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821A -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821A
KR20050082821A KR1020040011410A KR20040011410A KR20050082821A KR 20050082821 A KR20050082821 A KR 20050082821A KR 1020040011410 A KR1020040011410 A KR 1020040011410A KR 20040011410 A KR20040011410 A KR 20040011410A KR 20050082821 A KR20050082821 A KR 2005008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gsm
cdma
mode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1110B1 (ko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1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14Stretching or spreading lasts; Boot-trees; Fillers; Device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hoe
    • A43D3/1433Shoe-trees
    • A43D3/1466Shoe-trees stretching the length of a shoe, i.e. longitudinally expandable
    • A43D3/1475Shoe-trees stretching the length of a shoe, i.e. longitudinally expandable adjustable
    • A43D3/1483Shoe-trees stretching the length of a shoe, i.e. longitudinally expandable adjustable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14Stretching or spreading lasts; Boot-trees; Fillers; Device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shoe
    • A43D3/1433Shoe-trees
    • A43D3/1491Shoe-trees with means for sweaty feet, e.g. with disinfecting or deodorant mean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와 GSM 두개의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CDMA 이동통신 망에 접속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UIM 카드가 설치되는 제 1슬롯과; 상기 GSM 이동통신 망에 접속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SIM 카드가 설치되는 제 2슬롯과; 상기 UIM 카드에서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 망에서 무선교신을 수행하는 CDMA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GSM 카드에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SM 이동통신 망에서 무선 교신을 수행하는 GSM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UIM 카드 및 SIM 카드와 상기 CDMA 및 UIM 무선송수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선택되어진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UIM 카드와 SIM 카드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읽어 각각 상기 CDMA와 GSM 무선송수신부에 의해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A Dual-Communication Mode Mobile Handse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IM카드와 UIM 카드가 모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카드에서 읽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GSM이나 CDMA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SIM 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제어구성도이다.
도시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20)이나 교환국(30)을 통하여 GSM(Global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SIM카드(Subscribe Idenity Module Card)(12)를 장착해야 하며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이를 인증 받을 것이 요구된다.
또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EEPROM 등에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전자시리얼번호를 저장하거나, 이 전자 시리얼 번호를 스마트카드인 UIM 카드(User Identity Module Card)에 저장하고 이 UIM 카드를 단말기에 장착하여 인증을 받는 것이 필요한다.
여기서 스마트카드인 SIM 카드(12)는 유럽 이동통신에서 적용하고 있는 GSM 방식의 GSM 11.11에서 그 규정이 명시되어 있으며, 미국 컬컴사의 CDMA 방식의 경우에는 CDG를 통해 R-UIM 규격이 명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SIM 카드(12)나 UMI카드는 그 규격과 저장정보 및 사용방식에 있어 서로 상이한 점이 있기 때문에, CDMA와 GSM서비스를 모두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두개의 단말기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중국에서 GSM 방식과 경쟁체제로 서비스를 추진하는 CDMA 방식은 GSM방식과 호환성을 갖는 SIM/UIM 규격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지역이 변경되어 다른 방식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또 하나의 카드를 별도로 휴대하여 원하는 지역에서는 그 카드로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는 SIM 카드(12)나 UIM 카드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거나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SIM카드와 UIM 카드를 모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읽어서 CDMA나 GSM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와 GSM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CDMA 이동통신 망에 접속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UIM 카드가 설치되는 제 1슬롯과; 상기 GSM 이동통신 망에 접속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SIM 카드가 설치되는 제 2슬롯과; 상기 UIM 카드에서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 망에서 무선교신을 수행하는 CDMA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GSM 카드에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SM 이동통신 망에서 무선 교신을 수행하는 GSM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UIM 카드 및 SIM 카드와 상기 CDMA 및 UIM 무선송수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선택되어진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UIM 카드와 SIM 카드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읽어 각각 상기 CDMA 와 GSM 무선송수신부에 의해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은 GSM과 CDMA 두 통신모드에서 모두 작동 가능한 모뎀칩인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수단의 스위칭동작은 사용자의 통신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달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드 선택수단은 메뉴화면상에 추가되는 GSM/CDMA 선택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GSM과 CDMA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가 선택되어지는 단계와; 상기 선택되어진 모드가 GSM 모드인 경우에는 SIM 카드로부터 사용자정보를 독출하여 CDMA 무선송수신부를 통하여 GSM 이동통신 망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되어진 모드가 CDMA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UIM 카드로부터 사용자정보를 독출하여 CDMA 무선송수신부를 통하여 CDMA 이동통신 망에 대한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GSM과 CDMA 이동통신 망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속을 수행하여 GSM과 CDMA 중 어느 하나의 통신모드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제어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50)는, CDMA와 GSM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CDMA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되는 UIM 카드(51)와 GSM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되는 SIM 카드(53)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SIM카드(51)와 UIM카드(53)는 각각 커넥터가 설치된 제 1 슬롯(52)과 제 2 슬롯(54)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를 다른 카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예컨데, 같은 GSM 이동통신 망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면서도 서비스 제공방식이나 인증데이타 등에 변경이 생긴 경우에는 새로운 SIM카드(51)로 교체하여 변경된 데이타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GSM과 CDMA는 서로 다른 구성의 사용자 정보를 요구하며 서로 다른 조건에 의해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단말기(50)에는 GSM과 CDMA 이동통신 망 각각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GSM 무선송수신부(55)와 CDMA 무선송수신부(57)을 별도로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선택된 통신모드에 따라 UIM 카드(53)와 CDMA 무선송수신부(57) 그리고 SIM 카드(51)와 GSM 무선송수신부(55)를 선택적으로 통전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선택된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UIM 카드(53)와 SIM 카드(51)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 정보 등을 읽어 해당 이동통신 망에 대한 접속이 가능하도록 스위칭제어를 수행하며, CDMA 와 GSM 무선송수신부(57,55)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신호의 수신과 인코딩 및 디코딩 등이 수행되어진다.
즉, 사용자가 GSM 이동통신 망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수단은 SIM 카드(51)로부터 사용자 정보 등을 읽어들이고, 그 정보를 GSM 무선송수신부(55)를 통하여 인코딩되어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이에 의해 GSM 이동통신 망에 대한 접속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GSM의 이동통신 서비스공급자는 GSM 무선송수신부(55)를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를 해독하여 단말기(50)의 인증과 등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안테나(59)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GSM 무선송수신부(55)를 통하여 복조되어 단말기의 시스템 제어부로 전송되며, GSM 이동통신 망을 통한 단말기(50)의 무선통신 선로가 형성되어 이동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단말기의 전체의 GSM과 CDMA 이동통신 방식에서 모두 작동가능한 모뎀칩인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부분이며, 모뎀과 별도로 물리적인 스위치를 사용하고 GSM과 CDMA모뎀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50)에는 GSM이나 CDMA 중 일방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선택수단은 GSM과 CDMA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단말기 메뉴판에 구비되는 선택필드이다.
사용자가 키입력장치를 조작하여 메뉴화면상에서 GSM과 CDMA 중 GSM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SIM 카드(51)와 GSM 무선송수신부(55)에 대한 전원을 온상태로 제어하고 GSM 모드에서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SIM 카드(51)의 사용자정보를 통하여 GSM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가능하게 되며, UIM 카드(53)와 CDMA 무선송수신부(57)에 대한 전원은 오프상태로 제어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키입력장치를 조작하여 메뉴화면상에서 CDMA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UIM 카드(53)와 CDMA 무선송수신부(57)에 대한 전원을 온상태로 제어하며 CDMA 모드에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SIM 카드(51)와 GSM 무선송수신부(55)에 대한 전원은 오프상태로 제어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통신모드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과정을 예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예의 듀얼 통신모드 단말기(50) 사용자가 GSM 방식에 의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GSM 이동통신 망을 통하여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을 요청하게 된다.
사용자는 단말기(50)의 전원을 온상태로 제어하고 키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통신모드의 선택을 위한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제 70 단계).
통신모드선택의 서브메뉴에 디스플레이된 GSM/CDMA 선택필드에서 GSM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모뎀으로서 기능과 제어수단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입력된 통신모드를 판단한다(제 71 단계). 또한,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SIM 카드(51)와 GSM 무선송수신부(55)에 대한 전원을 온상태로 제어하고, GSM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UIM 카드(53)와 CDMA 무선송수신부(57)에 대한 전원은 오프상태로 제어하게 한다.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SIM카드(51)로부터 사용자 등록정보 등을 읽어서 GSM 무선송수신부(55)로 전송하며, GSM 무선송수신부(55)는 해당 등록정보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방식에 의해 정보를 인코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GSM 이동통신 사업자는 단말기(5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토대로 하여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이동통신 단말기(50)가 GSM 무선통신망에 등록되어 무선통신 경로가 형성된다(제 73 단계).
무선통신의 전과정에 거쳐서 GSM무선송수신부(55)는 사용자 등록정보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조건에 의해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여, GSM 이동통신망에 의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단말기(50)를 CDMA 이동통신 서비스가 적용되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뉴화면상의 선택필드에서 CDMA 모드를 선택한다(제 71 단계).
CDMA 모드가 선택되어지면,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UIM 카드(53)와 CDMA 무선송수신부(57)에 대한 전원을 온상태로 제어하고, CDMA 모드에서 작동되게 된다. 이 경우, 듀얼통신모드 모뎀칩(60)은 SIM 카드(51)와 GSM 무선송수신부(55)에 대한 전원을 오프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60)은 UIM 카드(53)로부터 사용자 정보등을 읽어 CDMA 무선통신망에 접속하며, 인증과 등록절차가 수행된다. CDMA 무선송수신부(57)는 사용자 정보등에 따라 정해진 조건으로 인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고, CDMA 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제 75 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GSM 과 CDMA 이동통신 망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GSM 과 CDMA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만이 제공되는 경우 뿐 아니라 두가지 서비스가 모두 제공되는 환경에 있는 경우에도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둘 중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SIM 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시 제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듀얼 통신 모드 제어방법을 예시한 프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이동통신 단말기 51...SIM 카드(Subscribe Idenity Module Card)
52...제 1 슬롯 53...UIM 카드(User Identity Module Card)
54...제 2 슬롯 55...GSM 무선송수신부
57...CDMA 무선송수신부 59...안테나
60...듀얼통신모드 모뎀칩

Claims (4)

  1. CDMA와 GSM 두개의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CDMA 이동통신 망에 접속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UIM 카드가 설치되는 제 1슬롯과;
    상기 GSM 이동통신 망에 접속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SIM 카드가 설치되는 제 2슬롯과;
    상기 UIM 카드에서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CDMA 이동통신 망에서 무선교신을 수행하는 CDMA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GSM 카드에서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SM 이동통신 망에서 무선 교신을 수행하는 GSM 무선송수신부와;
    상기 UIM 카드 및 SIM 카드와 상기 CDMA 및 UIM 무선송수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선택되어진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UIM 카드와 SIM 카드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읽어 각각 상기 CDMA와 GSM 무선송수신부에 의해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스위칭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GSM과 CDMA 두 통신모드에서 모두 작동 가능한 모뎀칩인 듀얼 통신모드 모뎀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제어수단의 스위칭동작은 사용자의 통신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모드 선택수단은 메뉴화면상에 추가되는 GSM/CDMA 선택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11410A 2004-02-20 2004-02-20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6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10A KR101061110B1 (ko) 2004-02-20 2004-02-20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10A KR101061110B1 (ko) 2004-02-20 2004-02-20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21A true KR20050082821A (ko) 2005-08-24
KR101061110B1 KR101061110B1 (ko) 2011-08-31

Family

ID=3726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10A KR101061110B1 (ko) 2004-02-20 2004-02-20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11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99B1 (ko) * 2006-04-26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망 접속 방법
KR100765484B1 (ko) 2006-08-2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통신 단말의 시스템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1025186A2 (en) * 2009-08-24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KR101410658B1 (ko) * 2007-05-29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선택 ui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WO2014153912A1 (zh) * 2013-03-29 2014-10-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多模卡应用名称显示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6737B2 (en) * 2002-08-02 2010-01-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wireless device system provision validation and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99B1 (ko) * 2006-04-26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망 접속 방법
KR100765484B1 (ko) 2006-08-2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통신 단말의 시스템 접속 방법 및 장치
US8391917B2 (en) 2006-08-29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stand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ystem access method for the same
KR101410658B1 (ko) * 2007-05-29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모드 선택 ui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WO2011025186A2 (en) * 2009-08-24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WO2011025186A3 (en) * 2009-08-24 2011-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US8942279B2 (en) 2009-08-24 2015-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dual mode terminal
WO2014153912A1 (zh) * 2013-03-29 2014-10-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多模卡应用名称显示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110B1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3395B1 (en) Dual-sim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CN100542314C (zh) 双模式移动通信终端及自动识别卡并选择驱动模式的方法
EP1077007B1 (en) Improved gsm cellular terminal
US20100009716A1 (en)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8018865B2 (en) Method for GSM and CDMA dual-mode mobile phone to control two GS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s
JP3042619B2 (ja) 二重バンド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バンド選択方法
KR100724423B1 (ko) 하나의 심 카드 소켓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KR101679430B1 (ko) 휴대단말기에서 심카드의 삽입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1179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a single sim card socket to support multiple sim cards in a multi-sim multi-standby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77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e authentication
KR20090039896A (ko) 다중 통신망용 휴대 단말기 및 그 카드 이용 방법
CN101465675B (zh) 增强型近距离无线通信eNFC装置及其实现方法
US2006008911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tenna switch
US20090043935A1 (en) Storage card having selectable contact elements and method of its operation
CN100448313C (zh) 用于有效网络扫描的方法和装置
KR20100098797A (ko)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장치 및 방법
EP2154875B1 (en) Apparatus for sensing smart-card in dual mode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57652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127315A (ko) 듀얼 스탠바이 모드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061110B1 (ko) 듀얼 통신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US8494578B2 (en)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JP2006003932A (ja) 携帯端末、icカード、icカード制御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プログラム
US89427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ipheral devic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KR20080058613A (ko)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 자동 호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0703485B1 (ko) 현재 위치정보를 기초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비동기식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비동기식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