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262A -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262A
KR20050076262A KR1020040004176A KR20040004176A KR20050076262A KR 20050076262 A KR20050076262 A KR 20050076262A KR 1020040004176 A KR1020040004176 A KR 1020040004176A KR 20040004176 A KR20040004176 A KR 20040004176A KR 20050076262 A KR20050076262 A KR 20050076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ortable terminal
call
microphon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092B1 (ko
Inventor
윤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0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하울링 방지 방법이,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HOWLING IN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휴대폰은 보다 작고 가벼운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통신기기업체들의 연구에 따라 몸의 일부로 부착할 수 있을 정도로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폰은 그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폰을 귀에 대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피커폰 통화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상기 스피커폰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은 추가적인 핸드프리키트 없이 적당한 거리(70cm ~ 1m)에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스피커의 충분한 음량뿐만 아니라 마이크의 충분한 이득 또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마이크 경로의 이득을 증가시킬 경우, 상기 스피커로 나오는 소리가 다시 마이크로 들어가기 때문에 하울링 발생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하울링 방지 방법이,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은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은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폰부171을 통해 스피커171로 출력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172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스피커폰부17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잭180에 이어폰이 삽입 시,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폰부171을 통해 스피커171로 출력하여 재생하며, 또한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이어폰이 삽입된 이어잭18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30은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은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데이터처리부1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송화음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14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상기 카메라부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50은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60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은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1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입력부1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 정보를 처리한 후 RF부123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123 및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 시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1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은 데이터처리부120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160 상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스피커폰 모드 선택 시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180에 이어폰이 삽입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과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 시 스피커와 마이크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하울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 도 4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키를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하는 401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콜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이를 감지하고 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콜 발생을 알린다. 상기 콜 발생을 인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로를 형성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통화로 형성 후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180에 이어폰이 삽입되어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도 2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어잭180에 이어폰200이 삽입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6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이어폰200의 마이크202는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입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고정시키는데, 예를 들어 차량 안의 경우 운전석에 앉은 사용자의 입과 가장 가까운 선바이저에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선택하는 제어신호(MIC_SELECT)를 전송하여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온(ON) 시키도록 제어한다. 동시에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SPK_SELECT)를 스위칭부(S/W)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을 온(ON)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만을 온 시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은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폰부171을 통해 스피커171로 출력하여 재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은 송신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이어폰이 삽입된 이어잭18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202를 통해 송화음을 입력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171을 통해 수화음을 출력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407단계에서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통화수행 중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 종료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10은 408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수행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콜 발생 시 통화수행과정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콜 발생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수행 중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에도 본원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폰 모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이득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스피커폰의 사용이 용이하며, 하울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이어폰이 삽입 시 스피커와 마이크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하울링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3)

  1. 휴대단말기의 스피커폰모드에서 하울링 방지 방법에 있어서,
    스피커폰 모드에서 이어폰 삽입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와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삽입 시,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를 오프시키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마이크를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입과 가까운 부분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04176A 2004-01-20 2004-01-20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KR10060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176A KR100606092B1 (ko) 2004-01-20 2004-01-20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176A KR100606092B1 (ko) 2004-01-20 2004-01-20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262A true KR20050076262A (ko) 2005-07-26
KR100606092B1 KR100606092B1 (ko) 2006-07-28

Family

ID=3726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176A KR100606092B1 (ko) 2004-01-20 2004-01-20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50A2 (ko) * 2009-09-10 2011-03-17 바이오사운드 랩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52680B2 (en) 2015-06-0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by electronic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050A2 (ko) * 2009-09-10 2011-03-17 바이오사운드 랩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1031050A3 (ko) * 2009-09-10 2011-06-16 바이오사운드 랩 통신기기의 음성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652680B2 (en) 2015-06-0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by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092B1 (ko) 200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2059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EP1662761B1 (en) Method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3487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ata in a wireless terminal with normal video communication mode and image mute mode
KR100547741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606092B1 (ko) 휴대 단말기의 하울링 방지 방법
JP4600643B2 (ja) 文字表示機能を有するテレビ電話装置及びテレビ電話装置における音声の文字変換表示方法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3438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 셋 간의 통화수행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58434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스피커 겸용 이어폰의 제어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KR100605936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소리음 자동변환 방법
JP2005252774A (ja) テレビ付き携帯電話機
JP3806592B2 (ja) 携帯通信機器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KR100630095B1 (ko) 휴대단말기의 저전압에 따른 동작 제어방법
KR10079014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635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간 표시방법
KR1007133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모드에서 수신된 콜을 종료하는장치 및 방법
KR10075462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진동에 따른 동작수행 방법
KR20070051178A (ko) 휴대단말기의 라디오 청취방법
KR20090084489A (ko) 휴대단말에서 화상통화 방법 및 장치
KR20060012184A (ko) 이어폰 신호를 이용한 볼륨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24014A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형성 알림 방법
JP2001127860A (ja) 携帯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