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434A -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434A
KR20050081434A KR1020040009674A KR20040009674A KR20050081434A KR 20050081434 A KR20050081434 A KR 20050081434A KR 1020040009674 A KR1020040009674 A KR 1020040009674A KR 20040009674 A KR20040009674 A KR 20040009674A KR 20050081434 A KR20050081434 A KR 2005008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variable orifice
pressure side
cross
variab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0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434A/en
Publication of KR2005008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434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에 설치되며,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는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회전형 셔터와, 회전형 셔터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형 셔터를 회전시키는 회전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which is installed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and includes a variable orifice for controlling the damping force, is connected to a rotating shutter for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riable orific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ng shutter to rotate the rotating shutter. And a rotary actuator.

Description

쇽 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밸브{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감쇠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shock absorber)에서 감쇠력을 제어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쇠력 가변 밸브에서 감쇠력 특성 조절을 위한 가변 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을 회전형 셔터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전체 가변 밸브의 크기를 줄이고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쇠력 가변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for controlling the damping force in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used in automobile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hutter for adjusting the flow area of variable orifices for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in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By controlling by using,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which can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variable valve and improve the mounting property.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의 상대운동에 관련하여 감쇠력을 적절히 제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감쇠력 가변 밸브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를 통해 차량의 통상 주행시에는 감쇠력을 낮게 하여 노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선회시, 가속시, 제동시 및 고속 주행시 등에 있어서는 감쇠력을 높이고, 차체의 자세 변화를 억제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general, vehicle suspensions must adequately control the damping force in relation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wheels. For example, the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including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can reduce the damping force during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thereby absorbing vibration caused by unevenness of the road surface and improving riding comfort. On the other hand, when turning, accelerating, braking, driving at high speeds, etc., the damping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attitude change of the vehicle body can be suppressed to improve steering stability.

그런데, 차륜의 운동은 10Hz 이상의 빠른 응답이 요구되므로, 쇽 업소버 내부의 기계적인 밸브 메커니즘에 의해 차체와 차륜의 상대운동에 따라 신속하게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고, 압축(compression)과 인장(rebound) 행정시에 감쇠력 특성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밸브 개발이 추진되어 왔다. However, since the wheel movement requires a quick response of 10 Hz or more, the mechanical valve mechanism inside the shock absorber can quickly adjust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and the compression and rebound strokes. The development of a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separately at the time has been promoted.

기존의 현가 시스템의 감쇠력 가변 밸브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른 감쇠력 제어 방식에 따라 노말형 가변 밸브(normal type variable valve)와 리버스형 가변 밸브(reverse type variable valve)로 나뉘어지고 있다. 리버스형 가변 밸브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압축 및 인장 행정을 별도의 밸브로 제어하는데 그 특성이 있다. 그래서 리버스형 가변 밸브는 인장 행정시에는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압축 행정시에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인장 행정시에는 큰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압축 행정 시에는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리버스형 가변 밸브는 별도의 밸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고가이며, 추가 밸브의 사용으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장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the existing suspension system is divided into a normal type variable valve and a reverse typ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damping for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Reverse type variable valve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 as a separate val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us, the reverse type variable valve generates a small damping force in the tension stroke and a large damping force in the compression stroke, or a large damping force in the tension stroke and a small damping force in the compression stroke. However, since the reverse type variable valve uses a separate valve, the production cost is expensive, and the size of the reverse type variable valve is relatively large due to the use of additional valves.

노말형 가변 밸브는 하나의 밸브를 사용하여 압축 및 인장 행정시의 감쇠력을 모두 제어한다. 그러므로 노말형 가변 밸브는 인장 행정시나 압축 행정시 모두 큰 감쇠력을 발생하거나 또는 모두 작은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Normally variable valves use a single valve to control both damping forces during compression and tension strokes. Therefore, the normal variable valve generates either a large damping force or a small damping force both in the tension stroke and the compression strok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노말형 감쇠력 가변 밸브를 장착한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1)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린더(10)의 내부는 실린더(10) 내에서 상하 운동하는 피스톤(11)에 의해 인장실(2)과 압축실(3)로 구획되어진다. 또한, 일단은 피스톤(1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실린더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12)와 피스톤 로드(12)의 상하 운동에 따른 실린더(10) 내부의 체적 변화를 보상하는 리저버(13)가 실린더(10)와 연통하여 설치된다. 인장실(2)과 압축실(3)간의 오일의 유동을 위한 밸브(14)가 피스톤(11)에 설치되어지고, 리저버(13)와 압축실(3)간의 오일의 유동을 위한 밸브(15)가 쇽 업소버(1)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다. 설치되는 밸브(14, 15)는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일방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는 첵밸브와 감쇠력을 발생시키면서 일방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는 감쇠 밸브 중 하나 또는 복수개가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감쇠력 가변 밸브(20)는 쇽 업소버(1)의 외관부인 베이스 쉘(16)의 외경부 일단에 설치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1 equipped with a normal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inside of the cylinder 10 is partitioned into the tension chamber 2 and the compression chamber 3 by the piston 11 which moves up and down in the cylinder 10. In addi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iston 11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piston rod 12 and the reservoir 13 to compensate for the volume change in the cylinder 1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rod 12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ylinder (10). A valve 14 for the flow of oil between the tension chamber 2 and the compression chamber 3 is provided in the piston 11, and a valve 15 for the flow of oil between the reservoir 13 and the compression chamber 3. )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shock absorber (1). One or more of the valves 14 and 15 to be installed may be used as a check valve for allowing oil to flow in one direction without generating damping force and a damping valve for allowing oil to flow in one direction while generating damping force. Can be.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base shell 16, which is the outer portion of the shock absorber 1.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노말형 가변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쇽 업소버(1)의 베이스 쉘(16) 외경부 일단에 감쇠력 가변 밸브(20)의 하우징(21)이 설치되며, 하우징(21) 일단에 솔레노이드 밸브(31)가 설치된다. 하우징(21)과 쇽 업소버(1)의 결합부에는 쇽 업소버(1)의 인장실(2) 및 압축실(3)과 연결되는 제 1 유로(22)와 리저버(13)와 연결되는 제 2 유로(23)가 형성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normal typ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housing 21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2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outer shell portion of the base shell 16 of the shock absorber 1, and the solenoid valve 31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21.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using 21 and the shock absorber 1, a first flow path 22 connected to the tension chamber 2 and the compression chamber 3 of the shock absorber 1 and a second connection to the reservoir 13 are provided. The flow path 23 is formed.

하우징(21)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솔레노이드 밸브(31)에 의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스풀(24)이 설치된다. 스풀(24)은 오일의 흐름을 허용하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단차진 외경을 가진다. 스풀(24)의 바깥쪽으로는 스풀(24)의 슬라이딩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스풀 로드(25)가 설치되며, 스풀 로드(25)의 바깥쪽으로는 연결 포트(26)가 형성된 리테이너(27)가 설치된다. 리테이너(27)는 상부 리테이너(27a) 및 하부 리테이너(27b)로 구분되며, 상부 리테이너(27a) 및 하부 리테이너(27b) 사이에는 디스크 조립체(28)가 설치된다. Inside the housing 21, a spool 24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ed by the solenoid valve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ool 24 has a plurality of stepped outer diamet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llow flow of oil. On the outside of the spool 24 is installed a spool rod 25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pool 24, and at the outside of the spool rod 25, a retainer 27 having a connection port 26 is installed. do. The retainer 27 is divided into an upper retainer 27a and a lower retainer 27b, and a disk assembly 28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retainer 27a and the lower retainer 27b.

솔레노이드 밸브(31)에 의해 상승된 스풀(24)을 최초 위치로 하강시키기 위해 스풀(24) 상부에는 탄성 부재(29)가 설치되며, 스풀(24)의 위치에 따라 스풀 로드(25) 내부로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스풀(24)의 외주연 일부 구간에 절개홈(24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풀 로드(25)에 다수의 관통홀(25a)이 형성된다. An elastic member 29 is installed above the spool 24 to lower the spool 24 raised by the solenoid valve 31 to the initial position, and into the spool rod 2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ool 24. A cutaway groove 24a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ool 24 so as to selectively open the flow path, and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a are formed in the spool rod 25.

이와 같이 구성된 쇽 업소버(1)의 감쇠력 가변 밸브(20) 차량이 일정속력으로 편평한 도로로 주행중일 때는 스풀(24)과 스풀 로드(25)에 형성된 유로가 차단되어 단일한 댐핑 특성을 갖게 되지만, 거친 노면이나 방지 턱 등을 통과할 때에는 스풀(24)의 위치 변경을 통해 스풀(24)과 스풀 로드(25)에 형성된 유로를 개방하여 가변된 댐핑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스풀(24)의 이동으로 유로가 개방되는 정도에 따라, 감쇠력 가변 밸브(20)의 댐핑 특성이 변화한다.Whe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20 of the shock absorb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raveling on a flat road at a constant speed, the flow path formed in the spool 24 and the spool rod 25 is blocked to have a single damping characteristic. When passing through the road surface, the prevention jaw, etc.,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pool 24 to open the flow path formed in the spool 24 and the spool rod 25 to have a variable damping characteristics. That is, the damping characteristic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20 changes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flow path is opened by the movement of the spool 24.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24)의 병진 운동은 솔레노이드 밸브(31)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솔레노이드 밸브(31)는 솔레노이드 코일(도시되지 않음)과 솔레노이드 멤버(32)를 포함한다. 차량의 주행 중에 진동 및 주행 상태에 의해 양측 바퀴나 콘트롤 암(도시되지 않음)등의 현가 장치의 수직방향으로 가속도가 발생될 때, 가속도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이 가속도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신호를 ECU(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게 되며, 이 가속도 신호를 전달받은 ECU는 이 신호를 비교 판단한 다음,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자기장으로 솔레노이드 코일 중앙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멤버(32)의 위치를 제어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spool 24 is performed by the solenoid valve 31, which includes the solenoid coil (not shown) and the solenoid member 32. When acceleration occur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suspension devices such as wheels and control arms (not shown) due to vibration and driving conditions, the acceleration sensor (not shown) detects this acceleration and detects the acceleration. The ECU transmits the signal to the ECU (not shown), and the ECU, which receives the acceleration signal, compares the signal and judges that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solenoid coil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which is the solenoid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olenoid coil. Control the position of the member 32.

솔레노이드 밸브(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력 가변 밸브(20)에서 상당 부피를 차지하는데, 이로 인해 감쇠력 가변 밸브(20) 및 감쇠력 가변 밸브를 구비하는 쇽 업소버(1)의 장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The solenoid valve 31 occupies a considerable volume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20, as shown in FIG. 2, which makes it possible to mount the shock absorber 1 having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20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There is a disadvantage of deterio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형 액츄에이터 및 회전형 셔터를 사용함으로써, 감쇠력 가변 밸브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여 장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쇠력 가변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that can improve the mounting by reducing the siz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 a whole by using a rotary actuator and a rotary shutt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에 설치되는 감쇠력 가변 밸브에 있어서,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회전형 셔터와, 상기 회전형 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형 셔터를 회전시키는 회전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installed in the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a rotary shutter for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riable orifice, and connected to the rotary shutter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is provided that includes a rotary actuator for rotating a typical shut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about the same part as a prior ar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nd unnecessary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 밸브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회전형 셔터(41)를 회전시키는 회전형 액츄에이터(42)에 회전형 셔터(41)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안내 부재(43)가 결합된다. 이 때, 회전형 액츄에이터로는 스텝 모터(step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회전형 액츄에이터(42)의 작동 로드(44)가 회전형 셔터(41)와 결합된다. 안내 부재(43)에 삽입되어 지는 회전형 셔터(41)는 상부 슬릿(41a) 및 하부 슬릿(41b)을 포함한다.A guide member 43 for guid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shutter 41 is coupled to the rotary actuator 42 for rotating the rotary shutter 41. In this case, a step motor may be used as the rotary actuator. An actuating rod 44 of the rotary actuator 42 is coupled with the rotary shutter 41. The rotatable shutter 41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43 includes an upper slit 41a and a lower slit 41b.

안내 부재(43)는 중앙에 회전형 셔터(41)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공 및 안내 부재(43)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반지름 방향의 다수의 연결 포트(43a, 43b, 43c)를 포함한다. 안내 부재(43)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앙의 구멍 및 원주 부분의 슬릿을 갖고, 고정 오리피스의 역할을 하는 링 디스크(45)가 안내 부재(43)에 끼워지면서 안내 부재(43)와 연결된다. 안내 부재(43)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앙의 구멍을 갖고, 안내 부재(4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하부 리테이너(46)가 안내 부재(43)에 끼워지면서 링 디스크(45) 위에 장착된다. 하부 리테이너(46)는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는 연결 포트(46a, 46b)를 포함한다. The guide member 43 includes a plurality of radially connecting ports 43a, 43b, 43c for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llow and the guide member 43 for inserting the rotatable shutter 41 at the center thereof. A ring disk 45 having a central hole for inserting the guide member 43 and a slit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and serving as a fixed orifice is fitted to the guide member 43 and connected with the guide member 43. A lower retainer 46 having a central hole for inserting the guide member 43 and serving to fix the position of the guide member 43 is mounted on the ring disk 45 while being fitted to the guide member 43. . The lower retainer 46 includes connecting ports 46a and 46b to allow the flow of oil.

안내 부재(43)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앙의 구멍 및 슬릿을 갖고, 고압측(Ph)과 컨트롤 챔버(62)를 구획시키며, 메인 밸브의 역할을 하는 링 디스크(47)가 하부 리테이너(46) 위에 설치된다. 안내 부재(43)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앙의 구멍을 갖고, 안내 부재(4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부 리테이너(48)가 안내 부재(43)에 끼워지면서 링 디스크(47) 위에 장착된다. 상부 리테이너(48)는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는 연결 포트(48a, 48b)를 포함한다. A ring disk 47, which has a central hole and slit for inserting the guide member 43, partitions the high pressure side Ph and the control chamber 62, and serves as a main valve, on the lower retainer 46. Is installed. An upper retainer 48 having a central hole for inserting the guide member 43 and serving to fix the position of the guide member 43 is mounted on the ring disk 47 while being fitted to the guide member 43. . The upper retainer 48 includes connecting ports 48a and 48b to allow the flow of oil.

너트(49)에 의해 전술한 안내 부재(43), 하부 리테이너(46) 및 상부 리테이너(48) 등은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되어진다. 안내 부재(43)의 중공 내부에 회전형 액츄에이터(42)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회전형 셔터(41)가 삽입되고, 안내 부재(43)의 일단부에 플러그(50)가 맞물려진다. 상부 리테이너 가이드(51)가 상부 리테이너(48)를 덮도록 장착되는데, 이들 사이의 틈은 O 링(52)에 의해 밀봉된다. By the nut 49, the above-described guide member 43, the lower retainer 46, the upper retainer 48 and the like are connected in one unit. The rotary shutter 41 which rotates by the rotary actuator 42 in the hollow inside of the guide member 43 is inserted, and the plug 50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guide member 43. An upper retainer guide 51 is mounted to cover the upper retainer 48, with a gap between them sealed by an O ring 52.

이하에서, 설명한 감쇠력 가변 밸브(40)의 구조에 따른 오일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oi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40 described will be described.

오일은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고압측(Ph)에서 상부 리테이너(48)의 연결 포트(48a, 48b)를 통해 상부 리테이너(48)와 링 디스크(47)에 의해 형성된 유압 챔버(60)로 이동한다. 유압 챔버(60)로 이동한 오일은 안내 부재(43)의 연결 포트(43a)와 회전형 셔터(41)의 상부 슬릿(41a)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가변 오리피스를 통해 안내 부재(43)의 내부로 이동하고 및 저압측(Pl)과의 연결 포트(53)를 통과하여 저압측(Pl)으로 이동한다. The oil moves from the high pressure side Ph to the hydraulic chamber 60 formed by the upper retainer 48 and the ring disk 47 through the connection ports 48a and 48b of the upper retainer 48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 The oil which has moved to the hydraulic chamber 60 enters into the guide member 43 through the second variable orifice consisting of the connecting port 43a of the guide member 43 and the upper slit 41a of the rotatable shutter 41. It moves and moves to the low pressure side Pl through the connection port 53 with the low pressure side Pl.

같은 방식으로 유압 챔버(60)로 이동한 오일은 링 디스크(47)의 슬릿, 안내 부재(43)의 연결 포트(43b)와 회전형 셔터(41)의 하부 슬릿(43b)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변 오리피스 및 안내 부재(43)의 연결 포트(43c)를 차례로 통과하여 유압 챔버(61)로 이동한다. 이동한 오일 중 일부는 고정 오리피스를 구성하는 링 디스크(45)의 원주 부근 슬릿(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저압측(Pl)으로 빠져나간다. 고정 오리피스로 빠져나가지 않은 오일은 하부 리테이너(46)와 링 디스크(47)로 형성된 컨트롤 챔버(62)로 이동한다.The oil moved to the hydraulic chamber 60 in the same manner is the first variable consisting of a slit of the ring disk 47, a connecting port 43b of the guide member 43 and a lower slit 43b of the rotatable shutter 41. It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ort 43c of the orifice and the guide member 43 in order to move to the hydraulic chamber 61. Some of the moved oil exits to the low pressure side Pl through the circumferential slit (not shown) of the ring disk 45 constituting the fixed orifice. The oil that has not escaped to the fixed orifice travels to the control chamber 62 formed of the lower retainer 46 and the ring disk 47.

인장 또는 압축 행정시에 유량이 증가하여 고압측(Ph)과 컨트롤 챔버(62) 사이의 압력 차가 커지게 되면, 압력 차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링 디스크(47)가 컨트롤 챔버 방향으로 굽혀진다. 즉, 고압측(Ph)의 압력, 컨트롤 챔버(62)의 압력 및 초기 링 디스크(47)의 예하중에 따라 상부 리테이너(48)와 링 디스크(47)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메인 밸브가 개방되어 고압측(Ph)에서 저압측(Pl)으로 오일이 직접 흐르게 된다. When the flow rate increases during the tension or compression strok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high pressure side Ph and the control chamber 62 becomes large, the ring disk 47 is bent toward the control chamber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 That is, a gap may occur between the upper retainer 48 and the ring disk 47 according to the pressure on the high pressure side Ph, the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62, and the preload of the initial ring disk 47. That is, the main valve is opened so that oil flows directly from the high pressure side Ph to the low pressure side Pl.

메인 밸브는 컨트롤 챔버(62)의 압력에 따라 다른 압력에서 열리는데, 컨트롤 챔버(62)의 압력은 상류에 설치된 제 1 가변 오리피스 및 하류에 설치된 고정 오리피스의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면적을 제어함으로써, 컨트롤 챔버(62)의 압력이 증가하여 하드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제 2 가변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고압측(Ph)으로부터 저압측(Pl)으로 유량을 허용하는데,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면적은 감소하고,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면적이 감소할수록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면적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를 통해 적절한 감쇠력 특성을 얻을 수 있다.The main valve opens at a different pressure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62, which is formed by the action of a first variable orifice installed upstream and a fixed orifice installed downstream. By controlling the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the pressure in the control chamber 62 is increased to switch to hard mode. In addition, a second variable orifice is installed to allow a flow rate from the high pressure side Ph to the low pressure side Pl, and as the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increases, the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decreases, As the area decreases, the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increases. Through this, proper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셔터(41)의 상하부 슬릿(41a, 41b)은 연결 포트(43a, 43b)와의 상대위치가 회전형 셔터(41)의 원주방향에 대해 반대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형 액츄에이터(42)로 인해 회전형 셔터(41)가 회전하는 경우에, 연결 포트(43b)와 하부 슬릿(41b)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증가할 때, 연결 포트(43a)와 상부 슬릿(41b)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감소할 때,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To realize this, as shown in FIG. 3, the upper and lower slits 41a and 41b of the rotatable shutter 41 have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s 43a and 43b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able shutter 41. It is arranged in reverse. Therefore, when the rotary shutter 41 rotates due to the rotary actuator 42, when the flow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consisting of the connecting port 43b and the lower slit 41b increases, the connecting port 43a ) And the flow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consisting of the upper slit 41b is reduced. Conversely, when the flow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decreases, the flow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increases.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슬릿(41a)과 하부 슬릿(41b)의 형상을 달리하거나 또는 연결 포트(43a, 43b)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 변화율이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 변화율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by varying the shape of the upper slit 41a and the lower slit 41b or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orts 43a and 43b, the rate of chang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It can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rate of chang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의 회전형 셔터(41)의 상하부 슬릿(41a, 41b)이 원주 방향으로 엇갈려서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회전형 셔터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안내 부재의 연결 포트가 엇갈려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직사각형 모양이 아닌 다른 모양의 회전형 셔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slits 41a and 41b of the rectangular-shaped rotary shutter 41 were formed by being altern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shown.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otatable shutters are formed identic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s of the guide members are staggered, or rotatable shutters of shapes other than rectangular may be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회전형 액츄에이터와 회전형 셔터를 사용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가 차지하는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감쇠력 가변 밸브 및 감쇠력 가변 밸브가 장착된 쇽 업소버의 장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rotary actuator and rotary shutter described above, the volume occupied by the solenoid valve can be greatly reduced. Therefore, the mountability of the shock absorber equipped with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hav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matter.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형 액츄에이터와 회전형 셔터를 이용하여 감쇠력 가변 밸브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절한 감쇠력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감쇠력 가변 밸브 및 감쇠력 가변 밸브를 장착한 쇽 업소버의 장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can be reduced by using the rotary actuator and the rotary shutte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ppropriate damping force characteristics and greatly improve the mountability of the shock absorber equipped with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쇠력 가변 밸브가 장착된 쇽 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equipped with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감쇠력 가변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 밸브를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감쇠력 가변 밸브 41 : 회전형 셔터40: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41: rotary shutter

41a, 41b : 슬릿 42 : 회전형 액츄에이터 41a, 41b: Slit 42: Rotary Actuator

43 : 안내 부재 43a, 43b, 43c : 연결 포트 43: guide member 43a, 43b, 43c: connection port

45, 47 : 링 디스크 46 : 하부 리테이너 45, 47: ring disc 46: lower retainer

46a, 46b : 연결 포트 48 : 상부 리테이너 46a, 46b: connection port 48: upper retainer

48a, 48b : 연결 포트 49 : 너트 48a, 48b: connection port 49: nut

60, 61 : 유압 챔버 62 : 컨트롤 챔버60, 61: hydraulic chamber 62: control chamber

Claims (4)

감쇠력 가변식 쇽 업소버에 설치되는 감쇠력 가변 밸브에 있어서,In the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installed in the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회전형 셔터와;A rotatable shutter for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riable orifice; 상기 회전형 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형 셔터를 회전시키는 회전형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And a rotatable actuator connected to the rotatable shutter to rotate the rotatable shut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고압측과 저압측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압측의 압력, 초기 예하중 및 컨트롤 챔버의 압력에 따라 개폐 가능하며, 개방된 경우에 상기 고압측에서 상기 저압측으로의 오일의 유동을 허용하는 메인 밸브와,It is installed between the high pressure side and the low pressure sid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side, the initial preload and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and when opened, the main valve to allow the flow of oil from the high pressure side to the low pressure side Wow, 상기 컨트롤 챔버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고압측과 상기 컨트롤 챔버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가변 오리피스와,A first variable orifice formed between the high pressure side and the control chamber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control chamber; 상기 컨트롤 챔버와 상기 저압측 사이에 설치된 고정 오리피스와,A fixed orifice installed between the control chamber and the low pressure side, 상기 고압측과 상기 저압측 사이에 설치된 제 2 가변 오리피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And a second variable orifice provided between said high pressure side and said low pressure sid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회전형 셔터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제 1 가변 오리피스와 상기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동시에 가변되며, 상기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증가할 때, 상기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감소하며, 상기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감소할 때, 상기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and the second variable orifice are simultaneously vari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able shutter, and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in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decreases, And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de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increases.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2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의 변화율이 상기 제 1 가변 오리피스의 단면적의 변화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 밸브.And a change rat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variable orifice is greater than a change rat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variable orifice.
KR1020040009674A 2004-02-13 2004-02-13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KR200500814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674A KR20050081434A (en) 2004-02-13 2004-02-13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674A KR20050081434A (en) 2004-02-13 2004-02-13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434A true KR20050081434A (en) 2005-08-19

Family

ID=3726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674A KR20050081434A (en) 2004-02-13 2004-02-13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4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362B1 (en) * 2006-02-20 2007-11-05 주식회사 만도 Damping force controlling valve and shock absorber of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362B1 (en) * 2006-02-20 2007-11-05 주식회사 만도 Damping force controlling valve and shock absorber of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138B2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JP6502547B2 (en) shock absorber
US8651252B2 (en) Shock absorber
KR101457660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assembly
KR100842031B1 (en) Solenoid valve of a shock absorber
US8794405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US7770983B2 (en) Damping force control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the same
JP5685592B2 (en) Automotive shock absorber
KR100773362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valve and shock absorber of using the same
KR101254235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valve and shock absorber of using the same
JPH11315876A (en) Damper
KR20120112046A (en) Suspension apparatus
KR20170089637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ssembly and damping force variable shock absorber having the same
KR101316458B1 (en) Damper device
KR20050081434A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of shock absorber
KR100784372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KR100848048B1 (en) Solenoid valve of shock absorber
KR100784376B1 (en) Damping force variable solenoid valve of a shock absorber
KR100848871B1 (en) Shock absorber capable of varying damping force
KR100784374B1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KR100736547B1 (en) Variable damping force actuator of shock absorber
KR101263455B1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KR20090100545A (en) Shock absorber
KR100215362B1 (en) Damping force variable hydraulic damper
KR20040055127A (en) Variableness style a shock absorber that low damping force is compens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