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328A -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328A
KR20050077328A KR1020040004933A KR20040004933A KR20050077328A KR 20050077328 A KR20050077328 A KR 20050077328A KR 1020040004933 A KR1020040004933 A KR 1020040004933A KR 20040004933 A KR20040004933 A KR 20040004933A KR 20050077328 A KR20050077328 A KR 2005007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accumulator
compressor
air conditio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7328A/ko
Publication of KR2005007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03Ironing boards  with flat iron sup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6Ironing boards  attachable to independent supports, e.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의 구조를 간략하게 하여 성능 및 효율을 높이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는, 냉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보조어큐뮬레이터(132")와; 2상 냉매를 분리하여 기체냉매를 배출하는 주어큐뮬레이터(13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 (132")에는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흡입관(132a)이 구비되고, 상기 주어큐뮬레이터 (132')와 보조어큐뮬레이터(132'')의 사이에는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와 보조어큐뮬레이터(132'')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관(132b)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에는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에서 분리된 기체냉매가 토출되는 냉매토출관(132c)이 구비되고, 상기 냉매토출관(132c)은 상기 주어큐뮬레이터 (132')의 외부에서 분지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연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의 성능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A structure of changeable accumulator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로 냉매를 효과적으로 분리, 공급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청정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을 겸하고 있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정에 2대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여러개의 사무실을 구비한 건물에서 각 사무실마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를 여러대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 및 냉매의 흐름을 나타낸 블럭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실외기(1)는 압축기(10), 어큐뮬레이터(20) 및 실외열교환기(30) 등으로 이루어지고, 실내기(50)는 실내열교환기(60) 및 팽창밸브 (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는 하나의 실외기(1)에 다수의 실내기 (50)가 연결되어 있는데, 실외기(1)와 실내기(50) 사이에는 높은 압력을 가지는 고압관(80)과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저압관(9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공기조화기가 냉방작용을 할 경우, 상기 실외기(1)의 실외열교환기(30)는 압축기(10)로부터 압송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70)를 통과하면서 저온/저압의 기체상태로 팽창되어 실내열교환기(60)에 보내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60)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됨에 따라 저온/저압의 기체상태 및 액체상태가 섞여지는 2상의 냉매로 바뀐다. 이러한 냉매는 각각의 어큐뮬레이터(20)를 통과한 후에 다시 각각의 압축기(10)로 보내져 냉매의 1싸이클(cycle)을 이룬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가 난방작용을 하는 경우에는 냉매의 흐름 및 열교환기의 작용이 반대이다. 즉,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 (20) -> 실내열교환기(60) -> 팽창밸브(70) -> 실외열교환기(30)의 순서로 흐른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60)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고압의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30)는 그 내부의 저온저압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한다.
도 3 내지 도 6 에는 종래의 실외기(1)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안착되는 베이스팬(2)이 형성되고, 이러한 베이스팬(2)의 선단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4)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4)은 상측에 구비되는 전면상부판넬(4')과 하측에 구비되는 전면하부판넬 (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하부판넬(4")에는 배관브라켓(4"a)이 더 구비된다. 즉 전면하부판넬(4")의 하단이 일정부분 절개되고, 이러한 절개부분을 상기 배관브라켓(4"a)이 차폐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배관브라켓(4"a)은 상기 고압관(80)과 저압관(90)이 상기 실내기(50)와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전면상부판넬(4')과 전면하부판넬(4") 사이에는 중앙브라켓(6)이 설치되어 창착을 안내한다. 한편 상기 전면상부판넬(4')의 상단에는 상부브라켓(6')이 더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상부브라켓(6')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마운트(48') 선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전면판넬(4)의 좌우측단 즉, 상기 베이스팬(2)의 선단 좌우측 모서리에는 전방프레임(8)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8)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넬(4)과 아래에서 설명할 측면그릴(34)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팬(2)에는 압축기(1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대적으로 우측에는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10')가 설치되고, 좌측에는 인버터압축기 (1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0)의 일측에는 오일분리기(1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2)는 상기 압축기(1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속에 섞여있는 오일(oil)을 걸러내어 압축기(10)로 회수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팬(2)의 좌측 후단부에는 밸브지지대(14)가 소정 높이로 설치되고, 이러한 밸브지지대(14)의 상단에는 서비스밸브(16)가 각각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팬(2)의 중앙부, 즉 상기 정속압축기(10')와 인버터압축기(10") 의 사이에 정속압축기(10')와 인버터압축기(10")에 각각 연통되는 어큐뮬레이터 (2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20)는 액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큐뮬레이터(20)는 상기 인버터압축기(10")로 냉매를 공급하는 인버터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 와 정속압축기(10')로 냉매를 공급하는 정속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의 상부에는 인버터압축기토출관 (20"a)이 구성되어 상기 인버터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 내부의 기체상태 냉매를 상기 인버터압축기(10")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정속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의 상부에는 정속압축기토출관 (20'a)이 구성되어 상기 정속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 내부의 기체상태 냉매를 상기 정속압축기(10')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인버터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와 정속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20')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서로 이동하여 각각의 어큐뮬레이터(132)에서 냉매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기체균압관(20a)이 상방으로 서로 연통되어 있고, 액체상태의 냉매가 서로 이동하여 각각의 어큐뮬레이터(132)에서 냉매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액체균압관(20b)이 하방으로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와 정속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에 기체와 액체의 2상으로 이루어진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흡입관(20c)이 각각의 어큐뮬레이터(20) 상부에 삽입되어진다.
이와 같이 각각의 압축기(10)에 어큐뮬레이터(20)가 장착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압축기(10) 사용에도 충분한 양의 냉매를 제공하고 상기 압축기(10)의 동작에 따라 각각의 어큐뮬레이터(20)의 상/하방에서 연통된 인버터압축기토출관(20"a)과 정속압축기토출관(20'a)을 통해서 기체상태의 냉매가 각각 상기 정속압축기(10')와 인버터압축기(10")로 공급된다.
상기 압축기(10)의 상측에는 콘트롤박스(22)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 (2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압트랜스와 커패시터 등의 제어부품과 회로기판이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박스(22)는 전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전면에는 콘트롤커버(22')가 구비되어 내부를 차폐한다.
상기 베이스팬(2)의 측단부와 후단부에는 실외열교환기(3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0)는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좌우에 쌍으로 구비된다.
즉 좌측에는 '┏'형상(상방에서 볼 때)의 좌측실외열교환기(30')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형상(상방에서 볼 때)의 우측실외열교환기(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외열교환기(30)의 입구에는 냉매의 유입을 안내하는 튜브조립체(32)가 더 형성되고, 출구에는 리시버(3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2)의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측면그릴(34)이 설치되며, 후단에는 후면그릴(36)이 설치된다. 상기 후면그릴(36)은 상기 실외열교환기(30)와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다. 즉 상기 좌측실외열교환기(30')의 후방에 설치되는 좌측후면그릴(36')과 상기 우측실외열교환기(30") 후방에 설치되는 우측후면그릴(3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좌측후면그릴(36')과 우측후면그릴(36") 사이에는 이러한 후면그릴(36)을 고정하는 후면프레임(38)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팬(2)의 후단 좌우측 모서리부에는 후방프레임(3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외기(1)의 상면외관은 상면판넬(40)이 형성한다. 상기 상면판넬(40)은 상기 베이스팬(2)과 대응되는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좌우측에는 한 쌍의 통기공(40')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40')의 상면에는 쉬라우드(42)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42)는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46)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쉬라우드(42)의 상단에는 토출그릴(44)이 구비된다.
상기 쉬라우드(42) 내측에는 송풍팬(46)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46)은 하부에 구비되는 팬모터(48)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팬모터(48)는 모터마운트(48')에 의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어큐뮬레이터에서는, 어큐뮬레이터(20) 내부의 배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의 어려움으로 인한 고비용이 초래되고, 인버터압축기(10")와 정속압축기(10')의 사용에 따른 인버터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20")와 정속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간(20')에 압력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냉매가 편중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큐뮬레이터간의 압력의 불균형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어큐뮬레이터의 성능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어큐뮬레이터의 구조를 간결히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는, 냉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보조어큐뮬레이터와; 2상 냉매를 분리하여 기체냉매를 배출하는 주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에는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흡입관이 구비되고,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와 보조어큐뮬레이터의 사이에는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와 보조어큐뮬레이터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에는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냉매가 토출되는 냉매토출관이 구비되고, 상기 냉매토출관의 입구는 주어큐뮬레이터 내부의 소정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토출관은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의 외부에서 분지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각각의 압축기와 연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간의 압력불균형을 해소하여 어큐뮬레이터의 성능효율을 높이고 내부구조를 간결하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0)는 정속압축기(120') 및 인버터압축기 (120"), 어큐뮬레이터(132) 그리고 실외열교환기(180)와 실외전자밸브(102, LEV: linear expansion valve, 이하 '실외LEV'라 한다.) 등으로 이루어지고, 실내기 (200)는 실내열교환기(202), 팽창밸브(204)와 실내전자밸브(206, LEV:linear expansion valve, 이하 '실내LEV'라 한다.) 등으로 이루어진다.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실외기(100)에 다수의 실내기 (200)가 연결되어 있는데, 실외기(100)와 실내기(200) 사이에는 액체냉매가 흐르는 단일배관인 공통액관(210)과, 기체냉매가 흐르는 단일배관인 공통기관(212)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둘 이상의 실외기(100) 사이에는 냉매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한 고저압공통관(214)이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저압공통관(214)은 다수의 실외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의 입구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실외기(100) 상호간에 냉매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실외기(100) 중 사용되지 않는 실외기(100)의 실외열교환기(180)에도 냉매가 유입되도록 하므로서 전체적으로 열교환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저압공통관(214)에는 냉방 또는 난방 작용에 따라 고압 또는 저압의 냉매가 흐르게 된다.
상기 실내기(200)에는 액체냉매가 흐르는 분지액관(210')과, 기체냉매가 흐르는 분지기관(212')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분지액관(210')과 분지기관(212')은 상기 공통액관(210)과 공통기관(212)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다수의 분지액관(210')과 분지기관(212')은 연결되는 실내기(200)의 용량에 따라 그 직경이 각각 상이하게 되며, 상기 실내LEV(206)에 의해 각 실내기(200)에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100)에는 액체냉매가 흐르는 실외액관(210")과, 기체냉매가 흐르는 실외기관(212")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실외액관(210")과 실외기관 (212")은 상기 공통액관(210)과 공통기관(212)과 연통된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110)이 최하단에 구비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팬(110)의 선단에는 전면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2)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판넬(112)의 상측에는 전면그릴(11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그릴(11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한다. 한편 상기 전면그릴(114)의 상측에는 전면상부브라켓(116)이 더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전면상부브라켓(116)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마운트(174)의 선단부가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팬(110) 상면에는 압축기(1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2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대적으로 우측에는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120)'가 설치되고, 좌측에는 가변속 열펌프(Variable Speed Heat Pump)인 인버터압축기(1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20)의 입구측에는 냉매분사기(120a)가 설치된다. 상기 냉매분사기(120a)는 상기 압축기(120)가 운전상황에 따라 과열되는 경우에 냉매를 공급하여 압축기의 소손을 방지하는 것으로, 여기에 사용되는 냉매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8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사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 사이에는 균유관(121)이 설치되어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가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압축기에서 급유부족이 발생하면, 다른 압축기로부터 보충되도록 하여 유량부족에 의한 압축기(120)의 소손을 방지한다.
상기 압축기(120)로는 소음이 작고 효율이 뛰어난 스크롤압축기가 사용되며, 특히 상기 인버터압축기(120")는 부하용량에 따라 회전수가 조절되는 인버터 스크롤 압축기이다. 따라서 소수의 실내기(200)가 사용되어 부하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먼저 상기 인버터압축기(120")가 가동되며, 점차 부하용량이 증가하여 인버터압축기(120")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경우에 비로소 상기 정속압축기(120')가 가동된다.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의 출구측에는 압축기(12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압축기토출온도센서(120'b,120"b) 및 오일분리기(1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22)는 상기 압축기(1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속에 섞여있는 오일을 걸러내어 압축기(120)로 회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기(122)의 출구측에는 체크밸브(122')가 더 설치되어 냉매의 역류를 방지한다. 즉 상기 정속압축기(120')나 인버터압축기(120")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정지중인 압축기(120) 내부로 압축냉매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오일분리기(122)는 배관에 의해 4방향밸브(124)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4방향밸브(124)는 냉,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배설되는 것으로, 각각의 포트는 압축기(120)의 출구(또는 오일분리기), 압축기 (120)의 입구(또는 어큐뮬레이터), 실외열교환기(180) 및 실내기(2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한 곳으로 모아진 다음, 상기 4방향밸브(124)로 유입되는데, 이러한 4방향밸브 (124)의 입구에는 압축기(12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체크하는 고압센서 (12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일분리기(122)에서 상기 4방향밸브(124)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가 아래에서 설명할 어큐뮬레이터(132)로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핫가스 (hot gas)관(125)이 상기 4방향밸브(124)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핫가스관(125)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중에 어큐뮬레이터(132)로 유입되는 저압의 냉매 압력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압축기(120) 토출구측의 고압 냉매가 압축기(120) 입구측으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핫가스관 (125)에는 바이패스밸브인 핫가스밸브(125')가 설치되어 배관을 개폐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면 전반부 중앙에는 밸브지지대(126)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지지대(126)는 상기 실외액관(210"), 실외기관(212"), 고저압공통관(214)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서비스밸브(128)도 여기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밸브지지대(126)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배관(210,212,214)은 아래에서 설명할 측면판넬(188)의 배관출입구(188')를 통해 인출되어 실외기(10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면 좌측 후단부에는 과냉각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기(130)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80)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더욱 냉각되도록 하는 것으로, 실외열교환기(18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상기 실외액관 (210")의 임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과냉각기(130)는 이중관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실외액관(210")이 내측에 구비되고, 외측에는 역이송관(1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과냉각기(130)의 출구로부터 역이송관(130')이 분지되고, 이러한 역이송관(130')에는 냉매를 팽창에 의해 냉각시키는 과냉각팽창밸브(130'a)가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과냉각기(13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역이송관(130')으로 유입되어 상기 과냉각팽창밸브(130'a)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냉매가 상기 과냉각기(130)를 역류하면서 내측의 냉매가 더욱 냉각되게 한다. 상기 과냉각기(130)를 빠져나온 역류냉매는 아래에서 설명할 어큐뮬레이터(132)로 다시 공급되어 순환된다.
한편 상기 과냉각기(130)의 출구에는 실외기(1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관온도센서(130a)가 설치되고, 상기 과냉각팽창밸브(130'a)의 출구에는 과냉각입구센서(130'b)가 구비되어 과냉각기(130)로 유입되는 역류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과냉각기(130)로부터 배출되는 역류냉매가 흐르는 역이송관 (130')에는 과냉각출구센서(130'c)가 구비된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한 냉매는 중앙부를 통해 흐르고 외부에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팽창된 저온의 냉매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냉매의 온도가 더 낮아지도록 한다.
상기 과냉각기(130)의 일측 즉, 실외열교환기(18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실내기(200)로 안내되는 실외액관(210")의 일측에는 드라이어(131,Drier)가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어(131)는 상기 실외액관(210")을 흐르는 냉매속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중앙부, 즉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 (120") 사이에는 어큐뮬레이터(132)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2)는 냉매를 저장하는 보조어큐뮬레이터(132")와 저장된 냉매를 흡입/분리 하여 기체상태의 냉매만을 압축기로 공급하는 주어큐뮬레이터(132')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132")의 상부에는 액체와 기체 2상으로 이루어진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냉매흡입관(132a)이 삽입되고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와 보조어큐뮬레이터(132")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관(132b)이 상기 어큐뮬레이터(132)들의 상부에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의 상부에는 냉매토출관(132c)이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 내부의 소정높이까지 삽입되어진다. 상기 냉매토출관(132c)은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내부에 분리된 기체냉매를 흡입하여 압축기(12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냉매토출관(132c)은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 외부에서 분지되어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로 냉매를 공급한다.
상기 각각의 어큐뮬레이터(132)는 액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데, 상기 실내기(20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 중 기체로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2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면, 냉매를 고온/고압 상태로 형성시키는 압축기(120)에 부하가 증가되어 압축기 (120)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132)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는 기상의 냉매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132)의 하부에 저장되고, 상부의 기체상태 냉매만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어큐뮬레이터(132)의 입구측에는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입배관온도센서(132d)와 냉매의 압력을 체크하는 저압센서(13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선단 양측에는 전방프레임(134,1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34,134')은 상기 베이스팬(110)의 선단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데, 좌측단에 설치되는 전방좌측프레임(134)과 우측단에 설치되는 전방우측프레임(134')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34,134')은 상기 전면상부브라켓(116), 전면그릴(114)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박스(140,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방좌측프레임(134)과 전방우측프레임(134')의 중앙부에는 중앙프레임(136)이 좌우로 구비된다.
상기 중앙프레임(136)의 하부에는 콘트롤박스(140,140')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40,140')는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콘트롤박스(140)와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콘트롤박스(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콘트롤박스(140)는 상기 전방좌측프레임(134)에 경첩(140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우측콘트롤박스(140')는 상기 전방우측프레임(134')에 경첩(140'a)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40,140')는 각각 전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전방은 상기 전면판넬(112)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콘트롤박스(140)에는 전압트랜스(142)와 커패시터(144) 등의 제어부품과 발열소자판(146)이 구비된다.
상기 발열소자판(146)의 후면에는 방열핀으로 이루어지는 방열부(14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콘트롤박스(140)의 후면 상단에는 방열팬(148)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방열팬(148)은 횡류팬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팬(148)이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으로 배출하게 되면 상기 방열부(146')에서의 열교환이 촉진되어 상기 발열소자판(146)이 냉각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40,140')의 측단은 각각 상기 전방프레임(134,134')에 경첩(140a,140'a)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경첩(140a,140'a)을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 부품의 애프터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박스(140,140')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프레임(136)에는 베리어(150)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50)는 상기 실외기(100) 내부를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상기 압축기(120)와 콘트롤박스(140,140') 등이 설치되는 하측과,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열교환기(180)가 설치되는 상측을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150)는 상기 콘트롤박스(140,140')와 마찬가지로 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베리어(150)는 상기 중앙프레임(136)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는 수평부(150')와, 상기 수평부(150')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5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베리어(150) 중 좌측 베리어(150)의 수평부(150')에는 공기안내공 (152)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안내공(152)의 상측에는 공기안내커버(154)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안내커버(154)는 전방과 상방이 차폐되고 후방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하부에 구비된 상기 방열팬(148)으로부터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후방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실외기(100)의 상면외관은 상면판넬(160)이 형성한다. 상기 상면판넬 (160)은 사각평판 형상을 가지며 좌우에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면판넬 (160)에는 통기공(162)이 형성되고, 통기공(162)의 테두리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원통형의 쉬라우드(164)를 형성한다. 상기 쉬라우드(164)는 상기 상면판넬(160)과 일체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쉬라우드(164)는 원통형으로 성형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송풍팬(170)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쉬라우드(164) 상측 즉, 상기 통기공(162)에는 통기공(162)과 대응되는 원형의 토출그릴(166)이 장착된다.
상기 쉬라우드(164)의 내측에는 송풍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70)은 하부에 구비되는 팬모터(172)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내부의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한다. 즉 상기 팬모터(172)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면, 이러한 팬모터(172)의 회전축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송풍팬(170)이 회전하여 공기를 상방으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팬모터(172)는 모터마운트(17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모터마운트 (174)는 사각평판의 고정판(174')과, 이러한 고정판(174')을 지지하는 지지대 (17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74")는 좌우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지지대(174")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174')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174")의 선단과 후단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면상부브라켓(116)과 아래에서 설명할 후면상부브라켓(194)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상면판넬(160)의 하부에는 실외열교환기(18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는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전후에 쌍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상면판넬(160)의 선단부 하측에 설치되는 전면열교환기(182)와, 상기 상면판넬(160)의 후단부 하측에 설치되는 후면열교환기(184)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열교환기(182)의 하반부는 후방으로 절곡된다. 즉 상기 전면판넬 (112)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수직부(182')와, 이러한 수직부 (182')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8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182")의 하단과 상기 후면열교환기(184)의 하단은 서로 인접하게 되고, 이러한 실외열교환기(18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110)과 소정의 거리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의 측면에는 상기 압축기(12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각 부분으로 분배하는 튜브조립체(180')가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외열교환기(180) 내부에는 열교환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교환기온도센서(180a)가 설치되고, 외측에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외온도센서 (180b)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의 하단 하측에는 드레인팬(186)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186)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여 측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면 좌측단과 우측단에는 측면판넬(188)이 설치된다. 상기 측면판넬(188)은 실외기(100)의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단부에는 배관출입공(188')이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110)의 후단에는 후면그릴(190)이 설치된다. 상기 후면그릴 (190)은 상기 후면열교환기(184)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후면그릴 (190)의 하측에는 후면판넬(192)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그릴(190)의 상단에는 후면상부브라켓(194)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후면상부브라켓(194)은 상기 후면그릴(190)의 상단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마운트(174)의 지지대(174") 후단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팬(110)의 후단 모서리에는 후방프레임(196)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프레임(196)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그릴(190)과 후면판넬 (192) 및 상면판넬(160)을 지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도 8 내지 도 1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하나의 실외기(100)에 다수의 실내기(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부분 또는 모든 실내기(200)가 작동된다.
공기조화기가 작동(냉방운전)되면, 상기 실외LEV(102)가 개방되어 냉매가 실외기(100)와 실내기(200) 사이를 유동한다. 이때 실내LEV(206)에 의해 냉매량이 조절되며 사용되지 않는 실내기(200)의 실내LEV(206)는 폐쇄된다.
우선, 실외기(100)에서의 냉매유동을 살펴보면, 실내기(20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냉매는 상기 4방향밸브(124)를 거친 다음 냉매흡입관(132a)을 통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132")로 유입되고 보조어큐뮬레이터(132")를 채운 냉매는 연결관 (132b)을 통해 주어큐뮬레이터(132')로 이송된다.
상기 압축기(120)가 동작하면 흡입력이 발생하여 상기 주어큐뮬레이터 (132')내부의 냉매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냉매토출관(132c)에 의해서 주어큐뮬레이터(132')내부의 기체냉매가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120)에 공급되는 냉매가 부족하거나, 압축기(120)가 과열되는 경우에는 상기 냉매분사기(120a)로부터 냉매가 공급된다.
상기 압축기(120)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로 토출되어 오일분리기(122)를 통과한다. 상기 오일분리기(122)에서는 냉매 중에 함유된 오일(oil)이 분리되어 상기 오일회수관(123)을 통해 상기 압축기(120)로 회수된다.
즉 상기 압축기(120)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오일(oil)이 냉매속에 섞이게 되는데, 이러한 오일은 액체상태이고 냉매는 기체상태이므로 기액분리기인 오일분리기(122)에서 분리된다.
한편 상기 정속압축기(120')와 인버터압축기(120")를 연결하고 있는 균유관(121)에 의해 양 측의 압축기(120) 내부 오일은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2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4방향밸1브(124)를 거쳐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는 응축기(냉방 모드일때)로 작용하므로 냉매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어 액냉매가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과냉각기(130)를 통과하면서 더욱 냉각된다.
상기 과냉각기(130)를 통과한 냉매는 냉매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131)를 거친 다음, 상기 공통액관(210)을 통해 실내기(20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120)를 통과한 냉매 중 일부는 상기 고저압공통관(214)을 통해 다른 실외기(100)로 유입되기도 한다.
상기 고저압공통관(214)을 통해 다른 실외기(100)로 공급되는 냉매는 정지중인 실외기(100)의 실외열교환기(180)로 유입되어 전체적으로 냉매압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정지중인 실외기(100)의 실외열교환기(180)를 통해서도 소정의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공통액관(210)을 통해 실내기(200)로 냉매가 공급되면, 공통액관(210)으로부터 분지된 분지액관(210')을 통하여 가동중인 각각의 실내기(200)로 냉매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204)에서 감압되고 실내열교환기 (202)에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202)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므로, 냉매는 열교환을 통해 저압가스가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분지기관(212')을 거쳐 상기 공통기관(212)으로 모아진 다음, 상기 실외기(100)로 유입된다. 상기 공통기관(212)과 실외기관(212")을 통해 실외기(100)로 유입된 냉매는 4방향밸브(124)를 거쳐 상기 냉매흡입관(132a)을 통해서 보조어큐뮬레이터(132")로 들어간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132")에서는 실내기로부터 들어온 냉매가 저장되어지고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132")의 상부에 연통된 연결관(132b)과 주어큐뮬레이터(132')내부의 냉매토출관(132c)에 의해서 미처 증발되지 못한 액체상태의 냉매는 걸러지고, 기체상태의 냉매만 선별되어 상기 압축기(1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하나의 사이클(cycle)이 완성된다.
한편 난방운전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며, 상기 실내기(200)의 실내LEV(206)가 개방되고, 실외LEV(102)에서 냉매량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외기(100)에서의 공기 유동을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팬모터(172)가 구동되어 송풍팬(170)을 구동한다. 상기 송풍팬(170)이 회전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전면그릴(114) 및 후면그릴(19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이때 공기조화기가 냉방으로 작용할 때에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고온의 공기가 되며, 반대로 난방으로 작동될 때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80)에 열을 빼앗겨 저온의 공기가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8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170)에 의해 상방으로 강제 송풍되며, 이때 상기 쉬라우드(164)가 공기의 상방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에 의한 가변 어큐뮬레이터의 작용을 도 12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실외기에서 열교환을 하고난 기체와 액체의 2상 상태의 냉매가 냉매흡입관(132a)을 통하여 보조어큐뮬레이터(132")로 공급되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132")에 상기 냉매가 저장되어진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132")와 주어큐뮬레이터(132')를 연통하는 연결관 (132b)을 통하여 기체 냉매는 주어큐뮬레이터(132')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의 내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냉매토출관(132c)을 통해서 기체냉매가 압축기(120)로 흡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냉매토출관(132c)은 상기 주어큐뮬레이터(132')의 외부에서 분지되어 인버터압축기(120")와 정속압축기(120')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서 사용되어지는 압축기(120)로 냉매가 공급되어진다.
한편 상기 2상 냉매중 액체냉매는 보조어큐뮬레이터(132")의 하면부터 쌓이게 되어 기체냉매와는 자연스럽게 분리가 되어지며 상기 어큐뮬레이터(132) 내부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20)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상기 압축기(120)로 흡기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2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으로 알맞은 양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120)로 공급되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압축기(120)의 회전이 빠르게 되면 많은양의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압축기(120)의 회전이 느리게 되면 적은양의 냉매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흡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에서는,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의 구조를 간결하게 하고 주어큐뮬레이터로부터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토출관을 단일배관으로 구성하여 각 압축기로 분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어떤 압축기의 동작에도 신속하게 기체상태의 냉매가 공급되어지고 또한 주어큐뮬레이터에서 나오는 배관이 단일배관으로 구성됨으로 인해서 보조 어큐뮬레이터와 압력불균형이 일어나더라도 압축기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로인해 냉매의 편중현상이 발생하게 되어도 보조어큐뮬레이터는 냉매의 저장소 역할을 수행하고 주 어큐뮬레이터에서 직접적으로 냉매가 압축기로 공급되므로 이러한 냉매의 편중현상에도 압축기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토출관의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압축기로의 오일공급 또한 원할하게 되어 오일의 회수율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전체 어큐뮬레이터를 구성하는 배관을 줄여서 내부구조를 간략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며 이로인해 제조원가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도 있으며 내부 배관공정의 감소로 용접슬러지 발생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시스템에 필요한 냉매유량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개의 어큐뮬레이터를 사용하면서도 압축기로 공급하는 냉매의 배관을 단일화 함으로 인해서 전체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은 변함없이 압축기 출력의 변화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반응하여 냉매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기조화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도.
도 2 는 종래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 및 냉매 흐름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3 은 종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종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는 종래기술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을 보인 개요도.
도 6 은 종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면판넬이 탈거된 상태의 내부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구성 및 냉매 흐름을 보인 블럭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상세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구조의 개략적인 단면을 보인 개요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전면판넬이 탈거된 상태의 내부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외기 102. 실외전자밸브
110. 베이스팬 112. 전면판넬
114. 전면그릴 116. 전면상부브라켓
120. 압축기 120'. 정속압축기
120". 인버터압축기 120a. 냉매분사기
121. 균유관 121'. 균유관온도센서
122. 오일분리기 123. 오일회수관
124. 4방향밸브 126. 밸브지지대
128. 서비스밸브 130. 과냉각기
130'. 역이송관 130'a. 과냉각팽창밸브
132. 어큐뮬레이터 132'. 주어큐뮬레이터
132". 보조어큐뮬레이터 132a. 냉매흡입관
132b. 연결관 132c. 냉매토출관
134,134'. 전방프레임 136. 중앙프레임
140. 좌측콘트롤박스 140'. 우측콘트롤박스
142. 전압트랜스 144. 커패시터
146. 방열소자판 146'. 방열부
148. 방열팬 150. 베리어
152. 공기안내공 154. 공기안내커버
160. 상면판넬 162. 통기공
164. 쉬라우드 166. 토출그릴
170. 송풍팬 172. 팬모터
174. 모터마운트 180. 실외열교환기
182. 전면열교환기 184. 후면열교환기
186. 드레인팬 188. 측면판넬
190. 후면그릴 192. 후면판넬
194. 후면상부브라켓 196. 후방프레임
200. 실내기 202. 실내열교환기
204. 팽창밸브 206. 실내전자밸브
210. 공통액관 210'. 분지액관
210". 실외액관 212. 공통기관
212'. 분지기관 212". 실외기관
214. 고저압공통관

Claims (6)

  1. 냉매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보조어큐뮬레이터와;
    2상 냉매를 분리하여 기체냉매를 배출하는 주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에는 냉매를 흡입하는 냉매흡입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와 보조어큐뮬레이터의 사이에는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와 보조어큐뮬레이터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에는 상기 부어큐뮬레이터에서 분리된 기체냉매를 토출하는 냉매 토출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토출관의 입구는 주어큐뮬레이터 내부의 소정높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토출관은 상기 주어큐뮬레이터의 외부에서 분지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각각의 압축기와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KR1020040004933A 2004-01-27 2004-01-27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KR20050077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933A KR20050077328A (ko) 2004-01-27 2004-01-27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933A KR20050077328A (ko) 2004-01-27 2004-01-27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328A true KR20050077328A (ko) 2005-08-02

Family

ID=3726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933A KR20050077328A (ko) 2004-01-27 2004-01-27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7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358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컨트롤박스
KR10076556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2645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2124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59307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2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KR200500751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308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시스템
KR100671568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024475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오일 공급구조
KR20050079463A (ko) 공기조화기
KR10059308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77328A (ko) 공기조화기의 가변 어큐뮬레이터 구조
KR10058428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상면판넬 결합구조
KR20050082476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분리기
KR1010894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2646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70022942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05008135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50082477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과냉각 구조
KR20050079464A (ko) 공기조화기의 오일조절 시스템
KR20050088539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61821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