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108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108A
KR20050079108A KR1020040007254A KR20040007254A KR20050079108A KR 20050079108 A KR20050079108 A KR 20050079108A KR 1020040007254 A KR1020040007254 A KR 1020040007254A KR 20040007254 A KR20040007254 A KR 20040007254A KR 20050079108 A KR20050079108 A KR 2005007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organic light
display device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108A/ko
Publication of KR2005007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61Disc storage racks
    • G11B33/0472Disc storage rack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어레이를 갖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에 구동회로부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좌우비대칭인 얼라인 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드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 EL) 표시소자 등이 있다. PDP는 구조와 제조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대화면화에 가장 유리하지만 발광효율과 휘도가 낮고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LCD는 반도체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화면화가 어렵고 백라잇 유닛으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크다. 또한, LCD는 편광필터, 프리즘시트, 확산판 등의 광학소자들에 의해 광손실이 많고 시야각이 좁은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EL 표시소자는 무기 EL과 유기 EL로 대별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EL표시소자는 대략 10[V] 정도의 전압으로 수만 [cd/㎡]의 높은 휘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EL표시소자는 휴대폰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형 유기EL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유기EL표시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유기EL표시장치는 EL셀이 형성된 표시영역(P1)과, 표시영역(P1)의 구동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비표시영역(P2)을 구비한다.
표시영역(P1)에는 서로 절연되게 교차하는 제1 전극(애노드 전극) 및 제2 전극(캐소드 전극),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절연하는 절연막, 격벽 및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EL어레이가 형성된다.
비표시영역(P2)에는 제1 전극에 제1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제1 패드(45)와, 제2 전극에 제2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제2 패드(47)가 마련된다.
제1 패드(45)는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1 구동회로가 실장된 TCP와 접속되어 각 제1 전극에 제1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제2 패드(47)는 제1 패드(45)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패드(47)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 구동회로가 실장된 TCP와 접속되어 각 제2 전극에 제2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비표시영역(P2)의 가장자리에는 "╋" 형상의 얼라인 마크(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얼라인 마크(52)는 유기EL셀 형성시 각 어레이 들을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한 기준이 되고 스크라이빙 공정 및 검사공정 등에서 유기EL표시장치의 정확한 정렬의 기준이 된다. 이러한, 얼라인 마크(52)는 표시영역(P1)의 제1 전극, 제2 전극 유기발광층 등의 어레이 형성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기EL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4)과 제2 전극(1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극(12)으로부터 발생된 전자는 전자 주입층(10a) 및 전자 수송층(10b)을 통해 발광층(10c) 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전극(4)으로 부터 발생된 정공은 정공 주입층(10d) 및 정공 수송층(10d)을 통해 발광층(10c) 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발광층(10c)에서는 전자 수송층(10b)과 정공 수송층(10d)으로부터 공급되어진 전자와 정공이 충돌하여 재결합함으로써 빛이 발생하게 되고, 이 빛은 제1 전극(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소형 유기EL장치의 얼라인 마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패드(45,47)와 나란한 Y축과, Y축과 직각을 이루는 X축 등 어느 축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각각 대칭 즉, 상하 및 좌우로 각각 대칭인 "╋"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비표시영역(P2)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10*10 컬러의 해상도를 갖는 경우 제1 패드(45)는 30개이고 제2 패드(47)는 10개가 필요하게 된다. 각각의 패드(45,47)의 피치(pitch : 패드의 중심에서 인접하는 패드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5b(b : 소정거리)인 경우 패드가 차지하는 총 길이는 200b(40*5b=200b)이다. 여기서, "╋" 형태의 얼라인 마크(52)의 길이는 5a(a=10b) 정도이다. 즉, 얼라인 마크(52)가 차지하는 영역은 50b 정도로 비표시영역(P2)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점차 유기EL장치가 소형화됨으로써 기존의 해상도를 유지하기 위해 패드(45,47)의 피치(pitch)를 좁게 형성하게 됨으로써 패드(45,47) 간에 쇼트(short)가 발생하는 등 패드부 불량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패드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전계발광어레이를 갖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에 구동회로부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좌우비대칭인 얼라인 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라인 마크는 "┟" 및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어레이는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유기전계발광어레이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유기발광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유기EL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표시영역 상에 형성되는 유기EL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유기EL표시장치는 EL셀이 형성된 표시영역(P1)과, 표시영역(P1)의 구동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비표시영역(P2)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표시영역(P1)에는 서로 절연되게 교차하는 제1 전극(애노드 전극)(104) 및 제2 전극(캐소드 전극)(112), 상기 제1 및 제2 전극(104,112)을 절연하는 절연막(106), 격벽(108) 및 유기발광층(110)을 포함한다.
제1 전극(104)은 기판(102)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전극(104)에는 정공을 방출시키기 위한 제1 구동신호가 공급된다.
절연막(106)은 제1 전극(104)이 형성된 기판 상에 EL셀 영역마다 개구부가 노출되도록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격벽(108)은 제1 전극(104)과 교차되게 형성되고 제2 전극(112)과 소정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인접한 EL셀을 구분하게 된다. 즉, 격벽(108)은 인접한 EL셀의 유기발광층(110) 및 제2 전극(112)을 분리하게 된다. 또한, 격벽(108)은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오버행(Overhang)구조로 형성된다.
유기발광층(110)은 절연막(106) 상에 유기화합물로 구성된다. 즉, 유기발광층(110)은 절연막(106) 상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제2 전극(112)은 유기발광층(110) 상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전극(104)과 교차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제2 전극(112)에는 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한 제2 구동신호가 공급된다.
비표시영역(P2)에는 제1 전극(104)에 제1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제1 패드(145)와, 제2 전극(112)에 제2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제2 패드(147)가 마련된다.
제1 패드(145)는 기판(10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1 구동회로가 실장된 TCP와 접속되어 각 제1 전극(104)에 제1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제2 패드(147)는 기판(102)의 하부에 제1 패드(145)들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패드(147)는 제2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 구동회로가 실장된 TCP와 접속되어 각 제2 전극(112)에 제2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비표시영역(P2)의 가장자리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 셀 형성 등에 있어서 정렬 기준이 되는 "┟" 또는 "┩" 형상 즉, X축으로는 대칭이고(상하로 대칭), Y축으로는 비대칭(좌우 비대칭)인 얼라인 마크(152)가 형성된다. 이로써, 종래의 "╋"형상에 비해 얼라인 마크(152)가 차지하는 영역이 적어지게 됨으로써 비표시영역(P2)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된다. 이에 따라, 패드(145,147)간의 쇼트(short)에 의한 패드 불량이 방지되고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도 3참조)에 10*10 컬러의 해상도를 갖는 경우 제1 패드는 30개이고 제2 패드는 10개가 필요하게 된다. 각각의 패드의 피치(pitch : 패드의 중심에서 인접하는 패드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5b(b : 소정거리)인 경우 패드가 차지하는 총 길이는 200b(40*5b=200b)이다. 여기서, "╋" 형태의 얼라인 마크(52)의 길이는 5a(a=10b) 정도이다. 즉, 얼라인 마크(52)가 차지하는 영역은 50b 정도로 비표시영역(P2)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얼라인 마크(152)는 "┟" 또는 "┩" 형상(길이 30b)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각 얼라인 마크(52)가 차지하는 영역이 각각 20b 정도(총 40b정도 감소 혹은 40% 정도감소)로 감소된다. 이로써, 비표시영역(P2) 전체의 40b정도의 영역이 확보됨으로써 각각의 패드 피치는 종래의 5b에서 6b로 증가시키거나 40b 정도의 영역에 패드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간의 쇼트를 방지하여 패드불량을 방지하거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해상도는 약 14*12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 마크(152)는 표시영역(P1)의 유기EL셀의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유기발광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시에 동일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얼라인 마크(152)가 차지하는 면적이 종래에 비해 약 40%정도 감소시킨다. 이로써, 패드피치를 넓게 함으로써 패드 불량을 방지하거나 패드수를 증가시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얼라인 마크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패드피치를 넓게 하여 패드 불량을 방지하거나 패드수를 증가시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발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얼라인 마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유기전계발광 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얼라인 마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 : 기판 104 : 제1 전극(애노드전극)
106 : 절연막 108 : 격벽
110 : 유기발광층 112 : 제2 전극(캐소드 전극)
52,152 : 얼라인 마크

Claims (4)

  1. 유기전계발광어레이를 갖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에 구동회로부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패드들이 형성된 비표시영역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좌우비대칭인 얼라인 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 및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어레이는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유기전계발광어레이에 포함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유기발광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40007254A 2004-02-04 2004-02-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50079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54A KR20050079108A (ko) 2004-02-04 2004-02-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254A KR20050079108A (ko) 2004-02-04 2004-02-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108A true KR20050079108A (ko) 2005-08-09

Family

ID=3726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254A KR20050079108A (ko) 2004-02-04 2004-02-04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1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968B1 (ko) * 2006-09-11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53539B1 (ko) * 2006-02-14 2008-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7918705B2 (en) 2006-06-16 2011-04-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39B1 (ko) * 2006-02-14 2008-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7918705B2 (en) 2006-06-16 2011-04-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01815B2 (en) 2006-06-16 2014-12-0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0806968B1 (ko) * 2006-09-11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전계발광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8534B2 (en) Mother glass and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75539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874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108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0206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740906B1 (ko) 타일링 기술을 이용한 대면적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3706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588018B1 (ko)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606413B1 (ko)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747236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2961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270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873B1 (ko) 마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제조방법
KR100592390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10619B1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92837B1 (ko) 얼라인 장치
KR10072694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173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76437B1 (ko) 얼라인 장치
KR20050104100A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0701B1 (ko)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692852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69287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7051A (ko)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2963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패드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