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093A -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093A
KR20050080093A KR1020050062303A KR20050062303A KR20050080093A KR 20050080093 A KR20050080093 A KR 20050080093A KR 1020050062303 A KR1020050062303 A KR 1020050062303A KR 20050062303 A KR20050062303 A KR 20050062303A KR 20050080093 A KR20050080093 A KR 20050080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generation system
switching
monito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742B1 (ko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오진석
(주)청우산업전력
태창시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진석, (주)청우산업전력, 태창시스텍(주) filed Critical 오진석
Priority to KR102005006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7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대체에너지 발전시스템을 무선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체에너지원에 따른 발전특성이 각 포트별로 지정출력되며, 채널이 설정된 발전시스템과; 상기 발전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발전시스템에 의한 연계형 또는 독립형 전력공급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절환I/O모듈부와;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특성과 상기 절환I/O모듈부에 의한 절환I/O상태를 각각 입력받아, 절환I/O상태신호를 검출하고 발전특성을 검출하여 RF송신하는 감시용I/O모듈부와; 상기 감시용I/O모듈부에서 RF송신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RF송신하는 수신I/O모듈부와; 상기 수신I/O모듈부에서 송신된 디지털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채널절환신호, 절환I/O신호 및 포트지정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특성 및 절환I/O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호스트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대체에너지원에 따른 발전시스템을 다중으로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체에너지 분야에 우수한 적용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관광, 교육 및 연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윈도우 기반의 인터넷 연동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가 용이하여 대체에너지 분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Wireless Remote System of Multi Control and Monitoring for Renewable Energy}
본 발명은 다양한 대체에너지 발전시스템을 무선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연자원의 고갈과 화력 및 원자력 발전에 대한 환경 및 안정성 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환경친화적인 발전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친화적인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해양에너지는 중요한 대체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양에너지라 함은 태양광, 바람, 파도, 해류, 태양열 등에 의한 에너지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대체에너지는 무한하고 청정에너지라는 관점에서 미래지향적이며, 주거용 발전 및 가로등뿐만 아니라 계통선과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무인 등대, 시계탑, 통신장비 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대체에너지는 일반적으로 대체에너지원 주변에 발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유선으로 발전시스템의 제어상태, 발전상태, 운전상태 등의 제어 및 감시를 하여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체에너지원 주변 상태가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를 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었다.
또한, 이러한 대체에너지는 일반적으로 날씨, 온도, 풍속 등의 기후변화에 민감하므로, 기후 상태에 따라 다양한 대체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에너지공급원으로서 신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양에너지처럼 해양에 인접된 지역에서는 다양한 대체에너지원이 존재하게 되므로, 여러가지 발전시스템을 구축하여 에너지공급원으로서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다양한 발전시스템에 대한 통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대체에너지 발전시스템을 무선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대체에너지원에 따른 발전특성이 각 포트별로 지정출력되며, 채널이 설정된 발전시스템과; 상기 발전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발전시스템에 의한 연계형 또는 독립형 전력공급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절환I/O모듈부와;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특성과 상기 절환I/O모듈부에 의한 절환I/O상태를 각각 입력받아, 절환I/O상태신호를 검출하고 발전특성을 검출하여 RF송신하는 감시용I/O모듈부와; 상기 감시용I/O모듈부에서 RF송신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RF송신하는 수신I/O모듈부와; 상기 수신I/O모듈부에서 송신된 디지털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채널절환신호, 절환I/O신호 및 포트지정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특성 및 절환I/O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호스트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은, 대체에너지원에 따라 태양광발전시스템, 풍력발전시스템, 파력발전시스템, 해류발전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은, 상기 호스트컴퓨터는 윈도우 기반에 의해 운용되고 인터넷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대체에너지원에 따른 발전시스템을 다중으로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체에너지 분야에 우수한 적용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관광, 교육 및 연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윈도우 기반의 인터넷 연동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가 용이하여 대체에너지 분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의 채널절환신호 및 포트지정신호의 입출력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발전시스템(100), 절환I/O모듈부(200), 감시용I/O모듈부(300), 수신I/O모듈부(400), 신호처리부(500), 호스트컴퓨터(6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발전시스템(100)은 대체에너지원(태양광, 태양열, 바람, 파도, 해류)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가정이나 시설물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는 공지된 기술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각 대체에너지원에 따라 상기 발전시스템(100)은, 태양광발전시스템, 풍력발전시스템, 파력발전시스템, 해류발전시스템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100)은 그 대체에너지원에 따라 발전특성이 상이한데,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압, 전류, 전력, 일사량, 온도 등이고, 풍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압, 전류, 전력, 풍속 등이고, 파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압, 전류, 전력, 파고, 수위 등이며, 해류발전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압, 전류, 전력, 파고, 수위 등이 된다.
상기 발전시스템(100)에 따른 각각의 발전특성은 포트별로 지정되어 출력되도록 하며, 각 발전시스템(100)은 채널로 지정되도록 하여 다중 채널, 다중 포트 제어 및 감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태양광발전시스템 -> channel1의 발전특성에 있어서 전압 -> port1, 전류 -> port1, 전력 -> port2, 일사량 -> port3, 온도 -> port4 등으로 지정되고, 풍력발전시스템 -> channel2에 있어서는 전압 -> port1, 전류 -> port2, 전력 -> port3, 풍속 -> port4 등으로 지정되고, 파력발전시스템 -> channel3에 있어서는 전압 -> port1, 전류 -> port2, 전력 -> port3, 파고 -> port4, 수위 -> port5 등으로 지정되며, 해류발전시스템 -> channe4에 있어서는 전압 -> port1, 전류 -> port2, 전력 -> port3, 파고 -> port4, 수위 -> port5 등으로 지정된다.
이에 의해 후술할 호스트컴퓨터(600)에 의해 채널절환신호 및 포트지정신호에 따라 각 해당되는 발전시스템(100)에 따른 발전특성을 제어하고 감시(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절환I/O모듈부(200)는 상기 발전시스템(100)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시스템(100)의 전력공급방식에 따른 독립형 또는 연계형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절환스위치로써 입출력모듈이다.
즉 상기 절환I/O모듈부(200)는 대체에너지원의 사용상태 및 전력공급방식, 적용대상 등에 따라 상용전력과 독립적으로 사용할지, 연계하여 사용할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환I/O모듈부(200)에는 후술할 호스트컴퓨터(600)에 의한 절환I/O신호에 따라 독립형 또는 연계형으로 제어 절환되며, 이러한 절환상태는 다시 호스트컴퓨터(600)로 입력되어 감시하게 된다.
그리고 감시용I/O모듈부(300)는, 상기 발전시스템(100)의 발전특성과 상기 절환I/O모듈부(200)에 의한 절환I/O상태를 각각 입력받아, 절환I/O상태신호를 검출하고 발전특성을 검출하여 RF신호로 변환하여 RF송신하는 입출력모듈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I/O모듈부(400)는 상기 감시용I/O모듈부(300)에서 RF송신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상기 신호처리부(500)는 상기 송신된 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여 후술할 호스트컴퓨터(600)에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컴퓨터(600)는 각 발전시스템(100)별 절환알고리즘, 채널절환 및 포트지정알고리즘이 프로그래밍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시스템(100)별로 채널 및 포트를 변환하고 지정하는 채널절환 및 포트지정신호, 상기 발전시스템(100)별로 독립형 또는 연계형으로의 절환스위치를 제어하는 절환I/O신호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부(500)에서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호스트컴퓨터(6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상기 발전시스템(100)의 발전특성 및 절환I/O상태를 제어하고 감시(모니터링)하게 된다.
이러한 호스트컴퓨터(600)는 각 발전시스템(100)별 절환알고리즘, 채널절환 및 포트지정알고리즘은 윈도우(window)상에서 운용되도록 하여 채널절환신호 및 포트지정신호, 절환I/O신호의 입출력(I/O) 제어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호스트컴퓨터(600)의 디스플레이 상에는 모든 발전시스템(100)의 운전상태, 즉 발전특성, 절환I/O상태 전부가 통합되어 표시되도록 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하나의 발전시스템(100)의 운전상태가 출력되고, 일정 시간 후 다른 발전시스템(100)의 운전상태가 표시되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호스트컴퓨터(600)는 윈도우 기반의 다중 감시화면, 자동화면 변환기능, 감시화면 자동설정기능 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윈도우 기반하에서 운용되는 호스트컴퓨터(600)는 인터넷과 연동되도록 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발전시스템(100)의 운전상태 등을 무선으로 실시간 감시하고, 더불어 무선으로 실시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대체에너지 발전시스템(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관광, 교육 및 연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다양한 대체에너지원에 따른 발전시스템을 다중으로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체에너지 분야에 우수한 적용성 및 활용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관광, 교육 및 연구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윈도우 기반의 인터넷 연동 감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감시가 용이하여 대체에너지 분야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의 블럭도.
도 2 - 본 발명에 따른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의 채널절환신호 및 포트지정신호의 입출력 블럭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전시스템 200 : 절환I/O모듈부
300 : 감시용I/O모듈부 400 : 수신I/O모듈부
500 : 신호처리부 600 : 호스트컴퓨터

Claims (3)

  1. 대체에너지원에 따른 발전특성이 각 포트별로 지정출력되며, 채널이 설정된 발전시스템과;
    상기 발전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발전시스템에 의한 연계형 또는 독립형 전력공급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절환I/O모듈부와;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특성과 상기 절환I/O모듈부에 의한 절환I/O상태를 각각 입력받아, 절환I/O상태신호를 검출하고 발전특성을 검출하여 RF송신하는 감시용I/O모듈부와;
    상기 감시용I/O모듈부에서 RF송신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RF송신하는 수신I/O모듈부와;
    상기 수신I/O모듈부에서 송신된 디지털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와;
    채널절환신호, 절환I/O신호 및 포트지정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상기 발전시스템의 발전특성 및 절환I/O상태를 제어하고 감시하는 호스트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시스템은,
    대체에너지원에 따라 태양광발전시스템, 풍력발전시스템, 파력발전시스템, 해류발전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은,
    상기 호스트컴퓨터는 윈도우 기반에 의해 운용되고 인터넷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KR1020050062303A 2005-07-11 2005-07-11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KR10066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303A KR100661742B1 (ko) 2005-07-11 2005-07-11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303A KR100661742B1 (ko) 2005-07-11 2005-07-11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093A true KR20050080093A (ko) 2005-08-11
KR100661742B1 KR100661742B1 (ko) 2006-12-27

Family

ID=3726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303A KR100661742B1 (ko) 2005-07-11 2005-07-11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6530A (en) * 2007-02-08 2008-08-13 Univ Montfort A predictive control apparatus for metering of renewable energy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6530A (en) * 2007-02-08 2008-08-13 Univ Montfort A predictive control apparatus for metering of renewable energy devices
GB2446418A (en) * 2007-02-08 2008-08-13 Univ Montfort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cognition, metering and energy output prediction of renewable energy devices
GB2446972A (en) * 2007-02-08 2008-08-27 Univ Montfort Apparatus and methods for energy output prediction of renewable energy devices
GB2446530B (en) * 2007-02-08 2009-03-11 Univ Montfort Apparatus and methods for metering of renewable energy devices
GB2446972B (en) * 2007-02-08 2009-04-29 Univ Montfort Apparatus and methods for energy output prediction of renewable energy devices
GB2446418B (en) * 2007-02-08 2009-04-29 Univ Montfort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cognition, metering and energy output prediction of renewable energ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742B1 (ko)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212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US9772260B2 (en)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devices as smart sensors for intellig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US20070156256A1 (en) 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WO2014015336A3 (en) Solar panel as infrared signal receiver and processor
US20070018009A1 (en) Co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5788003U (zh) 一种光伏发电控制系统及光伏发电系统
CN204082508U (zh) 一种光伏水泵控制装置
CN101937667A (zh) 一种多屏同步显示控制系统
CN203313472U (zh) 一种智能化照明系统
KR100661742B1 (ko) 대체에너지의 다중 제어 및 감시용 무선원격시스템
CN101777856B (zh) 利用光感差的光伏跟踪装置及基于网络的监控方法
CN103616873A (zh) 一种家庭环境远程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2508261A (zh) 北斗二代/gps双导航卫星信号转发装置及其实现方法
KR20210054718A (ko) 멀티 인터페이스 통신 기반의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관리 시스템
CN203351020U (zh) 红外家用电器的远程遥控装置
KR101849527B1 (ko) 태양광발전소의 원격제어시스템 및 원격제어방법
CN111132290B (zh) 用于实现设备供电通断操作的无线控制系统和无线控制方法
CN210195301U (zh) 一种冬期施工混凝土智能养护装置
CN111123795A (zh) 无线开关装置、设备、设备系统及供电通断操作控制方法
JP2012010485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212873271U (zh) 一种实现垃圾处理信息本地化显示的监控系统及机柜
CN106705207A (zh) 一种远程无线监控太阳能和热泵集中供热水系统
CN101211503A (zh) 一种电力线载波电能表及通信方法
CN204762611U (zh) 灌溉控制系统
CN111142416B (zh) 无线开关装置、设备、设备系统及供电通断操作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