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430A -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 Google Patents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430A
KR20050081430A KR1020040009668A KR20040009668A KR20050081430A KR 20050081430 A KR20050081430 A KR 20050081430A KR 1020040009668 A KR1020040009668 A KR 1020040009668A KR 20040009668 A KR20040009668 A KR 20040009668A KR 20050081430 A KR20050081430 A KR 20050081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ar microphone
cal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5850B1 (en
Inventor
진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850B1/en
Publication of KR2005008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6Hand percussion, i.e.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여러 기능을 이어마이크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마이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선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을 통해 상대방과 발신 통화하거나 수신 통화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ar micro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 microphon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various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ly through an ear microphone. 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make an outgoing call or an incoming call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switch operation provided in the wired ear microphone or to remotely control the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o brin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이동 통신 단말기용 무선 이어마이크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을 통해 통화 연결, 통화 종료, 재다이얼링 등의 여러 기능뿐만 아니라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무선 이어마이크의 배터리 대기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ear microphon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implementing a function of turning on / off a wireless ear microphone as well as various functions such as call connection, call termination, redialing, and the like through a switch operation. The advantage is the efficient use of battery latency in wireless ear microphones.

Description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 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보조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using an ear microphon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주머니 속이나 가방 속에 넣고 다니면서 필요시에 꺼내어 사용한다. 그런데, 운전 중의 경우와 같이, 통화를 할 때마다 이동 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상당히 번거로울 수 있으며, 특히 운전 중에는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원격 조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마이크(ear microphone)가 개발되어 점점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s carr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ocket or a bag and take it out when necessary. However, as in the case of driving, direct manipul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ry time a call can be quite cumbersome for the user, and particularly during driving, there is a safety problem. Accordingly, ear microphones that enable remote contro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their usage is increasing.

그래서 최근에는 마이크부와 스피커부가 케이블로 연결된 이어마이크를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에 접속하여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스피커부를 귀에 꽂고 마이크부를 입 가까이 대고 전화통화를 할 수 있어서 운전중의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Therefore, recently, when the microphone is connected with the speaker and the speak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e user can put the speaker into the ear and place the microphone near the mouth to make a phone call. Can be reduced.

이와 같은 이어마이크 장치는 유선 이어마이크와 무선 이어마이크가 있는데, 유선 이어마이크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잭에 연결되어 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유선으로 전해지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되도록 한 것이고, 무선 이어마이크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인가받는 무선 신호 수신부를 더 구비하여 무선으로 음성신호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Such an ear microphone device includes a wired ear microphone and a wireless ear microphone. The wired ear microphone is connected to an ear microphone ja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wire, and converts it into a voice signal. The wireless ear microphon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signal receiver for wirelessl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a voice signal or a control signal wirelessly.

이러한 이어마이크 장치는 통상적으로 수화부(이어마이크)와 송화부(마이크)이외에도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스위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송/수신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통상적인 이어마이크 장치에는 통화 버튼(예컨대, 'SEND' 표시)이 구비되어 전화를 받고 종료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요즈음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에서 한 단계 더 발전되어 이어마이크 장치의 통화버튼을 한번 누르면 맨 마지막에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디스플레이 되었던 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이 수행된다. Such an ear microphone device is typically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 switch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a transmit / receive switch for operating a transmit / receiv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receiver (ear microphone) and the transmitter (microphone). In other words, a typical ear microphone device is provided with a call button (for example, 'SEND' indication) to implement a function of answering and ending a call. Nowadays, these basic functions have been taken a step further. When you press the call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device, the last dialed 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pressed again, dialing is performed to the displayed phone number. do.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어마이크 장치를 이용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통화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어마이크 장치에 통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통화 버튼(예컨대, 'SEND' 표시)을 통해 전화를 받고 종료하는 기능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종래에는 수신콜에 대한 응답, 통화 종료, 재발신 기능을 제외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making a cal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n ear microphone device, a function of answering and ending a call through a call button (for example, 'SEND' indication) typically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device is used. This was done. 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a user wants to perform other functions except for a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a call termination, and a redial functi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o be used.

그리고 종래에는 이어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종료하는 기능이 구현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대방의 호출을 거부하기 위해 통상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빼버리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폴더를 열었다가 바로 닫음으로써 상대방과 통화를 회피하게 된다. In the related art, the function of shutting dow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ear microphone device has not been implemented. Therefore, in order to reject the call of the other party, a call with the other party is avoided by remov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opening and immediately closing a fol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어마이크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이어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provides an ear microphone device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utton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의 동작과 상관없이 이어마이크의 버튼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이어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ar microphone device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ear microphone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한 키눌림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키눌림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눌림 상태가 전원 온/오프 동작을 위한 제 1키입력 상태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전원 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ear microphon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ear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 is a key press through a switch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Determining the key pressed state if the key is pressed; and determining the power on / off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key pressed state is a first key input state for power on / off operation. And determining to turn of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on.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한 키눌림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키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키눌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전원 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operating in a wireless ear microphone,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key press through the switch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key press time when the key press, and the key Determining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when the pressing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ime,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이어마이크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을 참조한다. 여기서 도 1은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유선 이어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to describe operation control of a wired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d ear microphone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먼저 유선 이어마이크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잭 연결부에 이어마이크 잭을 연결하여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용 유선 이어마이크(150)는 소정 길이의 코드(185), 그 코드(185)의 일단에 잭 연결부에 삽입하기 위한 잭(145), 스피커(SPK)(190), 그 잭(145)과 스피커(190)의 중간에 연결되는 마이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a wired ear microphone is used by connecting an ear microphone jack to a jack connection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1, the wired ear microphone 150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cord 18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jack 145 for inserting a jack connection portion into one end of the cord 185, and a speaker SPK ( 190, and a microphone 180 connected between the jack 145 and the speaker 19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유선 이어마이크(150)를 사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거는 경우에 있어서 통화 스위치(160)를 누름으로서 통화를 개시한다. 이후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유선 이어마이크(150)의 스피커(190)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의 음성은 마이크(180)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된다. 또한 통화종료는 마찬가지로 스위치(160)를 누름으로서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어마이크 자체에 내장된 마이크나 스피커등을 이용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다.As such, the user initiates a call by pressing the call switch 160 in the case of answering or making a call using the wired ear microphone 150. Thereafter,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voice through the speaker 190 of the wired ear microphone 150 and output to the user, and the user's voice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180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livered. Call termination is likewise performed by pressing switch 160. Therefore, the user can make a call without using a hand using a microphone or a speaker built in the ear microphone itself.

전술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유선 이어마이크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2 to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wired ear microphon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detail. 2 is a block diagram of an ear microphon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유선 이어 마이크의 동작에 따른 각 구성부의 역할을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이어마이크(15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은 전원 온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이어마이크(150)가 접속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2 describes the role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red ear microphone,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d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150.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ar microphone 15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ower-on state.

먼저 제어부(100)는 호 착신 시 사용자에게 링 발생을 통해 착신 통보를 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호 착신에 대한 응답으로 이어마이크(150)의 스위치(160)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스위치 키입력이 짧게 한번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통화 연결을 위한 키입력으로 인지하여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화 수행 상태에서 다시 스위치 키입력이 짧게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통화 종료를 위한 키입력으로 판단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한편,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이어마이크(150)의 스위치(160)를 통한 2회 연속된 짧은 키입력이 있는 경우 재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짧은 키입력에 대응하는 동작 기능은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에 적용되어 실시되고 있다.First, the controller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incoming call through ring generation. Then,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160 of the ear microphone 150 in response to the call reception from the user. If the switch key input is briefly input, the controller 100 recognizes the key input for the call connection and performs the call connection. When the switch key input is briefly input again in the call execution stat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call is a key input for ending the call and ends the call.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ler 100 performs redialing when there are two consecutive short key inputs through the switch 160 of the ear microphone 150. An oper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such a short key input is applied to the ear microphon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0)는 이어마이크(150)의 스위치(160)를 통한 긴 키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전원 오프를 수행한다. 또한,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이어마이크(150)의 스위치(160)를 통한 긴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전원을 온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긴 키입력이란 예컨대, 매너 모드 전환키와 같이 일정 시간 이상 키입력을 유지해야 해당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의 입력을 말한다.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long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160 of the ear microphone 150, the control unit 100 performs a power off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In addition, if there is a long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160 of the ear microphone 150 while the power is off, the controller 100 performs an operation of turning on the power. Here, the long key input refers to an input when a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only when the key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such as a manner mode switching key.

그리고 RF모듈(120)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1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10)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110)는 제어부(100)와 RF모듈(12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120)에 인가하며, RF모듈(12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The RF module 120 transmits / receives an RF signal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T. The RF module 120 converts the received RF signal into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baseband processor 110. The IF signal input from 110 is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ted. The baseband processor 110 is a baseband analog ASIC (BA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100 and the RF module 120. The baseband processor 110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00 into an analog IF signal. Applied to the RF module 120, and converts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module 120 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00.

그리고 타이머(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필요한 시간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시간 데이터는 일정 시간의 카운트 동작에 있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타이머(125)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160)가 눌리면 그 스위치 키눌림이 유지되는 시간의 카운트를 행함에 있어서의 시간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timer 125 generates time data requi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the generated time data is used in a counting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r 125 generates time data in counting the time when the switch key is pressed when the switch 160 is press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음성처리부(Voice Signal Processor)(13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잭 연결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이어마이크(150)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구조적인 또는 전기적 구성에 의해 이어마이크(150)가 연결된 상태를 검사한다. 그 검사 결과에 따라 제어부(100)는 음성처리부(130)를 통해 음성의 입출력을 이어마이크(150)로 할 것인지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통해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The voice signal processor 13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ler 100.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00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SPK and output. In addition, the jack connection unit 140 is a terminal for connecting with the ear microphone 1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and examines a state in which the ear microphone 150 is connected by a structural or electr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 output of the voice is the ear microphone 150 through the voice processing unit 130 or whether the speaker SPK and the microphone MIC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used. To judge.

그리고 이어마이크(150)는 잭 연결부(140)와 삽입되는 잭(145)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된다. 이러한 이어마이크(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잭(145),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송/수신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160), 사용자의 음성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마이크(180), 마이크(180)와 스위치(160)가 구비된 본체와 스피커(190)를 연결하는 코드선(185),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the ear microphone 15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jack connection portion 140 and the jack 145 is inserted. The ear microphone 150 may include a jack 145 for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witch 160 for generating a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icrophone 180 for transmitting a user's vo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 cord line 185 connecting the main body equipped with the microphone 180 and the switch 160 and the speaker 190, and a speaker 190 for transmitting the voice of the received call counterpart to the user.

이어, 이어마이크(150)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비되는 스위치(160)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이러한 스위치(160)는 호 착신 시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해 또는 통화 수행 중에는 통화 종료를 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 본체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160)를 길게 누를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그 스위치(160)의 입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한다.Next, looking at the general operation using the switch 160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witch 160 to terminate the call to make a call connection or during the call Is provided for. In addition, the switch 160 is used to control the on / off power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160 for a long time,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at the input of the switch 160 is input for a preset reference time or longer so that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 off. To control.

이와 같이 스위치(160)의 스위칭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화 연결, 통화 종료, 재다이얼링, 이동 통신 단말기 전원 온/오프를 하나의 스위치(160)의 스위칭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160)는 통상의 이어마이크에 있어 구비되는 단일 접점 스위치의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여 실시한다. 이는 기존의 하드웨어 장치 구성을 본 발명에 있어서 곧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른 것이다.As such, the user may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desired function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160.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the call termination, redialing,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on / off are performed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of one switch 160. In addition, the switch 160 is implemented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a single contact switch provided in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as it is.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hardware device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150)에 스위치(160)가 구비됨으로써, 그 스위치(160)는 다양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 과정을 호 착신 상태와 대기 상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된 유선 이어마이크로부터의 스위치 조작을 통한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witch 160 is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150, the switch 160 may be used to operate various functions. In order to examine these functions in detail, th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s explained by dividing the call incoming state and the standby state.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4 to describe a control process through a switch manipulation from a wired ear microphon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착신 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착신 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o describe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when a call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chart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when a call is recei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호 착신 시 링신호를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한테 착신을 통보하는 호 착신 상태가 된다. 이러한 착신 통보에 대응하여 제어부(100)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연결을 위한 스위치(160)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스위치 키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320)단계에서 짧은 키입력(short pressed key)인지 긴 키입력(long pressed key)인지를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00 enters a call reception state of notifying the user of an incoming call by outputting a ring signal when the call is received in step 300. In response to the call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10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160 for call connection. Then, the control unit 100 counts the time that the switch key input is maintain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key is a short key input or a long key input in step 320.

판단 결과 스위치(160)를 통한 키눌림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는 긴 키입력인 경우 제어부(10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수행 상태와 상관없이 전원 오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판단 결과 스위치(160)를 통한 키눌림 횟수가 1회인 짧은 키입력인 경우 제어부(100)는 (340)단계로 진행하여 호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통화 수행 도중에 제어부(100)는 (350)단계에서 스위치 키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계속적으로 감지한다. 만약 스위치 키입력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00)는 (36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가 짧게 한번 눌렸는지 길게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key pressed state through the switch 160 is a long key input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30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power off regardless of the call execution state. On the other hand,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that the key is pressed by the switch 160 for a short key input,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40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call connection in response to the call. Then, during the call, the controller 100 continuously detects whether there is a switch key input in operation 350. If the switch key inpu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60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key is briefly pressed once or long pressed.

판단 결과 스위치(160)가 길게 한번 눌린 경우 제어부(100)는 (37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수행을 종료함과 동시에 이동 통신 단말기 각 구성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전원 오프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스위치(160)가 짧게 한번 눌린 경우 제어부(100)는 (38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를 종료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switch 160 is pressed once long,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370 to terminate the call and simultaneousl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power off. Unlike this, when the switch 160 is briefly pressed once,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380 to terminate the call.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 상태 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 상태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4 to explain th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400)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제어부(10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치(160)를 통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420)단계에서 스위치(160) 키눌림 시간을 카운트하여 스위치(160)가 짧게 연속적으로 두번 눌렸는지 길게 한번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00 maintains a standby state at step 400. In this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410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160. Then, in step 420, the controller 100 counts the switch 160 key press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switch 160 has been pressed briefly twice or continuously.

만약 스위치(160)가 짧게 연속적으로 두번 눌린 경우 제어부(100)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마지막 통화 번호로 재다이얼링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스위치(160)가 길게 한번 눌린 경우 제어부(100)는 (440)단계로 진행하여 전원을 오프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제어부(100)는 (45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스위치(160)를 통한 긴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460)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도록 한다.If the switch 160 is briefly pressed twice in a row,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430 to redial the last call number. In contrast, when the switch 160 is pressed once long,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440 to perform an operation of turning off the power. The control unit 100 in the power off state proceeds to step 460 only when there is a long key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switch 160 in step 45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urned on.

전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선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수행되는 기능인 통화 연결, 통화 종료, 이동 통신 단말기 전원 온/오프 기능을 설명하였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a call connection, a call termin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on / off function, which are functions performed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provided in a wired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이하 후술하는 바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마이크의 동작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무선 이어마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5 to describe operation control of a wireless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ear microphon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무선 이어마이크는 스위치(520), 스피커(540), 마이크(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 이어마이크는 유선 이어마이크와 달리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하여 통화할 필요없이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 이어마이크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The wireless ear microphone illustrated in FIG. 5 includes a switch 520, a speaker 540, and a microphone 560. Unlike a wired ear microphone, such a wireless ear microphone enables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without the need to access and communicat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wireless ear microphone can be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우선, 무선 이어마이크(590)에는 무선을 통한 신호 전송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의 음성을 듣기 위한 스피커(540)가 구비된다. 그리고 무선 이어마이크(590)에 구비된 마이크(56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무선으로 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호 착신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링 발생 시 무선 이어마이크(590)에 구비된 스위치(520)를 한번 누르게 되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대방과 통화를 마치고 스위치(520)를 다시 한번 누르게 되면 통화가 종료된다. First,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is provided with a speaker 540 for listening to the voice of the other part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wireless. The microphone 560 provided in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is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ceived vo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a user presses the switch 520 provided in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once when a ring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coming call is a call is made, after finishing the call with the other party to press the switch 520 again When the call ends.

전술한 무선 이어마이크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스위치 조작에 따른 무선 이어마이크 구성부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한다.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Referring to FIG. 6 to describe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component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wireless ear microphone described above. 6 is a block diagram of an ear microphon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송수신부(5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성신호 재생부(530)는 스피커(540)의 입력단자에 D/A컨버터를 접속하여 제어부(5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상태의 전기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상태의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540)에 전달한다. 그리고 음성신호 입력부(550)는 마이크(560)의 출력단자에 A/D컨버터를 접속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되는 마이크(560)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transceiver 510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may transmit / receive a signa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may use a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reproducing unit 530 connects the D / A converter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peaker 540 to convert the electric voice signal in the digital stat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00 into the electric voice signal in the analog state and the speaker 540. To pass). The voice signal input unit 550 connects an A / D converter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microphone 560 to convert the voice signal of the microphone 560 output a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그리고 전원 제어부(570)는 제어부(500)의 제어하에 배터리(5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각 구성부에 전원 공급한다. 그리고 배터리(580)는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송수신부(510)를 동작시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하고 스피커(540)와 마이크(560)를 작동시켜 통화 가능하도록 전원 제어부(57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스위치(520)를 통한 키입력이 있으면 그 키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수신부(5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그 송수신부(5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전달받고 그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The power controller 57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58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And the battery 580 is a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to operat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510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peaker 540 and The microphone 560 is operated to supply power through the power control unit 570 to enable communication. If there is a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520, the controller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key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transceiver 510.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0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transceiver 510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이어마이크로부터의 스위치 조작을 통한 제어부(500)의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 과정을 호 착신 상태와 대기 상태로 나누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500 through the switch operation from the wireless ear micro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amine this in detail, th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s explained by dividing the call incoming state and the standby state.

먼저, 호 착신 시 사용자로부터 스위치(520)가 한번 짧게 눌리면, 제어부(500)는 통화 연결을 위한 키입력이 있음을 감지하여 이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송수신부(510)로 통화 개시를 알리는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제어부(500)는 전원 제어부(570)를 통해 통화에 필요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First, when the switch 520 is briefly press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a call,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that there is a key input for a call connection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forming the start of call to the transceiver 510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Then, the control unit 500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necessary for the call through the power control unit 570.

통화 연결 수행 후 사용자로부터 스위치(520)가 다시 한번 짧게 눌리면, 제어부(500)는 통화 종료를 위한 키입력임을 인지하여 통화 종료를 알리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부(510)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전원 제어부(570)를 통해 음성신호 재생부(530) 등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통화 종료를 알리는 제어 신호가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송수신부(510)로부터 전송되면,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통화를 종료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바는 유선 이어마이크에서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동작 과정과 동일하다. 즉, 호 착신시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스위치(520)가 한번 눌리면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고, 통화 수행 상태에서 다시 한번 스위치(520)가 눌리면 통화 종료가 이루어진다.When the switch 520 is briefly pressed again by the user after performing the call connection, the controller 500 recognizes that the call is a key input for terminating the cal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end of the call through the transceiver 5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power to the voice signal reproducing unit 530 through the power control unit 570. As such, when a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end of the call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ceiver 510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erforms a process of terminating the call. 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n the wired ear microphone. That is, when a call is received, a switch is made once the switch 520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is pressed once, and the call is terminated when the switch 520 is pressed once again in a call performing state.

한편,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스위치(520)가 2회 연속 짧게 눌리면, 제어부(500)는 재다이얼링 하기 위한 키입력임을 감지하여 재다이얼링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그러면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마지막으로 통화했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전화번호로 재다이얼링한다. 다시 말하면,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스위치(520)를 2회 연속 짧게 누름으로써 재다이얼링하여 마지막 통화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520 is briefly pressed twice by the user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the key input for redialing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forming of redial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n extracts the last telephone number and redials the extracted telephone number. In other words, in the standby state, the user may redial the call by talking to the last call counterpart by briefly pressing the switch 520 twice consecutively.

또한편, 전원 온 상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스위치(520)가 1회 길게 눌리면,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제어부(500)는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키입력임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전원 제어부(57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각 구성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원 오프하기 위한 스위치(520)를 통한 키입력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수행 모드와 상관없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전원이 오프되고 난 후, 사용자로부터 스위치(520)를 통한 긴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무선 이어마이크(590)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다. Also, when the switch 520 is pressed once by the 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wer-on state, the control unit 500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turns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Detect key input fo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control unit 570 to block power supply to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Here, the key input through the switch 520 for powering off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current execu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is turned off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is turned on only when there is a long key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switch 520.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수행 모드와 상관없이 스위치(520)를 길게 한번 누르게 되면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520)를 다시 한번 길게 누르게 되면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520 once long regardless of the current execution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When the user presses the switch 520 again for a long time in the power off state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the power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is turned on.

이와 같이 무선 이어마이크(59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무선으로 원격에 위치하여 자유로운 통화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520) 조작에 따라 통화 연결, 통화 종료, 재다이얼링, 전원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ear microphone 590 is remotely located remo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enable free calls, and also connects a call, ends a call, redials, and turns on / off the pow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520. OFF function can be per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유선 이어마이크의 하드웨어 구성을 그대로 적용하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 유선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을 제어 기능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wired ear microphone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commonly used as it is, while the user moves according to a switch operation provided in the wired ear microphone i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control function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o bring convenience in use by being able to remotely control the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통화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이어마이크에 있어서, 기존의 무선 이어마이크 스위치 조작만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현된 여러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스위치 조작을 통해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무선 이어마이크의 배터리 대기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ear microphone to enable a short-distance call using a radio frequ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performance of various functions impleme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existing wireless ear microphone switch. To help.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the efficient use of the battery standby time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by implementing a function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through a switch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유선 이어마이크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wired ear microphon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장치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ear microphon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착신 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흐름도,3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when the cal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대기 상태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제어흐름도,4 is a contro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switch operation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용 무선 이어마이크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ear microphon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장치의 블록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n ear microphon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n the oper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ear microphone, 상기 이어마이크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한 키눌림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key press through a switch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while the ear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키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키눌림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the key pressed state when the key is pressed; 상기 키눌림 상태가 전원 온/오프 동작을 위한 제 1키입력 상태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key pressed state is a first key input state for power on / off operation; 전원 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전원 오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is off,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키입력 상태는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key input state is 상기 키눌림이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keypress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눌림 상태가 통화 연결/종료 동작을 위한 제 2키입력 상태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호 착신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reception state when the key pressed state is a second key input state for a call connection / end operation; 호 착신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in the incoming st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눌림 상태가 통화 연결/종료 동작을 위한 제 2키입력 상태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수행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performing state when the key pressed state is a second key input state for a call connection / end operation; 통화 수행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f the call is determined to be in a call execution state, ending the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키입력 상태는 6. 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second key input state is 상기 키눌림이 소정 시간 이하 유지되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rein the keypress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눌림 상태가 재다이얼링 동작을 위한 제 3키입력 상태이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standby state if the key pressed state is a third key input state for a redialing operation; 대기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재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performing a redia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a standby sta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키입력 상태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hird key input state is 상기 키눌림이 소정 시간 내에 연속 2회 입력되는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key press is a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twice in a predetermined time.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In the operation method in a wireless ear microphone, 상기 이어마이크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한 키눌림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key press through the switch provided in the ear microphone, 상기 키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키눌림 시간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the key press time when the key press is present; 상기 키눌림 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a power on / off state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when the key press tim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전원 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오프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on state, powering of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전원 오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무선 이어마이크의 전원을 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off stat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urning on the power of the wireless ear microphone.
KR1020040009668A 2004-02-13 2004-02-13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KR1006058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668A KR100605850B1 (en) 2004-02-13 2004-02-13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668A KR100605850B1 (en) 2004-02-13 2004-02-13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430A true KR20050081430A (en) 2005-08-19
KR100605850B1 KR100605850B1 (en) 2006-08-01

Family

ID=3726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668A KR100605850B1 (en) 2004-02-13 2004-02-13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8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610A1 (en) * 2015-04-06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610A1 (en) * 2015-04-06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850B1 (en)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en) Radio earphone-microphone and its earphone-microphone call / radio listening control method
KR100531056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US5533101A (en) Extension phone type cordless telephone set
JPH11163989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90016976A (en) Method for wireless connection betwee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headset
JPS63234654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100605850B1 (en) Method for operating of mobile phone connected with ear-mike and method for operating of radio ear-mike
JP3927738B2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1023308B1 (en) Apparatus for bluetooth headset capable of wire/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93071Y1 (en) Hand phone case for moving character
JP3480686B2 (en) Cordless telephone
KR200178691Y1 (en) Free Way Speaker System of Mobile Phone
KR100397802B1 (en) Control apparatus in charging of mobile phone
KR100450139B1 (en) Ear-mike having the receiving and sending button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270996Y1 (en) Multifunctional Charger of Mobile Phone
KR100323283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bile phone call
US20070004433A1 (en) Cellular phone base and a wireless earphone capable of switching cellular phone and cordless phone communications
KR20000055309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a speaker for hand- free
KR200258134Y1 (en) Wireless earphone use of resonance
KR200179158Y1 (en) Portable phone radio frequency receiving
JP3619787B2 (en) Master unit of parent-child phone device
KR200260826Y1 (en) Charging holder for cellular phones
KR100233129B1 (en) Phone transferring method of a cellular phone
JP4383357B2 (en) Cordless phone
JPH0720976Y2 (en) Cordless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