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187A -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 Google Patents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187A
KR20050084187A KR1020057010287A KR20057010287A KR20050084187A KR 20050084187 A KR20050084187 A KR 20050084187A KR 1020057010287 A KR1020057010287 A KR 1020057010287A KR 20057010287 A KR20057010287 A KR 20057010287A KR 20050084187 A KR20050084187 A KR 20050084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member
hinge device
latch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3626B1 (en
Inventor
마츠 바르베스튼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2027385A external-priority patent/EP1429524B1/en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50084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1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6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4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1), comprising a first terminal member (2,3) carrying a first user interface (9,10), a second terminal member (4) carrying a second user interface (11), and a first hinge device (8) connecting said terminal members and having a first rotation axis (7) about which the terminal can be unfolded from a closed position to a first open position. The terminal further has a second hinge device (5) which connects said terminal members such that the terminal can be unfolded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6), perpendicular to said first axis, to a second open position. This way, the terminal may be unfolded in the elongate extension in a clamshell manner to assume a phone mode orientation, and unfolded transverse to the elongate extension in a laptop-like manner to assume a computer mode orientation.

Description

두-방향 힌지를 갖는 무선 단말기{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음성 통신 능력(audio communication capability)을 갖는 이동 전화기 또는 소형 컴퓨터처럼, 스피치(speech)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전화기 및 키보드-제어식 컴퓨터(keyboard-controlled computer) 모두로써 사용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In gener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peech and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telephone or a small computer with audio communication capabilit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to be used as both a conventional telephone and a keyboard-controlled computer.

최초의 상업적으로 관심을 끈 셀룰러 전화기 또는 단말기가 1980년대 말에 시장에 도입되었다. 그때 이래, 이동 전화 산업은 진보된 통신 단말기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기술(technology) 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전송 능력의 품질에 관해서 거대한 성장을 이루었다. 전자 부품의 소형화 및 더 효율적인 배터리의 발달과 함께, 많은 노력이 단말기를 작아지게 만들었다. 단지 수십년 사이에, 통신 시스템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고, 동시에, 통신 단말기의 규모가 브리프케이스 사이즈(briefcase size)에서 오늘날의 포켓 사이즈(pocket size) 전화기로 바뀌었다. 오늘날, 다수의 제조업자는 패킷-지향 전송(packet-oriented transmission) 및 다중 무선 대역 커버리지(multiple radio band coverage)와 같은, 다양한 능력 및 서비스를 갖는 포켓-사이즈 단말기를 제공한다. 오늘날도, 이동 전화기는 점점 더 작아지고 일반적으로 사이즈가 최종 소비자에게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전자 공학의 발달이 단말기 부품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만들었고, 동시에, 단말기가 더 진보된 기능 및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만들었다. 또한 문앞에 이른 소위 3세대 이동 시스템과 아마 10년 후에 기대되는 4세대 시스템처럼 새로운 전송 방식의 발달이 실시간 비디오와 같은, 더 진보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The first commercially interested cellular telephones or terminals were introduced to the market in the late 1980s. Since then, the mobile phone industry has made huge growth in terms of the quality of service and transmis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 technology for producing advanced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the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ient batteries, much effort has resulted in smaller terminals. In just a few decades, communication systems have shifted from analog to digital,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communication terminals has changed from briefcase size to today's pocket size telephones. Today, many manufacturers provide pocket-size terminals with various capabilities and services, such as packet-oriented transmission and multiple radio band coverage. Even today, mobile telephones are getting smaller and smaller, and size is generally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end consumers. Advances in electronics have made miniaturization of terminal components possible, while at the same time enabling terminals to perform more advanced functions and services. Also, the development of new transmission schemes, such as the so-called third-generation mobile systems at the door and perhaps the fourth-generation systems that are expected ten years later, offers the possibility to deliver more advanced data, such as real-time video, to wireless terminals.

최종 사용자는 이동 전화기에 대해 다수의 모순되는 요구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단말기는 가능한 작고 가벼워야 한다. 게다가, 단말기는 점점 더 진보된 기능을 제공해야 하고, 긴 배터리 수명을 갖으며, 사용하기 편한 인터페이스(user-friendly interface)를 제공해야 한다. 생산기술이 진보하기 때문에, 새롭거나 선행 구현된 모양들이 소형화될 수 있어, 단말기를 더 작게 만든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배터리 생산기술 및 전자공학과 관련된다. 여전히 단말기내에 매우 많은 공간이 있지만, 경쟁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엘리먼트들이 신중히 패키지되어야 한다. 여러 다른 유형의 내장형 안테나(built-in antenna)는 안테나 엘리먼트를 돌출하게 할 필요성을 없애고 있다. End users have a number of conflicting needs for mobile phones. Basically, the terminal should be as small and light as possible. In addition, terminals must provide increasingly advanced functionality, have long battery life, and provide a user-friendly interface. As production technology advances, new or previously implemented shapes can be miniaturized, making the terminal smaller. This relates to, for example, battery produc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s. There is still a lot of space in the terminal, but the elements of the terminal must be carefully packaged in order to compete. Many other types of built-in antennas obviate the need to project antenna elements.

소위 클램셀 단말기(clamshell terminal)가 수년동안 예를 들어, Motorola® 및 Samsung®에 의해 판매되었다. 클램셀 설계(design)는 단말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이기 위해 펴질(unfold) 수 있는 것처럼, 각각의 짧은 끝에서 함께 힌지된 두개의 단말기 멤버(member)를 포함한다. 클램셀 단말기는 표준 비-폴더형 단말기(non-foldable terminal)와 비교하면, 접혔을 때 단말기의 총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더 큰 디스플레이와 같은, 더 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을 수 있다. 이미지 및 화상과 같은 진보된 데이터 전송 및 프리젠테이션 능력의 향상된 발달로, 큰 디스플레이가 목적하는 특징(feature)될 것이다. So-called clamshell terminals have been sold for many years by, for example, Motorola® and Samsung®. The clamshell design includes two terminal members hinged together at each short end, just as the terminal can be unfolded to show the user interface. The clamshell terminal can have a larger user interface, such as a larger display, for example, without increasing the total length of the terminal when folded, compared to a standard non-foldable terminal. With improved development of advanced data transfer and presentation capabilities such as images and pictures, large displays will be the desired feature.

현재까지, 데이터 입력을 위해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touch-sensitive display)를 갖는 클램셀 단말기가 시장에 도입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특징이 예를 들어, Ericsson® 및 Nokia®에서 만들어진 다른 유형의 단말기에서 구현되어 왔다. 여전히, 많은 경우에, 양호하고 더 쉬운 데이터 입력을 위해 물리적 키보드(physical keyboard)를 포함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더욱이, 단말기가 컴퓨터처럼 사용되도록 구성된다면, 표준 단말기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불만족스러울 것이다. 아직까지, 숫자 키(number key) 및 제어 키(control key)를 포함한 종래 키패드 보다 더 큰 키보드를 갖는 것까지 나타낸 이동 전화기를 위한 솔루션들은 너무 큰 단말기 또는 성가신 사용자 인터페이스(cumbersome user interface)를 야기시키고 있다.To date, no clamshell terminal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for data entry has been introduced to the market. However, this feature has been implemented in other types of terminals made for example by Ericsson® and Nokia®. Still, in many cases, it is often desirable to include a physical keyboard for good and easier data entry. Moreover, if a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used like a computer, standard terminal keypads will generally be unsatisfactory. To date, solutions for mobile phones up to having a larger keyboard than conventional keypads, including number keys and control keys, result in too large terminals or cumbersome user interfaces. have.

도 1은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shows schematically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a closed position

도 2는 컴퓨터 모드 포지션 또는 방향으로 펴진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FIG. 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first embodiment stretched in computer mode position or direction; FIG.

도 3 내지 도 5는 접혔을 때,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여러 다른 관점을 도시한 도면3 to 5 show different views of the embodiment of FIG. 1 when folded

도 6은 전화 모드로 도 1의 실시예의 펴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unfolding of the embodiment of FIG. 1 in telephone mode;

도 7은 전화 모드로 펴졌을 때, 도 1의 실시예의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7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when deployed in telephone mode;

결합된 안테나와 배터리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arrangement);In a combined antenna and battery embodiment, an antenna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은 접혔을 때, 펴지는 동안, 및 전화 모드로 펴졌을 때의,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8-10 schematically illustrate a side view of a variant of the embodiment of FIG. 1 when folded, during unfolding, and when unfolded in telephone mode;

도 11 내지 도 13은 접혔을 때, 펴지는 동안, 및 전화 모드로 펴졌을 때의, 도 1의 실시예의 또다른 변형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1-13 schematically illustrate a side view of another variant of the embodiment of FIG. 1 when folded, during unfolding, and when unfolded in telephone mode;

도 14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a closed position;

도 15는 전화 모드로 펴졌을 때, 도 14의 실시예에 대한 투시도를 도시한 도면FIG. 1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4 when deployed in phone mode. FIG.

도 16은 컴퓨터 모드 포지션 또는 방향으로 펴진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stretched out in a computer mode position or direction;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4 내지 도 16 각각에 상응하는 방향에서, 제 2 실시예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7 to 19 schematically show a variant of the second embodimen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FIGS. 14 to 16;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4 내지 도 16 각각에 상응하는 방향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20 to 22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FIGS. 14 to 16.

도 23은 도 2에서 처럼 컴퓨터 모드로 펴졌을 때, 도 1내지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1 실시예에 상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23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7 when unfolded in computer mode as in FIG.

도 24는 전화 모드에서 도 23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24 shows the embodiment of FIG. 23 in a telephone mode;

도 25는 도 23에서 도시된 것처럼 컴퓨터 모드 방향으로 구성되었을 때,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 부분을 구성하고, 도 24의 단말기 실시예의 전화 모드 방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의 한 부분을 도시한 도면FIG. 25 illustrates a portion of a data input interface which, when configured in the computer mode direction as shown in FIG. 23, constitutes a portion of the data input interface of the terminal and can be used in the telephone mode direction of the terminal embodiment of FIG. One drawing

도 26은 도 16에서 처럼 컴퓨터 모드로 펴졌을 때, 도 14 내지 도 1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제 1 실시예에 상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26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4-16 when laid out in computer mode as in FIG.

도 27은 전화 모드에서, 도 26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27 shows the embodiment of FIG. 26 in a telephone mode;

따라서, 오늘날 단말기 제공자의 주된 목표는 사이즈와 수행능력 사이에 균형 관계를 이루는 매우 소형의 이동 전화기(highly compact mobile phone)를 생산하는 것이다. 더군다나,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와 포켓 컴퓨터 사이의 구별은 이 둘의 특징(feature)이 동일 장치내에 구현될 것이기 때문에 사라지고 있다. 이동 전화 산업 및 PC(개인용 컴퓨터) 및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s)의 개발자를 포함하는 이웃하는 산업,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산업등은 관심을 끄는 방향으로, 이런 여러 다른 분야로부터 목적하는 특징들을 결합시킨 소비자 장치(consumer devices)를 식별 및 개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장치가 갖는 일반적인 문제점은 전화기로써의 수행능력을 희생시키기 않고, 소형 장치에 기능성(ergonomic)과 풍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경험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결함, 특히, 상기 일반적인 문제점을 극복하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us, the main goal of today's terminal providers is to produce a highly compact mobile phone that balances size and performance. Moreover, the distinction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ocket computer, such as a telephone, is disappearing because both features will be implemented in the same device. Neighboring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including the mobile phone industry and developers of handheld computers, such as personal computers (PC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re attracting interest.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and develop consumer devices that incorporate desired features from other fields. A common problem with such devices is to combine ergonomic and rich user interface experience in a compact device without sacrificing performance as a telephone. It is therefore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overcomes the deficiencies of the prior art, in particular the above general problem.

제 1 관점에 따라서, 이 목적은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1 단말기 멤버,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 2 단말기 멤버 및 상기 단말기 멤버들을 연결하고 단말기가 클로즈드 포지션(closed position)에서 제 1 오픈 포지션(open position)으로 펴질 수 있는 제 1 회전 축을 갖는 제 1 힌지 장치(hinge devic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행되는데, 제 2 힌지 장치는 단말기가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상기 제 1 축에 수직인 제 2 회전 축에 대해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멤버들을 연결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this object relates to a first terminal member having a first user interface, a second terminal member having a second user interface and a first open posi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terminal is in a closed position. is implemen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hinge device having a first axis of rotation that can be opened in an open position, wherein the second hinge device is in a second open position, the terminal being in a second open position. The terminal members are connected to be unfolded about a second vertical axis of rotation.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 멤버들은 대체로 평면의 긴 본체(body)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축은 상기 본체의 각각의 평면에서, 상기 본체의 긴 신장(extension)에 평행으로 연장하고, 제 2 축은 상기 본체들의 긴 신장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Advantageously, said terminal members comprise a generally planar elongated body, said first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elongate extension of said body, in each plane of said body, and said second axis being said body. Extends perpendicular to their long elongation.

유리하게, 상기 단말기 멤버들은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와 함께 놓인다.Advantageously, the terminal members lie in the closed posi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s facing each other.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및 제 2 부분을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member portion)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기 부분들은 상기 제 2 힌지 장치를 통해 서로에 연결된다. In a firs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comprises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s having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first interfac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hinge device.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2 오픈 포지션을 취하고(assume),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한 포지션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을 자유롭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advised) 제 1 래치(latch)를 갖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와 상호작용하는 제 1 고정 멤버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 또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된다.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s a first latch adapted to take the second open position and to freely secure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n a position extending i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can be biased to have a latch.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ed member interacting with the latch is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or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임의로,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은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들이 동일한 평면에서 서로의 곁에 구성되는 포지션을 취하고, 상기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을 자유롭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 제 1 래치를 갖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와 상호작용하는 제 1 고정 멤버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위에 구성된다. Optionally,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has a first latch configured to take a posi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in the same plane and to freely fix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n the second open position. It can be biased to have. In this embodiment, a first locking member that interacts with the latch is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said first interface comprises a data input interface.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1 부분은 수직으로,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단말기의 전화 모드 동작(phone mode operation)을 위한 숫자전용 키보드(numeric keyboard)를 포함한다. 임의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1 부분은 수직으로,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단말기의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기능적(functional) 숫자전용 키보드를 나타내기 위해 구성된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touch-sensitive display)를 포함한다. In a particular embodimen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interface is vertically provided with a numeric keyboard for phone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Include. Optionally,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interface is vertically configured to indicate a touch-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 functional numeric-only keyboard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with the long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touch-sensitive display)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의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1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에 연결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via the first hinge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된 제 2 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cooperating locking member)와 자유롭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2 래치를 갖고, 유리하게, 상기 제 2 래치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의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위에 구성된다. Advantageously, said first terminal member has a second latch configured to freely engage a second cooperating locking member configured on said second terminal member, and advantageously said second latch comprises said first latch. One terminal member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평으로 구성된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단말기의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영숫자 키보드(alphanumerical keyboard)를 포함한다. 임의로,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수평으로 구성된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단말기의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기능적 영숫자 키보드를 나타내기 위해 구성된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interface includes an alphanumerical keyboard for computer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in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onfigured horizontally. Optionally, the data input interface comprises a touch-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 functional alphanumeric keyboard for computer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horizontally configured terminal.

바람직하게,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상기 영숫자 키보드는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상기 숫자전용 키보드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said alphanumeric keyboard for computer mode operation comprises said numeric keyboard for phone mode operation.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과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은 대체로 동일하게 길 것이다. 임의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보다 더 길다.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will be generally equally long. Optionally,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s longer than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힌지 장치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의 에지에 근접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의 긴 신장에 수직으로 연장한다. In a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hinge device is connec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edge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and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long elong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힌지 장치는 상기 제 2 단말기 부분의 코너 부분을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에 연결한다. Advantageously, said second hinge device connects a corner portion of said second terminal portion to said first terminal member.

유리하게, 상기 제 2 힌지 장치는 제 2 회전 축이 상기 제 1 회전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의 상기 코너 부분을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에 연결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위의 제 1 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상기 제 2 회전 축의 방향에서 상기 코너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래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dvantageously, the second hinge device connects the corner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to the first terminal member via the first hinge device such that a second rotational axis can rotate about the first rotational axis. do.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is spaced from the corner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of rotation, configured to freely attach to the first interactive fixed member above the first terminal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2 오픈 포지션을 취하고,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단말기를 자유롭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 제 2 래치를 갖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래치와 상호작용하는 제 2 고정 멤버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may be biased to have a second latch configured to take the second open position and freely lock the terminal in the closed position. In this embodiment, a second locking member which interacts with the second latch is preferably configured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상기 제 2 실시예의 변형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는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와, 상기 제 2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에 연결된 프레임 장치를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프레임 장치는 상기 제 1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에 연결된다. In a vari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includes a second terminal member body and a frame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via the second hinge device, whereas the frame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terminal member. 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ember via a hinge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는 상기 프레임 장치위의 제 1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긴 방향에서 상기 제 2 힌지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래치를 포함한다. Advantageously, said second terminal member body comprises a first latch away from said second hinge devi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nfigured to freely attach to a first interactive fixed member on said frame device.

더군다나,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위의 제 2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1 힌지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래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the second terminal member includes a second latch, apart from the first hinge devi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figured to freely attach to a second interactive fixed member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It is preferable.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과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은 대체로 동일하게 길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 보다 짧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are generally equally long. In an alternate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is shorter than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제 2 관점에 따라서, 상술된 목적은 스피치 통신을 할 수 있고 데이터 입력 및 처리를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이행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정면으로 접촉하여 구성된 상기 단말기 멤버들과 클로즈드 모드로 접힐 수 있도록, 두-방향 힌지 장치에 의해 서로에 연결된 제 1 및 제 2의 대체로 평면의 긴 단말기 멤버들을 갖는데, 상기 단말기는 전화 모드 방향을 취하기 위해 클램셀 방식에서, 긴 신장으로 펴지고, 컴퓨터 모드 방향을 취하기 위해 랩탑과 같은 방식에서, 긴 신장에 반대로 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fulfill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peech communication and capable of data input and processing, wherein the terminal is in closed mode with the terminal members configured with the terminal in front contact. And having first and second generally planar long terminal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wo-way hinge device, the terminal being stretched in a long stretch, in a clamshell manner, to take the telephone mode direction, In the same way as a laptop to take the mode direction, it can be stretched against long stretches.

자세한 설명은 상기 관점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을 도시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illustrates specific features of various embodiments related to the above aspects.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설명은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무선 단말기 또는 통신 단말기, 요컨데 단말기로 표현된 용어는 무선 국으로 무선 통신하기 위해 구성된 모든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데, 무선 국은 이동 단말기 또는 예를 들어, 고정식 기지국(stationary base station)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는 이동 전화기, 무선 호출기, 커뮤니케이터, 전자 오르거나이저,스마트폰,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및 DECT 단말기(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y)를 포함한다. 더군다나, "포함하는" 또는 "포함하다"는 용어는 포함된 특징, 엘리먼트 또는 단계를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확실히 설명된 것 외에 다른 특징, 엘리먼트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써 해석되는 것이 결코 아니라는 것을 강조할 것이다. The present descrip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rm "wireless terminal" or "communication terminal" here referred to as "terminal" includes all mobile devices configu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to a wireless station, which may be a mobile terminal or, for example, a stationary base station. have. Thus, wireless terminals include mobile telephones, pagers, communicators, electronic organizers, smart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y (DECT) terminals. Moreover, the terms "comprising" or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to refer to included features, elements or steps, exclude the presence of features, elements or steps other than those explicitly described. It will be emphasized that it is never interpreted as doing.

대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으로 만들어진 참조문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y referenc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 1내지 도 7에서 기술된다. 도 1은 클로즈드 포지션에 대한 투시도로 무선 통신 단말기(1)를 도시한다. 단말기(1)는 두개의 단말기 멤버인, 단말기 부분(2, 3)을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멤버와 제 2 단말기 멤버(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 모두는 대체로 길고 평면이다.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들은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서로의 꼭대기위에 구성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2, 3) 및 제 2(4) 단말기 멤버들은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구성되었을 때, 밖으로 향하는 부분들위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여기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스피커, 마이크로폰등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의 또다른 변형에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말기(1)의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밖으로 향하는 부분들위에 구성될 수도 있다.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Figures 1-7. 1 show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 in perspective for a closed position. The terminal 1 comprises two terminal members, a first terminal member comprising a terminal part 2, 3 and a second terminal member 4. Bot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s are generally long and planar.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s are configured on top of each other as shown in FIG. In one embodiment, the first (2, 3) and second (4) terminal members, when configured in closed position, do not have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on the outward facing portions. User interface means here a display, a keyboard, a speaker, a microphone and the like. In another variant of this embodiment, a display or other user interface may be constructed on the parts facing out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terminal 1.

본 발명에 따라서, 단말기(1)는 음성 통신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동작되는, 종래 전화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더군다나, 동일한 단말기는 종래 컴퓨터 또는 랩탑 모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컴퓨터 모드를 나타내는 제 1 포지션으로 오픈됐을 때,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2 단말기 멤버(4)는 단말기(1)가 회전 축(7)에 대해 펴질 수 있게 하는, 제 1 힌지 장치(8)에 의해 제 1 단말기 멤버(2, 3)에 연결된다. 도 2에서 증명된 것처럼, 단말기 모드에 대한 특징은 단말기가 단말기 멤버(2, 3, 4)의 긴 신장에 평행으로, 축(7)에 대해 펴진다는 것이다. 이 방향에서, 단말기(1)가 제 1 단말기 멤버위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9, 10)에 의하여 동작되는 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도록, 제 1 단말기 멤버(2, 3)위에 놓인, 제 2 단말기 멤버(4)위에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erminal 1 can be used in a conventional telephone mode, which is operated by a user by voice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same terminal may be used in conventional computer or laptop mode. 2 illustrates the embodiment of FIG. 1 when opened to a first position indicating a computer mode.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ember 2, 3 by a first hinge device 8, which allows the terminal 1 to be unfolded about the rotation axis 7. As demonstrated in FIG. 2, a feature for the terminal mode is that the terminal is stretched about the axis 7, parallel to the long elongation of the terminal members 2, 3, 4. In this direction, the first terminal member 2, 3 is operated such that the terminal 1 is operated by the user input interfaces 9, 10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while the user interface 11 is viewed by the user. It is arrang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which lies above.

도 1내지 도 7에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서, 제 2 단말기 멤버(4)는 상기 제 1 힌지 장치(8)에 의해, 제 1 단말기 멤버의 제 2 부분(3)에만 연결된다. 그러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단말기 멤버(4)가 제 1 단말기 멤버의 제 1 부분(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자유로운 고정 수단에 의하여 구성된 연결은 이하에 추가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단말기(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 2 단말기 멤버위의 고정 멤버(22)와 상호결합하기 위해 구성된 래치(21)가 제 1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된다. In the particular embodiment described in FIGS. 1 to 7,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is only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3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by means of the first hinge device 8.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art 2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In this case, the connection made up by the free fastening means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Preferably, a latch 21 configured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is configured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to interlock with the fixed member 22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in order to secure the terminal 1 in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

도 3내지 도 5는 여러 다른 측면에서 본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런 도면에 의해 증명된 것처럼, 단말기(1)는 단말기의 긴 신장, 및 제 1 힌지 장치(8)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 2 힌지 장치(5)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2 힌지 장치(5)는 제 1 단말기 멤버의 두개의 멤버 부분(2, 3)을 연결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 1 단말기 멤버의 제 1 멤버 부분(2)은 단말기(1)의 클로즈드 포지션으로부터 제 2 힌지 장치(5)의 회전 축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3 to 5 show the embodiment of FIG. 1 seen from different aspects. As evidenced by this figure, the terminal 1 further comprises a long extension of the terminal and a second hinge device 5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device 8. The second hinge device 5 connects two member parts 2, 3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As can be seen in FIG. 6, the first member part 2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can be rotat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econd hinge device 5 from the closed position of the terminal 1.

도 7은 전화 모드 동작에 적합한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구성되었을 때, 단말기(1)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이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바람직하게, 키보드,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제 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 1 부분(9)은 보여지고 단말기(1)의 밖으로 향한다. 또한, 클로즈드 포지션으로부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의 제거는 제 2 단말기 멤버(4)위에 구성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분을 보여준다.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은 도 7에서 기술된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을 취하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도 1의 클로즈드 포지션 및 도 2의 컴퓨터 모드 포지션으로 구성된 것처럼, 제 2 부분(3)의 평면 신장에 제 1 멤버 부분(2)을 고정(hold)하기 위한,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는 동일한 평면 신장에서 두개의 단말기 멤버 부분(2, 3)을 유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치(72)와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73)로써, 제 1 단말기 멤버의 두개의 멤버 부분위에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은 제 2 단말기 멤버(4)위에 구성된 고정 멤버(71)와 맞물리기 위해 구성된 래치(70)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호작용하는 고정 장치들(70, 71)의 맞물림은 제 1 단말기 멤버(2, 3)가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4)으로부터 회전 축(7)에 대해 회전되어, 고정 수단(70, 71)이 맞물렸을 때, 있을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은 도 1및 도 2에 의해 증명된 것처럼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3)에 관한 포지션, 즉,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3)의 평면 신장의 포지션을 취하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7에서 기술된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을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장치(arrangement)가 적용된다. 이러한 장치(arrangement)는 도 9와 10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지만, 도 1내지 7및 도 11 내지 13에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FIG. 7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1 when configured in a second open position suitable for telephone mode operation. In this second open position, the first part 9 of the first user interface, preferably the first user input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touch sensitive display or microphone, is shown and directed out of the terminal 1. Also, the removal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part 2 from the closed position shows the part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The second user interface 11 is a user output interface, such as a display and / or a speaker.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2 can be biased to take a second open position as described in FIG. 7, and in this embodiment, the terminal is comprised of the closed position of FIG. 1 and the computer mode position of FIG. 2, It may comprise an interactive locking member for holding the first member portion 2 in the planar extension of the second portion 3. The interacting stationary member is a stationary member 73 that interacts with a latch 72 configured to engage each other to hold two terminal member portions 2, 3 in the same planar extension, the two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It can be configured on the member part. In another particular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2 may have a latch 70 configured to engage a fixed member 71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In this embodiment, the engagement of the interlocking fastening devices 70, 71 is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member 2, 3 is rotat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7 from the second terminal member part 4, such that the fastening means is secured. When (70, 71) is engaged, there may b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2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3, as demonstrated by FIGS. 1 and 2, ie, the plane extension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3. It can be biased to take the position of. In this case, an arrangement for securing and holding the first terminal member part 2 in the second open position is applied as described in FIG. 7. Such an arrangement is shown schematically in FIGS. 9 and 10, but may be implement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1 to 7 and FIGS. 11 to 13.

도 8내지 10은 선행 기술된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는데, 도 3 내지 5에 상응하는 관점으로 도시된다. 선행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82)과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83) 각각이 구부러진 부분(86, 88)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83)과 맞물리도록 제 2 단말기 멤버(84)로부터 멀리,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82)을 회전 및 오픈시킴으로써,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82)의 인터페이스 측면이 도 10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제 2 단말기 멤버(84)로부터 구부러지게 구성될 것이다. 이것의 목적은 사용자의 귀와 입에 더 편한 관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사용자의 귀와 입에 가깝게, 제 2 단말기 멤버(84)의 꼭대기에 구성되도록 스피커를 놓고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82)의 바닥에 구성되도록 마이크로폰을 놓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 편하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음성 인터페이스가 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에 기술된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단말기(1)를 맞물리고 유지시키기 위해 구성된 상호작용하는 멤버들(91, 92)의 특정 구현은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도 8내지 10에 따라 설명된 단말기는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82)이 상기 도 1내지 7과 함께 기술된 것처럼, 도 8의 상부 포지션(upper position)에 바이어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8 to 10 show a variant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shown in a perspective corresponding to FIGS. 3 to 5.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s that each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82 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83 includes bent portions 86 and 88. Thus, by rotating and opening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82 away from the second terminal member 84 to engage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83, the interface side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82 is It will be configured to bend from the second terminal member 84 in the second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relationship to the user's ears and mouth. It is also more efficient, because it is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place the speaker to be configured on top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84, close to the ear and mouth of the user, and to place the microphone to be configur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82. Means to be the voice interface. As described in FIG. 10, the particular implementation of the interacting members 91, 92 configured to engage and hold the terminal 1 in the second open position is not 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terminal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FIGS. 8 to 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82 is biased in the upper position of FIG. 8, a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FIGS. 1 to 7 above.

도 11 내지 도 13은 또다른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8 내지 10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1102)은 제 1 의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1103) 보다 더 길다. 이것으로, 단말기가 도 13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더 길어질 것이다. 더군다나,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1102)위에 구성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부분(9)도 1내지 10의 실시예보다 더 넓어질 것이다. 또한, 제 2 단말기 멤버(1104)위에 구성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더 넓은 부분은 도 13에 보여진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사용자를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1 through 13 illustrate another particular embodiment, which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8 through 10.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1102 is longer than the first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1103. With this, the terminal will be longer in the second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Furthermore, the first portion 9 of the first user interface configured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1102 will also be wider than the embodiments of 1-10. Also, a wider portion of the second user interface 11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1104 may be available for the user in the second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13.

도 14내지 16은 본 발명에 대한 제 2의 일반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 14의 실시예는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기술되는데, 단말기(1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정면으로 마주보게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단지 단일의 제 1 단말기 멤버(1402)가 두-방향 힌지 장치에 의하여 단일의 제 2 단말기 멤버(1404)에 연결된다. 이 두-방향 힌지 장치는 단말기(1400)를 제 1 회전 축(1407)에 대해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오픈 포지션으로 펴지게 하는 수단 및 단말기(1400)를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해 제 2 회전 축(1406)에 대해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펴지게 하는 수단들을 제공한다. 도 15와 16에 의해 더 분명히 증명된 것처럼, 두-방향 힌지 장치는 제 1 단말기 멤버(1402)를 코너 부분(1410)에서 제 2 단말기 멤버(1404)에 연결하는 제 1 힌지 장치(1408)를 포함한다. 제 1 힌지 장치(1408)는 제 2 단말기 멤버(1404)가 도 16에서 도시된 것처럼 컴퓨터 모드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제 1 회전 축(1407)을 한정한다. 단말기(1400)의 클로징은 제 2 회전 축 방향의 코너 부분(14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래치(1412)사이의 상호작용하는 액션(action)에 의해 달성된다. 이 래치(1412)는 제 1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된 제 1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1413)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더군다나, 도 16에 의해 증명된 것처럼, 래치(1412)와 고정 멤버(1413) 사이의 맞물림은 제 1 단말기 멤버(1402)와, 제 2 단말기 멤버(1404)와 함께 통합되는 제 2 힌지 장치(1405) 사이의 맞물림을 제공한다. 도 15의 도면에서, 단말기(1400)는 전화 모드 동작에 적합한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제 2 단말기 멤버(1404)는 제 2 힌지 장치(1405)에 의하여, 제 2 회전 축(1406)에 대해 회전된다. 또한, 제 2 힌지 장치(1405)는 제 1 단말기 멤버(1402)를 코너 부분(1410)에서 제 2 단말기 멤버(1404)에 연결한다. 그러나, 언급된 것처럼, 래치(1412)와 고정 멤버(1413)의 맞물림은 제 2 멤버 부분(1404)이 회전 축(1406)에 대해 회전할 때 조차,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해 구성된 제 2 연결 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arrangement)는 전화 모드 동작에서 단말기(1400)의 더 안정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로, 제 1 단말기 멤버(1402)위에 고정시키는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1415)와 맞물리기 위해 구성된, 래치(1414)가 제 2 단말기 멤버(1404)위에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4내지 16의 제 2 일반적인 실시예는 선행 도면과 함께 기술된 기능, 즉, 클로즈드 포지션이나 두개의 오픈 포지션 중 하나에서 단말기 멤버들의 바이어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14-16 show a second gener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of FIG. 1, the embodiment of FIG. 14 is described in a closed position, wherein the user interfaces of the terminal 1400 are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only a single first terminal member 1402 is connected to a singl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by a two-way hinge device. This two-way hinge device comprises means for extending the terminal 1400 to a first open position for computer mod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of rotation 1407 and a second axis of rotation for the phone mode operation. Provides means for extending to a second open position with respect to 1406. As more clearly demonstrated by FIGS. 15 and 16, the two-way hinge device connects the first hinge device 1408, which connects the first terminal member 1402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at the corner portion 1410. Include. The first hinge device 1408 defines a first axis of rotation 1407 that allows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to be rotated in computer mode as shown in FIG. 16. Closing of the terminal 1400 is accomplished by an interactive action between the latch 1412, which is away from the corner portion 1410 in the second rotational axis direction. This latch 1412 is configured to freely attach to a first interacting locking member 1413 configured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Furthermore, as demonstrated by FIG. 16, the engagement between the latch 1412 and the fixed member 1413 is a second hinge device 1405 integrated with the first terminal member 1402 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 To provide engagement. In the diagram of FIG. 15, terminal 1400 is shown in a second open position suitable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Here,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of rotation 1406 by the second hinge device 1405. In addition, the second hinge device 1405 connects the first terminal member 1402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at the corner portion 1410. However, as mentioned, the engagement of the latch 1412 with the stationary member 1413 causes a second connection point configured to maintain engagement even when the second member portion 1404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1406. to provide. Such an arrangement may provide more stable operation of the terminal 1400 in telephone mode operation. Optionally, a latch 1414, configured for engagement with an interactive locking member 1415 that secures over the first terminal member 1402, may be configured over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ond general embodiment of FIGS. 14-16 can implement the biasing of terminal members in the functions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ceding figures, ie, closed position or one of two open positions.

도 14 내지 16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13의 실시예 보다 전화 모드 동작에서 더 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이용을 제공한다. 두-방향 힌지 장치는 예를 들어, 코너 포지션(1410)에 구성된 폴헴 노트(polhem knot)를 포함할 수 있다.14-16 provide for the use of a larger user interface in phone mode operation than the embodiments of FIGS. 1-13. The two-way hinge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lhem knot configured at the corner position 1410.

도 17 내지 19는 제 2 단말기 멤버(1704)가 도 14내지 16의 실시예에서 처럼, 에지에서 제 2 힌지 장치(1705)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 1 단말기 멤버(1702)는 제 2 단말기 멤버(1704)보다 더 길고, 제 2 단말기 멤버(1704)가 제 2 힌지 장치(1705)에 의해 연결되는 에지 부분(1703)을 포함한다. 제 2 단말기 멤버(1704)가 회전 축(1706)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제 2 힌지 장치(1705)는, 코너 부분(1710)에서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들을 연결한다. 그러나, 도 14내지 16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처럼, 제 2 회전 축(1706)에 대해 회전하는 동안, 맞물림이 래치(1712)와 고정 멤버(1713)의 상호작용하는 액션에 의해, 단말기 멤버들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제 2 힌지 장치(1705)의 래치(1712)는 제 1 단말기 멤버위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171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17에서 기술된 것처럼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1 단말기 멤버(1702)위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1715)와 자유롭게 맞물리기 위해 구성된, 래치(1714)가 제 2 단말기 멤버(1704)위에 구성될 수 있다. 17-19 show that the second terminal member 1704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device 1705 at the edge,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4-16.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member 1702 is longer than the second terminal member 1704 and includes an edge portion 1703 to which the second terminal member 1704 is connected by the second hinge device 1705. . The second hinge device 1705,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member 1704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1706,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s at the corner portion 1710. However,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4-16, while rotating about the second axis of rotation 1706, the engagement between the terminal members is caused by the interaction action of the latch 1712 and the fixed member 1713. To be retained at, the latch 1712 of the second hinge device 1705 is configured to engage the interacting fixed member 1713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In the closed position as described in FIG. 17, a latch 1714 may be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1704, configured to freely engage the interacting fixed member 1715 over the first terminal member 1702. have.

도 20내지 22는 제 4의 일반적 실시예를 기술한다. 이 실시예는 제 2 단말기 멤버(2004)가 제 1 단말기 멤버(2002)의 에지에서 연결되는 도 14 내지 16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 2 단말기 멤버(2004)는 근본적으로 도 15의 제 2 단말기 멤버(1404)에 상응하는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와, 제 2 힌지 장치(2005)를 통해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4)에 연결되는 프레임 장치(200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2 힌지 장치(2005)의 회전 축(200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포지션에서, 래치(2014)가 프레임 장치(2003)위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2014)와 자유롭게 연결하기 위해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위에 구성된다. 더군다나, 프레임 장치(2003)는 도 22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 1 단말기 멤버(2002)위의 제 2 고정 멤버(2016)에 연결할 수 있는 제 2 래치(2015)와 함께 구성된다. 이 특정 실시예의 이점은 힘의 더 많은 부하가 도 14내지 16의 실시예에서 보다 많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단말기(2000)의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와 프레임 장치(2003)는 상호작용하는 래치(2013)와 고정 멤버(2014)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더군다나, 제 2 단말기 멤버(2004)는 래치(2015)와 고정 멤버(2016)의 고정 액션에 의해 제 1 단말기 멤버(2002)와 맞물려진다.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해 단말기(2002)를 도 21의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펴도록 오픈할 때; 프레임 장치(2003)는 래치(2015)와 고정 멤버(2016)의 고정 액션에 의해 제 1 단말기 멤버(2002)와 연결되어 유지되는 반면,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는 제 2 힌지 장치(2005)에 의하여 제 2 회전 액션(2006)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힌지 장치(2005)는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를 예를 들어, 마주보는 코너 부분(2012, 2010)에서 적어도, 제 2 회전 축(2006)을 따른 두 점에서, 프레임 장치(2003)에 연결한다. 이 장치(arrangement)는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가 힘의 뒤틀림에 영향 받지 않게 한다. 도 22에서 기술된 것처럼,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1 오픈 포지션, 또는 컴퓨터 모드 포지션으로 단말기(2000)를 오픈할 때,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의 래치(2013)와 프레임 장치(2003)의 고정 멤버(2014) 사이의 맞물림은 전체의 제 2 단말기 멤버(2004)가 제 1 힌지 장치(2008)에 의하여 제 1 회전 축(2007)에 대해 회전되도록, 유지된다. 제 2 힌지 장치(2005)에 관련해서, 제 1 힌지 장치(2008)는 제 1 회전 축(2007)에 따라 떨어져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들을 맞물리게 하는 관절(articulation)의 두 점을 갖음으로, 뒤틀림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성을 제공한다. 20-22 describe a fourth general embodiment. This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S. 14-16 with the second terminal member 2004 connected at the edge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2002. However, in this case, the second terminal member 2004 is bas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200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of FIG. 15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2005 through the second hinge device 2005. The frame device 200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main body 2004. Preferably in a position away from the axis of rotation 2006 of the second hinge device 2005, the second terminal member for freely connecting the latch 2014 with the interacting fixed member 2014 on the frame device 2003. On the main body 2001. Furthermore, the frame device 2003 is configured with a second latch 2015 that can connect to the second fixed member 2016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2002, as shown in FIG. 22. An advantage of this particular embodiment is that more load of force is provided than in the embodiments of FIGS. 14-16.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terminal 2000, 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2001 and the frame device 2003 are interconnected by interacting latches 2013 and fixed members 2014. Furthermore, the second terminal member 2004 is engaged with the first terminal member 2002 by the locking action of the latch 2015 and the locking member 2016. When opening the terminal 2002 to the second open position of FIG. 21 for a telephone mode operation; The frame device 2003 remain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ember 2002 by the fixing action of the latch 2015 and the fixing member 2016, while the second terminal member main body 2001 is the second hinge device 2005. Is rotated to the second rotation action 2006. The second hinge device 2005 has a frame device (for example, at two points along the second axis of rotation 2006 at least at corner portions 2012 and 2010 facing 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2001). 2003). This arrangement makes 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2001 unaffected by the warping of the force. As illustrated in FIG. 22, when the terminal 2000 is opened in the closed position in the first open position or the computer mode position, the latch 2013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main body and the fixed member 2014 of the frame apparatus 2003. Engagement is maintained such that the entire second terminal member 2004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of rotation 2007 by the first hinge device 2008.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device 2005, the first hinge device 2008 has two points of articulation that engage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s, which are spaced along the first axis of rotation 2007. This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is not affected by warping.

도 23 및 24는 도 1내지 7의 것과 상응하는 실시예의 형태로 본 발명을 기술한다. 도 23에서, 단말기가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오픈 포지션에서 도시된다. 단말기 멤버 부분들(2, 3)을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멤버는 각각, 제 1(9) 및 제 2(1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부분을 갖는다. 더군다나,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폰(2302)을 포함한다. 컴퓨터 모드 동작에서,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들(2, 3)은 서로의 옆에서 동일한 평면에 구성되어,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하나의 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종래 타자기 키보드 인터페이스처럼, 영숫자 키보드 또는 영숫자 키보드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9, 10)의 바닥에 도시된 더 큰 키는 스페이스바를 나타낸다. 제 2 단말기 멤버(4)는 단말기 멤버의 제 2 부분(3)과 제 2 단말기 멤버(4)를 연결하는, 제 1 힌지 장치(8)에 의하여 제 1 회전 축(7)에 대해 회전된다. 제 2 단말기 멤버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1),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기를 포함한다.Figures 23 and 24 describe the invention in the form of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those of Figures 1-7. In FIG. 23, the terminal is shown in a first open position for computer mode operation. The first terminal member comprising terminal member portions 2, 3 has a first (9) and a second (10) user input interface portion,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first user interface includes a microphone 2302. In computer mode operation,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s 2, 3 are configured in the same plane next to each other, forming one large user input interface for computer mode operation. Preferably, this user input interface comprises a touch 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n alphanumeric keyboard or an alphanumeric keyboard, such as a conventional typewriter keyboard interface. The larger key shown at the bottom of the user-input interface 9, 10 represents the space bar.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of rotation 7 by the first hinge device 8, which connects the second part 3 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of the terminal member. The second terminal member comprises a user output interface 11, preferably a display and a voice output such as a speaker.

도 24는 도 23과 동일한 단말기이지만,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방향을 맞추어 도시한다. 도 7과 함께 선행 기술된 것처럼,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은 이 모드에서 제 2 힌지 장치(5)에 의하여, 제 2 회전 축(6)에 대해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 2 단말기 멤버(4)위에 있는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1)의 한 부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 1 부분(9)이 밖으로 향한다. FIG. 24 shows the same terminal as that of FIG. 23 but with a second open position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As previously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FIG. 7, the first terminal member part 2 is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of rotation 6 by the second hinge device 5 in this mode. This leads to the first part 9 of the user input interface as well as one part of the user output interface 11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facing out.

도 25는 도 24에서 기술된 것처럼 전화 모드에서 사용될 때의 방향에 맞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9)의 제 1 부분을 도시한다. 키보드(9)의 분리된 키들은 각각의 키를 누를 때, 발생되는 액션을 나타내는 마킹(marking)을 갖는다. 각각의 키의 왼쪽측면에서, 마킹이 전화 모드 동작에서 읽히도록 방향이 맞춰진다. 그러므로, 이런 키들은 이동 전화기의 표준 숫자전용 키보드의 키들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키들도 구현될 수 있다. 도 23에서 도시된 것처럼 컴퓨터 모드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 1 부분(9)은 오른쪽으로 90°회전될 것이다. 그런 방향에서 읽을 때, 하부 마킹은 종래 타자기 장치의 표준 영숫자 키보드에 있는 문자들을 나타낸다. 분명히,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제 2 부분(10)은 영숫자 키보드의 나머지 문자들을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숫자 0에서 9를 위한 분리된 키들이 구현될 수 있지만, 도 25에서 도시된 키들이 숫자 데이터 입력을 위한 컴퓨터 모드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넘버락(Num Lock)이 포함된다.FIG. 25 shows a first part of the user input interface 9, adapted to the direction when used in the telephone mode as described in FIG. 24. Separate keys of the keyboard 9 have markings indicating the action that occurs when each key is pressed. On the left side of each key, the marking is oriented so that the marking is read in phone mode operation. Therefore, these keys include the keys of a standard numeric dedicated keyboard of a mobile phone. Of course, other keys can also be implemented. When used in computer mode as shown in FIG. 23, the first portion 9 of the user input interface will be rotated 90 ° to the right. When reading in that direction, the bottom marking represents the characters on a standard alphanumeric keyboard of a conventional typewriter device. Clearly, the second part 10 of the user input interface includes keys for the remaining characters of the alphanumeric keyboard. Separate keys for the numbers 0 to 9 can be implemented, but a number lock is included so that the keys shown in FIG. 25 can be used even in computer mode for numeric data entry.

도 23 및 24의 실시예의 이점은 완벽한 키보드가 컴퓨터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지지만, 절대적으로 필요한 숫자 키 및 제어 키는 전화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것으로, 단말기는 도 24에서 기술된 것처럼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펴질 때, 상당히 작아질 것이다.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갖는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한다. 단말기를 제 1 또는 제 2 포지션으로 펼 때,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1)의 아래에 구성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9, 10)와 함께 읽히도록 보여지기 때문에,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1)위에 나타내진 심볼, 이미지 또는 캐릭터들의 방향을 바꾸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개체 또는 캐릭터들은 단말기가 도 23 및 도 24에서 기술되는 방향으로,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1)위에서 보여질 것이다. 제 1 또는 제 2 오픈 포지션 중 하나로 단말기의 펴짐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 콘택트(contact)는 제 1(8) 및 제 2(5) 힌지 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콘택트는 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시스템에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더군다나, 선행 기술된 실시예의 두개의 단말기 멤버들(2, 4)과 상응하는 멤버들 사이에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와 전력 연결의 일부 형태가 두개의 단말기 멤버들 사이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결은 예를 들어, 두개의 멤버들 사이의 탄력적인 필름(flex film)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e embodiments of Figures 23 and 24 is that the complete keyboard is made available in computer mode, but the absolutely necessary number keys and control keys can only be used in phone mode. With this, the terminal will be considerably smaller when it is opened to the second open position as described in FIG. Preferably, the terminal comprises a micro-controller with associated software. Symbols and images shown on the user output interface 11 since it is shown to be read with the user input interfaces 9 and 10 configured below the user output interface 11 when the terminal is opened to the first or second position. Or to redirect the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 objects or characters will be shown on the user output interface 1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described in FIGS. 23 and 24. A display control contact, configured to detect the spread of the terminal in one of the first or second open positions, is connected to the first (8) and second (5) hinge devices. The display control contact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microprocessor system of the terminal. Furthermore, some form of data and power connection must be provided between the two terminal members in order to provid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 members 2, 4 and corresponding member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Such a connection can be provided, for example, by a flex film between two members.

도 26 및 27은 도 23 및 24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14 내지 16의 실시예에의 더 자세한 설명을 기술한다. 이런 실시예들은 각각의 단말기 멤버들의 외부 코너에서의 힌지 장치의 배열(arrangement)에 의해 도 23과 24에서의 실시예와 다르다. 제 1 힌지 장치(1408)는 펴짐이 제 1 회전 축(1407)에 대해 달성되도록, 제 1 단말기 멤버(1402)를 제 2 단말기 멤버(1404)에 연결한다. 이 컴퓨터 모드에서, 제 2 힌지 장치(1405)는 제 2 단말기 멤버(1404)를 따라간다. 도 27에서 도시된 것처럼,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해 단말기가 클로즈되었다가,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오픈될 때, 제 2 힌지 장치(1405)는 제 2 회전 축(1406)에 따라, 두개의 힌지 장치(1404, 1408) 사이의 연결로부터 떨어져 있는 포지션에서, 제 1 단말기 멤버(1402)를 제 2 단말기 멤버(1404)에 맞물리기 위한 수단들(1412, 1413)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409)는 영숫자 인터페이스 및 마이크로폰(2602)을 포함하는 반면,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411)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2601)를 포함한다.26 and 27 describ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14-16, in a manner similar to FIGS. 23 and 24. These embodiments differ from the embodiments in FIGS. 23 and 24 by the arrangement of the hinge device at the outer corners of the respective terminal members. The first hinge device 1408 connects the first terminal member 1402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such that unfolding is achieved about the first axis of rotation 1407. In this computer mode, the second hinge device 1405 follows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As shown in FIG. 27, when the terminal is closed for the telephone mode operation and opened to the second open position, the second hinge device 1405 may be configured to have two hinge devices (2) according to the second rotation axis 1406. In a position away from the connection between 1404, 1408, means 1414, 1413 for engaging the first terminal member 1402 with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User-input interface 1409 includes an alphanumeric interface and microphone 2602, while user output interface 1411 includes a display and speakers 2601.

이 실시예는 도 23 및 24의 것 보다 간단기 구성되는 이점을 갖는다. 힌지 장치(1405, 1408)는 폴헴 노트를 포함한 통합된 힌지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영숫자 키보드 인터페이스(1409)는 도 25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키들을 포함한다. 더군다나, 이 실시예는 오픈 포지션이 취해짐에 따라,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1411)위에 보여지는 캐릭터 또는 심볼의 방향을 맞추는 선행 기술된 기능들을 포함한다.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r than that of FIGS. 23 and 24. Hinge devices 1405 and 1408 may be provided by an integrated hinge device including a Folhem note. Preferably, alphanumeric keyboard interface 1409 includes keys as described in FIG. 25. Furthermore,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previously described functions for orienting the character or symbol shown on the user output interface 1411 as an open position is taken.

본 발명의 원리들은 예를 들어, 실시예의 예 또는 동작의 모드에 의해 앞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처럼 파악되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특정 실시예의 기술된 특징들이 다른 기술된 실시예에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동일한 이로운 효과를 준다. 하나의 이러한 특징은 단말기가 오픈 포지션을 취하게 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 및, 사용자로부터 보여지는 것처럼, 출력 인터페이스가 입력 인터페이스 위에 놓일 때 캐릭터들이 정확히 읽히는 방향으로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위에서 캐릭터들의 프리젠테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된 다소의 특정 실시예들은 제한보다는 실례로써 간주되고, 변형들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것처럼 본 발명의 관점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상기 실시예로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될 것이다.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of an embodiment or mode of operation. However,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skilled person knows that the described features of a particular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described embodiments, giving the same beneficial effect. One such feature is a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terminal is in an open position and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s on the user output inte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acters are read correctly when the output interface is placed over the input interface, as seen from the user. It is to implement a means for doing so. Therefo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som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as examples rather than limit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Claims (39)

무선 통신 단말기(1)로서,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9, 10)를 갖는 제 1 단말기 멤버(2, 3),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갖는 제 2 단말기 멤버(4) 및 상기 단말기 멤버들을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가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제 1 오픈 포지션으로 펴질 수 있는 제 1 회전 축(7)을 갖는 제 1 힌지 장치(8)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first terminal member 2, 3 having a first user interface 9, 10, a second terminal member 4 having a second user interface 11 and the terminal members, the terminal being connected in a closed pos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hinge device (8) having a first axis of rotation (7) that can be opened in a first open position: 제 2 힌지 장치(5)는 상기 단말기가 제 2 오픈 포지션으로, 상기 제 1 축에 수직인 제 2 회전 축(6)에 대해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멤버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second hinge device 5 connects the terminal members so that the terminal can be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of rotation 6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n a second open position.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멤버들은 대체로 평면의 긴 본체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축은 상기 본체들 각각의 평면에서, 상기 본체들의 긴 신장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And said terminal members comprise generally planar elongated bodies, said first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elongate elongations of said main bodies in the plane of each of said main bodie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축은 상기 본체들의 긴 신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axis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elongate stretches of the bodie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단말기 멤버들은 상기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와 함께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terminal members are placed with the first and second inte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closed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9) 및 제 2(10) 부분을 각각 갖는 제 1(2) 및 제 2(3) 단말기 멤버 부분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들은 상기 제 2 힌지 장치를 통해 서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first terminal member includes first (2) and second (3) terminal member portions having first (9) and second (10) portions of the first interface,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And the terminal member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hinge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2 오픈 포지션을 취하고,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과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하는 포지션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을 자유롭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 제 1 래치(70, 72)를 갖도록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s adapted to take the second open position and to freely fix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n a position extending in the same plane as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And is biased to hav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래치(72)와 상호작용하는 제 1 고정 멤버(73)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a first fixed member (73) interacting with said first latch (72) is configured on sai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래치(70)와 상호작용하는 제 1 고정 멤버(71)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a first fixed member (71) cooperating with said first latch (70) is configured on said second terminal memb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들이 동일한 평면에서 서로의 곁에 구성되는 포지션을 취하고, 상기 제 2 오픈 포지션에서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을 자유롭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 제 1 래치(91)를 갖도록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s a first latch configured to take a posi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s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in the same plane, and to freely fix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in the second open position. And a biased to have (91).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 1 래치와 상호작용하는 제 1 고정 멤버(92)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a first fixed member (92) cooperating with said first latch is configured on sai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interface comprises a data input interface.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1 부분은 수직으로 구성된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에 적합한, 단말기의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숫자전용 키보드(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first portion of said first interface comprises a numeric-only keyboard (9)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adapted for use in alignment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a vertically configured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1 부분은 수직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기능적 숫자전용 키보드(9)를 나타내기 위해 구성된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interface is a touch-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 functional numeric-only keyboard 9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in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onfigured verticall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5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3,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의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3)은 상기 제 1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3)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4) via the first hinge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된 제 2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22)와 자유롭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 2 래치(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first terminal member has a second latch (21) configured to freely engage a second interacting fixed member (22) configured on said second terminal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 2 래치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의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And the second latch is configured on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member. 제 14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interface comprises a data input interface.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평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영숫자 키보드(9, 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first interface comprises an alphanumeric keyboard (9, 10) for computer mode operation of said terminal, adapted for use in alignment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said terminal configured horizontally.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수평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기능적 영숫자 키보드(9, 10)를 나타내기 위해 구성된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data input interface comprises a touch-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 functional alphanumeric keyboard 9, 10 for computer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in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onfigured horizontally.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or 19,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상기 영숫자 키보드(9, 10)는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상기 숫자전용 키보드(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alphanumeric keyboard (9, 10) for computer mode operation comprises the numeric keypad (9) for phone mode operation. 제 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20,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2, 82) 및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3, 83)은 대체로 동일하게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2, 82) and sai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3, 83) are generally equally long. 제 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20,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1102)은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1103)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1102) is longer than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110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제 2 힌지 장치(1405)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1404)의 에지에 근접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의 긴 신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hinge device (1405) is connected proximate to the edge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1404)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elongation of the second terminal member.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상기 제 2 힌지 장치는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의 코너 부분(1410)을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1402)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second hinge device connects a corner portion (1410) of said second terminal member to said first terminal member (1402).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 2 힌지 장치는 상기 제 2 회전 축(1406)이 상기 제 1 회전 축(1407)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힌지 장치(1408)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에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의 상기 코너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second hinge device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ember through the first hinge device 1408 such that the second rotation axis 1406 can rotat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1407. And connect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member.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위의 제 1 의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1413)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상기 제 2 회전 축의 방향에서 상기 코너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래치(1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first latch 1412, away from the corner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xis of rotation, configured to freely attach to the first interactive locking member 1413 above the first terminal memb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23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26,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2 오픈 포지션을 취하고, 클로즈드 포지션에서 상기 단말기를 자유롭게 고정시키기 위해 구성된 제 2 래치(1414)를 갖도록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is biased to take the second open position and have a second latch (1414) configured to freely secure the terminal in a closed position.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제 2 래치와 상호작용하는 제 2 고정 멤버(1415)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a second fixed member (1415) interacting with the second latch is configured on the first terminal member.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단말기 멤버(2004)는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2001) 및 상기 제 2 힌지 장치(2005)를 통해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에 연결된 프레임 장치(2003)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프레임 장치는 상기 제 1 힌지 장치(2008)를 통해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200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terminal member 2004 includes a frame device 2003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through a second terminal member main body 2001 and the second hinge device 2005, while the frame device includes the first device. 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member (2002) via a hinge device (2008). 제 2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본체는 상기 프레임 장치위의 제 1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2014)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상기 긴 방향에서 상기 제 2 힌지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1 래치(20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second terminal member body includes a first latch 2013, away from the second hinge device in the long direction, configured for free attachment to a first interacting fixed member 2014 on the fram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2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는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위의 제 2 상호작용하는 고정 멤버(2016)에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해 구성된, 상기 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 1 힌지 장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제 2 래치(20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second latch 2015, away from the first hinge device perpendicular to the long direction, configured for free attachment to the second interacting fixed member 2016 above the first terminal membe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23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31, 상기 제 1 인터페이스(1409, 2009)는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interface (1409, 2009) comprises a data input interface. 제 3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직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숫자전용 키보드(14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first interface comprises a numeric-only keyboard (1409)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adapted for use in alignment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onfigured vertically. 제 3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직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전화 모드 동작을 위한 기능적 숫자전용 키보드(1409)를 나타내기 위해 구성된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first interface includes a touch-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 functional numeric-only keyboard 1409 for telephony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in alignment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onfigured verticall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3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수평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영숫자 키보드(14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first interface comprises an alphanumeric keyboard (1409) for computer mode operation of said terminal, adapted for use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said terminal configured horizontally. 제 3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는 수평으로 구성된 상기 단말기의 긴 신장과 방향을 맞추어 사용하기 적합한, 상기 단말기의 컴퓨터 모드 동작을 위한 기능적 영숫자 키보드(1409)를 나타내기 위해 구성된 터치-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The data input interface includes a touch-sensitive display configured to represent a functional alphanumeric keyboard 1409 for computer mode operation of the terminal, suitable for use in alignment with the elonga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inal configured horizontally.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제 2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36,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1402, 2002) 및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1404, 2004)은 대체로 동일하게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said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1402, 2002) and said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1404, 2004) are generally equally long. 제 2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3 to 36, 상기 제 2 단말기 멤버 부분(1704)은 상기 제 1 단말기 멤버 부분(1702, 1703)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And the second terminal member portion (1704) is shorter than the first terminal member portion (1702, 1703). 스피치 통신을 할 수 있고 데이터 입력 및 처리를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1)에 있어서,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 capable of speech communication and data input and processing,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정면으로 마주보게 구성된 상기 단말기 멤버들과 클로즈드 포지션으로 접힐 수 있도록, 두 방향-힌지 장치(5, 8)에 의해 서로에 연결된 제 1(2, 3) 및 제 2(4)의 대체로 평면의 긴 단말기 멤버들을 갖는데, 상기 단말기는 전화 모드 방향을 취하기 위해 클램셀 방식에서, 긴 신장으로 펴질 수 있고, 컴퓨터 모드 방향을 취하기 위해 랩탑과 같은 방식에서, 긴 신장에 반대로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The terminal has a first (2, 3) and a second (4) connected to each other by two directional hinge devices 5, 8 so that the terminal can be folded in a closed position with the terminal members configured to face the front. The terminal may be flattened in a long stretch, in a clamshell manner to take a telephone mode direction, and countered in a long stretch, in a laptop-like manner to take a computer mode dire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57010287A 2002-12-09 2003-10-23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KR1010136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7385.0 2002-12-09
EP02027385A EP1429524B1 (en) 2002-12-09 2002-12-09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US44633203P 2003-02-10 2003-02-10
US60/446,332 2003-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187A true KR20050084187A (en) 2005-08-26
KR101013626B1 KR101013626B1 (en) 2011-02-10

Family

ID=3251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287A KR101013626B1 (en) 2002-12-09 2003-10-23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29577B2 (en)
KR (1) KR101013626B1 (en)
AU (1) AU2003283294A1 (en)
WO (1) WO20040542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2950A1 (en) * 2004-07-09 2006-02-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40483B1 (en) * 2004-10-2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hanging telephony mode of mobile terminal
KR100594000B1 (en) * 2004-12-21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 direction of folder
US20060135226A1 (en) 2004-12-21 2006-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FR2881906B1 (en) * 2005-02-10 2007-05-11 Sagem TELEPHONE HAVING A KEYBOARD WITH MULTI-DISPLAY KEYS
KR100628914B1 (en) 2005-02-18 2006-09-27 이근주 Double-axial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US7400908B2 (en) * 2005-04-07 2008-07-15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072427B2 (en)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EP1862880A1 (en) 2006-05-31 2007-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with auto change
US7953448B2 (en) 2006-05-31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EP1862883A1 (en) 2006-05-31 2007-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WO2007137428A1 (en) 2006-05-31 2007-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tarily configur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86B1 (en) 2005-11-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62884A1 (en) * 2006-05-31 2007-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tarily configur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4371146B2 (en) 2007-03-09 2009-11-2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Portable device
US8346294B2 (en) 2007-06-22 2013-01-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earance adaptable keypa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EP2006761B1 (en) * 2007-06-22 2010-09-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earance adaptable keypa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JP4985278B2 (en) * 2007-09-27 2012-07-2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8463326B2 (en) 2009-02-23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KR20110022365A (en) 2009-08-27 2011-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dual axis
EP2469804B1 (en) * 2010-11-22 2012-09-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US8606340B2 (en)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9538B2 (en) * 1992-02-06 1999-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Notebook computer equipment
EP0704789A2 (en) * 1994-09-30 1996-04-03 AT&T Corp. Mobile pen computer having an integrated palm rest
DE29704171U1 (en) * 1997-03-07 1997-05-07 Amberg Udo Foldable device
JP4456677B2 (en) * 1997-03-10 2010-04-28 雅信 鯨田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H11212665A (en) * 1998-01-23 1999-08-06 Hitachi Ltd Thinned computer system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03904B2 (en) * 2000-11-02 2004-10-12 Alps Electric Co., Ltd. Keyboard input device to be reliably connected to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09479A (en) 2006-03-16
JP4629577B2 (en) 2011-02-09
WO2004054210A1 (en) 2004-06-24
KR101013626B1 (en) 2011-02-10
AU2003283294A1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626B1 (en)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US673175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US7526325B2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EP1720326B1 (en) Portable terminal with two bodies being both foldable and slidable relative to each other
US7610067B2 (en) Sw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44397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ousing capable of both sliding and swinging
EP1703704A2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US20080167097A1 (en) Mobile phone
JP2007179525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EP1710986B1 (en)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unit
JPH11215218A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US7991440B2 (en) Rotary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429524B1 (en)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US6704417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US7949378B2 (en) Rotatable connecting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39842B1 (en) Mobile phone
JP200135881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790169B1 (en) Swing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652812B1 (en)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KR100650862B1 (en) Sw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75653Y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200411616Y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333142A (en) Electronic equipment
KR20060124151A (en)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