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383A -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383A
KR20050083383A KR1020040011893A KR20040011893A KR20050083383A KR 20050083383 A KR20050083383 A KR 20050083383A KR 1020040011893 A KR1020040011893 A KR 1020040011893A KR 20040011893 A KR20040011893 A KR 20040011893A KR 20050083383 A KR20050083383 A KR 2005008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input
play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권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383A/ko
Publication of KR2005008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3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42F7/065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00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 B42F13/0026Covers for loose-leaf bind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photographic documents, e.g. prints, neg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02Fasteners; Clo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입력레벨조정부에서 미리 자동 또는 사용자 조작으로 메모리에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MP3 PLAYER AND METHOD FOR ADIUST LEVEL THEREOF}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서 여러가지 음원을 입력받아 그 신호를 MP3 파일로 변환시켜 녹음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레벨을 설정하거나 혹은 특정기준 레벨로 맞추어 자동으로 음압의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는 동영상, 멀티미디어 전문가 그룹으로 이 분야에 관한 전문가들이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와 같은 국제 표준 기구의 산하에 모여 제정한 규격으로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압축해 전송하고 이를 다시 복원하는 것과 같은 기술적 기준을 제공한다.
그리고, MP3는 MPEG-1 Audio Layer-3를 의미하는 것으로, MPEG 기술의 오디오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MPEG 오디오 압축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CD의 오디오 사운드 정보를 1/12까지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과학 기술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은 카세트 테이프 등과 같은 종래의 소리 축적 매체 외에 소리 데이터(즉, 오디오 사운드 정보)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수단 및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100)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P3 플레이어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MP3 플레이어(100)는, 메모리(110), 키입력부(115), 표시부(120), 전원 공급부(125), 제어부(130), 엔코더(155), 디코더(135), D/A 변환부(140), 오디오 출력부(145), 이어폰 잭(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예를 들어, 노래, 어학 학습 자료, 음악 등)가 이어폰 잭(150)을 통해 재생된다.
또한, 키 입력부(115)는 사용자가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재생 여부, 재생 방법, 표시부(120) 표시 형태 등을 결정하기 위한 재생 버튼, 메뉴 버튼, 일시 정지 버튼, 곡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더라도 MP3 플레이어(10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홀드(HOLD)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메모리(110)의 인식 정보, 재생중인 소리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곡명, 재생 시간, 해당 곡의 순번 정보, 폴더 정보 등), MP3 플레이어(100)의 작동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해당 MP3 플레이어(100)가 어떤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당해 MP3 플레이어(100)에 의해 동작 가능한 기능 정보 중 해당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모든 정보가 표시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25)는 MP3 플레이어(10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전원 공급부(125)로는 예를 들어, 충전지, 건전지 등과 같은 휴대용 전원 장치이거나,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구동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연결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키 입력부(115)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110)내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이어폰 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 입력부(115), 표시부(120), 전원 공급부(125), 엔코더(155), 디코더(135)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엔코더(155)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CD나 카세트, 또는 음성 녹음 등 외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고 그 신호를 MP3 파일로 변환시켜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또한, 디코더(135)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10)에 저장된 MP3 파일의 정보를 읽어내어 디코딩(decoding)하여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D/A 변환부(140)는 디코더(135)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45)는 D/A 변환부(14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 및 파형 정형화하여 증폭된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이어폰 잭(150)에 접속된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가 최상의 조건으로 소리 데이터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MP3 플레이어(100)는 사용자가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외부 소리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전원 공급부(125)에 포함된 충전지 등에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전하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인터페이스부, 외부 유무선 리모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원격 제어신호 수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MP3 플레이어는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어 종래의 소리 축적 매체를 별도로 삽입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소리 데이터를 음질의 저하 없이 장시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음원(예를 들어, 음악, 어학 학습 자료, 노래 등)에서 입력받아 그 신호를 MP3 파일로 변환하여 녹음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경우 다양한 MP3 소스 파일(특히 외부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이 그대로 녹음됨으로써 재생시 볼륨의 크기가 다양하여 사용자가 셋팅한 볼륨의 수준으로 곡마다 똑같이 들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여러가지 음원을 입력받아 그 신호를 MP3 파일로 변환시켜 녹음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레벨을 설정하거나 혹은 특정기준 레벨로 맞추어 자동으로 음압의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입력레벨조정부에서 미리 자동 또는 사용자 조작으로 메모리에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레벨조정부는 상기 외부 신호를 입력받거나 MP3에 겸용으로 내장된 FM 또는 AM 라디오 신호레벨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 또는 기본으로 설정된 음압레벨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그 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기 위해 사용자가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키입력부와;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현재의 신호레벨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입력레벨조정시 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외부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는 입력레벨 조정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레벨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어 MP3 엔코더 입력으로 사용하는 입력레벨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레벨조절단계 전에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레벨 수준을 설정하는 수동 설정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으면 자동 설정되는 자동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은 기록입력단의 전압레벨(A/DC)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200)는, 메모리(210), 키입력부(215), 표시부(220), 전원 공급부(225), 제어부(230), 입력레벨조정부(260), 엔코더(255), 디코더(235), D/A 변환부(240), 오디오 출력부(245), 이어폰 잭(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사람의 음성 신호 등 아날로그 신호 녹음의 경우에는 입력레벨조정부(260)에서 미리 자동 또는 사용자 조작으로 메모리부(210)에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입력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여 메모리(210)에 저장시키고 상기 메모리(210)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예를 들어, 노래, 어학 학습 자료, 음악 등)가 이어폰 잭(250)을 통해 재생된다.
또한, 입력레벨조정부(260)는 기록입력단의 전압레벨을 측정(A/D 모니터링)하여 메모리에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여 입력레벨을 변환시킨다.
또한, 입력레벨조정부(260)는 외부신호(아날로그 외부신호)를 입력받거나 MP3에 겸용으로 내장된 FM 또는 AM 라디오 신호레벨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 또는 기본으로 설정된 음압레벨로 MP3 플레이어가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반 공중파 라디오 및 일반 뮤직의 음압레벨이 천차만별이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보이스(voice)를 MP3로 기록시에도 마이크 감도 및 마이크에서 음원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 음압의 레벨이 차이가 많으므로, 입력레벨조정부(26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어 MP3 엔코더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압수준의 MP3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준으로 설정한 음압레벨의 MP3 파일 저장이 가능하고, MP3 기기에 내장된 공중파 라디오 등을 MP3 파일로 저장시 음압 레벨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레벨조정부(260)는 마이크로 입력되는 외부 보이스를 일정시간마다 모니터링하여 음압레벨변경이 가능하고, 기본 메모리에 기억된 레벨과 비교하여 레벨이 작거나 클 경우 자동으로 음압레벨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키 입력부(215)는 가령 강사 등의 목소리 녹음시 그 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기 위해 사용자가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입력레벨조정버튼을 포함한다. 물론, 재생 버튼, 메뉴 버튼, 일시 정지 버튼, 곡 선택 버튼 및 홀드(HOLD)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20)는 외부 아날로그 신호 녹음시 현재의 신호레벨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키입력부(215)를 통한 입력레벨조정시 이를 표시해준다. 물론, 상기 표시부(220)는 메모리(210)의 인식 정보, 재생중인 소리 데이터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MP3 플레이어의 정보를 통지해준다.
또한, 전원 공급부(225)는 MP3 플레이어(20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전원 공급부(225)로는 예를 들어, 충전지, 건전지 등과 같은 휴대용 전원 장치이거나,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구동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연결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외부 아날로그 신호 녹음시 입력레벨조정부(260)를 제어하여 키 입력부(215)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여 입력레벨을 변환시켜 MP3 파일로 엔코딩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입력레벨 변환시켜 MP3 파일로 메모리(210)내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이어폰 잭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 입력부(215), 표시부(120), 전원 공급부(125), 입력레벨조정부(260), 디코더(135)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디코더(235)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10)에 저장된 MP3 파일의 정보를 읽어내어 디코딩(decoding)하여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D/A 변환부(240)는 디코더(235)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45)는 D/A 변환부(24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 및 파형 정형화하여 증폭된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이어폰 잭(250)에 접속된 이어폰을 통해 사용자가 최상의 조건으로 소리 데이터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에서 MP3 녹음시 자동 레벨 조정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강의를 들으면서 강사의 목소리를 녹음하고자 할 경우 MP3 플레이어 사용자는 외부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한다(S11).
이후, 사용자가 레벨 수준을 설정할 경우에는 입력레벨조정부에서 외부 아날로그신호의 음압레벨이 사용자가 설정한 레벨보다 높은가 여부를 A/DC 판단한다(S12)(S13).
여기서, 입력레벨조정부는 외부 아날로그 신호의 음압레벨이 사용자가 설정한 레벨보다 낮으면 레벨을 증폭하고(S14), 그렇지 않으면 입력된 외부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을 낮추어 엔코더가 MP3 파일로 엔코딩한다(S17).
그러나,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레벨 수준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레벨 조정부에서 자동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높은가 여부를 A/DC 판단한다(S15)(S16).
여기서, 입력레벨조정부는 외부 아날로그 신호의 음압레벨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설정한 레벨보다 낮으면 레벨을 증폭하고(S16), 그렇지 않으면 입력된 외부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을 낮추어 엔코더가 MP3 파일로 엔코딩한다(S17).
이후, 엔코딩된 MP3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하고(S18), 메모리에 저장된 MP3 파일은 디코딩, D/A 변환과정을 거쳐 재생됨으로써(S19), 본 과정을 종료된다.
즉, 입력레벨조정부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어 MP3 엔코더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압수준의 MP3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다.
이제까지 재생될수 있는 소리 데이터의 유형을 MP3로 제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WMA(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Media 오디오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소리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가 기타 소리 데이터 파일 타입도 함께 재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조정방법은, 외부에서 여러가지 음원을 입력받아 그 신호를 MP3 파일로 변환시켜 녹음시 사용자의 취향에 맞추어 레벨을 설정하거나 혹은 특정기준 레벨로 맞추어 자동으로 음압의 크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즉, 일반 공중파 라디오 및 일반 뮤직의 음압레벨이 천차만별이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보이스를 MP3로 기록시에도 마이크 감도 및 마이크에서 음원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 음압의 레벨이 차이가 많으므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어 MP3 엔코더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압수준의 MP3 파일로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에서 MP3 녹음시 자동 레벨 조정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200 : MP3 플레이어 110, 210 : 메모리
115, 215 : 키 입력부 120, 220 : 표시부
125, 225 : 전원 공급부 130, 230 : 제어부
135, 235 : 디코더 140, 240 : D/A 변환부
145, 245 : 오디오 출력부 150, 250 : 이어폰 잭
155, 255 : 엔코더 260 : 입력레벨조정부

Claims (6)

  1.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입력레벨조정부에서 미리 자동 또는 사용자 조작으로 메모리에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입력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레벨조정부는 상기 외부 신호를 입력받거나 MP3에 겸용으로 내장된 FM 또는 AM 라디오 신호레벨을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 또는 기본으로 설정된 음압레벨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MP3 플레이어.
  3.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그 신호가 미약하면 음원을 증폭하기 위해 사용자가 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키입력부와;
    상기 외부 신호 녹음시 현재의 신호레벨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입력레벨조정시 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외부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는 입력레벨 조정부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설정해놓은 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입력레벨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
  4.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 신호를 일정시간 마다 모니터링하여 기준으로 설정된 레벨보다 작으면 레벨을 올리고 일정레벨보다 큰 신호가 모니터링되면 레벨을 낮추어 MP3 엔코더 입력으로 사용하는 입력레벨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 레벨 조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레벨조절단계 전에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레벨 수준을 설정하는 수동 설정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으면 자동 설정되는 자동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 레벨 조정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은 기록입력단의 전압레벨(A/DC)을 측정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 레벨 조정 방법.
KR1020040011893A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KR20050083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93A KR20050083383A (ko)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93A KR20050083383A (ko)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83A true KR20050083383A (ko) 2005-08-26

Family

ID=3726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893A KR20050083383A (ko)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3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86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386A (ko) * 2004-02-23 200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715B1 (ko) 휴대용 데이터 저장 및 음향 재생장치
US20030158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dditional audio information into audio data file identifying information
US20020077834A1 (en) Removable face plate compressed digital music player
MXPA04002234A (es) Metodo y aparato para la activacion automatica del modo de ecualizacion.
US20040264703A1 (en) Audio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20090268922A1 (en)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system, personal computer reproducing method, personal computer signal reproducing program, output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adaptor device control program, personal computer control program, power line communication connector device, cradle device using the same,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reproducing system
KR100609171B1 (ko) 이어폰의 기능 키를 이용한 음악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10032071A1 (en) Portable data recording and/or data playback device
JP2003280689A (ja) 再生装置及び省電力方法
KR20050083383A (ko)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KR100540776B1 (ko) 무선 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
KR20050083386A (ko) Mp3 플레이어 및 그 레벨 조정 방법
CN100409344C (zh) Mp3播放器及其声压级调节方法
KR101082260B1 (ko)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캐릭터 표시방법
JP2003131698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KR20070046462A (ko) 청력 보호를 위한 오디오 재생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재생장치
KR101089939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구간반복 녹화방법
KR20050084700A (ko)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
KR200264375Y1 (ko) 빔플러스를 구비하는 보이스 리코더
KR200237558Y1 (ko) 컴퓨터 오디오파일 녹음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JP4276716B2 (ja) 音声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20050106850A (ko) 휴대형 오디오 재생 장치 및 그 재생 방법
KR20040053773A (ko) 엠피3 플레이어의 방송 신호 예약 녹음/재생 장치 및 그방법
JP2003271197A (ja) 音楽再生装置
KR200374122Y1 (ko)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휴대형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