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883A -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 Google Patents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883A
KR20050075883A KR1020040003251A KR20040003251A KR20050075883A KR 20050075883 A KR20050075883 A KR 20050075883A KR 1020040003251 A KR1020040003251 A KR 1020040003251A KR 20040003251 A KR20040003251 A KR 20040003251A KR 20050075883 A KR20050075883 A KR 20050075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ter
bracket
support bar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75494B1 (en
Inventor
경윤현
Original Assignee
경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윤현 filed Critical 경윤현
Priority to KR102004000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494B1/en
Publication of KR2005007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4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포가 개재되는 다수개의 여과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액체속에 혼합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액상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을 제공하고, 이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를 제공한다. 브라켓은 하부판, 상부판, 제 1 수평판, 제 2 수평판 및 가이딩 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포 지지바, 가이딩 바,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여과포 지지바는 여과판 상부에서 여과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여과판의 양측에 개재되는 여과포의 끝단이 고정되며, 양단이 여과판의 양측에 결합된 브라켓의 가이딩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위치된다. 가이딩 바는 가이딩 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여과포 지지바가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여과포 지지바의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 1 수평판과 제 2 수평판에 각 양단이 고정된다. 스프링은 제 2 수평판과 여과포 지지바 사이에서 가이딩 바에 결합되어 여과포 지지바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for a filter press for separating any kind of liquid mixed in a liquid into a filtrate and a cake by continuously installing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erposed with a filter cloth, and automatically detaching the cake of the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Provide the device. The bracket includes a lower plate, an upper plate, a first horizontal plate, a second horizontal plate, and a guiding hole, and a cake press detaching device of the filter press includes a filter cloth support bar, a guiding bar, and a spring. Here,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at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plate, and the ends of the filter cloth inter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are fixed, and both ends thereof are inserted to slide in the guiding holes of the bracket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do. The guiding bar is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guiding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guiding bar are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through holes formed at the ends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allow sliding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he spring is coupled to the guiding bar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Description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본 발명은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필터프레스의 여과판에 결합시켜서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브라켓 및 액상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공정을 수행한 후 여과포에 의해 걸러진 케이크를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상기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for a filter press and an automatic device for detaching a cake of a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filtrate and a cake, which are combined with a filter plate of a filter press to effectively use a sp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ake desorption apparatus for a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a cake filtered by a filter cloth after performing a separating process.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10-2001-0021801, 10-2001-0070964, 10-2003-0000797, 10-2003-0036750, 10-2003-0037776 및 10-2003-0040568 등을 통해 처리효율 및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프레스 및 관련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The present inventors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10-2001-0021801, 10-2001-0070964, 10-2003-0000797, 10-2003-0036750, 10-2003-0037776 and 10-2003-0040568, etc., the process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use Various filter presses and related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increase the

이와 같은 필터프레스는 식품, 제철, 염색, 섬유, 안료, 염료, 양조, 제련, 상하수도, 폐수처리 등 액체속에 혼합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액상(슬러리)을 여액(탈수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자에 의한 필터프레스 및 관련기술에 의하면 비교적 소규모의 시설로도 대량의 액상 처리대상물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처리할 수 있는 장점있다.This filter press is used to separate any kind of liquid (slurry) mixed in the liquid, such as food, steel, dyeing, fiber, pigment, dye, brewing, smelting, water and sewage treatment, into filtrate (dehydration) and cake. do. According to the filter press and related technologies by the present invento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the liquid treatment object can be separated into a filtrate and a cake even in a relatively small facility.

이와 같은 필터프레스는 무인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지만, 사용자들이 만족할 정도로 공정진행시 완전자동화가 실현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개선방향은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가장 문제점 중의 하나는 각종 자동화 장치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필터프레스는 다수개의 여과판을 연속설치하여 열고 닫으면서 공정을 진행하게 되므로 여기에 자동화를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자동화의 실현은 필터프레스 여과판의 주위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있다는 점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런데 필터프레스의 여과판은 공정진행시 열고 닫히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여과판의 주위 공간에 각종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고정구가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tried to realize the unmanned automation of such a filter press, but the reality is that full automation is not realized at the time of process progress to the satisfaction of users. Although there are various forms of improvement, one of the problems is that various automation devices cannot be effectively installed. In other words, since the filter press proceeds with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 series, there are many problems in installing an apparatus for automation. The present inventors therefore considered very important that the realization of automation for the filter press is to effectively use the space around the filter press filter plate. However, since the filter plate of the filter press repeats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during the process, in order to install various devices in the space around the filter plate, a fixtur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it effectively is inevitably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프레스의 여과판에 안정적으로 다양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프레스의 완전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tisfy such a ne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for a new type of filter pres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plete automation of the filter press by stably installing a variety of devices on the filter plate of the filter press. have.

또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의 다양한 개발에도 불구하고 필터프레스를 공정진행시 발생되는 케이크를 효과적으로 탈리시키는 점에서는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슬러리의 처리공정시 발생되는 여액은 다양한 처리장치와 재활용장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고 공정상에서 발생되는 케이크를 후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제안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필터프레스 자체에서 케이크를 완벽히 탈리시키고 다음 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점에 있어서는 만족할 수준의 기술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크 탈리의 문제점은 본 발명자에 의한 필터프레스 뿐만아니라 종래 다른 형태의 필터프레스에서도 만족스럽게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필터프레스의 무인 자동화를 막는 장벽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addition, despite the various developments of the present inventors as mentioned, it can be said that the filter press is insufficient in effectively desorbing the cak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In other words, the filtrate generated during the slurry treatment process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a variety of processing devices and recycling devices, and various devices and methods for post-processing the cake generated in the process has been proposed and utilized, but the filter press itself is perfect In terms of desorption and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next process, a satisfactory level of technology is not provided. Such a problem of cake detachment has not been satisfactorily perfo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as well as other types of filter presses by the present inventors, which is a barrier preventing unattended automation of the filter presse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터프레스를 사용하여 액상의 처리시 발생되는 케이크를 용이하게 탈리키시므로써 필터프레스의 완전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상기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bject is to use a new type of the bracket that can contribute to the complete automation of the filter press by easily eliminating the cak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liquid using the filter pre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cake removal device for a filter pres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여과포가 개재되는 다수개의 여과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액체속에 혼합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액상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스크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홀이 수직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스크류의 조임에 의해서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여과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여과판의 측면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 제 1 수평판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for separating any kind of liquid mixed in the liqui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erposed filter cloth into the filtrate and cake The lower plate is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screw passes are arranged vertical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by tightening the screw; An upper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and position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lter plate; And a first horizontal plate formed to extend in a lateral outward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from an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vertically penetrated ho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평판의 아래 방향에 상기 제 1 수평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수평판 및; 상기 제 1 수평판과 제 2 수평판 사이의 상기 상부판 상에서 상기 여과판과 평행하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딩 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Such a bracket for a filter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plat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ing hole formed to pass through in parallel with the filter plate on the upper plat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판은 상단에 상기 여과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하부판이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여과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Such a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lower plate further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on the top, the locking protrusion has the lower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Whe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대해 상기 여과판의 측면 밖으로 기울기를 갖는 중간판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이 상기 여과판의 측면의 상측영역 밖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connected via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 slope out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of the filter plate 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여과포가 개재되는 다수개의 여과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액체속에 혼합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액상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기 위해 하부판, 상부판, 제 1 수평판, 제 2 수평판, 가이딩 홀을 구비한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 상부에서 상기 여과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판의 양측에 개재되는 여과포의 끝단이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여과판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브라켓의 가이딩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위치되는 여과포 지지바와; 상기 가이딩 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여과포 지지바가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포 지지바의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 1 수평판과 제 2 수평판에 각 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딩 바 및; 상기 제 2 수평판과 상기 여과포 지지바 사이에서 상기 가이딩 바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포 지지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erposed with a filter cloth in succession to separate any kind of liquid mixed in the liquid into the filtrate and cake, the upper plate, In the automatic filter cake removal device of the filter press using a plate, a first horizontal plate, a second horizontal plate, a bracket having a guiding hole, disposed on the filter plate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on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A filter cloth support bar on which an end of an interposed filter cloth is fixed, and both ends of the filter cloth are slidably inserted into a guiding hole of the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The guid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uid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allow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slide Ding bars and; And a spring coupled to the guiding bar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포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판이 열렸을 때 상기 여과판 지지바에 상하 충격을 주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상기 여과판을 닫거나 열기 위해 상기 여과판을 지지하는 사이드 바에 설치된 여과판 이송부재에 결합되는 컬럼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 이송부재에 의해 상기 여과판이 이동될 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Such a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tor which is positioned on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to impact the filter plate support bar up and down when the filter plate is opened. In this case, the motor may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a column coupled to a filter plate transfer member installed on a side bar supporting the filter plate to close or open the filter plate so that the motor may be operated when the filter plate is moved by the filter plate transfer memb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은 여과판의 이송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판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터프레스의 공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브라켓은 후술하는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적용하여 여과포가 효과적으로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여과판에서 케이크의 탈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coupled to the filter plate while preventing the interference of the filter plate from being transported, so that various types of devices for the process of the filter press can be effectively installed as show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uch a bracket is applied to the automatic cake removal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o allow the filter cloth to vibrate effectively so that the removal of the cake from the filter plate can be made eff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ㆍ고정을 위한 보강 리브(판), 볼트 및 나사, 홀, 와셔, 너트 및 각 요소간의 유로연결을 위한 라인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필터프레스 및 관련 요소들의 기본적인 구성 및 설치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 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for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in FIGS. 1 to 6. On the other hand, in each drawing, the illustration of the reinforcing ribs (plates), bolts and screws, holes, washers, nuts, and lines for connecting the flow paths between the elements is briefly omitted or omitted. The illustration of the part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basic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the elements has been omitted, and is shown centering on the parts related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re are parts in which the size ratio between the elements is somewhat different or the sizes between the components coupled to each other are different. However, the differences in representation of the drawings ar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을 수직 중심으로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a filter p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racket of Figure 1 in a vertical cent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은 상부판(20), 하부판(30) 및 중간판(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브라켓(10)은 일반 구조용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였는데, 다른 재질의 금속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 주조 또는 주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0)은 상부판(20), 하부판(30) 및 중간판(4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였고, 전체적으로 채널형의 단면을 갖도록 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0)은 중간판(40)을 여과판(100)의 측면에 대해 여과판(100)의 측면 밖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상부판(20)과 하부판(30)을 연결하도록 하므로써 상부판(20)이 여과판(100)의 측면의 상측영역 밖에 위치되도록 하여, 여과판(100)의 상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은 후술하는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서와 같이 여과판의 위부분에 설치되는 요소{여과판 지지바(50), 도 3 참조}와의 간섭을 피하게 된다. 1 and 2, the b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20, a lower plate 30, and an intermediate plate 40. Such a bracket 10 was formed by pressing a general structural plate, it may be formed by the same method, casting or casting using a metal of a different material.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10 has the upper plate 20, the lower plate 30, and the intermediate plate 40 integrally formed, and has an overall channel-shaped cross section to improve the strength.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acket 10 has the upper plate 20 and the lower plate 30 so as to connect the upper plate 20 and the lower plate 30 to have an inclination out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100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100. The plate 20 is positioned outside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100,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filter plate 100 can be effectively used. Effective use of such spaces avoids interference with elements (filter plate support bar 50, see FIG. 3) installed above the filter plate, such as in the automatic cake removal device described below.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에서 하부판(30)은 스크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홀(34)이 수직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스크류의 조임에 의해서 여과판(100)의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부판(20)은 하부판(30)으로부터 연장되어 여과판(1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부판(20)의 상단에는 제 1 수평판(24)이 형성된다. 이 제 1 수평판(25)은 상부판(20)의 상단으로부터 여과판(100)의 측면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홀(2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은 필터프레스를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후술하는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와 달리 단순히 여과포를 지지하는 경우 여과포 지지바(50)를 바로 제 1 수평판(24)의 홀(25)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b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late 30 is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holes 34 through which the screw passes are vertically aligned, and is tight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100 by tightening the screw. The upper plate 20 extends from the lower plate 30 and is form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lter plate 100.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20. The first horizontal plate 25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20 in the lateral outward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100, and a vertically penetrated hole 25 is formed.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b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nstall a device for automating the filter press. For example, unlike the cake automatic desorption apparatus to be described later, when simply supporting the filter cloth,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may be directly fixed through the hole 25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은 제 1 수평판(24)의 아래 방향의 상부판(20)의 하단에 제 2 수평판(26)이 형성된다. 이 제 2 수평판(26)은 제 1 수평판(2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제 1 수평판(24)의 홀(28)과 같은 위치에 관통되는 홀(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수평판(24)과 제 2 수평판(26)의 사이의 상부판(20) 상에는 가이딩 홀(22)이 형성된다. 이 가이딩 홀(22)은 여과판(100)과 평행하게 관통되어 형성되어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여과포 지지바(50) 등이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판(30)의 상단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32)는 여과판(1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하부판(30)이 여과판(100)의 측면에 밀착되었을 때 여과판(100)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32)는 여과판(100)의 상면에 밀착되므로써 여과판(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하부판(30)과 함께 브라켓(10)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Meanwhile, in the b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6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and is formed with a hole 27 penetrating at the same position as the hole 28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The guiding hole 22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20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6. The guiding hole 22 is formed to penetrate in parallel with the filter plate 100 so that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and the like are positioned a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3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plate (30). The locking protrusion 32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100 so that the lower plate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100 when the lower plate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plate 100. Such a locking projection 32 is fixed to the bracket 10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100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은 여과판(100)의 이송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여과판(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후술하는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와 같은 필터프레스의 공정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coupled to the filter plate 100 while preventing interference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filter plate 100 to perform a process of a filter press such as a cake automatic desorption apparatus described below. To effectively install various types of devices.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적용하여 여과포를 지지하면서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5는 도 3에서 브라켓에 결합되는 여과포 지지바 및 이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3 and 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utomatic cake detachment device of the filter press to apply the bracke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ive elasticity while supporting the filter cloth, Figure 5 is coupled to the bracket in Figure 3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and the configuration to give it elasticity.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은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판(100)의 양측에 배치되는 여과포(105)를 여과판(100)의 상단에서 고정하고 이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여과공정의 완료 후 여과판(100)을 이송시킬 때 여과포에 진동에 의해 여과포(105)에 부착된 케이크가 탈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판(20), 중간판(40), 하부판(30), 제 1 수평판(24), 제 2 수평판(26) 및 가이딩 홀(22) 등을 구비한 브라켓(10)을 적용하여 필터프레스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간섭 등을 피하면서 필터프레스의 여과판(100) 주위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치된다. 3 to 5, the bracket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very usefully applied to the automatic cake removal device. Automatic cak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lter cloth 105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100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plate 100 so that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filter plate after completion of the filtration process When conveying the 100, the cake attached to the filter cloth 105 by vibration to the filter cloth is to be detached.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ake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pper plate 20, the intermediate plate 40, the lower plate 30,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6. ) And the bracket 10 having the guiding holes 22 and the like are installed to effectively use the space around the filter plate 100 of the filter press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filter pres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포 지지바(50)를 여과판(100) 상부에서 여과판(100)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하고 여기에 여과판(100)의 양측에 개재되는 여과포(105)의 끝단을 고정하여 여과포(105)를 지지한다. 이 여과포 지지바(50)는 양단이 여과판(100)의 양측에 결합된 전술한 브라켓(10)의 가이딩 홀(2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를 위해 여과포 지지바(50)의 전후면에는 상하에 설치된 삽입 슬롯(54)에 의해 삽입 홈(56)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여과포(105)의 상단(및/또는 하단)에 철심을 넣어 구성한 후 이를 삽입 홈(56)에 넣고 양측의 여과포(105)를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 여과포 지지바(50)는 양측단에 형성되는 홀(52)을 통해 삽입되어 브라켓(10)의 제 1 수평판(24)과 제 2 수평판(26)에 와셔와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딩 바(60)에 의해 브라켓(10)의 가이딩 홀(22)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된다. In the automatic cake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100 on the filter plate 100 and inter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100. The tip of the filter cloth 105 is fixed to support the filter cloth 105.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is positioned so that both ends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ing hole 22 of the above-described bracket 1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100. To this end, the insertion grooves 56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by the insertion slots 54 installed above and below. Such a configuration is to put the iron core in the upper end (and / or lower) of the filter cloth 105 and to put it into the insertion groove 56 to function to fix the filter cloth 105 on both sides.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is inserted through a hole 52 formed at both ends, and is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24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6 of the bracket 10 by washers and nuts. The guiding bar 60 is slidable up and down in the guiding hole 22 of the bracket 1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포 지지바(50)에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여과판(100)이 열리고 이동될 때 여과포(105)에 부착된 케이크가 진동에 의해 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여과포 지지바(50)의 하부에는 스프링(70)이 설치된다. 이 스프링(70)은 제 2 수평판(26)과 여과포 지지바(50) 사이에서 가이딩 바(60)에 결합되어 여과포 지지바(50)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automatic cake de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to be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cake attached to the filter cloth 105 falls by vibration when the filter plate 100 is opened and moved. . To this end, a spring 70 is installed below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The spring 70 is coupled to the guiding bar 60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26 and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so that an elastic force acts on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이와 같이 브라켓(10), 여과포 지지바(50), 가이딩 바(60), 스프링(70)으로 이루어지는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여과판(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여과판(100)의 하부 또는 상하부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출원 2003-0080880의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와 연계되는 것으로, 위 선출원의 기술적 설명 내용이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e automatic cake detachment device consisting of the bracket 10,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the guiding bar 60, and the spring 7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plate 100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it can be configured by installing in the lower or upper portion of the filter plate 100. Meanwhile, the automatic cake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automatic cake detachment apparatus of the filter press of the patent application 2003-0080880, which is filed by the inventor, and the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above application can be referred to. will b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적용하여 여과포를 지지하면서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utomatic filter desorption apparatus of the filter press to apply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ive elasticity while supporting the filter cloth.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는 모터(80)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케이크의 탈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여과포 지지바(50)의 상부에 모터(80)를 설치하여 여과판(100)이 열렸을 때 여과판 지지바(50)에 상하 충격을 주어 여과포(105)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터(80)는 사이드 바(120)의 측면에서 왕복되면서 여과판(100)을 이송시키는 여과판 이송부재(130)에 결합되어 여과판(100)의 이송과 동일하게 이송되는 컬럼(90)에 설치되어, 여과판(100)을 닫거나 열 때 여과포 지지바(50)의 상부에 주기적인 충격을 가해서 여과포(105)를 진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컬럼(90)은 'ㄷ'자형으로 하여 필터프레스 양측에 설치되는 여과판 이송부재(130)에 결합시켜서 상부에 모터(80)를 설치하고 그 로드를 컬럼(90)의 내측으로 연장시켜서 여과판 지지바(50)를 타격시키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판 이송부재(130)에 의해 여과판(100)을 이송시킬 때 여과판 지지바(50)를 수차례 때려서 여과포(105)에 진동을 가하도록 하였다. 이때 모터(80)의 제어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터프레스의 메인 콘트롤러 또는 메인 콘크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받는 별도의 콘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above-mentioned automatic cake detachment apparatus may additionally install a motor 80 to increase the detachment effect of the cake. That is, by installing the motor 8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when the filter plate 100 is opened to give a vertical impact to the filter plate support bar 50 to vibrate the filter cloth 105. The motor 80 is coupled to the filter plate transfer member 130 for transferring the filter plate 100 while being reciprocated from the side of the side bar 120 and installed in the column 90 that is transfer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fer of the filter plate 100. When the filter plate 100 is closed or opened, a periodic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50 to vibrate the filter cloth 105.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umn 90 has a 'c' shape and is coupled to the filter plate conveying member 130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filter press to install the motor 8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90. It extends inward to hit the filter plate support bar 50. By such a configuration, the automatic cak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its the filter plate support bar 50 several times when the filter plate 100 is transferred by the filter plate transfer member 130 to the filter cloth 105. Vibration was applied. At this time, the control of the motor 80 may be made by a separate controller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or the main controller of the filter press, although not show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utomatic cake desorption apparatus of the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described for example and the pres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에 의하면, 필터프레스의 구조 및 작동상 발생되는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면서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등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필터프레스에서 여유공간으로 남는 여과판의 측면 및 상부 공간을 사용하여 필터프레스의 자동화를 위한 각종 장치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는 여과판내에 남는 케이크를 여과포로부터 효과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으므로, 이어지는 공정에서 여과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여과포의 세정공정 주기를 늘려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정의 진행시 작업자가 개입하지 않고도 케이크의 탈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필터프레스의 무인운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install the automatic cake desorption apparatus while overcoming the spatial limitations generated 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lter press, so that the side and upper space of the filter plate remaining as a free space in the filter pres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stall various devices for the automation of the filter press. In addition, the automatic filter desorption device of the filter press using such a bracket can effectively desorb the cake remaining in the filter plate from the filter cloth, which can further increase the filtering effect in the subsequent process and increase the cleaning process cycle of the filter cloth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Since the cake can be detached automatically without the operator's intervention during the process, the filter press can be operated unattend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a filter p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을 수직 중심으로 절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racket of Figure 1 in a vertical center;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적용하여 여과포를 지지하면서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들;3 and 4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automatic cake detachment device of the filter press to apply the brack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art elasticity while supporting the filter cloth;

도 5는 도 3에서 브라켓에 결합되는 여과포 지지바와 이에 탄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coupled to the bracket in Figure 3 and the configuration to give it elasticit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적용하여 여과포를 지지하면서 탄성을 부여하도록 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utomatic filter desorption apparatus of the filter press to apply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give elasticity while supporting the filter cloth.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브라켓 20 : 상부판10: bracket 20: top plate

22 : 가이딩 홀 24 : 제 1 수평판22: guiding hole 24: first horizontal plate

26 : 제 2 수평판 27, 28, 34, 52 : 홀26: second horizontal plate 27, 28, 34, 52: hole

30 : 하부판 32 : 걸림돌기30: lower plate 32: locking projection

40 : 중간판 50 : 여과포 지지바40: intermediate plate 50: filter cloth support bar

54 : 삽입 슬롯 56 : 삽입 홈54: insertion slot 56: insertion groove

60 : 가이딩 바 70 : 스프링 60: guiding bar 70: spring

80 : 모터 90 : 컬럼80: motor 90: column

Claims (8)

여과포가 개재되는 다수개의 여과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액체속에 혼합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액상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In the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for separating a plurality of liquid phase mixed in the liquid into the filtrate and cake by continuously installing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erposed with filter cloth, 스크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홀이 수직으로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스크류의 조임에 의해서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하부판과;A lower plate which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the screw passes is arranged vertically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by tightening the screw;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여과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판 및;An upper plate extending from the lower plate and position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filter plate; 상기 상부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여과판의 측면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수직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 제 1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A bracket for a filter pre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horizontal plate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in the lateral outward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the vertically penetrated hole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수평판의 아래 방향에 상기 제 1 수평판과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판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수평판 및;A second horizontal plat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upper plate to correspond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late; 상기 제 1 수평판과 제 2 수평판 사이의 상기 상부판 상에서 상기 여과판과 평행하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가이딩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And a guiding hole formed on the upper plat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so as to penetrate in parallel with the filter pl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하부판은 상단에 상기 여과판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하부판이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여과판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The lower plat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lter plate at the upper end,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when the lower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Bracket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대해 상기 여과판의 측면 밖으로 기울기를 갖는 중간판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이 상기 여과판의 측면의 상측영역 밖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via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n inclination out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is positioned outside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은 상기 여과판의 측면에 대해 상기 여과판의 측면 밖으로 기울기를 갖는 중간판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이 상기 여과판의 측면의 상측영역 밖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를 위한 브라켓.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via an intermediate plate having an inclination out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so that the upper plate is positioned outside the upper region of the side of the filter plate bracket for the filter press . 여과포가 개재되는 다수개의 여과판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액체속에 혼합되어 있는 어떠한 종류의 액상을 여액과 케이크로 분리시키기 위해 하부판, 상부판, 제 1 수평판, 제 2 수평판, 가이딩 홀을 구비한 브라켓을 사용한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에 있어서, It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an upper plate, a first horizontal plate, a second horizontal plate, and a guiding hole to continuously install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erposed with filter cloths to separate any kind of liquid mixed in the liquid into the filtrate and the cake. In the automatic cake desorption apparatus of the filter press using a bracket, 상기 여과판 상부에서 상기 여과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여과판의 양측에 개재되는 여과포의 끝단이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여과판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브라켓의 가이딩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위치되는 여과포 지지바와;The filter plat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late, the ends of the filter cloth interpos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is fixed, both ends are inserted so as to slide in the guiding hole of the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lter plate. A filter cloth support bar being; 상기 가이딩 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여과포 지지바가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여과포 지지바의 끝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 1 수평판과 제 2 수평판에 각 양단이 고정되는 가이딩 바 및;The guide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guid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th ends are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plat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te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end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allow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slide Ding bars and; 상기 제 2 수평판과 상기 여과포 지지바 사이에서 상기 가이딩 바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포 지지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 And a spring coupled to the guiding bar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plate and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여과포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여과판이 열렸을 때 상기 여과판 지지바에 상하 충격을 주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It is located on top of the filter cloth support bar further comprises a motor for vertically impacting the filter plate support bar when the filter plate is opened, the cake press automatic detaching device of the filter press.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모터는 상기 여과판을 닫거나 열기 위해 상기 여과판을 지지하는 사이드 바에 설치된 여과판 이송부재에 결합되는 컬럼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여과판 이송부재에 의해 상기 여과판이 이동될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의 케이크 자동 탈리장치.The motor is installed so as to be supported by a column coupled to the filter plate transfer member installed on the side bar supporting the filter plate to close or open the filter plate is operated when the filter plate is moved by the filter plate transfer member. , Cake automatic stripping device.
KR1020040003251A 2004-01-16 2004-01-16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KR100575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251A KR100575494B1 (en) 2004-01-16 2004-01-16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251A KR100575494B1 (en) 2004-01-16 2004-01-16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883A true KR20050075883A (en) 2005-07-25
KR100575494B1 KR100575494B1 (en) 2006-05-03

Family

ID=3726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251A KR100575494B1 (en) 2004-01-16 2004-01-16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49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91B1 (en) * 2006-02-17 2007-01-02 김기태 Filter media cleaner for filter press
KR100734930B1 (en) * 2006-08-16 2007-07-06 이건호 Filter press having automatic sludge remov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599B1 (en) 2007-03-22 2007-10-04 한국필터 주식회사 Transfer device for addition apparatus of filter-pr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191B1 (en) * 2006-02-17 2007-01-02 김기태 Filter media cleaner for filter press
KR100734930B1 (en) * 2006-08-16 2007-07-06 이건호 Filter press having automatic sludge remov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494B1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7154C1 (en) Highly efficient press filter
KR100575494B1 (en) Bracket for filter press and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using the bracket
EP1842477A1 (en) Dish washer
KR100824593B1 (en) Filter assembly
CN201287006Y (en) Back-flushing filter deslagging device
KR100436847B1 (en) Automatic cake release apparatus of filter press
KR101195669B1 (en) Filter press available of removing cake and filter plate device therefor
KR20020082047A (en) Filter press
CN212467329U (en) Dye recovery equipment for printing and dyeing textile
CN213699041U (en) Chemical liquid medicine residual liquid collecting device for PCB production
CN211513587U (en) Photosensitive resist filter
US20040065067A1 (en) Dust-proof filter apparatus
KR200376474Y1 (en) A Electronic Contactor with the Auxiliary Contact Unit
CN219112159U (en) Adjustable high-frequency vibrating screen
KR101012163B1 (en) Filter plate rotatable filter cloth
CN220738666U (en) But belt cleaning device of quick detach maintenance
CN210019208U (en) Cleaning tool
KR100709337B1 (en) Rake of screen for waste water treatment
KR100916338B1 (en)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CN216878600U (en) A active carbon adsorption case for adsorbing organic waste gas
CN111657799A (en) Cleaning tool
CN219854127U (en) Cylinder block frock board
KR200405870Y1 (en) Cake separation system of filterpress
CN219323943U (en) Filter equipment with replaceable filter element
CN215102154U (en) Domestic wastewater membrane treat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