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132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132A
KR20050077132A KR1020040004849A KR20040004849A KR20050077132A KR 20050077132 A KR20050077132 A KR 20050077132A KR 1020040004849 A KR1020040004849 A KR 1020040004849A KR 20040004849 A KR20040004849 A KR 20040004849A KR 20050077132 A KR20050077132 A KR 2005007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ther
map
switching
data driver
dither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7132A/ko
Publication of KR2005007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드라이버 IC (Data Driver IC)의 발열을 줄이고 과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은, 데이터 구동부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더 마스크(Dither Mask)의 단위 사이즈 또는 각 프레임에 따라서 하나의 계조 표현에 대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디더맵(Dither Map)으로 매핑하는 다수의 디더맵 매핑 단계, 상기 다수의 디더맵 중 제1 디더맵으로 계조 표현을 매핑하여 이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서 각 출력단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더맵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각 셀에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의 각 출력단 중 상기 제1 디더맵에 매핑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블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디더맵 매핑 단계에서 기 매핑된 제2 디더맵으로 전환하여 이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디더맵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DRIVING METHOD FOR PLASM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이하, "PDP"라 한다)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드라이버 IC (Data Driver IC)의 발열을 줄이고 과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PDP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PDP에 화상을 표현하는 방법은 어드레스(address) 기간 동안에 스캔(Scan) 전극에 가해지는 스캔 펄스 신호와 동기된 신호를 통하여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하고, 데이터 드라이버 IC를 통하여 해당 스캔 시간에 "High" 또는 "Low"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어드레스 방전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최근 PDP를 구동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제한된 개수의 서브 필드(Sub Field)를 가지고 의사윤곽 저감 등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충분한 계조 표시가 힘든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부족한 계조를 만회하기 위하여 디더링(Dithering)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디더링이란 컴퓨터 그래픽스(CG)에서 표시 장치나 인쇄기의 능력(해상도)을 초과하는 다계조(多階調)의 색의 화상을 근사하게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을 말한다. 디더링은 화상의 각면을 다른 계조 색의 도트(dot)의 집합으로 처리하는 기술에 의존하며, 흑백 표시 장치나 인쇄기에서는 화상의 어떤 임의의 면 내의 흑색 도트와 백색 도트의 비율에 따라서 화상 전체가 특정한 계조의 회색으로 보이게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컬러 표시 장치나 인쇄기에서는 적색 도트와 백색 도트의 비율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계조의 분홍색으로 보이게 한다.
도 1은 종래 PDP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에서 데이터 배열 및 화상 표현을 위한 구동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데이터 드라이버 IC(101)는 화상 표시를 위하여 Column 방향으로 해당 포트(port)의 출력이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스캔 주기 별로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서 스위칭 펄스를 인가하는 모습을 구조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서는 데이터 스위칭 횟수를 갖는 화상이 일정 시간 지속해서 해당 셀에서 표시되도록 데이터를 입력받아 스위칭 동작을 하며, 만일 소정의 임계 조건을 초과하는 데이터 스위칭 횟수를 갖는 화상이 일정시간 동안 지속하여 표시되는 경우는 상기 임계 조건을 초과하는 스위칭 동작으로 인하여 데이터 드라이버 IC(10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상 표시를 위한 데이터 스위칭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각 출력 포트는 주기별로 계속 ON, OFF를 반복하는 반복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 때문에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 발열이 증가하고 과열로 인한 파손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과도한 스위칭 동작으로 인한 과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E/R Driving 을 적용하거나 또는 변형된 데이터 스위칭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E/R Driving 및 변형된 데이터 스위칭 알고리즘은 별도 부품이 증가됨으로써 그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가 있으며, 또한 어느 정도의 화질 열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제한된 개수의 서브 필드를 이용하여 디더링 방법으로 부족한 계조 표시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특정 계조 표시 시 인접 스캔 라인 별로 데이터의 변화가 많아져서 스위칭의 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발열 확률이 증가하고 전체적으로 신뢰성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만일 단순히 데이터 구동부 전체의 평균 전류만으로 스펙(Spec)에 제한을 두는 경우에는 특정한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만 집중되는 과다한 스위칭이 요구되는 화상 표현의 경우 이에 해당되는 특정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Stress) 검출이 어려워져서 해당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과열 및 이로 인한 파손이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한된 서브 필드의 조건하의 PDP 구동에 있어서,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과열을 방지하고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PDP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은, 데이터 구동부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더 마스크(Dither Mask)의 단위 사이즈 또는 각 프레임에 따라서 하나의 계조 표현에 대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디더맵(Dither Map)으로 매핑하는 다수의 디더맵 매핑 단계, 상기 다수의 디더맵 중 제1 디더맵으로 계조 표현을 매핑하여 이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서 각 출력단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더맵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각 셀에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의 각 출력단 중 상기 제1 디더맵에 매핑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블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디더맵 매핑 단계에서 기 매핑된 제2 디더맵으로 전환하여 이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디더맵 전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칭 횟수의 카운팅(Counting)은 해당 블록의 소정 개수의 프레임을 대상으로 개별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를 카운터하여, 기준 스위칭 설정값을 초과하는 프레임의 갯수를 카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더맵 전환 단계에서 전환되는 제2 디더맵은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있어서 디더 마스크 사이즈가 상기 제1 디더맵에서의 디더 마스크 사이즈와 달리 설정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더맵 전환 단계에서 전환되는 제2 디더맵은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있어서 해당 프레임 별로 제1 디더맵과 다른 형태로 매핑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은, 다수의 디더맵을 이용하여 동일 또는 근사 계조를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더맵은 데이터 전극의 스위칭 횟수를 달리하는 디더 마스크 또는 맵핑방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정되며, 특정의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더맵의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흐르는 평균 데이터 전류값이 과부하에 해당되는 임계값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특정 계조 표현을 위한 제1 디더맵에서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평균 전류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는 임계값 이하의 전류가 흐르도록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특정 계조 표현을 위한 또 다른 제2 디더맵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카운터를 통한 디더맵 전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동일 또는 근사 계조를 데이터 전극의 스위칭 횟수를 달리하도록 하여 다수의 디더맵(Dither Map)으로 매핑한다(S201).
특정 계조에 대하여 동일 또는 근사의 계조 표현을 위한 디더맵은 디더 마스크의 단위 사이즈를 달리 구성하여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일한 계조 표현이 2×2 마스크 또는 4×4 마스크로 마스크의 단위 사이즈만 변화하여 디더맵이 달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스위칭을 고려하여 임계값 이하가 되는 디더맵으로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크기와 모양 또는 값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동일 계조 표현에 대한 다수의 서로 다른 디더맵이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더링 마스크는 프레임 별로 다른 종류의 마스크를 번갈아 가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스위칭을 고려하여 임계값 이하가 되는 디더맵으로 전환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대한 다수의 디더맵을 설정(S201)한 후, 초기 설정된 디더맵에 해당하는 계조 표현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드라이버 IC(101)를 구동한다(S203).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출력단은 계조 표현을 위한 스캔 주기별로 계속하여 스위칭 동작으로 나타내어 지며, 이와 같은 스위칭을 통한 펄스파는 "High" 또는 "Low" 펄스 신호가 데이터 전극으로 인가되어 해당 셀이 ON 또는 OFF가 되면서 화상이 적절히 디스플레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셀의 매트릭스 어레이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펄스파가 인가되고 있으며, 수직방향의 라인을 블록(block), 수평방향의 라인을 프레임(frame)이라 명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각 출력단에 해당하는 블록(block)에서 기존 디더맵 상의 매핑된 계조를 나타내기 위한 펄스파 출력, 즉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스위칭을 채크하여 임의의 블록에서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 즉 임계값을 초과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205).
이와 같은 카운팅 동작은 해당 블록의 소정 개수의 프레임을 대상으로 개별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를 카운터하고 이것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가에 대한 판단이 된다.
즉, 특정의 계조를 표시하기 위하여 현재 디더맵의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흐르는 평균 데이터 전류값이 과도한 스위칭 동작으로 인하여 과부하에 해당하는 임계값 이상이 되는지 판단을 하는 것이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판단 결과,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스위칭 동작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하여 현재 디더맵으로 계조 표현을 위한 드라이버 구동을 속행한다(S210).
만일 판단 결과, 임계값을 초과한 블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이 가능한 다른 제2의 디더맵으로 맵을 전환하여 계조 표현을 수행한다(S220).
전환된 제2 디더맵으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 IC(101)를 구동하던 중 다시 임계값이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다른 동일 계조표현이 가능한 디더맵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특정 계조 표현에 대한 과도한 스위칭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는 동일 계조 표현이 가능한 다른 디더맵으로 계속 전환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여 과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당 스위칭 횟수의 카운터를 통하여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스위칭이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은 현재 디더맵으로 계조표현이 진행되고 있는 순간의 화상 표시 화면을 정지한 상태에서의 디더맵을 통한 화상 표시를 나타낸 개념도라고 할 수 있다.
도 3에서 종축 라인은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의 출력단에 해당되는 블록(NCB1, NCB2, … NCBi)들을 나타내며, 횡축 라인은 각 프레임(1_Frame, 2_Frame, 3_Frame)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NCBj는 j번째 블록에서 m개의 프레임 동안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가,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서 정상적인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한계점인 임계값을 넘는 프레임의 갯수를 의미한다. 만일 임계값이 초과된 블록이 존재한다면 데이터 드라이버 IC(101)에는 과도한 스위칭에 따른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한 IC(101)의 과열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임계값은 데이터 드라이버 IC(101)를 고려하여 설계시 가장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다.
이하 상기 임계값을 CL이라 한다.
상기 NCBj값이 카운팅 주기(tc) 동안 소정의 임계값이 CL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임의의 j번째 블록에서 m개 프레임 동안에 각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가 임계값을 넘는 블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일 NCB1 내지 NCBi의 소정 조합의 블록 중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과부하가 걸리고 있는, 즉 임계값을 초과하는 NCBj (1≤j≤m)블록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과정을 통하여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과부하 상태가 검출될 것이며, 이 경우 디더맵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무엇보다도 데이터 전극부를 블록화 한 것이나 블록 당 특정 기간인 소정 주기(tc) 동안 임계값 이상의 스위칭을 하는 횟수를 모두 카운팅하지 않고, 이와 같이 단위 시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당 또는 소정 조합 내에서 임계값을 넘는 블록의 갯수를 카운팅 하는 이유는 Control IC를 ASIC화 할 때 카운터의 크기 및 갯수를 최소화 하기 위한 목적이다. 즉, 구동회로의 메모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보다 효과적인 구동을 이루기 위한 목적에서 이와 같은 카운팅 방법을 적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 또는 근사 계조를 표현하는 제1 및 제2 디더맵을 나타낸 것이다. 무엇보다도 동일 계조를 표현하는 다른 디더맵은 확률적으로 무수히 많은 갯수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 계조에 대한 다수의 디더맵 설정이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며, 도 4의 단편적인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 중 대표적인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도 4에서는 4×4 셀을 갖는 디더맵에서 1/2이라는 동일 계조를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데이터 드라이버의 스위칭 수를 다르게 하여 구성한 디더맵에 해당된다. 즉, 동일 계조를 표시하면서도 도 4(a)와 도 4(b)는 ON 셀의 위치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데이터 드라이버에서의 인가되는 펄스가 도 4(a)에서는 보다 잦은 스위칭이 요구되지만, 도 4(b)에서는 그 스위칭 횟수가 줄어들면서도 동일 계조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걸리는 부하가 상대적으로 더욱 적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마스크 사이즈를 어떻게 가져가는 가에 따라서도 디더맵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프레임 별로 디더맵을 다르게 가져간다면 더욱 다양한 계조 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이 가능한 제1 디더맵과 제2 디더맵에서 임계 데이터 전류에 따른 맵간의 도약(Hopping)을 그래프 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동일 계조 표현이 가능한 제1 디더맵과 제2 디더맵은 디더 마스크 사이즈 및 매핑 방법에 따라 데이터 전극의 스위칭 횟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계조 표현에 있어서 제1 디더맵은 P1 지점에서 임계 데이터 전류값을 초과하는 과도한 스위칭이 요구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맵 전환을 통하여 임계치 이하에 해당하는 동일계조 포인트인 제2 디더맵의 포인트 P2로 도약(Hopping) 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무리를 주지 않고서도 동일 또는 근사한 계조표현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이후 다른 특정 계조 표현에서 제2 디더맵 상으로 임계 데이터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다시 제1 디더맵으로 도약하여 계속적으로 맵을 전환하면서 계조 표현을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서브 필드의 조건하의 PDP 구동에 있어서,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과열을 방지하고 화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PDP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스위칭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이 가능한 제2의 디더맵으로 맵 전환을 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과열로 인한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카운터의 갯수 및 사이즈를 최소로 하면서 별도의 부품 추가 없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PDP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에서 데이터 배열 및 화상 표현을 위한 구동 방식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카운터를 통한 디더맵 전환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당 스위칭 횟수의 카운터를 통하여 임계값 초과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디더맵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 또는 근사 계조를 표현하는 제1 및 제2 디더맵을 나타낸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일 계조에서의 디더맵 도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데이터 드라이버 IC 1_Frame: 제1 프레임
2_Frame: 제2 프레임 m_Frame: 제m 프레임
NCB1: 첫번째 블록에서 m개 프레임 동안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가 임계값을 넘는 프레임 갯수
NCB2: 두번째 블록에서 m개 프레임 동안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가 임계값을 넘는 프레임 갯수
NCB3: 세번째 블록에서 m개 프레임 동안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가 임계값을 넘는 프레임 갯수
Dither Map_1: 제1 디더맵 Dither Map_2: 제2 디더맵
H: Hopping
P1: 제1 디더맵에서 임계 데이터 전류값 이상이 나오는 계조 포인트
P2: 동일 계조 상에서 제1 디더맵으로부터 도약(Hopping) 가능한 제2 디더맵의 계조 포인트

Claims (7)

  1. 데이터 구동부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더 마스크(Dither Mask)의 단위 사이즈 또는 각 프레임에 따라서 하나의 계조 표현에 대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디더맵(Dither Map)으로 매핑하는 다수의 디더맵 매핑 단계,
    상기 다수의 디더맵 중 제1 디더맵으로 계조 표현을 매핑하여 이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서 각 출력단으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더맵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각 셀에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의 각 출력단 중 상기 제1 디더맵에 매핑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블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디더맵 매핑 단계에서 기 매핑된 제2 디더맵으로 전환하여 이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인가하는 디더맵 전환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횟수가 기준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위칭 횟수의 카운팅(Counting)은 해당 블록의 소정 개수의 프레임을 대상으로 개별 프레임 당 데이터 스위칭 횟수를 카운터하여, 기준 스위칭 설정값을 초과하는 프레임의 갯수를 카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맵 전환 단계에서 전환되는 제2 디더맵은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있어서 디더 마스크 사이즈가 상기 제1 디더맵에서의 디더 마스크 사이즈와 달리 설정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맵 전환 단계에서 전환되는 제2 디더맵은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있어서 해당 프레임 별로 제1 디더맵과 다른 형태로 매핑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5. 다수의 디더맵을 이용하여 동일 또는 근사 계조를 표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더맵은 데이터 전극의 스위칭 횟수를 달리하는 디더 마스크 또는 맵핑방법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정되며,
    특정의 계조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디더맵의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드라이버 IC에 흐르는 평균 데이터 전류값이 과부하에 해당되는 임계값 이상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특정 계조 표현을 위한 제1 디더맵에서의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평균 전류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는 임계값 이하의 전류가 흐르도록 데이터 드라이버 IC의 스위칭이 이루어지는 특정 계조 표현을 위한 또 다른 제2 디더맵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맵 전환 단계에서 전환되는 제2 디더맵은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있어서 디더 마스크 사이즈가 상기 제1 디더맵에서의 디더 마스크 사이즈와 달리 설정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맵 전환 단계에서 전환되는 제2 디더맵은 동일 또는 근사 계조 표현에 있어서 프레임 별로 제1 디더맵과 다른 형태로 매핑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040004849A 2004-01-26 2004-01-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20050077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49A KR20050077132A (ko) 2004-01-26 2004-01-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49A KR20050077132A (ko) 2004-01-26 2004-01-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132A true KR20050077132A (ko) 2005-08-01

Family

ID=3726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849A KR20050077132A (ko) 2004-01-26 2004-01-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71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64B1 (ko) * 2004-07-09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638214B1 (ko) * 2005-03-02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796684B1 (ko) * 2006-03-29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64B1 (ko) * 2004-07-09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처리 방법
KR100638214B1 (ko) * 2005-03-02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796684B1 (ko) * 2006-03-29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512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画像表示方法
EP0924684B1 (en) Method of compensating for the differences in persistence of the phosphors of a plasma display panel
US6593903B2 (en)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JP2008129420A (ja) 表示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ラドライバ
US20060044224A1 (en)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a display
EP1901268A2 (en) Gas discharge display device
US20050243028A1 (en) Display panel drive method
KR100570614B1 (ko) 고부하 화면의 계조 표현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JP2006085167A (ja) サブフィールド符号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5007713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08937B1 (ko) 고효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계조 표현 방법및 그 방법을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EP1445755A2 (en) Display device
JP4032737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943951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7004755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1826742B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EP1585093A2 (en) Driving method of an electroluminescent or plasma display panel
KR100517366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오차 확산 처리 회로
KR100517365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오차 확산 처리 회로
JPH11288244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7000193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KR1005362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6382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859692B1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517367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오차 확산 처리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