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305A -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305A
KR20050082305A KR1020040010725A KR20040010725A KR20050082305A KR 20050082305 A KR20050082305 A KR 20050082305A KR 1020040010725 A KR1020040010725 A KR 1020040010725A KR 20040010725 A KR20040010725 A KR 20040010725A KR 20050082305 A KR20050082305 A KR 20050082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opening
hinge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도
Original Assignee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텔레콤(주) filed Critical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04001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305A/ko
Publication of KR2005008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3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가 장착된 메인바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서브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서 서브바디를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힌지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서브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 힌지모듈;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개폐 힌지모듈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로터리 힌지모듈; 상기 개폐 힌지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키패드 방향으로 닫혀지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단속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HINGE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것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점점 경량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이 다양해지는 추세에 있으며, 음성 정보는 물론이고 다양한 문자 정보와 게임, 사진, 동영상과 같은 화상정보 등을 전달하기 위해 수만에서 수십만 화소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고화질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응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화상통신이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로써 사용하기 위한 소형 렌즈 어셈블리와 같은 광학 촬영 장치 등이 단말기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광학 촬영 장치는 착탈식 또는 내장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며, 내장형인 경우에는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힌지모듈에 설치되어 힌지축에 대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광학 촬영 장비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폴더를 본체에 대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시기키 위하여 사용하는 개폐 힌지부와, 상기 폴더를 힌지축 방향에 대하여 전후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중 힌지 모듈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로터리형 폴더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메인 바디인 본체(12)와, 폴더(14) 및 상기 본체(12)상에서 폴더(14)를 일정 각도로 개방시키고 상기 폴더를 회전시키는 이중 힌지 장치(16)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도 1에서처럼 폴더(14)를 90도로 펼친 후 폴더(14)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a 방향(본체의 키버튼이 설치된 면)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폴더(14)의 모서리부분이 키버튼(18)을 누르게 됨으로써 원하지 않은 오동작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폴더가 원하지 않는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힌지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가 장착된 메인바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서브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서 서브바디를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힌지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서브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 힌지모듈;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개폐 힌지모듈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로터리 힌지모듈; 상기 개폐 힌지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키패드 방향으로 닫혀지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단속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힌지모듈은 개폐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러티 힌지모듈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앙부분을 상기 개폐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폴더에 고정되는 로터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수단은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그리고 일면에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허용 각도만큼 홈이 형성된 고정판; 일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홈상에 위치되는 돌기를 갖고, 타면에는 다수의 오목부를 갖는 연결판; 상기 회전판의 오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볼록부를 갖는 그리고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되, 상기 로터리 샤프트가 90도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는 제동판 및; 상기 제동판과 상기 연결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터리 샤프트는 90도 또는 270도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동판을 상기 회전판쪽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돌기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는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서브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 힌지모듈;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개폐 힌지모듈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로터리 힌지모듈; 및 상기 개폐 힌지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키패드 방향으로 닫혀지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단속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힌지모듈은 개폐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러티 힌지모듈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앙부분을 상기 개폐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폴더에 고정되는 로터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수단은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그리고 일면에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허용 각도만큼 홈이 형성된 고정판; 일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홈상에 위치되는 돌기를 갖고, 타면에는 다수의 오목부를 갖는 연결판; 상기 회전판의 오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볼록부를 갖는 그리고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되, 상기 로터리 샤프트가 90도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는 제동판 및; 상기 제동판과 상기 연결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인 본체(110)와, 서브 바디인 폴더(120)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서 폴더(120)를 일정 각도로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힌지장치(130)(도 4에 자세히 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상에는 다수의 키버튼(112)으로 구성되는 키패드 어셈블리(114)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44)는 하단에 다수의 숫자 키버튼과, 상단에 소정의 네비게이션 키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션 키버튼은 사용자가 단말기(100)로의 통화외에 인터넷 검색, 디지탈 카메라 또는 캠코더 기능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등 다양한 기능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4)의 하측에는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송화부인 마이크로폰 장치(115)가 설치된다.
상기 폴더(12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2)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와이드 엘씨디 모듈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모듈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2)의 상부에는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수화부인 스피커폰 장치(124)가 설치된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단말기(100)상에는 피사체 촬영 수단으로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한 광학 촬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촬영 장치는 디지탈 카메라뿐만 아니라, 디지털 캠코더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적소에 내장되는 내장형이거나, 단말기의 외부 단에서 선택적으로 착탈이 가능한 외장형 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광학 촬영 장치는 센터 힌지암과 사이드 힌지암으로 구성되는 힌지축에 설치되거나, 폴더의 외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축의 일측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폴더(120)는 상기 힌지장치(130)에 의해 도3의 개폐를 위한 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개폐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편리한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회전을 위한 축(B)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개폐 및 회전 각도는 사용자가 통화하거나, 피사체를 촬영하기 편리한 각도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장치(130)는 상기 본체(110)상에서 폴더(120)를 일정 각도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힌지모듈(132)과 상기 폴더(120)를 상기 개폐힌지모듈의 축(A)과 수직한 방향(B)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로터리 힌지모듈(140)를 갖는 통상적인 힌지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폐힌지모듈(132)은 개폐축(A)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134)와, 상기 메인 샤프트(134)의 양측에 설치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1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러티 힌지모듈(140)은 상기 메인 샤프트(134)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1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터리 샤프트(142)와 이 로터리 샤프트(142)에 연결되어 상기 폴더(12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44)을 갖는다. 상기 관통공(135)은 상기 개폐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장치(130)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는, 일반적인 힌지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폴더(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힘 방향(본체의 키버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단속수단(150)을 갖는데 있다. 이 회전단속수단(150)은 상기 개폐힌지모듈(132) 및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140)과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폴더(120)가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140)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의 키패드 방향으로 닫혀지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회전단속수단(150)은 고정판(152), 연결판(156), 제동판(160) 그리고 연결판과 제동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68)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52)은 상기 힌지(136)와 결합되며, 일면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134)의 회전허용 각도(w)만큼 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판(156)은 상기 고정판(152)의 홈(154)상에 위치되는 돌기(157)가 형성된 일면과, 다수의 오목부(158)가 형성된 타면을 갖는다. 상기 제동판(160)은 상기 메인 샤프트(134)와 함께 회전된다. 이 제동판(160)은 상기 회전판(156)의 오목부(158)와 맞물려 결합되는 볼록부(162)가 형성된 일면을 갖으며, 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막대부(164)를 갖는데, 이 막대부(164)의 끝단부는 상기 로터리 샤프트(142)가 위치되는 관통공(135)상에 위치된다.
예컨대, 상기 로터리 샤프트(142)는 폴더(120)가 90도 또는 180도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동판(160)을 상기 연결판(156)에 맞물리도록 밀어붙이기 위한 돌기면(142a)을 갖는다.
상기 제동판(160)은 상기 로터리 샤프트(142)가 90도 회전되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판(156)과 맞물려 결합된다. 만약 상기 폴더(120)가 0도 또는180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168)에 의해 상기 제동판(160)은 상기 연결판(156)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6b 및 도 7a는 상기 본체(110)에서 폴더(120)가 개방된 후, 폴더(120)가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90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폴더(120)는 개폐축의 닫힘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열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도 6a, 도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판(160)은 상기 로터리 샤프트(142)의 돌기면(142a)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연결판(156)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156)의 돌기(157)가 상기 고정판(152)의 홈(154) 우측 끝단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연결판(156)의 회전이 불가하고, 결국에는 상기 연결판(156)과 결합되어 있는 단속판(160) 및 메인 샤프트(134)의 닫힘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연결판(156)이 개폐축의 닫힘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함으로써, 이 연결판(156)에 결합된 제동판(160) 그리고 이 제동판(160)과 함께 회전되는 메인 샤프트(134)의 닫힘방향으로의 회전이 단속된다. 따라서, 폴더(120)에 의한 키버튼의 누름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다만, 그 반대방향(열림방향)으로의 회전은 상기 회전허용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도 7b 참조).
도 6a는 상기 본체(110)에서 폴더(120)가 개방된 후, 폴더(120)가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0도 또는 180도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경우, 상기 제동판(160)은 상기 스프링(168)에 의해 상기 연결판(156)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폴더(120)의 닫힘 또는 열림 방향 모두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상에서 서브 바디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기기, 예를 들어 노트북 PC, 캠코더, PDA등 다양한 기종을 뜻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본 장치는 폴더가 원하지 않는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폴더의 회전에 의한 키버튼 누름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터리형 폴더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체의 키버튼이 폴더의 모서리부분에 의해 눌러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설치된 회전단속수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은 본체에서 폴더가 개방된 후, 폴더가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0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b는 본체에서 폴더가 개방된 후, 폴더가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90도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회전단속수단에서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힌지장치
132 : 개폐힌지모듈
140 : 로터리 힌지모듈
150 : 회전단속수단
152 : 고정판
156 : 연결판
160 : 제동판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가 장착된 메인바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서브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서 서브바디를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개폐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서브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 힌지모듈;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개폐 힌지모듈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로터리 힌지모듈;
    상기 개폐 힌지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키패드 방향으로 닫혀지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단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힌지모듈은
    개폐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러티 힌지모듈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앙부분을 상기 개폐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폴더에 고정되는 로터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수단은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그리고 일면에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허용 각도만큼 홈이 형성된 고정판;
    일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홈상에 위치되는 돌기를 갖고, 타면에는 다수의 오목부를 갖는 연결판;
    상기 회전판의 오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볼록부를 갖는 그리고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되, 상기 로터리 샤프트가 90도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는 제동판 및;
    상기 제동판과 상기 연결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샤프트는 90도 또는 270도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동판을 상기 회전판쪽으로 밀어붙이기 위한 돌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키패드가 장착된 메인바디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서브바디를 개폐시켜주고 개폐축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서브바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 힌지모듈;
    상기 서브바디를 상기 개폐 힌지모듈이 장착되는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로터리 힌지모듈; 및
    상기 개폐 힌지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로터리 힌지모듈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키패드 방향으로 닫혀지는 것을 단속하는 회전단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힌지모듈은
    개폐축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측에 설치되어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로러티 힌지모듈은
    상기 메인 샤프트의 중앙부분을 상기 개폐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는 상기 폴더에 고정되는 로터리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단속수단은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그리고 일면에 상기 메인 샤프트의 회전허용 각도만큼 홈이 형성된 고정판;
    일면에는 상기 고정판의 홈상에 위치되는 돌기를 갖고, 타면에는 다수의 오목부를 갖는 연결판;
    상기 회전판의 오목부와 맞물려 결합되는 볼록부를 갖는 그리고 상기 메인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되, 상기 로터리 샤프트가 90도 회전되었을 때에는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과 함께 회전되는 제동판 및;
    상기 제동판과 상기 연결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20040010725A 2004-02-18 2004-02-18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82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25A KR20050082305A (ko) 2004-02-18 2004-02-18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725A KR20050082305A (ko) 2004-02-18 2004-02-18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305A true KR20050082305A (ko) 2005-08-23

Family

ID=3726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725A KR20050082305A (ko) 2004-02-18 2004-02-18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3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094B1 (ko) * 2004-10-20 2006-07-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 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094B1 (ko) * 2004-10-20 2006-07-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 단말기용 로터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2683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
EP3565226B1 (en) Mobile terminal
JP2006191632A (ja) 本体回転型携帯端末機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JP2005160081A (ja) 回転型円筒カメラ及びスイベルヒンジ構造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機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50082305A (ko) 힌지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504801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구조
KR100455767B1 (ko) 멀티 액정화면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KR100531936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45710Y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회전모듈
KR100553450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
KR200340063Y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88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동장치
KR2003063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100974680B1 (ko)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0700603B1 (ko) 힌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5873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0631677B1 (ko) 스위블형 폴더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53084Y1 (ko) 특정 위치에 폴더를 멈출 수 있는 회전 폴더형 이동 통신단말기
KR100536395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