해 빠져 나온다.
상부 킹핀 탈출 포트는 서비스 공기 공급부를 트레일러의 서비스 공압 시스템에 연결하며, 하부 탈출 포트는 공압식 공기 공급부를 트레일러의 공압식 공기 시스템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공압식 커넥터 장치가 본래의 설비로서 삽입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킹핀 탈출 포트는 트레일러 공압 시스템으로의 분배를 위하여, 킹핀의 변형된 장착 블럭이 구비된 반조 커플링과 결합된다.
공압식 커넥터는 현존의 제5휘일에 개장되며, 상기 반조는 킹핀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기 킹핀 출구 포트는 킹핀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킹핀은 킹핀의 통로에 의한 구조적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인장력이 높고 또한 전단강도가 높은 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압식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술의 피스톤 부시에 의해 상부 및 하부로 분할된다. 상기 하부는 호스 및 트레일러의 결합시 호스로부터의 공기가 피스톤을 상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며, 분리에 의해 하방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는 상부 포트 및 하부 포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의 하부는 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O링 등의 공압 밀봉부에 의해 2개의 격벽으로 분할된다.
상기 O링은 하우징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하부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슬리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는 공기가 격벽의 내외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상하부에 오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 포트를 통과하는 공기는 5/2웨이 트리거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호스 및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호스는 상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한다. 결합시, 상기 트리거 밸브는 공기를 하부 하우징으로 전환시켜 상기 피스톤이 그 제1위치 또는 분리위치로부터 제2위치 또는 킹핀 결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상부 격벽으로부터의 공기는 상부 포트를 통해 배출된다.
호스 및 트레일러의 분리시, 상기 트리거 밸브에 의해 공기는 상부 포트 및 하부 포트를 통해 유입되고 하부 포트를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되며, 유입 또는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톤은 분리위치로 복귀되어 에러를 트레일러에 공급한다.
호스 및 트레일러를 위한 공압식 커넥터 시스템은 트럭/트레일러의 현존의 영구 서비스 공기 공급라인으로부터 제5휘일(10)의 베이스에 배치된 공압식 커넥터로 연장되는 공압식 파이프 형태의 공기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공압식 커넥터는 장착판(14)에 의해 제5휘일의 베이스에 부착된다. 고무 장착부(13)에 의해 필요로 하는 요동운동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부는 제5휘일의 베이스에 부착된 브래킷 구조체(도시않음)에 장착판(14)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실제 커넥터는 2세트의 통로(18, 20)를 포함하는 미끄럼가능한 피스톤(16)과, 정지형의 상부 킹핀(22)(도 4)을 포함한다. 상기 통로(20)는 공압식 제동작용을 위하여 공기를 이송하며, 상기 통로(18)는 공압식 공기 공급부(실시예에 도시됨)를 위해 공기를 이송한다. 상기 킹핀은 종래의 킹핀을 변형한 것으로서, 칫수는 동일하다.
트레일러가 호스의 제5휘일에 걸렸을 때, 2개의 결합부는 피스톤(16)을 작동시켜, 제5휘일의 중앙 통로를 통해 튀어나와 킹핀과 결합된다. 로킹 기구는 커플링을 완성하기 위해 킹핀을 클램핑하며, 상기 피스톤의 위치는 포트(26)를 통해 공기 압력하의 피스톤 램(24)의 하부로부터 발휘된 압력에 의해 지지된다.
피스톤(16)의 상부는 부시(84, 86)를 포함하는 킹핀(22)의 가공된 베이스(38)와 결합되는 형상을 취한다. 압축된 공기는 호스 및 트레일러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포트(26)로 유입된다. 이러한 제1트리거는 공압 연결을 즉시 완료하지 않지만; 공압식 연결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물리적 결합에 의해 시작되는 일련의 단계에서 먼저 실행된다. 하우징(12)은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피스톤 램이 상향으로 가압되면, 피스톤(16)의 운동에 의해 입구(32, 30)에 공급된 공기는 포트(34, 36)를 통해 통로(18, 20)에 연결된다. 영구적 공기 공급부는 포트(34)를 통해 인입되며, 제동동작 공기 공급부는 포트(36)를 통해 인입된다. 상기 2개의 공기 공급부는 피스톤(16)에서 통로(18, 20)를 통해 분리된 상태로 또한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된다. 피스톤(16)의 상부에는 킹핀(22)의 하단부(38)와의 결합부가 제공된다. 부시(84, 86)에 수용된 공압 밀봉부(88, 90)는 2개의 공기 공급부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는 킹핀(22)에서 통로(40, 42)를 통해 이동되어 반조(도시않음)를 통해 배출되며, 제동동작용 공기는 포트(44)를 통해 배출되고, 영구적 공기 공급부는 포트(46)를 통해 배출된다(도 4 및 도 5 참조).
그후, 상기 공기 공급부는 트레일러에서 적절한 지점에서 공압 파이프로 분배된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5/2웨이 트리거 밸브를 통해 하우징(12)에서 포트(26, 28)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밸브는 일련의 결합과정이나 일련의 분리과정을 시작한다. 트레일러가 제5휘일에 결합되지 않았을 때는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적용된다. 공기는 포트(28)에 유입되어 격벽(48)을 압축공기로 충진한 후, 피스톤 램(24)을 지지하므로써, 피스톤(16)이 하우징의 하단부에서 붕괴 위치(분리 위치)에 있게 된다. 공기는 밀봉부(52) 및 O링(54)에 의해 격벽(50)에 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트레일러가 제5휘일에 연결되었을 때, 5/2웨이 트리거 밸브가 작동되어 포트(26)를 통해 공기를 전환시키므로써, 격벽(48)내의 공기는 포트(28)를 통해 배출된다. 포트(26)에 유입된 공기는 램(24)을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상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피스톤(16)은 킹핀(22)의 베이스(38)와 결합되어, 공기를 호스로부터 트레일러로 공급한다. 격벽(50)내에서의 일정한 공기 압력은 킹핀(22)의 베이스(38)와의 지속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시킨다.
하우징(12)의 하부는 하우징내에 삽입되어 피스톤 및 램을 수직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슬리브(56)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는 포트(26)와 격벽(50)의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그 하단부에 오목부(58)를 포함하며, 포트(28)와 격벽(48)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격벽(48)의 상부에 오목부(60)를 포함한다(도 2 및 도 3 참조).
슬리브(56)의 위에서 하우징의 상부에는 6개의 피스톤 부시가 제공되며, 이러한 부시에 의해 피스톤(16)의 미끄러짐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구(32, 30)로부터 통로(18, 20)로의 공기 공급을 정지시키므로써, 이러한 공기 공급부가 커넥터의 하우징내에서 혼합되지 않게 한다. 상기 부시는 도 1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부의 베이스에서, 피스톤 부시(6)는 슬리브(56)의 최상부에 직접적으로 안착되며, 그후에 피스톤 부시(5)가 안착된다. 피스톤 부시(4)가 이 위에 안착되며, 상기 피스톤 부시(4)는 실린더 주위에서 채널(64)을 형성하는 상부 및 바닥부에서 외주 플랜지(62)가 구비된 신장된 원통형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복수의 포트(36)를 포함하며, 이러한 포트는 실린더의 중앙으로 개방되어 입구(30)(서비스 라인)로부터 상기 피스톤(16)을 둘러싸는 공극(66)내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한다. 피스톤(16)이 도 7의 신장된 위치 또는 결합된 위치에 있을 때, 공기는 주변 피스톤 포트(68)를 통해 피스톤의 중앙 통로(20)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 다른 피스톤 부시(3)는 피스톤 부시(4)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피스톤 부시(2)는 상기 피스톤 부시(3)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피스톤 부시(2)는 복수개의 포트(34)를 가지며 상하부 플랜지(72) 사이에 채널(70)을 갖는다는 점에서 피스톤 부시(4)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채널은 피스톤이 도 7의 결합위치에 있을 때, 킹핀으로의 이송을 위하여, 피스톤(16)에서 주변 포트(76)를 통해 입구(32)(영구적 공기 공급부)로부터 통로(18)로의 공기유입을 허용한다.
트레일러가 연결되었을 때 먼저 순간적인 접근을 보장한 후 이어서 킹핀(22) 및 피스톤(16)의 수직 운동을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직 운동을 보장하므로써 지속적인 공기 공급을 보장하는 공극(66, 67)의 높이와 마찬가지로, 피스톤 부시(4) 및 피스톤 부시(2)의 하단부로 피스톤의 포트(68, 76)의 근접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2개의 공기 공급부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O링(94) 및 공압 스풀 밀봉부(95)가 제공된다.
피스톤 부시(2, 1)는 피스톤 부시(3)의 최상부에 안착되며, 트러스트 부시(78)는 와이어 밀봉부처럼 피스톤 부시(1)에 안착된다. 상기 트러스트 부재는 황동이며, 그 마모부는 피스톤(16)과 접촉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피스톤(16)이 피스톤 몸체 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베이스에서 램(24)을 갖는 신장된 스텐레스 스틸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은 그 주위에 채널을 형성하는 한쌍의 이격된 환형 홈(80, 82)을 포함한다. 피스톤 포트(68, 76)는 상기 홈에 배치된다. 상기 피스톤은 한세트의 통로(18)와 중앙 통로(2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통로(20)는 서비스 라인 공기를 이송하며, 중앙 통로(18)는 영구적 공기 공급부를 이송한다.
도 5는 킹핀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킹핀은 서비스 라인 공기를 이송하는 중앙 통로(42)와, 영구적 공기 공급부 공기를 이송하는 5개의 동심 통로(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로들은 3개의 수평 포트(44) 및 5개의 수평 포트(46)를 통해 연장된다.
도 10에는 킹핀(22)의 베이스(38)와 피스톤(16) 사이의 결합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킹핀은 공압 밀봉부(88, 90) 및 O링(91)과 함께 통로(18, 20)로부터의 공기가 통로(40, 42)로 각각 분리되어 유입되는 것을 보장하는 한쌍의 부시(84, 86)를 포함한다. 홈(92)의 서클립은 상기 부시를 정위치에 지지한다.

Claims (21)

  1. 피스톤과 킹핀을 포함하는 호스 및 트레일러를 위한 공압식 커넥터로서, 상기 피스톤은 하우징내에 미끄럼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은 영구적 공기 공급부 및 서비스 라인 공기를 위한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2개의 공기 공급부를 킹핀의 베이스로 분리이송하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킹핀은 공기를 트레일러 공압 시스템으로의 분배용 출구로 분리이송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호스 및 트레일러가 분리되는 제1위치 또는 분리위치와 호스 및 트레일러가 결합되는 제2위치 또는 킹핀-결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공압식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킹핀-결합 위치로의 이동시에, 상기 호스 및 트레일러의 결합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피스톤 본체 내의 통로를 통해서, 상기 킹톤으로 공기 흐름을 재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내의 별도의 수직 통로로 연장되는, 수직으로 이격된 원주방향의 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주위에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피스톤 포트가 배치되는 한쌍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 공급부에 다수의 입구 포트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홈에는 10개의 포트가 제공되고, 하부 홈에는 4개의 포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2세트의 통로가 제공되며, 제1세트는 피스톤 입구 포트로부터 피스톤의 상부로 연장되는 단일의 중앙 통로이며, 제2세트는 중앙 통로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되며 피스톤의 상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중앙 통로 주위에는 10개의 통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의 통로는 서비스 공기 공급부를 이송하는 중앙 통로가 구비된 영구적 공기 공급부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신장된 스텐레스 스틸 소자와, 그 베이스에서 큰 직경을 갖는 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공기를 두 개의 입구로부터 상기 피스톤 입구 포트로 개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내측 커넥터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커넥터 소자는 피스톤이 미끄러질 수 있는 중앙 보어가 구비된 신장된 원통형 부시와,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부시의 원통형 몸체 주위와 이들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피스톤내에서 입구로부터 별도의 통로로 공기를 제공하는 중앙 보어내로 연장되는 하나이상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공기 공급부 사이의 분리는 2개의 신장된 원통형 부시와 일련의 O링 사이에 배치된 부시와, 상기 부시와 피스톤 사이 및 상기 부시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공압 밀봉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킹핀은 현존의 킹핀 칫수와 일치해서 현존의 5개 휠 장치로의 개장(retro-fitting)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킹핀은 피스톤의 중앙 통로에 기록되는 칫수를 갖는 단일의 중앙 통로와, 그 주위의 배치되는 5개의 동심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통로는 3개의 수평배치된 포트를 통해 그 상부 근처에서 킹핀을 배출하며, 상기 동심 통로는 그 아래의 짧은 거리로 배치된 5개의 수평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킹핀은 5개의 수평 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5개의 동심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부 킹핀 탈출 포트는 서비스 공기 공급부를 트레일러의 서비스 공압 시스템에 연결하며, 하부 탈출 포트는 영구적 공기 공급부를 트레일러의 영구적 공기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킹핀 탈출 포트는 트레일러 공압 시스템으로의 분배를 위하여 변형된 킹핀 장착블럭이 구비된 반조 커플링과 결합되며; 본래의 설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7. 제13항에 있어서, 킹핀의 상부에는 반조가 삽입되며, 상기 킹핀 탈출 포트는 킹핀의 상부에 배치되며; 현존의 제5휘일에 개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킹핀은 인장력이 높고 전단 강도가 높은 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피스톤 부시에 의해 상부 및 하부로 분할되어 O링으로 밀봉되며; 상기 하부는 호스 및 트레일러의 결합시에는, 호스로부터의 공기가 피스톤의 상향 운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하며 호스 및 트레일러의 분리시에는 피스톤의 하향 운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상부 포트 및 하부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포트들 사이에 배치되는 O링 등의 공압식 밀봉부에 의해 2개의 격벽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O링은 하우징의 베이스로부터 상기 하부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슬리브와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는 격벽의 내외로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바닥부에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21. 제19항에 있어서, 하우징 포트를 통한 통로는 5/2웨이 트리거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커넥터.
KR1020057005269A 2002-09-26 2003-09-26 공압식 커넥터 장치 KR20050084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ZA200207727 2002-09-26
ZA2002/7727 200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600A true KR20050084600A (ko) 2005-08-26

Family

ID=3204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269A KR20050084600A (ko) 2002-09-26 2003-09-26 공압식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253360A1 (ko)
EP (1) EP1545965A1 (ko)
KR (1) KR20050084600A (ko)
CN (1) CN1694829A (ko)
AP (1) AP2005003305A0 (ko)
AU (1) AU2003275503A1 (ko)
CA (1) CA2500097A1 (ko)
WO (1) WO2004028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2383B1 (de) * 2007-12-20 2010-05-12 SAF-HOLLAND Verkehrstechnik GmbH Steckverbindungsanordnung für Sattelkupplungen
US8376388B2 (en) * 2009-11-24 2013-02-19 Jgw Enterprises, Llc Gooseneck trailer hitch actuator
US8915515B1 (en) 2013-09-06 2014-12-23 Gary Riibe Gooseneck hitching system
USD861610S1 (en) * 2017-03-02 2019-10-01 Virginia Panel Corporation Pneumatic connector
FR3092156B1 (fr) * 2019-01-30 2021-05-21 Psa Automobiles Sa Vis de raccord banjo à deux canaux axiaux, et circuit fluidique associ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4918A (en) * 1929-04-06 1932-08-30 Highway Trailer Co Automatic air line connection for semitrailers
US2053614A (en) * 1932-11-22 1936-09-08 Bendix Westinghouse Automotive Brake mechanism
US2859980A (en) * 1954-04-28 1958-11-11 Oswald A Holland Automatic fluid line service coupling for tractor-trailer vehicles
US2924423A (en) * 1956-06-14 1960-02-09 Fawick Corp Automatic emergency shut-off valve assembly
US3181887A (en) * 1960-08-15 1965-05-04 Edward B Boylan Service system and coupling mechanism for tractor-trailer vehicles
US3181888A (en) * 1961-09-25 1965-05-04 Peer Cartage Co Inc Automatic coupling mechanism for tractor-trailer vehicles
US3428334A (en) * 1966-10-17 1969-02-18 Neal C Hils Vehicle articulating coupling with electrical and fluid service line connectors
US3526438A (en) * 1968-02-01 1970-09-01 Girling Ltd Couplings for brake system
US3604730A (en) * 1969-05-29 1971-09-14 United States Steel Corp Make-and-break connection
BE754542A (fr) * 1969-08-13 1971-01-18 Kalmar Verkstads Ab Mecanisme d'attelage pour un vehicule combine tracteur-semi-remorque dote d'organes pour le raccordement des lignesde service electriques, pneumatiques et/ou hydrauliques, partant du tracteur et aboutissant a la semi-remorque
SE388814B (sv) * 1975-07-02 1976-10-18 Ljungbytruck Ab Automatiskt kopplingsdon for brom- resp. elfunktion mellan tva fordonsde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5965A1 (en) 2005-06-29
AP2005003305A0 (en) 2005-06-30
CN1694829A (zh) 2005-11-09
CA2500097A1 (en) 2004-04-08
WO2004028887A1 (en) 2004-04-08
AU2003275503A1 (en) 2004-04-19
WO2004028887B1 (en) 2004-06-24
US20050253360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1321A (en) Towed vehicle brake control
US82621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releasing a parking brake on a disabled vehicle
US4586584A (en) Truck brake control system
KR20060129407A (ko) 트레일러를 운반하기 위한 모터 트럭 트랙터
US4213655A (en) Master cylinder assembly and brake system incorporating same
KR20050084600A (ko) 공압식 커넥터 장치
US4449470A (en) Hydraulic control package for a marine steering system
US11313100B2 (en)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as well as a vehicle with such a hydraulic system
US3881619A (en) Fifth wheel device
US3181888A (en) Automatic coupling mechanism for tractor-trailer vehicles
US6324989B1 (en) Load bearing material handling system having pneumatic and electrical delivery capabilities
EP0104312B1 (de) Druckluftbremsanlage
US4039085A (en) Crane with a pivoted boom and a float valve therefor
CN1944130A (zh) 用于车辆的双向制动组件
US4596426A (en) Duplex mechanical lock control unit for a parking brake system
ZA200502891B (en) Pneumatic connector arrangement
EP0513110B1 (en) Vehicle braking system
EP1285834A3 (de) Steuervorrichtung für Druckluftbremsen
US4820166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vely deflating tires, and causing power steering and power brake failures for training drivers
US6817234B1 (en) Vehicle air brake test system
US6789389B2 (en) Piston-cylinder mechanisms and pressure control units utilizing such piston-cylinder mechanisms
US6079260A (en) Two-part manual test connector
GB2114245A (en) A pneumatic braking system for trailers
US4123906A (en) Vehicle having portable power means for brake control
US3900227A (en) Brake control arrangement for skid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