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205A -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Google Patents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205A
KR20050080205A KR1020040008208A KR20040008208A KR20050080205A KR 20050080205 A KR20050080205 A KR 20050080205A KR 1020040008208 A KR1020040008208 A KR 1020040008208A KR 20040008208 A KR20040008208 A KR 20040008208A KR 20050080205 A KR20050080205 A KR 20050080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trip antenna
dielectric
ground plane
reflecto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준
박규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08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205A/ko
Publication of KR2005008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08Radiating ends of two-conductor microwave transmission lines, e.g. of coaxial lines, of micro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85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주파수 대역폭을 향상시키고, 표면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안테나의 방사특성을 개선하며, 이득을 증가시키며, 입력 정합특성이 우수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한다.
제 1 유전체의 저면에 급전선로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접지면이 형성되며, 접지면의 상부에는 패치가 형성된 제 2 유전체가 적층되며, 상기 접지면에는, 상기 급전선로의 패턴과 교차되는 슬롯과, 2차원적인 식각으로 원형 구조의 다차원 패턴이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복수 개 형성된다.

Description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Wide-band microstrip Antenna}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 등에서 사용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유전체의 접지면에 슬롯과 2차원적인 원형 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다차원 패턴(PBG Cell)을 형성하고, 제 2 유전체에는 패치(patch)로 야기-우다(Yagi-Uda) 안테나의 반사기(reflector), 급전기(driver) 및 복수의 도파기(director)의 패턴을 형성하며, 제 1 및 제 2 유전체의 사이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안테나의 방사패턴을 개선하고, 이득을 증가시키며, 입력정합특성을 개선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 항공기 및 미사일 등의 비행물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소형 및 경량이고, 평면형으로 얇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인쇄회로의 기술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사용영역을 정보통신 분야 등으로 점차 넓혀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제 1 유전체(100)와, 상기 제 1 유전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지면(110)과,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고 상기 접지면(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 2 유전체(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유전체(100)의 저면에는, 급전선로(101)의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면(110)의 중간부에는 상기 급전선로(10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슬롯(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전체(120)의 상면에는 패치(1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접지면(110)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유전체(100)의 저면에 급전선로(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제 2 유전체(120)에는 패치(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급전선로(101)와 패치(121)가 접지면(11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는 작은 슬롯(111)을 통해 전자기적으로 결합(coupling)되어 급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접지면(110)에 의해 급전선로(101)와 패치(121)가 서로 격리되어 있으므로 급전선로(101)와 패치(121)의 독립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 대역폭이 좁으므로 패치(121)가 형성되는 제 2 유전체(120)는 유전율이 낮고, 두께가 두꺼운 유전체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방사효율과 대역폭특성을 개선시켜야 되고, 급전선로(101)가 형성되는 제 1 유전체(100)는 유전율이 높고, 두께가 얇은 유전체를 사용하여 급전선로(101)에 의한 불필요한 방사나 손실을 줄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이득이 낮으므로 접지면(110)의 상부에 복수 개의 제 2 유전체(120)를 적층하여 고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부피가 커지고,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며, 또한 넓은 접지면(110)을 가지는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동작과정에서 접지면(110) 또는 제 2 유전체(120)의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불필요한 표면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주요 특성들이 악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역폭을 향상시키고, 표면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의 방사특성을 개선하고, 이득을 증가시키며, 입력 정합특성이 우수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제 1 유전체의 저면에 급전선로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접지면이 형성되며, 접지면의 상부에는 패치가 형성된 제 2 유전체가 적층되며, 상기 접지면에는, 상기 급전선로의 패턴과 교차되는 슬롯과, 2차원적인 식각으로 원형 구조의 다차원 패턴이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다차원 패턴은, 직경이 0.15λg(여기서, λg는 관내 파장(guided wavelength)임)이고, 다차원 패턴들 사이의 간격은 0.35λg이며, 상기 슬롯은, 길이가 0.1∼0.2λg이고, 폭이 0.01∼0.02λg이며, 상기 접지면과 제 2 유전체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패치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그 복수의 패치는, 하나의 반사기와, 하나의 급전기와, 복수의 도파기이며, 상기 반사기, 급전기 및 복수의 도파기들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기의 각 변의 길이 0.5λg이고, 급전기의 각 변의 길이 0.45λg이며, 반사기와 급전기 사이의 간격은 0.25λg이며, 급전기와 도파기 사이의 간격은 0.225λg이며, 복수의 도파기들의 각 변의 길이는 0.35λg이며, 복수의 도파기들 사이의 간격은 0.3λg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는, 동일한 유전율 및 동일 두께를 가지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 구성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제 1 유전체이다. 상기 제 1 유전체(200)의 저면에는 급전선로(20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접지면(210)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면(210)에는 상기 급전선로(201)와 교차되고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슬롯(211)이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접지면(210)을 2차원적으로 식각하는 방법으로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구조의 다차원 패턴(PBG Cell)(213)이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다차원 패턴(213)은 예를 들면, 직경을 0.15λg(여기서, λg는 관내 파장(guided wavelength)임)로 형성하고, 다차원 패턴(213)들 사이의 간격은 0.35λg로 형성한다.
부호 220은 상기 접지면(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유전체이다. 상기 접지면(210)과 제 2 유전체(220)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공기층(230)이 구비되고, 제 2 유전체(220)의 상면에는 복수의 패치(221)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패치(221)들은 야기-우다(Yagi-Uda) 안테나를 이루는 것으로서 하나의 반사기(reflector)(221a)와, 하나의 급전기(driver)(221b)와, 복수의 도파기(director)(221c)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패치(221)들 즉,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들을 모두 정사각형(Square Patch)으로 구현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급전구조에서 제 1 및 제 2 유전체(200)(220)는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유전율을 가지는 기판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표면파가 전파되는 접지면(210)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다차원 패턴(213)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다차원 패턴(213)의 저지 대역에 포함되도록 제조할 경우에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전자파의 전송이 다차원 패턴(213)에 의해 억제되어 표면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그 표면파의 차단에 따라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방사패턴이 개선되고, 이득이 증가하며, 입력정합특성이 개선되는 등의 다방면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 및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Ansoft사'의 'Ensemble Tool'을 이용하였고, 제 1 및 제 2 유전체(200)(220)는 유전율이 10.2이고, 두께가 50mil(약 1.27㎜)인 테프론 기판을 사용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먼저 급전방식에 있어서 슬롯(211)에 의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발생하게 되면, 방사소자의 공진과 더불어 또 다른 공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슬롯(211)에 의한 공진은 임피던스 및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후방 방사를 일으키게 되어 방사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슬롯(211)은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사용주파수 대역에서 공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해야 된다. 슬롯(211)에 의한 공진의 발생 여부는 네트워크 분석기(Network Analyzer)를 이용하여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슬롯(211)의 적정한 길이는 0.1∼0.2λg이고, 폭은 0.01∼0.02λg이다.
슬롯(211)의 길이와 폭이 증가하게 되면, 입력저항이 커지고, 공진 주파수는 낮아지게 된다. 이것은 슬롯(211)의 길이와 폭이 증가함에 따라 급전선로(201)와 방사소자들간의 결합이 더 커지는 것을 나타내며, 반대로 슬롯(211)의 길이와 폭이 줄어들면 급전선로(221)와 방사소자간의 결합은 작아진다.
공진 주파수는 주로 방사소자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지만 슬롯(211)의 길이와 폭의 변화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같은 면적이 변할 때 길이 변화가 폭 변화보다 입력 저항과 공진 주파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하여 최적화 된 슬롯(211)의 길이와 폭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LR LD SR SD SN 슬롯의길이 슬롯의폭
다차원 패턴이있는 경우 0.5λg 0.35λg 0.25λg 0.225λg 0.3λg 0.48λg 0.035λg
다차원 패턴이없는 경우 0.5λg 0.35λg 0.27λg 0.23λg 0.3λg 0.51λg 0.04λg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R은 반사기(221a)의 각 변의 길이이고, LD는 복수의 도파기(221c)의 각 변의 길이이며, SR은 반사기(221a)와 구동기(221b) 사이의 간격이며, SD는 구동기(221b)와 도파기(221c) 사이의 간격이며, SN은 복수의 도파기(221c)들 사이의 간격이다.
그리고 야기-우다 안테나에 있어서 기생소자들은 그 길이가 급전소자보다 어느 정도 작아야 한다. 전형적으로 급전기(221b)는 길이가 0.5λg보다 약간 작은 길이에서 공진이 발생된다. 반면에 도파기(221c)는 약 0.4∼0.45λg의 길이에서 공진이 발생된다. 반사기(221a)의 길이는 급전기(221b)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며, 급전기(221b)와 반사기(221a) 사이의 간격은 급전기(221b)와 가장 가까이 있는 도파기(221c) 사이의 간격보다 조금 작으며, 0.25λg에서 최적의 상태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반사기(221a)의 주요 역할은 여기된 소자 바로 다음의 첫 번째 소자에 의해 행해지며, 만약 하나 이상의 소자들이 반사기(221a)로 사용된다면 야기-우다 안테나의 성능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더욱 많은 도파기(221c)가 구비될 경우에 보다 개선된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으나, 실제로 더 많은 도파기(221c)를 추가하면, 더욱 많은 소자들에 유도되는 전류의 크기가 점차로 줄어들기 때문에 제한요인이 된다.
제작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각각의 패치(221)들은 정사각형(Square Patch)으로 구현하였으며, 먼저 급전구조에서 패치(221)와 접지면(210) 부분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유전율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유전체(200)(220)를 사용하였으며, 가장 손쉬운 방법인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접지면(210)을 2차원적으로 식각하는 방법으로 원형구조를 가지는 복수의 다차원 패턴(213)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다차원 패턴(213)의 직경은 0.15λg로 형성하였고, 다차원 패턴(213)들 사이의 간격은 0.35λg로 형성하였다. 여기서 다차원 패턴(213)의 구조를 표면파가 전파되는 안테나 부위에 도입하고,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다차원 패턴(213)의 저지 대역에 포함되도록 하면,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전자파의 전송이 억제되므로 표면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야기-우다 안테나에 해당하는 각각의 소자들의 크기 및 간격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키면서 반사손실(return loss)을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5a는 반사기(221c)들 사이의 간격(SN)을 0.35λg, 0.45λg 및 0.50λg로 가변시키면서 반사손실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파기(221c)의 각 변의 길이(LD)를 0.3λg, 0.4λg 및 0.45λg로 가변시키면서 반사손실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며, 도 5c는 반사기(221a)와 급전기(221b) 사이의 간격(SR)을 0.1λg, 0.2λg 및 0.3λg로 가변시키면서 반사손실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며, 도 5d는 급전기(221b)와 도파기(221c) 사이의 간격(SD)을 0.05λg, 0.25λg 및 0.35λg로 가변시키면서 반사손실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다차원 패턴(213)을 형성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제 2 유전체(220)에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만을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본 발명에 따라 접지면(210)에 다차원 패턴(213)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 2 유전체(220)에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를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반사손실과 스미스 챠트를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그래프이다.
상기 도 5a 내지 도 5d와, 도 6a 및 6b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한 표 1과 같은 최적의 값을 도출하고, 그 도출한 값에 따라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작 즉, 급전기(221b)의 각 변의 길이 0.45λg, 반사기(221a)의 각 변의 길이(LR) 0.5λg, 급전기(221b)와 반사기(221a) 사이의 간격(SR) 0.25λg, 도파기(221c)의 각 변의 길이 0.35λg, 급전기(221b)와 도파기(221c) 사이의 간격(SD)은 0.225λg로 하였으며, 복수의 도파기(221c)들 사이의 간격(SN)은 0.3λg로 하여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접지면(210)과 패치(221)의 사이에 약 3mm의 공기층(230)을 두었으며, 이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패치(221)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에 제 2 유전체(220)의 상대 유전율을 낮추고, 두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생하여 공진 주파수는 낮아지고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높이를 0.25λ까지 증가시켜 임피던스 및 대역폭을 연속적으로 넓힐 수 있으나 정합(Impedance matching)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공기층(230)의 삽입은 높이가 높아질수록 이득이 증가하다가 어느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되면, 이득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표면파(Surface Wave)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공급되어진 전력은 공간으로 방사되는 방사전력과 표면파의 형태로 기판 층에 결합되는 표면파 전력으로 구분되며, 표면파 전력이 증가할수록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의 효율이 저하된다.
다차원 패턴(213)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유전체(220)에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만을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와, 접지면(210)에 다차원 패턴(213)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 2 유전체(220)에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를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작하고, 제작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HP 8510C VNA(Vector Network Analyzer)'로 반사손실 및 스미스 챠트를 측정하여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다차원 패턴(213)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유전체(220)에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만을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주파수(5.775㎓)에서 약 370㎒의 대역폭과 6㏈의 이득을 얻은 반면에 접지면(210)에 다차원 패턴(213)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 2 유전체(220)에 반사기(221a), 급전기(221b) 및 복수의 도파기(221c)를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주파수(5.775㎓)에서 약 400㎒의 대역폭과 약 7㏈의 이득을 얻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도파기(221c)를 2개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보인 것으로서 도파기(221c)를 3개 이상 복수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차원 패턴 기술은 마이크로스트립 등과 같은 각종 평면형 패치 안테나나 모노폴 안테나 등과 같은 넓은 접지평면을 가지는 안테나에 간단히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차원 패턴이 저지대역에서 전자파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접지면의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불필요한 표면파를 억제함으로써 안테나의 방사패턴이 개선되고, 이득이 증가하며, 입력정합특성이 개선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결합 구성을 보인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제 2 유전체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패치를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야기-우다 안테나에 해당하는 각각의 소자들의 크기 및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반사손실을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서 다차원 패턴을 적용한 경우와 다차원 패턴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반사손실 및 스미스 챠트를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다차원 패턴을 적용한 경우와 다차원 패턴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각기 제작하여 반사손실 및 스미스 챠트를 측정한 결과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제 1 유전체 201 : 급전선로
210 : 접지면 211 : 슬롯
213 : 복수의 다차원 패턴 220 : 제 2 유전체
221 : 복수의 패치 221a : 반사기
221b : 급전기 221c : 복수의 도파기

Claims (8)

  1. 저면에 급전선로의 패턴이 형성된 제 1 유전체;
    상기 제 1 유전체의 상면에 형성된 접지면; 및
    상기 접지면의 상부에 적층되고 패치가 형성된 제 2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지면에는;
    상기 급전선로의 패턴과 교차되는 슬롯; 및
    2차원적인 식각으로 원형 구조의 다차원 패턴이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복수 개 형성된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차원 패턴은;
    직경이 0.15λg(여기서, λg는 관내 파장(guided wavelength)임)이고, 다차원 패턴들 사이의 간격은 0.35λ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길이가 0.1∼0.2λg이고, 폭이 0.01∼0.02λ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과 제 2 유전체의 사이에는;
    공기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는;
    하나의 반사기와, 하나의 급전기와, 복수의 도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기, 급전기 및 복수의 도파기들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기의 각 변의 길이 0.5λg이고, 급전기의 각 변의 길이 0.45λg이며, 반사기와 급전기 사이의 간격은 0.25λg이며, 급전기와 도파기 사이의 간격은 0.225λg이며, 복수의 도파기들의 각 변의 길이는 0.35λg이며, 복수의 도파기들 사이의 간격은 0.3λ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전체는;
    동일한 유전율 및 동일 두께를 가지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20040008208A 2004-02-09 2004-02-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20050080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208A KR20050080205A (ko) 2004-02-09 2004-02-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208A KR20050080205A (ko) 2004-02-09 2004-02-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205A true KR20050080205A (ko) 2005-08-12

Family

ID=3726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208A KR20050080205A (ko) 2004-02-09 2004-02-09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2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4395A (zh) * 2020-08-21 2020-10-30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应用于无人机通信的低剖面宽带全向滤波天线
CN111883928A (zh) * 2019-05-02 2020-11-03 诺基亚通信公司 多频带天线装置
KR102180722B1 (ko) * 2019-10-25 2020-11-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롯 어레이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KR20210039941A (ko) 2019-10-02 2021-04-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무지향성 uwb 안테나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3928A (zh) * 2019-05-02 2020-11-03 诺基亚通信公司 多频带天线装置
CN111883928B (zh) * 2019-05-02 2022-01-25 诺基亚通信公司 多频带天线装置
US11276923B2 (en) 2019-05-02 2022-03-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ulti-band antenna arrangement
KR20210039941A (ko) 2019-10-02 2021-04-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무지향성 uwb 안테나 장치
KR102180722B1 (ko) * 2019-10-25 2020-11-20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롯 어레이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CN111864395A (zh) * 2020-08-21 2020-10-30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应用于无人机通信的低剖面宽带全向滤波天线
CN111864395B (zh) * 2020-08-21 2022-07-22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应用于无人机通信的低剖面宽带全向滤波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88480B (zh) 基于非周期方环结构的宽带多谐振超表面天线
KR100699472B1 (ko) 아이솔레이션 소자를 포함하는 평판형 미모 어레이 안테나
US6323810B1 (en) Multimode grounded finger patch antenna
US7423593B2 (en) Broadside high-directivity microstrip patch antennas
US20210159609A1 (en) Capacitive-coupled comb-line microstrip array antenna
US7518563B2 (en) Windmill-shaped loop antenna having parasitic loop antenna
CN109494460B (zh) 一种具有高隔离度的双极化/圆极化宽带高密度天线阵列
JPH07307612A (ja) 平面アンテナ
KR100449396B1 (ko) 패치 안테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US20140104135A1 (en) Radiating element for an active array antenna consisting of elementary tiles
CN112615147B (zh) 基于正交模式的紧凑型低耦合可扩展mimo天线
CN111541027A (zh) 一种基于基片集成波导谐振腔的多模谐振宽带天线
CN114976619A (zh) 一种基于多耦合贴片结构的双极化滤波天线
CN107196069B (zh) 紧凑型基片集成波导背腔缝隙天线
US7102573B2 (en) Patch antenna
CN110768004A (zh) 一种微带天线阵列解耦结构、方法以及采用该结构的微带天线阵列
CN109037932B (zh) 宽带多贴片天线
CN116613538A (zh) 一种低剖面小型化宽带超表面天线
KR20050080205A (ko)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0506481B1 (ko) 혼합 급전 방식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
JP3682371B2 (ja) テーパードスロット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アレイ
KR102354525B1 (ko) 고이득 세그멘티드 패치 안테나 및 그 제조방법
CN111326856B (zh) 一种基于准pifa天线的超低剖面端射垂直极化天线
US10957981B2 (en) Antenna device
KR100532587B1 (ko) 상부 유전체층의 금속스트립을 이용한 고이득 선형편파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