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064A -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064A
KR20050083064A KR1020040011526A KR20040011526A KR20050083064A KR 20050083064 A KR20050083064 A KR 20050083064A KR 1020040011526 A KR1020040011526 A KR 1020040011526A KR 20040011526 A KR20040011526 A KR 20040011526A KR 20050083064 A KR20050083064 A KR 2005008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artment
production
inspection
product
server compu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구
이병모
임영섭
김광수
최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064A/ko
Publication of KR2005008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06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1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displaceable vertically under load, e.g. in combination with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 공정에서 소일정계획 및 주간생산계획에 따라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할 때 검사 공정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을 보고할 때 각 부서의 피드백을 최소화하여 업무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부적합 제품의 태스크(TASK), 액티비티(ACTIVITY)를 별도 관리하여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효율적으로 한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 부서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검사하여 부적합 제품이 발생되면 부적합 제품에 대한 불량 유형, 태스크, 액티비티를 코드화하여 서버 컴퓨터에 저장함으로써, 부적합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검사 부서의 내부 승인 후 검사 부서에 이를 등록하고 다시 생산 부서에 피드백시키고 생산 부서에는 조치 결과를 검사 부서에 피드백하는 것으로 인한 검사 공정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건조 프로젝트에 따른 대일정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상기한 대일정 계획에 따라 이를 대략 1년정도로 세분화한 중일정 계획 및 이를 월간 또는 주간단위로 세분화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하는 선박 생산 공정에 있어서,
상기한 주간생산계획에 따라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하여 생산된 제품을 검사 부서에 의뢰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한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의, 부적합 제품의 불량요인, 부서, 태스크, 액티비 등의 코드를 부여하여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한 부적합 제품의 보고서에 대해 검사 부서에서 내부 승인을 받고 부적합 제품의 부적합 사항을 조치해야 할 부서에 통보하고 불량요인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생산 부서에서 불량 요인에 대한 조치 결과를 검사 부서에 통보하면 이에 대해 확인을 하고 부적합 완료 조치 결과를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Management method of quality during the progress of vessel's construction}
본 발명은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 공정에서 소일정계획 및 주간생산계획에 따라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할 때 검사 공정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을 보고할 때 각 부서의 피드백을 최소화하여 업무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부적합 제품의 태스크(TASK), 액티비티(ACTIVITY)를 별도 관리하여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효율적으로 한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주된 선박의 종류별(상선, 특수선등), 크기별(배수량)등에 따라 영업 설계를 시작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에서 대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영업 설계가 수립되면 상세 설계를 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구매 일정을 수립하고, 다시 상기한 구매 일정과 연동하도록 중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한 상세 설계 및 중일정 계획이 수립되면 다시 생산에 필요한 생산 설계를 함과 아울러 생산에 필요한 소일정 계획을 부서별, 공종별로 수립함과 아울러 구매 자재가 입고되고, 생산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생산의 일정계획은 대략 1년 정도의 중일정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다시 부서별, 공종별로 시수에 따른 상세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 바, 상기한 소일정 계획을 주간실행계획등으로 세분화하여 선박 건조 생산 계획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소일정 계획 및 주간실행계획에 따라 생산을 진행할 때, 각 생산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반제품 상태)에 대해서 생산의 정확도, 품질등을 체크하기 위하여 검사 부서에 제품을 이송하여 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즉, 조립, 의장, 도장등과 같은 각 부서에서 제품의 생산이 완료되면 각 부서의 공정 관리자(예를 들면, 작업반장)가 생산된 제품의 품질 또는 내구성 검사를 검사 부서에 의뢰하게 된다.
검사 부서에서 공기압 테스트, 수압 테스트등을 거치면서 제품의 불량 여부를 점검받게 되는 바, 상기한 제품이 불량으로 판명되어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되면 상기한 부적합 제품은 별도의 관리를 하게 된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적합 제품이 발생되면 여기에 따라 부적합 보고서를 작성하여 서류상으로 내부 승인을 받고, 이를 검사 부서의 컴퓨터상에 등록함과 아울러 해당 생산 부서에 부적합에 대한 품질 문제를 통보하게 된다.
검사 부서에서 부적합 제품에 대한 문제를 생산 부서에 통보하게 되면, 상기한 생산 부서는 이에 대한 생산 공정상의 문제를 조치하고, 생산 부서 자체적으로 조치완료를 서류상 또는 컴퓨터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검사 부서는 상기한 생산 부서의 조치 완료에 대한 결과를 통보받아서 검사 부서 자체적으로 부적합 보고서에 대한 완료를 서류상 또는 컴퓨터상에 입력하여 종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 부서에서 부적합 제품에 대해 생산 부서에 통보를 함과 아울러 자체적으로 이에 대한 승인 및 등록을 함과 아울러 생산 부서에서의 조치 결과도 다시 확인하여 등록을 하면서 부적합 보고서를 완료하게 되면, 검사 부서와 생산 부서 양측으로 피드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품질 관리 방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부적합 제품에 대한 승인, 조치 유무등만을 기록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부적합 제품을 통한 각 부서의 불량 요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 부서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검사하여 부적합 제품이 발생되면 부적합 제품에 대한 불량 유형, 태스크, 액티비티를 코드화하여 서버 컴퓨터에 저장함으로써, 부적합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검사 부서의 내부 승인 후 검사 부서에 이를 등록하고 다시 생산 부서에 피드백시키고 생산 부서에는 조치 결과를 검사 부서에 피드백하는 것으로 인한 검사 공정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건조 프로젝트에 따른 대일정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상기한 대일정 계획에 따라 이를 대략 1년정도로 세분화한 중일정 계획 및 이를 월간 또는 주간단위로 세분화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하는 선박 생산 공정에 있어서,
상기한 주간생산계획에 따라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하여 생산된 제품을 검사 부서에 의뢰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한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의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한 부적합 제품의 보고서에 대해 검사 부서에서 내부 승인을 받고, 부적합 제품의 불량 요인, 부서, 태스크, 액티비티등의 코드를 부여하여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부적합 제품을 생산 부서에 통보하고 불량 요인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생산 부서에서 불량 요인에 대한 조치 결과를 검사 부서에 통보하면 이에 대해 확인을 하고 부적합 조치 결과를 작성하여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선박의 수주 상담과 함께 영업 설계가 진행되고, 상기한 선박의 수주가 확정되면 상세 설계를 진행함과 아울러 대략 1년 정도의 생산 계획인 중일정 계획 및 이를 세분화한 소일정 계획과 주간 생산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기한 소일정 계획 및 주간실행계획은 실질적인 생산 계획으로서 각 부서별, 공종별로 가공, 조립, 의장, 도장, 탑재등과 같은 공정의 생산 일정을 수립하여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생산 일정 예를 들면, 조립, 의장, 도장 공정등과 같은 주생산 공정과 취부, 용접, 도장등과 같은 지원 생산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 바, 상기한 각각의 공정에서 결과물인 제품(반제품)이 생산되면 이를 그 다음 공정(예를 들면, 소조-중조-대조)으로 이송하기 전에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한 제품의 품질은 각 부서별 작업관리자인 작업반장이 검사 의뢰를 하고, 이에 따라 검사원은 검사일정을 확정하여 검사 의뢰된 제품에 지정된 즉, 공기압 테스트, 수압 테스트 등의 검사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검사의 진행 중 부적합 판정을 받는 제품이 발생되면 이에 따라 검사 부서에서 상기한 부적합 제품에 대한 불량요인, 태스크(TASK), 액티비티(ACTIVITY)에 대한 불량코드를 각각 부여하여 이에 대한 내용을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여, 부적합 보고서를 작성함과 아울러 서버 컴퓨터에 등록을 하게 되고, 검사 부서 자체적으로 내부 승인을 하게 된다.
검사 부서에서 내부 승인이 이루어지면 내부 승인과 함께 부적합 제품에 대한 불량요인, 태스크, 액티비티가 입력되면 상기한 부적합 제품을 생산한 부적합 사항을 조치해야 할 부서에 부적합 내용을 통보하게 되는 바, 상기한 조치 부서에서는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조치 결과를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된다.
서버 컴퓨터에 조치 결과를 입력한 후, 이에 대한 조치결과 확인 의뢰를 검사 부서에 하게 되는 바, 상기한 검사 부서에서는 조치 부서에서의 조치 결과를 확인하여 불량이 해소되었으면, 이에 대한 조치 완료 승인을 하게 된다.
검사 부서에서 완료 승인을 하게 되면 제품의 검사에 대한 부적합 보고서가 완료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플로우로 검사 부적합 제품에 대한 처리가 진행되면 검사 부서와 생산 부서에서의 플로우가 단일 계통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부적합 제품에 대한 처리가 단순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검사 부서에서 내부 승인이 나면 이를 등록하고, 다시 생산 부서에서의 조치 결과를 기다려서 이에 관련된 내용을 다시 등록하여야 하기 때문에, 검사부서에서의 플로우가 진행되고, 생산부서에서의 플로우가 진행되어 결과적으로 2개의 플로우가 진행되는 것을 본원에서는 하나의 플로우로 부적합 제품 처리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부적합 제품에 대한 담당부서, 불량 요인, 태스크, 액티비티등에 대한 코드를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게 됨으로써, 일정 기간 후 이에 대한 결과치를 확인하게 되면, 어느 부서에서 어느 불량이 많이 발생되었는지를 모니터링(MONITERING)할 수 있게 된다.
부적합 제품의 발생에 대한 것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면 이를 근거로 생산 부서에서의 생산 공정 합리화, 불량 발생 요인 제거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박 건조 공정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검사 부서에서 부적합 제품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다음 제품에 대한 검사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 바, 상기한 검사 공정도 중복된 플로우가 없이 동일하게 진행됨으로써, 검사 공정이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생산 부서에서 생산된 제품을 검사할 때 부적합 제품이 발생되면, 상기한 부적합 제품의 불량요인, 부서, 태스크, 액티비티등을 코드화하여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고, 이에 대한 조치는 생산 부서에서 진행하며, 조치 결과에 따라 검사 부서에서 부적합 완료 승인을 함으로써, 검사 공정의 부적합 제품 처리 플로우가 단순화되고, 부적합 제품의 유형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되어 공정 효율화를 이룰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2는 일반적인 선박 건조 플로우를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도2에 따른 일반적인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Claims (1)

  1. 선박 건조 프로젝트에 따른 대일정 계획을 수립함과 아울러 상기한 대일정 계획에 따라 이를 대략 1년정도로 세분화한 중일정 계획 및 이를 월간 또는 주간단위로 세분화한 소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하는 선박 생산 공정에 있어서,
    상기한 주간생산계획에 따라 각 부서별, 공정별로 생산을 진행하여 생산된 제품을 검사 부서에 의뢰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한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의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한 부적합 제품의 보고서에 대해 검사 부서에서 내부 승인을 받고, 부적합 제품의 불량 요인, 부서, 태스크, 액티비티등의 코드를 부여하여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부적합 제품을 생산 부서에 통보하고 불량 요인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하고 이를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한 생산 부서에서 불량 요인에 대한 조치 결과를 검사 부서에 통보하면 이에 대해 확인을 하고 부적합 완료 보고서를 작성하여 서버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KR1020040011526A 2004-02-20 2004-02-20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Ceased KR20050083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526A KR20050083064A (ko) 2004-02-20 2004-02-20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526A KR20050083064A (ko) 2004-02-20 2004-02-20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64A true KR20050083064A (ko) 2005-08-25

Family

ID=3726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526A Ceased KR20050083064A (ko) 2004-02-20 2004-02-20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0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36B1 (ko) * 2006-10-18 2008-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생산의 정도 품질 비용화 관리방법
KR20150047845A (ko) * 2013-10-25 2015-05-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젝트 일정 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0325A (ko) 2021-07-12 2023-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생 가능한 품질 문제의 사전 알람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36B1 (ko) * 2006-10-18 2008-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생산의 정도 품질 비용화 관리방법
KR20150047845A (ko) * 2013-10-25 2015-05-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젝트 일정 계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0325A (ko) 2021-07-12 2023-0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발생 가능한 품질 문제의 사전 알람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igenbaum Total quality control
Rajab et al. Using industry 4.0 capabilities for identifying and eliminating lean wastes
Dinata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determinant of success for improving performance
KR20050083064A (ko) 선박 생산 공정의 품질 관리 방법
Bucko et al. Application of six sigma tools in the production of welded chassis frames
Hajipour et al. A practical integrated solution into enterprise application: a large-scale quality control system development case study
Al Tartoor et al. Adaptive framework for resilient supply chain using 3D printing in oil and gas industry
KR20080004239A (ko) 선박건조상의 품질검사계획 관리 시스템 구축 방법
KR20220015063A (ko) 전사적 관리 시스템 기반의 감사정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영 방법, 그 이알피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dhu et al. Enriching systems theory based cyber-security and safety analysis using stakeholder value networks
US12026645B2 (en) Welding data tracking platform and interface
Ewald et al. Zero shades of gray—reaching zero defects by externalization of the quality philosophy into the upstream supply chain
Shkolina et al. Information Support Methods and Algorithms for Non-destructive Control System Management
Carney et al. Optimized Weld Records
Salwin et al. Smart Product-Service System for Intelligent Welding System
KR20050082914A (ko) 선박 생산 공정의 실행 정확성 향상 방법
KR20140050416A (ko) 하자 자재 처리방법
US20060089865A1 (en) Computer-aided method for managing a part shipping apparatus development project
Schulenburg Estimating economic value of NDE 4.0
Rocha et al. Quality control of supplier defects in a precision industry: a case study approach
Ivanov et al. Optimizing the process of defining areas of responsibility in the context of small aircraft leasing using EAM systems
KR20050082913A (ko) 선박 건조 공정의 구매품 입고 검사 방법
CN115130820A (zh) 工业品物料采购质量信息处理方法和系统
Yusof A quality system assessment on an electrical contracting companybased on BS 5750
Schulenburg Estimating Economic Value of NDE 4.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3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