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06A -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06A
KR20050077706A KR1020040013537A KR20040013537A KR20050077706A KR 20050077706 A KR20050077706 A KR 20050077706A KR 1020040013537 A KR1020040013537 A KR 1020040013537A KR 20040013537 A KR20040013537 A KR 20040013537A KR 20050077706 A KR20050077706 A KR 20050077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p
terminal
mobile terminal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장원
문정훈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1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7706A/ko
Publication of KR2005007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이 전화 시스템은 전화 서비스 가입자의 프레전스를 관리하는 프레전스 서버를 포함하며, 가입자에게 착신되는 호를 프레전스 서버에 설정된 가입자의 프레전스 정보에 따라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 단말기 또는 VoIP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된 VoIP 단말기 중 하나로 라우팅(rou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자신의 VoIP 단말기를 사용하여 공간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기존에 자신이 가입한 유무선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유선전화 서비스 또는 이동 전화 서비스에 가입 시에 비싼 전화기를 구매하지 않아도, 인터넷에 연결된 VoIP 단말기만 있다면 별도의 통신기기없이 동일하게 유무선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TELEPHONE SYSTEM BASED ON PRESENCE AND CALL ROU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레전스(Presence)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무선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호를 VoIP 단말기를 사용하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IP 망을 활용하는 인터넷 전화(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 전화용 단말기, 예를 들어 컴퓨터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유무선망으로의 전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전화에는 전화번호가 부여되지 않음으로써 현재로서는 전화를 받을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인터넷 전화를 위한 별도의 번호 부여체계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 현재 세계적인 추세이다.
한편, 최근 그 사용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 메신저는 3GPP의 IMPP(Instant Messaging & Presence Protocol)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끼리 간단한 텍스트 정보를 즉시성 있게 주고받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메신저 시스템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인 프레전스(Presence)를 관리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프레전스 정보에는 온라인, 오프라인, 자리비움, 바쁨 등이 있다. 이러한 프레전스는 자신을 버디(buddy)로 설정해 놓은 타인의 버디 리스트(buddy list)에 보여지게 되어 상대방이 언제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지 알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메신저 시스템에서의 IMPP는 컴퓨터 간의 메시지 교환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 상기한 인터넷 전화 또는 유무선망으로의 전화 서비스와 협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프레전스 관련 종래 기술로는, 주식회사 케이티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3-90421호 "통합 프레젠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유·무선·인터넷의 이종 통신망 상의 동일한 가입자에 대해 그 가입자의 각 통신망별 접속의 프레전스를 통합 관리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각 통신망별 접속의 프레전스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있을 뿐, 호 라우팅을 위한 프레전스의 사용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3-58557호 "이동통신 패킷망에서 에스아이피를 이용한 프레전스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패킷망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프레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도 SIP를 이용하여 프레전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 호 라우팅을 위한 프레전스의 사용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고재량의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3-68105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호 착신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동 가입자가 자기 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휴대폰 단말 장치가 아닌 인터넷 상에서 소프트 폰(Softphone) 이나 인터넷 전화 단말(IP Phone)을 통하여 착신 전환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도 호 라우팅을 위한 프레전스의 사용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터넷 메신저의 IMPP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레전스 개념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무선 통신 전화번호를 그대로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은,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호를 라우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유/무선 전화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기와 호가 연결된 교환기가 상기 발신 호를 착신할 가입자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한 프레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프레전스 서버로부터 해당 프레전스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가입자의 프레전스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 호를 착신할 장치 관련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e) 상기 획득된 프레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 단말기 또는 VoIP 단말기 중 하나로 상기 발신 호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Base Station:BS, 10, 11),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MSC, 20, 21, 22),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HLR, 30), 프레전스 서버(Presence Server: 40) 및 VoIP 게이트웨이(50)를 포함한다.
기지국 장치(10, 11)는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MS, M1, M2)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동 단말기(M1, M2)와 이동망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BTS, 10-1, 10-2)과, 기지국(10-1, 10-2)을 관리하며 파워 신호, 주파수, 콜 핸드 오버 등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BSC, 10-3)를 포함한다.
교환기(10, 21, 22)는 기지국 장치(10, 11)나 VoIP 게이트웨이(50)를 통해 접속되는 전화 단말기들에 대한 전화 연결을 관리하는 장치로, 연결 경로를 설정 및 해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30)는 교환기(20, 21)에 접속되어 착신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홈 위치 등록기(30)는 상기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서비스의 종류와 홈 교환기의 ID 정보를 또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등록기(30)는 기존의 홈 위치 등록기와는 달리 가입자가 관리되고 있는 교환기의 위치와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의 프레전스 정보에 기초하여 VoIP 단말기(V1, V2)를 통한 VoIP를 사용 중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는 정보를 교환기(20, 21)로 전달하여, VoIP를 사용 중인 경우에는 착신 호가 VoIP 단말기(V1, V2)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에 저장된 가입자별 프레전스 정보를 사용하여 VoIP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홈 위치 등록기(30)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IN(Mobile Identifiaction Number), 홈 교환기 ID, 기타 가입자 정보 등의 자료를 저장한다. 여기서, ESN은 단말기의 식별 번호로써 예를 들어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고, MIN은 가입자 전화번호로써 예를 들어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으며, 홈 교환기 ID는 가입자가 서비스에 가입한 곳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교환기의 ID로 가입자의 위치를 가장 먼저 찾아보는 교환기의 ID로써 예를 들어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고, 기타 가입자 정보는 기타 가입자의 서비스의 종류 등으로써 홈 위치 등록기의 일반적인 정보이며 예를 들어 복합형의 자료형일 수 있다.
한편, 프레전스 서버(40)는 가입자의 프레전스를 관리하는 서버로 고객의 상태(오프라인, 온라인, 자리 비움, 식사 중 등의 상태), 주소, 우선순위 장치 (Preferred Device) 정보 등을 관리한다.
이러한 프레전스 서버(4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ID, 이동 전화번호, 상태 정보, 접근 주소, 교환기 ID, 우선순위 장치 정보 등의 자료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ID는 사용자를 구분하는 식별자로써 문자열형의 자료형일 수 있고, 이동 전화번호는 호 전달을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로써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온라인, 오프라인, 바쁨 등의 VoIP 단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고, 접근 주소는 VoIP 단말기에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 및 포트번호 정보로써 예를 들어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으며, 교환기 ID는 VoIP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교환기의 ID로써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고, 우선순위 장치 정보는 호를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장치, 즉 VoIP 단말기나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정수형의 자료형일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 장치 정보에 VoIP 단말기(V1, V2)가 등록되어 있으면 착신 또는 발신 호를 등록된 VoIP 단말기(V1, V2)로 연결하고, 이동 단말기(M1, M2)가 등록되어 있으면 착신 또는 발신 호를 등록된 이동 단말기(M1, M2)로 연결한다.
한편, 프레전스 서버(40)는 홈 위치 등록기(30)로부터 이동 단말기(M1, M2)에 대한 우선순위 정보 문의가 있는 경우, 해당 이동 단말기(M1, M2)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30)로 전달하는 동시에, 우선순위 장치로 VoIP 단말기(V1, V2)가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VoIP 단말기(V1, V2)가 물려있는 교환기의 ID와 해당 VoIP 단말기(V1, V2)에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 및 포트번호를 함께 전달한다.
VoIP 게이트웨이(50)는 인터넷을 접속된 VoIP 단말기(V1, V2)가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연동하여 인터넷으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VoIP 단말기(V1, V2)는 VoIP 게이트웨이(50)를 통해 인터넷으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 소프트폰이나 IP 폰 등이 있다. 여기서, 소프트폰은 PC, PDA, 이동 단말기 등에서 인터넷 폰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한 프로그램을 말하고, IP 폰은 소프트폰의 프로그램 기능을 내장하면서 하드웨어적으로 전화기 구조를 갖고 있는 인터넷 전화 전용 기기이다. 이러한 VoIP 단말기(V1, V2)를 통해 로그인할 때 맵핑 시킬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번호로 착신되는 호를 VoIP 단말기(V1, V2)로 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전화번호는 프레전스 서버(4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M1)로부터의 발신 호를 VoIP 단말기(V1)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M2)의 가입자가 VoIP 단말기(V1)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M2)의 전화번호에 대해 VoIP 단말기(V1)가 우선순위 장치 정보로써 프레전스 서버(40)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된다(①). 이 때, 우선순위 장치 정보 설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 이동 단말기(M1)가 이동 단말기(M2)로 전화를 걸면, 먼저 이동 단말기(M1)가 현재 속해 있는 교환기(20)와 이동 단말기(M1) 간에 기지국(10-1)과 기지국 제어기(10-3)를 통해 호가 설정된다(②).
그 후, 교환기(20)가 이동 단말기(M2)의 위치를 알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30)로 이동 단말기(M2)가 현재 속해 있는 교환기의 위치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발신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 정보와 VoIP 단말기(V1)가 물려있는 교환기(21) 정보 및 VoIP 단말기(V1)에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 및 포트번호를 전달받아서 교환기(20)로 전달한다(③).
다음, 교환기(20)는 홈 위치 등록기(30)로부터 전달되는 교환기(21) 정보와 VoIP 단말기(V1)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교환기(21) 및 VoIP 게이트웨이(50)를 통해 VoIP 단말기(V1)로 착신 호를 연결하여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M1)로부터의 착신 호를 가입자가 현재 사용중인 VoIP 단말기(V1)으로 연결하여 이동 단말기(M1)와 VoIP 단말기(V1)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④).
따라서, 가입자는 프레전스에 기반하여 자신의 유무선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VoIP 단말기(V1)를 사용하여 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VoIP 단말기(V1)로부터의 발신 호를 이동 단말기(M1)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먼저, 현재 프레전스 서버(40)에는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해 우선순위 장치 정보로써 이동 단말기(M1)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프레전스 서버(40)에서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는 기본적으로 해당 이동 단말기가 설정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가정 하에, VoIP 단말기(V1)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M1)로 전화를 걸면, VoIP 단말기(V1)는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착신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전달받아서, 착신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가 이동 단말기(M1)인 것을 확인한다(①').
다음, VoIP 단말기(V1)는 이동 단말기(M1)와의 연결을 위해 VoIP 게이트웨이(50)를 통해 VoIP 단말기(V1)가 현재 속해있는 교환기(21)로 호를 설정한다(②').
그 후, 교환기(21)는 이동 단말기(M1)의 위치를 알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30)로 이동 단말기(M1)가 현재 속해 있는 교환기의 위치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30)는 이동 단말기(M1)이 속해있는 교환기(20) 정보를 교환기(21)로 제공한다(③'). 이 때, 홈 위치 등록기(30)은 교환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발신 호가 VoIP 단말기인 경우에는 이미 VoIP 단말기에서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우선순위 장치 정보가 참조되었으므로 이 과정에서는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참조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홈 위치 등록기(30)의 설계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교환기의 위치 정보 요청시 홈 위치 등록기(30)은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무조건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전달받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 교환기(21)는 홈 위치 등록기(30)로부터 전달되는 교환기(20) 정보를 사용하여 교환기(20), 기지국 제어기(10-3) 및 기지국(10-1)을 통해 이동 단말기(M1)로 착신 호를 연결하여, 결과적으로 VoIP 단말기(V1)로부터의 착신 호를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M1)으로 연결하여 VoIP 단말기(V1)와 이동 단말기(M1)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④').
따라서, 가입자는 프레전스에 기반하여 VoIP 단말기(V1)를 가지고 이동 단말기(M1)로 전화를 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M1)로부터의 발신 호를 이동 단말기(M2)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M2)의 가입자가 VoIP 단말기(V1)를 사용함으로써 프레전스 서버(40)에 우선순위 장치로 VoIP 단말기(V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M2) 사용자가 VoIP 단말기(V1)의 사용을 중지하고 다시 이동 단말기(M2)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M2)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로써 이동 단말기(M2)를 프레전스 서버(40)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한다(①").
다음, 이동 단말기(M1)가 이동 단말기(M2)로 전화를 걸면, 먼저 이동 단말기(M1)가 현재 속해 있는 교환기(20)와 이동 단말기(M1) 간에 기지국(10-1)과 기지국 제어기(10-3)를 통해 호가 설정된다(②").
그 후, 교환기(20)가 이동 단말기(M2)의 위치를 알기 위해 홈 위치 등록기(30)로 이동 단말기(M2)가 현재 속해 있는 교환기의 위치를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발신 이동 단말기(M2)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전달받아서 우선순위 장치로 이동 단말기(M2)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M2)가 속해 있는 교환기(22) 정보를 교환기(20)로 제공한다(③").
다음, 교환기(20)는 홈 위치 등록기(30)로부터 전달되는 교환기(22) 정보를 이용하여 교환기(22) 및 기지국 장치(11)를 통해 이동 단말기(M2)로 착신 호를 연결하여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M1)로부터의 착신 호를 가입자가 현재 사용중인 이동 단말기(M2)로 연결하여 이동 단말기(M1)와 이동 단말기(M2) 사이에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④").
따라서, 가입자는 프레전스에 기반하여 걸려오는 전화를 이동 단말기(M2)를 사용하여 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VoIP 단말기(V1)로부터의 발신 호를 VoIP 단말기(V2)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M1)의 가입자가 VoIP 단말기(V2)를 사용하는 경우, VoIP 단말기(V2)에서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해 VoIP 단말기(V2)를 우선순위 장치로써 프레전스 서버(40)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한다(①"').
다음, VoIP 단말기(V1)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M1)로 전화를 걸면, VoIP 단말기(V1)는 프레전스 서버(40)를 통해 착신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전달받아서, 착신 이동 단말기(M1)의 전화번호에 대한 우선순위 장치가 VoIP 단말기(V2)인 것을 확인한다(②"').
그 후, VoIP 단말기(V1)는 VoIP 게이트웨이(50)를 통해 VoIP 시스템 내부에서 VoIP 단말기(V2)와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한다(③"'). 이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M1, M2) 사용자가 모두 VoIP 단말기(V1, V2)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PLMN/PSTN 망으로의 연결없이 VoIP 시스템 내에서 프레전스에 기반하여 유무선 전화번호를 통해 착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이동 단말기(M1, M2) 또는 VoIP 단말기(V1, V2)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본적으로 호 라우팅(routing)은 홈 위치 등록기(30)에서 가입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행되며, 예외적으로 VoIP 단말기(V1, V2)로부터의 발신 호를 VoIP 단말기(V1, V2)로 라우팅하는 경우에만 홈 위치 등록기(30)를 통하지 않고 VoIP 시스템 내에서만 라우팅이 수행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라우팅 과정에서 홈 위치 등록기(30)가 가입자 정보를 제공할 때 프레전스 서버(40)에 관련 정보, 즉 우선순위 장치 정보 등을 요청하여 호를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M1, M2)로 라우팅할 것인지 또는 VoIP 단말기(V1, V2)로 라우팅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라우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네가지 과정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는, 이동 단말기(M1, M2) 가입자가 VoIP 단말기(V1, V2)를 사용하기 위해 VoIP 단말기(V1, V2)에서 프레전스 서버(40)로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프레전스 서버(40)에 VoIP 단말기(V1, V2)를 등록하는 과정이다. 이 때까지는 프레전스 서버(40)에 이동 단말기(M1, M2)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우선순위 장치가 이동 단말기(M1, M2)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M1, M2)와 VoIP 단말기(V1, V2)가 모두 사용중이지만 우선순위 장치 설정으로 인해 호 라우팅은 이동 단말기(M1, M2)로 이루어지게 된다.
두 번째로는, VoIP 단말기(V1, V2)를 우선순위 장치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동 단말기(M1, M2) 가입자가 어떤 장치로 호가 라우팅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VoIP 단말기(V1, V2)를 우선순위 장치로 설정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M1, M2)의 전화번호로 오는 호를 대응되는 VoIP 단말기(V1, V2)로 포워딩(forwarding)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실제로 호 포워딩(forwarding)이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발신자의 호 요구를 발신자측 교환기에서 받아서 착신자의 위치 파악을 위해 홈 위치 등록기(30)에 정보를 요청하고, 홈 위치 등록기(30)에서는 프레전스 서버(40)에 설정된 우선순위 장치에 따라 정보를 제공하여 호가 우선순위 장치로 설정된 단말기로 포워딩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VoIP 단말기(V1, V2) 사용 종료시 등록 해제를 수행하여 다시 이동 단말기(M1, M2)로 호를 라우팅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네 개의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프레전스 등록 및 갱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VoIP 단말기(V1, V2)를 통해 프레전스 서버(40)에 로그인해서 자신의 상태를 등록하고, 우선순위 장치를 설정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등록 과정을 나타내는 register()는 VoIP 단말기(V1, V2)의 정보, 예를 들어 ID, 전화번호, 패스워드, 접속 주소 등의 정보를 프레전스 서버(40)에 전달하여 프레전스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을 통해 VoIP 단말기(V1, V2)의 상태가 온라인 상태가 된다. 여기서 온 라인 상태가 된다는 것은 호를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이러한 상태에서는 우선순위가 낮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M1, V2)가 온라인인 경우 이동 단말기(M1, M2)로 호가 전달된다.
다음, 우선순위 장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setPreferredDevice()는 가입자가 전화를 받고자 하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가 VoIP 단말기(V1, V2)임을 프레전스 서버(40)에 전달하여 우선순위 장치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거치고 나서야 비로소 VoIP 단말기(V1, V2)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되어 호가 착신자의 이동 단말기(M1, M2)가 아닌 VoIP 단말기(V1, V2)로 전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프레전스에 따라 호를 포워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제 호가 들어 왔을 때 홈 위치 등록기(30)와 프레전스 서버(40) 그리고 교환기(20, 21, 22) 사이에서 프레전스에 기반하여 호가 포워딩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착신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getLocation()은 발신자측 교환기(20, 21, 22)가 홈 위치 등록기(30)로 착신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과정이다.
다음, 호가 포워딩될 장치 정보를 전달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fetchPresence ()는 우선순위 장치 정보와 그와 관련된 기타 정보, 예를 들어 우선순위 장치가 VoIP 단말기(V1, V2)인 경우 해당 VoIP 단말기(V1, V2)가 물려있는 교환기 정보 및 VoIP 단말기(V1, V2)에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 및 포트번호 등을 홈 위치 등록기(30)가 프레전스 서버(40)에게 요청하여 전달받는 과정이다.
다음, 호를 포워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passCall()는 홈 위치 등록기(30)로부터 착신자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은 교환기가 착신자의 우선순위 장치로 호를 포워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프레전스 등록 해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VoIP 단말기(V1, V2)의 사용을 종료하기 위해 VoIP 단말기(V1, V2)에서 프레전스 서버(40)로 등록 해제를 나타내는 unregister() 요청을 전달하면, 이후부터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홈 위치 등록기(30)에서 프레전스 서버(40)로 fetchPresence() 요청을 하는 경우 우선순위 장치가 이동 단말기(M1, M2)가 되기 때문에 호가 이동 단말기(M1, M2)로 포워딩된다.
이하, 가입자의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의 경우, 설정 및 기타 정황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과 가입자의 행위를 통해 수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 번째로는, VoIP 단말기 로그인시 자동 전환하는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M1, M2)나 유선전화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VoIP 단말기 로그인시 자동으로 VoIP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프레전스로 변경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기존의 유무선 전화를 이용중인 사용자가 VoIP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인증 과정을 통해 VoIP 단말기 이용 권한을 부여받는다. 이와 같이, 인증이 성공하면, 프레전스 서버(40)에서 자동으로 VoIP 단말기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가입된 해당 VoIP 단말기로 호를 수신하거나 발신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동안 반응이 없는 경우 자동 전환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특정된 초기 시간값 또는 설정한 시간동안 VoIP 단말기의 조작을 통한 반응, 예를 들어 컴퓨터의 마우스 및 키보드 또는 주변 입력기기를 통한 반응이 없는 경우, 해당 VoIP 단말기가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사용자가 VoIP 단말기의 자동 프레전스 전환 기능의 설정을 활성화시키고 자동 전환 시간을 입력하면, 특정된 초기 시간값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자동 전환 시간동안 VoIP 단말기의 조작을 통한 반응이 없는 경우, VoIP 단말기는 프레전스 서버(40)에 프레전스 변경을 요청한다. 따라서, 프레전스 서버(40)는 프레전스 변경을 요청한 VoIP 단말기가 인증된 것을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프레전스를 유무선 전화로 자동으로 전환시켜서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로는, 위치 확인 시스템을 활용한 프레전스 자동 변환 방법으로, 기지국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VoIP 단말기 사용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이동 단말기로 착신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사용자가 VoIP 단말기를 사용하던 중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고 별다른 설정없이 VoIP 단말기의 사용 지역을 벗어나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기지국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이동을 감지하고,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30)에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등록시킬 때 해당 사용자의 프레전스 변경을 요청하면, 홈 위치 등록기(30)가 프레전스 서버(40)와 교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프레전스를 변경하여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수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첫 번째로는, VoIP 단말기 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수동 전환하는 방법으로, VoIP 단말기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프레전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사용자가 VoIP 단말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유무선 전화로 수신'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VoIP 단말기가 프레전스 서버(40)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 변경 요청을 하여 이후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활용하여 변경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프레전스를 설정할 수 있는 ARS를 제공하고,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ARS에 접속하여 메뉴 번호를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프레전스를 전환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프레전스를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할당된 ARS 번호로 접속한 후, ARS의 안내에 따라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그 후, 원하는 설정을 하면 교환기가 해당 설정에 따른 프레전스 변경을 홈 위치 등록기(30)로 요청하고,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와의 교신을 통해 프레전스를 확인한 후, 조건에 맞을 경우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이동 단말기의 VM(Virtual Machine)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변경하는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가지고 있던 프레전스 변경용 VM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프레전스 변경을 위한 VM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방법에 따라 다운로드한 후, 해당 VM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다. 그 후, 원하는 설정을 하면 프레전스 서버(40)가 설정된 프레전스를 확인한 후, 조건에 맞을 경우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네 번째로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프레전스를 설정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프레전스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한다. 그 후 원하는 설정을 하면 프레전스 서버(40)가 설정된 프레전스를 확인한 후, 조건에 맞을 경우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송신을 통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통해 특정한 서비스 전화번호로 SMS를 전송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이 때 메시지 내용과는 무관하게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할당된 번호로 자신의 현재 상태 설명을 기입한 SMS를 전송한다. SMS를 수신한 시스템은 교환기에게 해당 프레전스 변경을 요청하고, 교환기는 해당 설정에 따른 프레전스 변경을 홈 위치 등록기(30)로 요청하며,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와의 교신을 통해 프레전스를 확인한 후, 조건에 맞을 경우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섯 번째로는, 전용 IP 폰을 통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프레전스를 설정할 수 있는 IP 폰의 '호 라우팅' 기능의 구동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사용자가 전용 IP 폰에서 '호 라우팅' 기능을 설정하면, IP 폰이 프레전스 서버(40)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 변경 요청을 하여 이후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곱 번째로는, 호 라우팅 기능을 내장한 전용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호 라우팅 기능을 내장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프레전스를 설정하면, 교환기가 해당 설정에 따른 프레전스 변경을 홈 위치 등록기(30)로 요청하고,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와의 교신을 통해 프레전스를 확인한 후, 조건에 맞을 경우 원하는 장치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원하는 장치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덟 번째로는, 웹(Web)을 통하여 프레전스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프레전스 변경 기능을 제공하는 웹에 접속하여 인증 과정을 완료한 후, 프레전스 변경을 퉁해 수신 방법을 결정하면 웹 시스템은 교환기로 해당 설정을 요청하고, 교환기는 해당 설정에 따른 프레전스 변경을 홈 위치 등록기(30)로 요청하며, 홈 위치 등록기(30)는 프레전스 서버(40)와의 교신을 통해 프레전스를 확인한 후, 조건에 맞을 경우 가입된 유무선 전화로 호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프레전스를 변경시킨다. 이후 가입된 해당 유무선 전화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무선망에 기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망, 유선지능망, 차세대망(NGN:Next Generation Network)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상기 설명을 참조하는 경우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유선지능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유선지능망 시스템은 ITU-T에 의해 정의된 표준통신규약인 SS7(Common Channel Signaling System No. 7)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SSP(Service Switching Point, 120, 121, 122), STP(Signal Transfer Point, 140, 141, 142, 143), SCP(Service Control Point, 150), 프레전스 서버(160) 및 VoIP 게이트웨이(170)를 포함한다.
SSP(120, 121)는 서로 간에 신호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된 유선 단말기(110, 112)에 대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SSP(120)는 PBX(Private Brance Exchange, 130)를 통해 유선 단말기(111)에 접속될 수 있다.
STP(140, 141, 142, 143)는 SSP(120, 121)나 SSP(122)에 접속된 VoIP 게이트웨이(170)를 통해 접속되는 유선 단말기들에 대해 SS7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 전달을 수행한다.
SCP(150)는 STP(142)에 접속되어 착신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서비스 정보 및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SCP(150)는 상기 무선망을 기반으로 설명한 도 1 내지 도 8에서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연결을 위한 HLR(30)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가입자가 관리되고 있는 SSP의 위치와 가입자 정보를 가입자의 프레전스 정보에 기초하여 VoIP 단말기(180)를 통한 VoIP를 사용 중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는 정보를 SSP(120, 121)로 전달하여, VoIP를 사용 중인 경우에는 착신 호가 VoIP 단말기(180)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SCP(150)는 프레전스 서버(160)에 저장된 가입자별 프레전스 정보를 사용하여 VoIP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프레전스 서버(160) 및 VoIP 게이트웨이(170)는 무선망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된 상기 도 1 내지 도 8에서의 기능과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갖는 프레전스 기반의 유선지능망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은 무선망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된 상기 도 1 내지 도 8에서 HLR(30), MSC(20, 21, 22), 프레전스 서버(40), VoIP 게이트웨이(50)들간의 기술구성 및 작동원리가 SSP(120, 121, 122), SCP(150), 프레전스 서버(160), VoIP 게이트웨이(170)들 간의 기술구성 및 작동원리와 유사하여 상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는 경우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지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이동 단말기와 VoIP 단말기 사이의 프레전스 변경, 특히 우선순위 장치 정보 변경에 의해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VoIP 단말기를 사용하여 받을 수 있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전화와 VoIP 단말기 사이의 프레전스 변경, 특히 우선순위 장치 정보 변경에 의해 유선 전화기 사용자가 자신의 유선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VoIP 단말기를 사용하여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에 연결된 자신의 VoIP 단말기를 사용하여 공간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기존에 자신이 가입한 유무선 전화번호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유선전화 서비스 또는 이동 전화 서비스에 가입 시에 비싼 전화기를 구매하지 않아도, 인터넷에 연결된 VoIP 단말기만 있다면 별도의 통신기기없이 동일하게 유무선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신하는 전화가 인터넷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기존의 유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전달될 때보다 통신사업자간의 망 접속료를 적게 지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전화 통화료가 감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M1)로부터의 발신 호를 VoIP 단말기(V1)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VoIP 단말기(V1)로부터의 발신 호를 이동 단말기(M1)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M1)로부터의 발신 호를 이동 단말기(M2)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VoIP 단말기(V1)로부터의 발신 호를 VoIP 단말기(V2)로 연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프레전스 등록 및 갱신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프레전스에 따라 호를 포워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프레전스 등록 해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전스 기반의 유선지능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Claims (1)

  1.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 호를 라우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유/무선 전화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발신 단말기와 호가 연결된 교환기가 상기 발신 호를 착신할 가입자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가입자에 대한 프레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프레전스 서버로부터 해당 프레전스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d) 상기 홈 위치 등록기가 상기 착신 가입자의 프레전스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 호를 착신할 장치 관련 정보를 상기 교환기에게 전달하는 단계; 및
    e) 상기 획득된 프레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 단말기 또는 VoIP 단말기 중 하나로 상기 발신 호를 라우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라우팅 방법.
KR1020040013537A 2004-02-27 2004-02-27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KR20050077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537A KR20050077706A (ko) 2004-02-27 2004-02-27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537A KR20050077706A (ko) 2004-02-27 2004-02-27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278A Division KR100448636B1 (ko) 2004-01-30 2004-01-30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06A true KR20050077706A (ko) 2005-08-03

Family

ID=3726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537A KR20050077706A (ko) 2004-02-27 2004-02-27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7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99B1 (ko) * 2007-03-08 2007-1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Esn을 이용한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899B1 (ko) * 2007-03-08 2007-1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Esn을 이용한 착신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636B1 (ko)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EP1969862B1 (en)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JP2009506589A (ja) 移動体及びパケットベース呼制御
WO1995020299A1 (en) Providing individual subscriber service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90036122A1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EP2092784B1 (en) Method of conditionally routing a call made to a fixed telephone number
KR100849816B1 (ko)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
CN101668270B (zh) 一种基于呼叫拦截与外挂平台方式解决来电免打扰的方法和平台
EP3745694B1 (e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a call via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multiple call numbers
KR10073474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착신 정보 통보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50077706A (ko)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KR20000077243A (ko) 무선 환경에서 지능 전화망의 강화된 서비스를 가능하게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707753B (zh) 移动通信网络中实现非急勿扰业务的方法和平台
KR20080064774A (ko)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19194B1 (ko) 착신 정보 통보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0892114B1 (ko)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707754B (zh) 基于模拟hlr方式实现非急勿扰业务的方法和平台
KR100693713B1 (ko) 전기통신망과 인터넷 연동 망을 통한개인종합통신(up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NZ512758A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WO200700046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es annymously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84074A (ko) 개인번호를 사용하는 통화방법
KR20080097623A (ko) 교환기 기반 지능망 서비스의 상호 연동 시스템 및 그방법과, 그를 위한 서비스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