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220A -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220A
KR20050077220A KR1020040005178A KR20040005178A KR20050077220A KR 20050077220 A KR20050077220 A KR 20050077220A KR 1020040005178 A KR1020040005178 A KR 1020040005178A KR 20040005178 A KR20040005178 A KR 20040005178A KR 20050077220 A KR20050077220 A KR 20050077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inorganic fiber
interlayer noise
foa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신동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코
Priority to KR102004000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7220A/ko
Publication of KR2005007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2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5Ceram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8Rockwoo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철골 구조물로 구성되는 통상의 공동주택의 건축 시 슬라브와 경량 콘크리트의 사이에 시공되어지는 층간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표면이 방수처리되고 두께 10-30mm, 밀도 60-300kg/㎥ 정도인 통상의 유리섬유, 암면, 세라믹섬유 등과 같은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구조물과 물리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조연결조직층을 도입하여, 층간소음방지재의 상부구조판의 진동을 제진하는 효과에 의해 1차적인 구조판의 진동량을 감소시켜 최종적인 소음발생량을 저감시키는 층간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구조연결조직층은 두께 2mm이하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공중합 섬유의 단독 또는 혼합물로 구성된 부직포나 펠트 또는 유리섬유로 구성되는 매트나 직물형태로서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접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 제조방법 {Production method of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s based on inorganic fiber felt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와 단열성 개선을 위해 충격소음의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열전도도가 낮은 바닥충격음 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두께 10-30mm의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구조물과 물리적인 결합이 가능한 구조연결조직층을 가진 층간소음방지재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소비자들은 주택에서 주거목적 이외에 보다 편안한 휴식과 문화생활, 나아가 실내 레저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인접세대나 외부로부터의 소음이나 진동에 대한 차단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주택공급자들은 이런 요구를 충족시키고 잠재적인 민원을 제거하기 위해 보다 안락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런 경향과 발 맞추어 바닥충격음관련 KS규정을 정비하고, 공동주택의 건축 시 최소한 달성하여야 하는 층간소음의 수준을 법규화 하는 등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은 이미 우리 사회의 중요한 사항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층간소음방지재 업계에서도 다양한 재료의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는데, 초기에는 폐타이어 분쇄물을 아크릴, 우레탄, 아크릴 등과 같은 접착제성분과 혼합하여 슬래브 위에 타설하고 압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는 이 완충재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콘크리트가 스며들기가 매우 용이하여 차음성과 단열성의 개선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52799호에서는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방음판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13495호 에서는 폐타이어 칩과 콜크분말을 이용한 흡음재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 두 가지 기술 모두 폐타이어 칩의 차음성과 단열성 저하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지는 못하며, 제품이 무겁고 시공이 불편한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8912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9741에서는 고분자발포재료의 표면에 돌출문양을 형성시켜 입사되는 소음의 흡수, 반사, 상쇄효과를 통해 차음성의 개선을 꾀하고 있으나 층간소음은 진동의 형태로 전달되므로 인용발명에서 기대하는 흡수, 반사, 상쇄효과를 통해 만족한 성능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287084호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발포성합성수지 분쇄물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또한 폐타이어 칩의 문제와 동일한 경향의 문제와 높은 열전도도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로 하는 수지성분에 비중이 높은 무기물을 충진시킨 차음쉬트도 층간소음방지재로 제안되어지는데, 이 경우는 높은 강성으로 인해 경량충격음의 개선효과가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99-00153469호에서는 알루미늄 호일이 중간에 삽입된 유리섬유 펠트의 표면을 아스콘과 방수필름으로 처리한 층간소음방지재를 제안하고 있으나, 단순히 유리섬유펠트를 사이에 공기전달음에 대한 차음력이 우수한 고비중의 알루미늄이 들어있어서 진동이 주요 요인인 층간바닥소음에 대해서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0318719호에서는 2개의 유리섬유 펠트를 아스콘으로 접착하고 양표면은 아스콘과 방수필름으로 처리한 층간소음방지재를 제안하고 있는데, 이렇게 단순히 복합층 구조로 진동전달 경로를 차단하고자 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아스콘의 총 도포량이 증가할수록 동탄성계수가 높아져 차음성능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무기섬유를 기초로 하는 펠트형 층간소음방지재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우수한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보다 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상하 구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바닥충격음 저감성능이 현재보다 개선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고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며 표면에 흡습방지 처리가 된 층간소음방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섬유형태를 기초로 하는 구조연결조직층을 위치시킬 경우 일정 수준의 차음성능이 개선되는 현상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철골 구조물로 구성되는 통상의 공동주택의 건축 시 슬래브와 경량 콘크리트의 사이에 시공되어지는 층간소음방지재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유리섬유, 암면, 세라믹섬유 등과 같은 무기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과 같은 유기섬유의 펠트를 기초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재는 경량콘크리트의 시공 시 흡습을 방지하기 위해 그 상하부의 표면을 방수 처리하게 되는데, 펠트제품을 슬래브 상부에 시공하고 난 후 그 위에 방수를 위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연질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는 유기 고분자성 필름을 덧시공하고 벽체쪽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시공 전에 펠트제품의 표면에 전술한 각종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해 상부나 상하부에 처리하여 바로 시공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다 보면 방수필름을 덧시공 하는 방법에서는 시공이 어려운 것은 당연하고, 상부의 방수필름과 펠트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져 있지 않고, 상부의 방수필름 또한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해 그 위에 시공되는 경량콘크리트와의 접착력도 매우 낮아 구조적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사전에 펠트의 표면을 방수필름으로 처리하여 시공하는 경우는 전술한 덧시공의 경우보다 다소 유리하지만 이 방법 또한 필름의 매끄러운 표면특성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데는 한계를 가진 방법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경량콘크리트 입자의 침투가능하며 양생 후에는 일정 수준이상의 접착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섬유형태의 부직포나 펠트 또는 유리섬유 소재의 얇은 매트나 직물을 무기섬유 펠트 상부에 접착하여 층간소음방지재와 상부의 경량콘크리트의 물리적 연결구조를 형성시키는 구조연결조직층을 도입하여 바닥충격음 차음성능의 개선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층간소음방지재의 기초가 되는 무기섬유 펠트는 두께가 10-30mm, 밀도는 60-300kg/㎥정도가 적합하며, 무기섬유 펠트의 제조는 유리면을 제조하는 방법인 용융 액상의 유리면을 단섬유 형태로 제조하면서 바인더 성분을 혼합하여 고정시킨 형태나, 장섬유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카딩공정으로 얇은 박막을 적정하여 니들펀칭으로 제조한 형태 등 무기섬유의 펠트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펠트를 말하며, 여기에는 유리면, 암면, 미네랄울, 세라믹 펠트, E-글라스 니들매트, 바살트 매트 등이 있다. 무기섬유 펠트의 두께가 10mm 이하이면 아무리 후가공을 한다고 해도 15mm 이상의 층간소음방지재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이 경우에는 건물바닥의 열관류저항 규정치에 미달하는 제품을 얻게 되고, 무기섬유 펠트의 두께가 30mm 이상이면 최종 층간소음방지재의 두께가 30mm를 넘게되어 시공 시 바닥 높이의 증가로 인한 건물 층고문제로 현실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제품을 얻게 된다. 또한 무기섬유 펠트의 밀도가 60kg/㎥이하이면 압축강도가 너무 낮아 사공 후 건물바닥의 안정성확보가 어렵고, 바닥의 균열현상의 원인이 되며, 무기섬유 펠트의 밀도가 300kg/㎥이상이면 최종 층간소음방지재의 중량이 6kg/㎡이상이 되므로 시공이 매우 까다로울 뿐 아니라 무기섬유 펠트의 장점인 다공질에 의한 에너지 투과손실 개선효과가 감소하여 바닥충격음의 차음효과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무기섬유 펠트 상부에 접착되어져 층간소음방지재와 경량콘크리트의 물리적 연결역할을 하는 구조연결조직층은 두께 2mm이하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공중합 섬유의 단독 또는 혼합물로 구성된 부직포나 펠트 또는 유리섬유로 구성되는 매트나 직물형태로서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접착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이 구조연결조직층을 무기펠트의 상부에 접착함에 있어서 통상의 각종 유기 접착제나 아스콘을 사용할 경우 방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기섬유 펠트의 표면을 기존의 아스콘과 방수필름으로 처리하고, 그 방수 필름 위에 다시 접착하거나, 구조연결조직층의 하부에 방수필름을 먼저 처리하고 난 후 무기섬유 펠트에 접착제나 아스콘으로 접착하는 방법이 가능한데, 공정 상 구조연결조직층을 방수 처리하여 무기섬유 펠트에 접착하는 후자의 방법이 유리하다. 이때 구조연결조직층의 아래 표면을 방수 처리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저분자량 올레핀 왁스 등의 단독 또는 혼합물 형태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합지하거나 필름으로 제조하는 공정에서 얇은 다이를 통해 압출되는 용융수지를 바로 구조연결조직층에 부착시키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 만약 이러한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연결조직층은 경량콘크리트의 입자가 침투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메키니즘을 가지는데 두께가 2mm를 넘으면 경량콘크리트 내의 수분도 동시에 흡수되기 때문에 경량콘크리트의 건조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얇은 형태의 구조연결조직층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무기섬유 펠트의 진동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나 하부에 각종 발포체를 복합화 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한데, 사용 가능한 발포체는 두께가 10mm이하인 폴리에틸렌 발포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제, 폴리스티렌 발포체, 합성고무 발포체, 열가소성탄성재료 발포체, 폴리염화비닐 단독 또는 혼합물의 발포체 등이 있다.
콘크리트나 콘크리트 철골 구조의 공동주택을 건축하는 공정 상 층간소음방지재는 대개 기초슬래브와 경량콘크리트의 사이에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층간소음방지재가 시공되지 않은 구조에서는 충격원이 위층의 바닥을 충격하면 구조적으로 일체화된 슬래브와 경량콘크리트층, 마감몰탈층이 진동하고, 이 진동은 고체 구조물을 통하여 아래층의 천장과 벽체를 진동시켜 발생하는 소음이 현재 문제가 되고있는 층간소음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층간소음방지재를 시공하는 경우는 슬래브와 슬래브의 상부구조를 분리시키는 뜬바닥 구조를 형성하여 충격원이 바닥을 충격하면 슬래브 상부 구조층이 진동하고 그 진동이 층간소음방지재를 통과하여 슬래브와 벽체를 진동시키고 하부층의 천장과 벽체까지 전달된 진동이 소리로 변환되어 아래층의 소음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층간소음방지재가 있고 없음에 따라 그 소음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실제 건축물에서 대개 5-10dB정도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그 상황을 확인하면 바닥충격음 중에서도 경량충격음의 경우는 층간소음방지재의 사용으로 5-10dB의 개선효과가 발생되지만 중량충격음의 경우는 충격원의 충격량이 높기 때문에 구조물이 진동하는 특성과 맞물려 아무리 층간소음방지재를 시공한다고 하여도 개선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량충격음의 개선은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개선하는 슬래브 두께의 증가, 건물구조의 변경 방법이 효과적인 개선책이며, 경량충격음의 개선은 층간소음방지재의 시공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층간소음방지재의 적용에 의한 바닥충격음의 저감은 경량충격음의 저감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당연하며, 층간소음방지재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진동량의 저감은 두께가 20mm라는 유사한 재질로는 유사한 수준의 저감량만을 얻을 수 없기에 보다 많은 저감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요인인 조절하여야 하는데, 그것이 본 발명에서는 나아가 충격원의 바닥 충격 시 최종적인 아래층 천장과 벽체의 진동은 가장 초기에 발생하는 슬래브와 층간소음방지재의 상부층의 진동을 얼마나 적게 하느냐는 또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층간소음방지재의 상부에 구조연결조직층을 두어 층간소음방지재와 경량콘크리트층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적으나마 구조판의 진동을 제진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1차적인 진동량이 감소하게 그것에 따라 더 많은 폭으로 2차 3차 진동의 감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1차 진동의 미세저감을 통해 최종적인 진동과 소음의 발생량을 비교적 많이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1)
밀도가 140kg/㎥이고 두께가 20mm인 E-글라스 니들매트 상부에 두께가 0.7mm이고 아래 면에 두께가 30㎛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이 융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아스콘을 이용해 접착하고, 하부는 두께가 5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아스콘을 이용해 접착하여, 층간소음방지재를 제조하였다. 이 층간소음방지재를 이용한 여러 가지 실험결과를 하기 표-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펠트는 하기 표-1과 같이 사용하고, 구조연결조직층은 하기 표-1의 펠트상부 처리 내용과 같이 실시예 2)에서는 두께가 0.8mm인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사용하고, 실시예 3)에서는 두께가 1.8mm인 폴리에스테르와 저융점폴리에스테르수지가 혼합된 폴리에스테르 펠트를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4)에서는 두께가 1.5mm인 유리섬유 직물로서 E-글라스 얀 크로스(Yarn Cloth)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 펠트로서 밀도가 250kg/㎥이고 두께가 15mm인 E-글라스 니들매트를 사용하고, 무기섬유 펠트 하부에는 밀도가 0.03, 두께가 5mm인 폴리에틸렌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 펠트로서 밀도가 220kg/㎥이고 두께가 15mm인 E-글라스 니들매트를 사용하고, 무기섬유 펠트 하부에는 밀도가 0.062, 두께가 5mm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 펠트로서 밀도가 110kg/㎥이고 두께가 17mm인 E-글라스 니들매트를 사용하고, 무기섬유 펠트 하부에는 밀도가 0.1, 두께가 3mm인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재료인 듀퐁사의 하이트렐(Hytrel)의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구조연결조직층을 사용하지 않고 펠트하부에 방수 처리한 아스콘과 폴리에틸렌 필름만으로 무기섬유 펠트의 상하층을 모두 처리한 층간소음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2)
상기 비교실시예 1)에서 E-글라스 니들매트 층의 중간에 두께가 0.05mm인 알루미늄 호일을 삽입하여 무기섬유 펠트를 제조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3)
상기 비교실시예 1)에서 E-글라스 니들매트 층의 중간에 두께가 0.3mm 정도의 아스콘층을 도입하여 무기섬유 펠트를 제조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 펠트인 E-글라스 니들매트의 밀도를 50kg/㎥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 펠트인 E-글라스 니들매트의 밀도를 320kg/㎥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구조연결조직층인 펠트상부 처리를 두께가 3.2mm인 폴리에스테르 펠트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10)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기섬유 펠트를 E-글라스 니들매트 대신에 각각 실시예 8)에서는 밀도 85kg/㎥, 두께 20mm인 세라믹울 매트를 사용하고, 실시예 9)에서는 밀도 96kg/㎥, 두께 25mm인 글라스울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10)에서는 밀도 60kg/㎥, 두께 25mm인 미네랄울 매트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번호 무기섬유 펠트 펠트 상부처리 펠트 하부처리
재질 밀도 두께 재질 두께 재질 두께
실시예1 EGNM 140 20 PP 부직포 0.7 PE 필름 0.05
실시예2 EGNM 140 20 PET 부직포 0.8 PE 필름 0.05
실시예3 EGNM 180 20 PET 펠트 1.8 PE 필름 0.05
실시예4 EGNM 140 20 GF 직물 1.5 PE 필름 0.05
실시예5 EGNM 250 15 PP 부직포 0.7 PE 발포체 5
실시예6 EGNM 220 15 PP 부직포 0.7 EVA발포체 5
실시예7 EGNM 110 17 PP 부직포 0.7 TPEE발포체 3
비교실시예1 EGNM 140 20 PE 필름 0.05 PE 필름 0.05
비교실시예2 EGNM 140 20 PE 필름 0.05 PE 필름 0.05
비교실시예3 EGNM 140 20 PE 필름 0.05 PE 필름 0.05
비교실시예4 EGNM 50 20 PP 부직포 0.7 PE 필름 0.05
비교실시예5 EGNM 320 20 PP 부직포 0.7 PE 필름 0.05
비교실시예6 EGNM 180 20 PET 펠트 3.2 PE 필름 0.05
실시예8 CM 85 20 PP 부직포 0.7 PE 필름 0.05
실시예9 GW 96 25 PP 부직포 0.7 PE 필름 0.05
실시예10 MW 60 25 PP 부직포 0.7 PE 필름 0.05
EGNM : E-글라스 니들매트
CM : 세라믹울 매트
GW : 글라스 울 매트
MW : 미네랄 울 매트
PP : 폴리프로필렌
PET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약자로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함.
GF : 글라스화이바의 약자로 유리섬유를 의미함.
PE : 폴리에틸렌
EVA :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TPEE : Thermoplastic Poly Ether etser Elastomer의 약자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탄성재료를 의미함.
번호 총두께 소음성능 열전도도 흡수율 비고
실시예1 21 54.5 0.033 9
실시예2 21 54.7 0.034 12
실시예3 22 55.4 0.033 54
실시예4 22 55.2 0.033 7
실시예5 20 53.5 0.036 21
실시예6 20 54.1 0.035 19
실시예7 20 52.7 0.035 12
비교실시예1 20 57.8 0.033 - 차음성 다소불량
비교실시예2 21 59.7 0.041 - 차음성,단열성불량
비교실시예3 21 63.4 0.042 - 차음성,단열성불량
비교실시예4 21 59.2 0.042 11 차음성,단열성불량
비교실시예5 21 62.4 0.037 8 차음성 불량
비교실시예6 24 52.6 0.034 1246 흡수량 불량
실시예8 21 55.4 0.039 12
실시예9 25 55.5 0.040 14
실시예10 26 55.8 0.041 11
총두께 : 표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층간소음방지재의 실측두께로 단위는 mm임.
소음성능 : 경량충격음의 차음성능을 측정 및 평가기준인 KS F 2810-1에 준해 측정하고, KS F 2868-1에 의해 평가하였는데, 다만 소음성능의 비교를 위해 역A기준곡선을 0.1dB단위로 상하이동하며 기준곡선 대비 초과 값의 합이 10.0dB을 넘지 않는 레벨을 읽어 차음성능수준을 비교하였다.
열전도도 : KS L 9016에 준해 20℃에서 평판열류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W/mK로 본 발명의 본문에서 언급한 kcal/mhr℃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0.86을 곱하여야 한다
흡수율 : 상부 표면의 구조연결조직층의 흡수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KS F 2273의 7.1 표면흡수 시험방법에 준해 수면 높이 20mm, 시험표면의 크기는 100mmX100mm로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g/㎡임.

Claims (4)

  1. 무기섬유로 구성되고 표면에 흡습방지 처리가 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방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A)무기섬유로 구성된 두께 10-30mm의 펠트와 (B)이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에 섬유형태를 기초로 하는 구조연결조직층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재의 제조방법.
  2. 상기 청구항 1에서 무기섬유 펠트(A)는 밀도 60-300kg/㎥인 유리면, 암면, 미네랄울, 세라믹 펠트, E-글라스 니들매트, 바살트 울 매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재의 제조방법.
  3. 상기 청구항 1에서 섬유형태를 기초로 하는 구조연결조직층(B)은 두께가 2mm이하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공중합 섬유의 단독 또는 혼합물로 구성된 부직포나 펠트이거나, 유리섬유로 구성되는 매트나 직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재의 제조방법
  4. 상기 청구항 1에서 무기섬유 펠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두께가 10mm이하인 폴리에틸렌 발포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제, 폴리스티렌 발포체, 합성고무 발포체, 열가소성탄성재료 발포체, 폴리염화비닐 발포체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재의 제조방법.
KR1020040005178A 2004-01-27 2004-01-27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KR20050077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78A KR20050077220A (ko) 2004-01-27 2004-01-27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5178A KR20050077220A (ko) 2004-01-27 2004-01-27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220A true KR20050077220A (ko) 2005-08-01

Family

ID=3726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178A KR20050077220A (ko) 2004-01-27 2004-01-27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72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00B1 (ko) * 2007-12-28 2009-05-14 주식회사 우진아이소 층간소음재 조성물 제조방법
KR20200065191A (ko) * 2018-11-29 2020-06-09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00B1 (ko) * 2007-12-28 2009-05-14 주식회사 우진아이소 층간소음재 조성물 제조방법
KR20200065191A (ko) * 2018-11-29 2020-06-09 (주)엘지하우시스 건축용 복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단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097B2 (en) Acoustic enhancement device for underlayment of a covering
KR101269110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과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US20100282539A1 (en) Composite material multilayered membrane with sound insulating and sound absorbing to mitigate impact noise
KR100653596B1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건식형 다층부상구조
KR100398073B1 (ko) 충격음 저감재와 이를 이용한 뜬바닥 시공방법
António et al. Impact sound transmission provided by concrete layers incorporating cork granules
CA2329880C (en) Composite sound insulation system for room boundary surfaces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20030012958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KR20050077220A (ko) 무기섬유 펠트를 기초로 하는 공동주택 층간소음방지재의제조방법
KR100730700B1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JP2005509771A (ja) 音響伝播を減衰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200374808Y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0625774B1 (ko) 층간 차음재 및 그 시공 방법
KR200419652Y1 (ko)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0378944Y1 (ko) 댐핑시트를 구비한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KR20070110630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KR200411167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102647410B1 (ko) 온돌바닥
KR200201314Y1 (ko) 현장 타설형 공동주택 바닥용 방음(방진), 단열 내장재
CN211037356U (zh) 一种空心楼板隔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