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045A -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045A
KR20050078045A KR1020040006145A KR20040006145A KR20050078045A KR 20050078045 A KR20050078045 A KR 20050078045A KR 1020040006145 A KR1020040006145 A KR 1020040006145A KR 20040006145 A KR20040006145 A KR 20040006145A KR 20050078045 A KR20050078045 A KR 20050078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enerator
wind
storage devic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익
Original Assignee
김만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익 filed Critical 김만익
Priority to KR102004000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045A/ko
Publication of KR2005007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 E04C5/0656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with lost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에너지를 저장장치에 저장시켰다가 이을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켜 발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되는 전기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풍력발전장치는 블레이드(풍차 날개)의 축을 발전기 회전축에 연결시켜 발전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풍력발전장치는 바람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발전기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풍력을 맞아 회전하는 블레이드(1)와 상기 블레이드(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와 발전기(4)의 사이에 블레이드(1)의 회전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3)를 설치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의 출력단에 발전기(4)를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생산되는 전기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풍력발전장치{Wi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 에너지를 저장장치에 저장시켰다가 이을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켜 발전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생산되는 전기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인류의 최대 에너지원이었던 석유는 2040년쯤, 석탄은 2100년쯤 고갈된다고 한다. 이는 지난 98년 국제에너지기구의 경고이다.부존 량의 부족문제 뿐만이 아니다.석유와 석탄은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를 배출, 지구 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와 기상이변의 주범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미국 및 유럽에서는 대체에너지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경제성과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는 무공해 풍력에너지이다.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처지에서는 국내에 부존해 있는 에너지원의 최대 이용은 매우 중요하며, 그 중 해안가 및 산악지역의 풍부한 풍력에너지를 활용함은 매년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수입해오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에너지 자급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풍력발전은 무공해 천연 에너지로서 풍력발전기 운전시 공해물질 절감량은 황 및 질소산화물은 9g/㎾h, 중금속류 0.1g/㎾h, 이산화탄소는 0.5∼1.0kg/㎾h, 입자물질은 200g/㎾h 정도로서 깨끗한 환경의 보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최근 거론되고 있는 기후변화 협약에 의한 온실가스의 방출억제 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기대가 되고 있다.
풍력발전시스템은 환경친화적 성격의 기기로서 관광자원화도 가능하다. 실제로 미국 및 유럽내륙 및 해상지역의 대규모 풍력단지는 매년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어, 대규모시범 및 홍보의 성격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만하다. 그러나 풍력에너지는 바람의 속도와 방향이 자주 바뀌고 지속적이지 못한 경우도 있어 동력원으로서의 전환에 많은 기술들이 요구되어 생산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종래의 대표적인 풍력발전장치는 블레이드(풍차 날개)의 축을 발전기 회전축에 연결시켜 발전을 하는 것이다.
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는 1,800rpm의 속도가 필요하나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는 30rpm 정도로써 블레이드와 발전기의 사이에 증속기(geer box)를 설치시켜 발전을 하여왔다.
그러나 블레이드와 발전기의 사이에 증속기를 설치시키더라도 바람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발전기로부터 생산되는 전력의 량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의 회전에너지를 저장장치에 저장시켰다가 이를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켜 발전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여 생산되는 전기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풍력을 맞아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발전기의 사이에 블레이드의 회전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설치시키고, 상기 저장장치의 출력단에 발전기를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풍력을 맞아 회전하는 블레이드(1)와 상기 블레이드(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와 발전기(4)의 사이에 블레이드(1)의 회전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3)를 설치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의 출력단에 발전기(4)를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는 블레이드(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시키는 콤프레셔(31)와, 상기 콤프레셔(3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32)와, 에어탱크(32)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에어모터(33)로 구성된다.
즉, 풍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1)의 회전력이 콤프레셔(31)를 구동시키고, 콤프레셔(31)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에어탱크(32)에 저장되었다가 일정한 크기로 출력되면서 에어모터(33)를 회전시키고, 에어모터(33)의 회전에너지가 발전기(4)를 동작시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와 에너지 저장장치(3)의 사이에는 증속기(2)를 설치시켜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낮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의 회전력이 증속기(2)를 거치면서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콤프레셔(31)를 고속을 회전시키고, 콤프레셔(31)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공기가 에어탱크(32)에 저장되고, 에어탱크(32)로부터 일정한 량으로 출력되는 압축공기로 에어모터(33)를 회전시킴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발전기(4)를 구동시킬 수 있어 발전기(4)로부터 생산되는 전기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의 회전에너지를 저장장치에 저장시켰다가 이을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켜 발전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하여 생산되는 전기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블레이드 2. 증속기
3. 에너지 저장장치 4. 발전기
31. 콤프레셔 32. 에어탱크
33. 에어모터

Claims (3)

  1. 풍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와 상기 블레이드(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와 발전기(4)의 사이에 블레이드(1)의 회전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일정한 크기로 출력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3)를 설치시키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의 출력단에 발전기(4)를 결합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3)는 블레이드(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공기를 압축시키는 콤프레셔(31)와, 상기 콤프레셔(31)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32)와, 에어탱크(32)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되는 에어모터(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와 에너지 저장장치(3)의 사이에는 증속기(2)를 설치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장치.
KR1020040006145A 2004-01-30 2004-01-30 풍력발전장치 KR20050078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45A KR20050078045A (ko) 2004-01-30 2004-01-30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45A KR20050078045A (ko) 2004-01-30 2004-01-30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45A true KR20050078045A (ko) 2005-08-04

Family

ID=3726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45A KR20050078045A (ko) 2004-01-30 2004-01-30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0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684B1 (ko) * 2009-05-14 2010-04-13 오영록 공기압축을 이용한 수직축 터보 풍력발전 시스템
WO2010087640A2 (ko) * 2009-01-30 2010-08-05 Lee Dal-Eun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100977009B1 (ko) * 2010-02-03 2010-08-19 김종근 비행기의 후폭풍의 풍력을 이용한 발전방법
KR101026888B1 (ko) * 2006-02-15 2011-04-04 치앙 얀 상승력형 수직축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 영각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KR101035325B1 (ko) * 2009-03-11 2011-05-20 남태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20160134299A (ko) * 2015-05-14 2016-11-23 노광영 수평형 블레이드의 항력을 이용한 유.공압 가변펌프
KR20210134768A (ko) * 2019-04-18 2021-11-10 유안 쳉 황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공기 정화 능력을 갖는 공기 압축 에너지 저장 및 전력 공급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88B1 (ko) * 2006-02-15 2011-04-04 치앙 얀 상승력형 수직축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 영각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WO2010087640A2 (ko) * 2009-01-30 2010-08-05 Lee Dal-Eun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WO2010087640A3 (ko) * 2009-01-30 2010-11-04 Lee Dal-Eun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101035046B1 (ko) * 2009-01-30 2011-05-19 이달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
KR101035325B1 (ko) * 2009-03-11 2011-05-20 남태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KR100952684B1 (ko) * 2009-05-14 2010-04-13 오영록 공기압축을 이용한 수직축 터보 풍력발전 시스템
KR100977009B1 (ko) * 2010-02-03 2010-08-19 김종근 비행기의 후폭풍의 풍력을 이용한 발전방법
KR20160134299A (ko) * 2015-05-14 2016-11-23 노광영 수평형 블레이드의 항력을 이용한 유.공압 가변펌프
KR20210134768A (ko) * 2019-04-18 2021-11-10 유안 쳉 황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공기 정화 능력을 갖는 공기 압축 에너지 저장 및 전력 공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14421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CN110219766B (zh) 一种行星轮传动的波浪能发电装置
JP2014077427A (ja) 風力原動機
CN202266366U (zh) 水平轴变桨距潮流能水轮机
KR20050078045A (ko) 풍력발전장치
CN202468163U (zh) 聚风式稳定风力发电装置
KR101354181B1 (ko) 블레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수력 발전장치
CN203230525U (zh) 海洋能发电装置及其框架
Avu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of wind turbine using PMSG
JP2006307815A (ja) 垂直軸型の低速時の低起動性、中高速時の高効率を有するエネルギー蓄積装置付き小型風車。
KR20110099860A (ko) 나선형 임펠러를 이용한 유체에너지 변환장치
CN201474851U (zh) 不受风向限制的风力机构
CN102384020A (zh) 水平轴变桨距潮流能水轮机
KR200454230Y1 (ko) 태양광 및 풍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Shahrukh Adnan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the wind energy technology
Fauzih et al. Optimization of Vertical Wind Turbine Performance in Tunnel Area of Coal Conveyor
CN209539502U (zh) 一种风力发电装置及综合发电设备
Rantererung et al. Performance of wind turbine ventilator as electricity generator in boat fishing
CN217926147U (zh) 一种半潜式风力发电设备
Qazi et al. Power Generation Through VAWT Implementation on Highways & Stabilization the Output Voltage by Controlled Buck-Boost Converter
CN113417791B (zh) 一种海上风机柱桩发电装置
CN102562463A (zh) 可自动收合叶片的垂直式风力发电机
CN216241376U (zh) 一种利用自然风驱动的隧道通风风机装置
US2010027080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nergy from exhaust streams
KR100300733B1 (ko) 풍력을이용한다단연동축력식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