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650A -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650A
KR20050075650A KR1020040003593A KR20040003593A KR20050075650A KR 20050075650 A KR20050075650 A KR 20050075650A KR 1020040003593 A KR1020040003593 A KR 1020040003593A KR 20040003593 A KR20040003593 A KR 20040003593A KR 20050075650 A KR20050075650 A KR 2005007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ersity
transmit
transmission
stt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5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회
서동연
구현희
이경규
신요안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650A/en
Publication of KR2005007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65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magnify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 및 수신단에서의 신호대간섭비(SNR)을 동시에 만족시키며, 하향링크에서 고품질 및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당한 복합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송신 심볼간 직교성을 갖는 개방 루프형 STTD-OTD 시스템과 수신단에서의 최대 SNR을 유도하기 위해 송수신 안테나 가중치를 이용하는 폐쇄 루프형 MRT 시스템을 결합하여,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 및 수신단에서의 SNR을 동시에 중대시킬 수 있는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diversity system and method that satisfies both spatio-temporal diversity gain and signal-to-interference ratio (SNR) at the receiving end, and is suitable for high quality and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in downlink. A combined transmit diversity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space-time diversity gain and the SNR at the receiver by combining a STTD-OTD system with a closed-loop MRT system using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weights to derive the maximum SNR at the receiver. Provide a method.

Description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송 다이버시티(Diversit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향링크로 고 품질 및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ransmission diversity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brid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igh quality and high speed data in downlink.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주요 성능열화 요인은 크게 페이딩(Fading)과 다중사용자 간섭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페이딩은 수신신호의 진폭을 수 dB에서 수십 dB까지 감소시킨다. 그 결과, 수신단에서 데이터 복조시 페이딩에 의해 왜곡된 수신신호의 위상이 보상되지 않는다면 수신 데이터의 정보 오류에 의해 전체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페이딩에 의한 신호감쇄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시간,주파수 및 공간영역에서 여러 형태의 다이버시티(Diversity)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되어 왔다.In general, the major performance deterioration factors that occu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re fading and multi-user interference. In particular, the fading reduces the amplitude of the received signal from a few dB to several tens of dB. As a result, if the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distorted by fading during data demodulation is not compensated for, the quality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degraded due to an information error of the received data. Therefore, in order to appropriately cope with signal attenuation due to fading, various methods for realizing various types of diversity in time, frequency, and spatial domains have been studied.

일반적으로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법은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와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로 분류된다. 그 중에서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공간적으로 상관관계가 없는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여 다수의 무선 채널의 독립적인 성질을 이용하여 페이딩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Diversity technique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ime diversity and space diversity. Among them, the spatial diversity techniqu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that are not spatially correlated to reduce fading by using independent properties of a plurality of radio channels.

그런데,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에서는 다수 안테나가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한다는 점 때문에 현재까지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보다는 수신 다이버시티 기법, 다시 말하면 역방향 링크에서 기지국이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수신 다이버시티 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신 다이버시티 기법은 제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이 역방향 링크가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제한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성능 향상방안으로 사용되어 왔다.However, in the spatial diversity scheme, since a plurality of antennas should be arranged at wide intervals, a reception diversity scheme is more widely used than a transmit diversity scheme, that is, a reception diversity scheme in which a base station uses multiple reception antennas on a reverse link. It is becoming. This reception diversity technique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scheme when the reverse link limits the capacity of the entire system, as in the 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한편 제3세대 IMT-2000 시스템에서는 순방향 링크의 트래픽이 역방향 링크의 트래픽에 비해 월등히 많은 비대칭적인 특성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순방향 링크가 시스템 전체 용량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말기의 저전력, 소형화 및 저가격화 등의 요구조건을 고려하면 단말기의 수신 안테나 수가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충분한 다이버시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Meanwhile, in the third generation IMT-2000 system, the traffic on the forward link has much more asymmetrical characteristics than the traffic on the reverse link.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forward link is expected to limit the overall capacity of the system. However,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of low power, miniaturization and low cost of the terminal, the number of receiving antennas of the terminal should be limited. It's hard to expect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다수의 전송 안테나를 이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W-CDMA 무선 규격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MT-2000 시스템에서는 STTD(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TSTD(Time-Switched Transmit Diversity), TxAA(Transmit Adaptive Array) 등의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들이 이미 규격으로 채택되어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researches on a transmit diversity scheme using a plurality of transmit antennas at the base station are actively conducted. According to this trend, in the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MT-2000 system of the W-CDMA wireless standard, transmission diversity such as Space Time Transmit Diversity (STTD), Time-Switched Transmit Diversity (TSTD), and TxAA (Transmit Adaptive Array) The techniques are already adopted as a standard.

최근들어 상기 TxAA와 유사한 방법으로 MRT(Maximum Ratio Transmission) 기법이 제안되었는데, MRT는 TxAA와는 달리 송신 안테나 뿐만 아니라 수신 안테나를 위한 가중치를 동시에 이용하여 수신단에서의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를 최대화하는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이다.Recently, a maximum ratio transmission (MRT) technique has been proposed as a method similar to the TxAA. Unlike the TxAA, the MRT uses a signal-to-noise ratio at the receiving end by simultaneously using a weight for not only a transmitting antenna but also a receiving antenna; It is a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that maximizes SNR.

STTD는 개방루프(Open loop) 형태의 대표적인 전송 다이버시티 방식으로서, 시간상에서 주로 적용되던 채널부호화(Channel coding)기법을 공간상으로 확장시킨 시공간 부호화(Space-Time coding)를 통하여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기법이다. 상기 STTD는 Alamouti가 처음 제안하였다. 상기 STTD는 두 개의 송신 안테나와 단일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기법이지만, 동일한 시공간 부호화 규칙에 따라 송신 안테나 수의 증가에 따라 확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확장된 STTD는 기존의 기술에 비해 부가적인 대역폭이 필요없이 부호화 이득과 채널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STTD는 수신단에서 송신단으로의 궤환 정보가 필요없기 때문에 속도 및 무선 채널 변화에 따른 시스템 성능 변화가 없는 장점을 갖는다. STTD is a typical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in the form of an open loop. The diversity gain is obtained through space-time coding in which a channel coding technique, which is mainly applied in time, is expanded in space. It is a technique for. The STTD was first proposed by Alamouti. The STTD is a technique using two transmit antennas and a single receive antenna, but may be extend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ccording to the same space-time encoding rules. This extended STTD can improve coding gain and channel capacity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bandwidth compared to existing technologies. In addition, since the STTD does not need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end to the transmitting end, the STTD ha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change in system performance due to speed and radio channel change.

STTD-OTD(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는 두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STTD 기법을 4개의 송신 안테나로 확장한 기법이다. 상기 STTD-OTD에서 송신단은 STTD와 동일한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지만 Alamouti 방식의 기법(2개의 송신 안테나 사용)을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기 위해 확장한 구조와는 다른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즉, STTD-OTD는 시공간 부호 이득과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이기 위해 STTD와 3GPP의 W-CDMA 표준으로 채택된 OTD(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기법에서의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결합한 새로운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특히 STTD-OTD를 사용할 경우 수신단의 구조는 기존의 2개의 송신안테나와 단일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STTD와 동일하기 때문에 시스템 복잡도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STTD-OTD) is an extension of the STTD scheme using two transmit antennas to four transmit antennas. In the STTD-OTD, the transmitter uses the same space-time coding scheme as that of the STTD, but uses a coding scheme different from that of the Alamouti scheme (using two transmitting antennas) to use four transmitting antennas. In other words, STTD-OTD uses a new space-time coding method that combines space-time coding scheme in the 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OTD) scheme adopted as the W-CDMA standard of STTD and 3GPP to increase space-time code gain and diversity gain. In particular, when the STTD-OTD is used, the complexity of the receiver is not the same as that of the STTD using two conventional transmission antennas and a single reception antenna.

MRT 시스템은 3GPP의 W-CDMA 표준으로 채택된 폐쇄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중의 하나인 TxAA 기법과 유사한 방법이지만 TxAA 기법과는 달리 송신 안테나뿐만 아니라 수신 안테나를 위한 가중치를 동시에 이용하여 수신단에서의 SNR을 최대화하는 폐쇄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이다. 이를 위하여 송신 안테나의 가중치 결정 시 수신단에서의 수신 전력을 최대화 하기 위한 채널 상관 행렬의 최대 고유치에 해당하는 정규화된 고유벡터를 송신 안테나 가중치로 이용하는 TxAA와는 달리 MRT 시스템은 수신단에서 전송 신호들이 겪게될 채널 정보를 추정한 다음 송신단으로 궤환시켜 미리 채널을 보상하는 형태의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적용하는 간단한 구조를 보인다. The MRT system is similar to the TxAA technique, which is one of the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s adopted as the W-CDMA standard of 3GPP.However, unlike the TxAA technique, the MRT system simultaneously uses the weights for the receive antenna as well as the transmit antenna. It is a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that maximizes SNR. To this end, unlike TxAA, which uses the normalized eigenvector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eigenvalue of the channel correlation matrix to maximize the received power at the receiver when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transmit antenna as the transmit antenna weight, the MRT system uses a channel to which the transmitted signals are subjected to at the receiver. It shows a simple structure that applies the transmit antenna weight in the form of estimating the information and then feeding it back to the transmitter to compensate for the channel.

또한, 수신단의 가중치 결정 시 수신 안테나가 두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 수신 안테나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별도로 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나 MRT 시스템에서는 비교대상 시스템을 위한 단일 수신 안테나인 경우 수신단 가중치는 일반적으로 1의 값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수신단에서의 송신 심볼 추정을 위한 수신기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receiver, when two or more receive antennas are used, a weight corresponding to each receive antenna cannot be obtained separately. However, in the MRT system, when the single receive antenna is used for the target system, the receiver weight is generally set to a value of 1. Since it is fixed, the receiver structure for the transmission symbol estimation at the receiving end is simplified.

이후, 상기 각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이 적용된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to which the respective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is applied is as follows.

도 1은 STTD-OTD 시스템의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of the STTD-OTD system.

연속적인 송신 심볼()을 가정할 경우 심볼레벨 스크램블러(10)는 입력 순서를 바꾸기 위하여 4개의 입력 심볼()들에 대하여 심볼레벨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심볼레벨 스크램블러(10)는 비트 의 조합에 따른 입력 심볼()의 스크램블링 순서를 결정한다. 상기 비트()의 조합은 롱(Long) PN 코드를 이용하여 구해지며, 심볼레벨 스크램블링은 STTD-OTD 시공간 부호화 과정 이전에 수행된다. [표1]은 비트()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심볼 시퀀스 (symbol sequence)의 일 예이다.Consecutive transmission symbols ( Assuming that the symbol level scrambler 10 has four input symbols ( Symbol level scrambling is performed on the For this purpose, the symbol level scrambler 10 is a bit. Input symbol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Determine the scrambling order. The bits ( ) Is obtained using a long PN code, and symbol level scrambling is performed before the STTD-OTD space-time encoding process. Table 1 shows the bits ( ) Is an example of a symbol sequence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b0 b1 b 0 b 1 심볼시퀀스(symbol sequence)Symbol sequence 0 00 0 s1 s2s3 s4 s 1 s 2 s 3 s 4 0 10 1 s2 s1 s4 s3 s 2 s 1 s 4 s 3 1 01 0 s3 s4 s1 s2 s 3 s 4 s 1 s 2 1 11 1 s4 s3 s2 s1 s 4 s 3 s 2 s 1

STTD-ODT엔코더(11)는 심볼 레벨 스크램블러(10)에서 출력된 심볼 시퀀스를 시공간 부호화하는데, 예를들어, 비트(,)의 조합이 각각 0이라 가정할 경우 심볼 시퀀스()를 시공간 부호화한 심볼들은 [표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표2]와 같이 시공간 부호화된 4개의 심볼들이 4개의 송신 안테나 (Tx1~Tx4)를 통하여 4슬롯구간동안 전송된다.The STTD-ODT encoder 11 space-time encodes a symbol sequence output from the symbol level scrambler 10, for example, a bit ( , Assuming that the combination of )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2]. Thus, as shown in Table 2, four space-time coded symbols are transmitted during the four slot period through four transmission antennas Tx1 to Tx4.

Tx 1Tx 1 Tx 2Tx 2 Tx 3Tx 3 Tx 4Tx 4 슬롯 1Slot 1 s1 s 1 - s2*-s 2 * s3 s 3 - s4*-s 4 * 슬롯 2Slot 2 s1 s 1 - s2*-s 2 * - s3 -s 3 s4*s 4 * 슬롯 3Slot 3 s2 s 2 s1*s 1 * s4 s 4 s3*s 3 * 슬롯 4Slot 4 S2 S 2 s1*s 1 * - s4 -s 4 - s3*-s 3 *

만약, 송신단과 수신단간의 채널성분을 라고 가정하면, 4슬롯 동안 단일 수신 안테나(Rx1)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If the channel component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ingle receive antenna Rx1 for 4 slots ( To ) Ar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여기서, 은 가우시안 잡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선형결합기(13)는 [수학식1]에서 구한 수신신호(~)에 대하여 다음 [수학식2]와 같은 복호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송신된 심볼들을 추정한다.here, Represents Gaussian noise. Therefore, the linear combiner 13 receives the received signal (Equation 1) To ) Is estimated by performing a decoding proces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ML(Maximum Likelihood) 추정부(13)는 상기 추정된 심볼(~)에 ML 검출방법을 적용하여 최종 심볼(~)을 검출한다. 또한, [수학식2]로부터 수신단의 출력 SNR을 유도하기 위한 추정 심볼 은 다음 [수학식3]과 같이 표현된다.The ML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13 calculates the estimated symbol ( To Apply the ML detection method to the final symbol ( To ). In addition, an estimated symbol for deriving the output SNR of the receiver from Equation (2). Is expressed as Equation 3 below.

상기 [수학식3]에 의해 추정된 심볼()로부터 얻어진 수신단의 출력 SNR은 다음 [수학식4]와 같이 유도된다.The symbol estimated by Equation 3 The output SNR of the receiving end obtained from Eq.) Is derived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여기서, 은 한 슬롯 구간동안 부가된 잡음성분 의 분산을 의미하며, 모든 슬롯 당 잡음 성분 들은 동일한 분산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here, Is the noise component added during one slot period. Noise component per slot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variance.

도 2는 MRT 시스템의 송/수신 기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sic algorith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MRT system.

K개의 송신 안테나와 L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플랫 페이딩 채널에서의 MRT 시스템을 가정하는 경우, 는 k번째 전송 안테나에서 l번째 수신 안테나로의 복소 플랫 페이딩 채널 계수이고 그 값은 한 심볼 간격 동안 변화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채널예측기(미도시)에서 예측한 크기가 L×K인 채널 전달 행렬 H는 다음 [수학식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Assuming an MRT system on a MIMO flat fading channel using K transmit antennas and L receive antennas, Is a complex flat fading channel coefficient from the k th transmit antenna to the l th receive antenna, and is assumed to be unchanged for one symbol interval, the channel propagation matrix having a size L × K predicted by a channel predictor (not shown). H can be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5 below.

만약, 송신 안테나(Tx#1~Tx#K)의 가중치 벡터는 이고, 수신 안테나(Rx#1~Rx#L)의 가중치 벡터는 라고 하면 이들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6]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If the weight vector of the transmission antenna (Tx # 1 ~ Tx # K) The weight vector of the receiving antennas Rx # 1 to Rx # L i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6 below.

여기서, 윗 첨자 는 허미션(Hermitian) 연산을 나타내며, 는 정규화 인자로서 [수학식7]과 같이 표현된다.Where superscript Represents a Hermitian operation, Is a normalization factor and is expressed as shown in [Equation 7].

K개의 전송 안테나(Tx#1~Tx#K)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d)를 K×1크기의 벡터(s)로 표시하면 상기 [수학식6]으로부터 다음 [수학식8]과 같이 구해진다.If the signal (d) transmitted through the K transmit antennas (Tx # 1 to Tx # K) is represented by a vector s of size K × 1, the equation d is obtained from Equation 6 as shown in Equation 8 below. Become.

상기 [수학식5]에서 표현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 신호가 수신단의 상관기 뱅크(L개의 상관기)(20)를 통과한 후 얻어지는 신호는 [수학식9]와 같이 L×1크기의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The signal obtained after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hannel represented by Equation (5) passes through the correlator banks (L correlators) 20 of the receiver is expressed as a L × 1 size vector as shown in Equation (9). Can be.

여기서, 번째 수신 안테나로 입력된 가우시안 잡음 (AWGN)이라고 하고, 라 할때 이다. 따라서, [수학식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신호(x)에 수신단의 가중치 벡터(g)를 곱한 다음 가산기(21)에서 가산함으로써 송신 심볼()의 추정치()를 구할 수 있다.here, To Called Gaussian noise (AWGN) input to the first receive antenna, When to be. Therefore, as shown in Equation 10, the equation signal x is multiplied by the weight vector g of the receiving end, and then added by the adder 21, thereby transmitting the transmit symbol ( Estimate of )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추정된 심볼()로부터 얻어진 수신단의 출력 SNR은 [수학식11]과 같이 표현된다.The symbol thus estimated ( The output SNR of the receiving end obtained from < RTI ID = 0.0 >)< / RTI >

여기서, 이라 할 때,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단일 안테나 시스템의 SNR은 가 된다. 또한 여기서 이라 가정하였다.here, In this case, when diversity is not used, that is, the SNR of a single antenna system is Becomes Also here Assume that

따라서, 성능 척도인 BER(Bit Error ratio)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11]의 출력 SNR을 최대화하여야 하며, 이는 결국 을 최대화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수신단의 가중치 벡터(g)는 다음 [수학식12]로 표현된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BER (Bit Error Ratio), the output SNR of Equation 11 should be maximized. It is like maximizing. The weight vector g of the receiving end that satisfies this condition is expressed by Equation 12 below.

여기서, p,q=1,,L이고, 이렇게 구해진 g를 이용하여 [수학식6]과 [수학식7]의 를 쉽게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수학식12]로부터 수신단의 가중치를 결정할 경우에는 각 가중치를 별도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 가중치들의 곱의 형태로 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두 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즉, L=2) 로 정하고 [수학식12]로부터 를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수신 안테나를 3개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수학식12]를 이용하여 3개의 수신 가중치를 구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MRT에서는 최대 2개의 수신 안테나만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Here, p, q = 1,, L, and using g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Equation 6] and [Equation 7] Wow You can get it easily.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receiver from Equation 12, each weight is not calculated separately, but is calculated as a product of weights. Thus, when using two receive antennas (ie L = 2) From Equation 12 Can be easily obtained, but if more than 3 receive antennas are used,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3 receive weights using Equation (12). .

그런데,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의 대표적인 형태인 2개의 송신 안테나와 단일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Alamouti 방식의 STTD 기법을 4개의 송신 안테나 이용을 위하여 단순한 확장을 하는 경우에는 각 안테나별로 전송되는 심볼간의 직교성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심볼간 간섭으로 인한 시스템 성능 열화가 발생한다.However, when the Alamouti STTD scheme using two transmit antennas and a single receive antenna, which are typical forms of open-loop transmit diversity, is simply extended to use four transmit antennas, orthogonality between symbols transmitted for each antenna is used. Because of this problem,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intersymbol interference occurs.

이와는 달리 최근3GPP의 W-CDMA 표준 규격으로 제안된 STTD-OTD 기법과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STTD 기법과 송신 심볼간 직교성을 보장하는 OTD 기법과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시공간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4개의 서로 다른 송신 심볼들을 전송할 때 STTD기법과 OTD 기법의 시공간 부호화 방식의 장점만을 결합한 최대의 시공간 부호화 이득은 얻을 수 있다. 하지만 STTD-OTD 기법과 같은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과 달리 단말기 속도 증가에 따라 성능 변화가 없는 큰 장점을 갖지만 저속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는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using the STTD-OTD scheme and 4 transmit antennas recently proposed as the W-CDMA standard of 3GPP, a new space-time encoding scheme is combined by combining the existing STTD technique and the OTD technique that guarantees orthogonality between transmission symbols. use. In this case, when transmitting four consecutive transmission symbols using four transmission antennas, the maximum space-time coding gain combining only the advantages of the space-time coding scheme of the STTD technique and the OTD technique can be obtained. However, unlike the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the open-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such as the STTD-OTD technique has a big advantage that there is no change in performance as the terminal speed increases, but in a slow fading channe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It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performance.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중 하나인 MRT 시스템은 W-CDMA 무선 접속 규격의 3GPP IMT-2000 시스템에서의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정식 채택된 TxAA와 유사한 시스템이다. MRT 시스템은 수신단에서의 최대 전력 수신을 위한 채널 상관 행렬의 고유벡터를 송신 안테나 가중치로 이용하는 TxAA 시스템과는 달리 송신 안테나뿐 아니라 수신 안테나를 위한 가중치를 동시에 이용하여 수신단에서의 신호대잡음비를 최대화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The MRT system, which is one of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s, is a system similar to TxAA, which is formally adopted as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in the 3GPP IMT-2000 system of the W-CDMA radio access standard. Unlike the TxAA system that uses the eigenvector of the channel correlation matrix for the maximum power reception at the receiver as the transmit antenna weight, the MRT system uses the weights for the receive antenna as well as the transmit antenna simultaneously to maximize the signal to noise ratio at the receiver. System.

그런데, MRT 시스템의 경우, 각 송신 안테나마다 추정된 채널 정보에 의해서만 가중치를 계산하여 적용하기 때문에 다이버시티 이득이 순수하게 주어진 채널 특성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따라서 다이버시티 이득의 증가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송신 안테나 가중치 계산에 있어서 가중치 정규화에 따른 송신 전력 감소의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MRT 시스템의 수신단의 경우 수신 안테나가 2개인 경우 수신단 가중치 결정에 있어 각 가중치를 별도로 구하지 못하며 이들 가중치들의 곱의 형태로부터 구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MRT system, since the weight is calculated and applied only by the channel information estimated for each transmission antenna, the diversity gain is determined solely by the given channel characteristics,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the increase in the diversity gai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e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according to the weight normalization in the transmission antenna weight calculation. In addition, in case of two receiving antennas in the MRT system, each weight cannot be obtained separately in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receiving antenna and has to be obtained from the product of these weights.

또한 MRT 시스템과 같은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의 경우 저속 페이딩 채널에서는 STTD-OTD 시스템과 같은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고속 페이딩 채널 환경하에서 채널 정보 궤환에 따른 시스템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In addition,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s such as MRT systems show better performance on slow fading channels than open-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s such as STTD-OTD systems, but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feedback of channel information under fast fading channel Has the disadvantage that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 및 수신단에서의 신호대간섭비 (SNR)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x transmit diversity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satisfying a space-time diversity gain and a signal-to-interference ratio (SNR) at a recei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향링크에서 고품질 및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당한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lex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high quality and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in downlin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사용하는 전용 다이버시티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은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개방 루프형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과 송수신 안테나 가중치를 사용하는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dedicated diversity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t antennas, the complex transmit divers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with an open loop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ystem using four transmit antennas. A closed loop type transmit diversity system using antenna weights has a combined structure.

바람직하게, 상기 개방 루프형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은 STTD-O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en-loop space-time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is a space-time transmit-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STTD-OTD) system.

바람직하게, 상기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은 단일 수신 안테나를 갖는 MRT (Maximum Ratio Transmission)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is a maximum ratio transmission (MRT) system having a single receive antenn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송신안테나를 사용하는 전용 다이버시티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은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개방 루프형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과 안테나 가중치를 사용하는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을 결합하여, 수신단의 출력 신호대잡음비(SNR) 및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dedicated diversity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t antennas, the transmit diversit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loop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cheme and antenna weights using four transmit antennas. By combining a closed loop type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using a, to increase the output signal-to-noise ratio (SNR) and the space-time diversity gain of the receiver.

바람직하게, 상기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 STTD-O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기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en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is a 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scheme (STTD-OTD) technique.

바람직하게, 상기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 MRT (Maximum Ratio Transmission) 기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is a maximum ratio transmission (MRT) technique.

바람직하게, 상기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 단일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uses a single receive antenna.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동시 전송 가능한 심볼 수와 수신단에서의 SNR 증대를 획득하기 위한 복합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의 장점과 폐쇄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의 장점을 결합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개방 루프형 STTD-OTD 시스템의 송신 심볼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시공간 부호화 기법 및 단말기 속도 증가에 따른 성능 변화가 없는 장점과 더불어 저속 채널 환경에서의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폐쇄 루프형 MRT 시스템의 장점을 동시에 만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mplex system for acquiring the number of symbols that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and increasing the SNR at the receiving en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open 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with the advantages of the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sed-loop MRT system that exhibits excellent performance in a slow channel environment with the advantages of the time-space coding technique for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ransmission symbols of the open-loop STTD-OTD system and the performance chang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terminal speed. We propose a system that satisfies the advantages at the same ti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구조이다. 3 is a structure of a composite divers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다이버시티 시스템은 4개의 송신 안테나와 단일 수신 안테나를 갖는 개방 루프형 STTD-OTD시스템과 폐쇄 루프형 MRT 시스템이 결합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mplex divers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en loop type STTD-OTD system having four transmit antennas and a single receive antenna, and a closed loop MRT system.

제안된 시스템에서 송신단은 각 송신 안테나별로 전송될 심볼에 송신단 가중치가 곱해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존의 STTD-OTD 시스템의 송신단과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종래의 MRT의 수신단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사용으로 인하여 수신단 가중치 값 결정을 위하여 복잡한 계산이 요구되었지만 단일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안된 시스템의 경우에는 수신단 가중치 값이 1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송신단에서만 송신 안테나별 가중치를 적용하는 형태의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In the proposed system, the transmitter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transmitter of the existing STTD-OTD system except that the transmit weight is multiplied by the symbol to be transmitted for each transmit antenna.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RT receiver, a complicated calcula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the receiver weight value due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receive antennas. However, in the proposed system using a single receive antenna, the receiver weight value is set to 1. Therefore, the proposed system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weights of transmission antennas are applied only at the transmitting end.

이후 제안된 복합 다이버시티 시스템에서의 심볼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symbol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ss in the proposed composite diversity system will be described.

연속적인 4개의 송신 데이터 심볼들은 송신단의 심볼 레벨 스크램블러 (30)에 의해 [표 1]과 같이 입력되는 심볼들의 순서가 바뀌어 출력되고, 순서가 바뀐 심볼들을 STTD-OTD엔코더(31)에서 [표2]와 같이 시공간 부호화된 다음 후 4슬롯 구간동안 4개의 송신 안테나(Tx1~Tx4)를 통하여 각각 전송된다. 이때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기존의 MRT시스템에서 각 송신 안테나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구하는 [수학식8]을 이용하여 다음 [수학식13]과 같이 4개의 송신 안테나에 적용될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유도할 수 있다.The four consecutive transmission data symbols are output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symbols inputted by the symbol level scrambler 30 of the transmitter as shown in [Table 1], and the changed symbols are displayed in the STTD-OTD encoder 31 [Table 2]. After the space-time encoding as shown in the]] is transmitted through the four transmit antenna (Tx1 ~ Tx4) for each of the four slot interval. In this case, by using Equation 8 which obtains the weight applied to each transmit antenna in the existing MRT system using two transmit antennas, the transmit antenna weight to be applied to the four transmit antennas can be derived as shown in Equation 13. have.

여기서 hj(j=1,…,4)는 각 송신 안테나(Tx1~Tx4)와 단일 수신 안테나(Rx1)간의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상수 는 개방 루프형 STTD-OTD 시스템에서 각 송신 안테나별 송신 전력이 1이고, 전체 송신 전력을 4라고 가정하는 경우 제안된 시스템의 전체 송신 전력이 개방 루프형 STTD-OTD 시스템의 전체 송신 전력과 동일하도록 하기 위한 값이다. 즉, 가우시안 분포를 갖는 각 채널성분의 평균전력이 1이라고 가정하는 경우, 송신단 가중치에서의 정규화로 인한 각 송신 안테나별 송신 전력을 1로 유지하기 위한 보상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 송신 안테나별 가중치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피드백된 채널 정보를 가지고 채널을 미리 보상하는 형태가 되며, 각 송신 안테나의 가중치들은 4개의 독립된 복소 채널값들의 크기의 합으로 정규화 되어 있다.Here, h j (j = 1, ..., 4) means a channel between each of the transmit antennas Tx1 to Tx4 and the single receive antenna Rx1. Also, a constant In the open loop STTD-OTD system, when the transmit power of each transmit antenna is 1 and the total transmit power is assumed to be 4, the total transmit power of the proposed system is equal to that of the open loop STTD-OTD system. This is the value to do. That is, when it is assumed that the average power of each channel component having a Gaussian distribution is 1, it means a compensation value for maintaining the transmission power for each transmission antenna due to normalization in the transmitter weight. In addition, each transmission antenna weight has a form in which the channel is compensated in advance with the channel information fed back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and the weights of each transmission antenna are normalized by the sum of the magnitudes of four independent complex channel values.

제안된 시스템의 단일 수신 안테나(Rx1)에서 얻어지는 수신신호는 앞서 기술된 STTD-OTD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동일하게 적용하면 다음 [수학식14]와 같이 얻을 수 있다.The received signal obtained from the single receive antenna Rx1 of the proposed system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4) by applying the sam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STTD-OTD system described above.

여기서 는 4슬롯 구간동안 수신된 신호이고, 은 가우시안 잡음 성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송신 안테나별 가중치에 채널성분을 곱한 새로운 변수 를 [수학식15]와 같이 정의한다.here Is the signal received during the 4-slot interval, Denotes a Gaussian noise component. And a new variable by multiplying the channel component by the weight of each transmitting antenna Is defined as shown in [Equation 15].

상기 [수학식14]의 수신신호로부터 4개의 송신 심볼들을 추정하기 위해 다음 식(16)과 같은 복호화 과정을 수행하여 송신된 심볼들을 추정하게 된다.In order to estimate four transmission symbols from the received signal of Equation 14, a decoding process as shown in Equation 16 is performed to estimate the transmitted symbols.

상기 [수학식16]에 [수학식14]의 수신된 신호 를 대입하여 추정심볼 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17]과 같이 표현된다.The received signal of [Equation 14] to [Equation 16] Estimation symbol by substituting If we rearrange the equation, it is expressed as [Equation 17].

여기서 [수학식17]을 통해 얻은 수신단에서의 최종 추정심볼을 가지고 수신단의 출력 SNR을 구하기 위하여, 4개의 추정심볼 중 추정심볼 에 대해서만 수신단의 출력 SNR을 유도해 본다. 이를 위해 [수학식17]의 추정심볼 에 [수학식15]의 변수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18]과 같이 표현된다.In order to obtain the output SNR of the receiver with the final estimated symbol at the receiver obtained by [Equation 17], four estimated symbols Estimated symbol We derive the output SNR of the receiver only for. For this purpose, the estimated symbol of [Equation 17] Substituting the variable of [Equation 15] into and arranging it is expressed as the following [Equation 18].

[수학식18]에 도시된 추정 심볼 로부터 제안된 시스템에서의 수신단의 출력 SNR은 다음 [수학식19]와 같이 유도된다.Estimated symbol shown in equation (18) The output SNR of the receiver in the proposed system is derived from Equation 19 below.

여기서, 은 한 슬롯 구간동안 부가된 잡음성분 의 분산을 의미하고, 모든 슬롯당 잡음성분 들은 동일한 분산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here, Is the noise component added during one slot period. Means the variance of, and the noise component per every slot Are assumed to have the same variance.

따라서, 기존의 STTD-OTD 시스템에서 유도된 [수학식4]의 수신단의 출력 SNR과 제안된 시스템에서 유도한 [수학식19]의 수신단에서의 출력 SNR을 비교해 볼 때 제안된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성능이 더욱 향상됨을 보여줌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comparing the output SNR of the receiver of [Equation 4] derived from the existing STTD-OTD system with the output SNR of the receiver of [Equation 19] derived from the proposed system, the system performance in the proposed system is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is further improves.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송신 심볼간 직교성을 갖는 개방 루프형 STTD-OTD 시스템과 수신단에서의 최대 SNR을 유도하기 위해 송수신 안테나 가중치를 동시에 이용하는 폐쇄 루프형 MRT 시스템을 결합함으로써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 및 수신단에서의 SNR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어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n open-loop STTD-OTD system having orthogonality between transmission symbols and a closed-loop MRT system that simultaneously uses transmit / receive antenna weights to derive the maximum SNR at the receiving end. Since the SNR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greatly improved.

즉, 본 발명은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의 장점과 폐쇄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개방 루프형 STTD-OTD 시스템의 송신 심볼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시공간 부호화 기법과 단말기 속도증가에 따른 성능 변화가 없는 장점과 폐쇄 루프형 MRT 시스템에서 저속 채널 환경에서의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advantages of the open-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with the advantages of the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to improve space-time coding and terminal speed increase to minimize interference between transmission symbols in an open-loop STTD-OTD system. The advantages of no change in performance and the superior performance of low-speed channel environment in closed loop MRT system can be obtained simultaneously.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MRT 시스템과 같이 수신 안테나 가중치 결정시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는 큰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ingle receive antenna, as in the conventional MRT system, a complicated calculation is not necessary when determining the receive antenna weight.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4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종래의 STTD-OTD시스템의 송/수신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TTD-OTD system having four transmission antennas.

도 2는 종래의 MRT시스템의 송/수신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of a conventional MRT system.

도 3은 STTD-OTD시스템과 MRT시스템의 결합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composite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ombined structure of an STTD-OTD system and an MRT system.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30 : 심볼레벨 스크램블러 11,31 : STTD-OTD엔코더 10,30: Symbol level scrambler 11,31: STTD-OTD encoder

12,32 : 채널 예측기 13,33 : 선형결합기12,32 Channel predictor 13,33 Linear combiner

20: 상관기 뱅크 34 : ML 검출부20: correlator bank 34: ML detection unit

Claims (7)

다수의 송수신안테나를 사용하는 전용 다이버시티 시스템에 있어서,In a dedicated diversity system using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개방 루프형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과 송수신 안테나 가중치를 사용하는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의 결합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A composite transmit diversity system comprising a combined structure of an open loop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ystem using four transmit antennas and a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system using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we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루프형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은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open loop space-time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STTD-OTD(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STTD-OTD (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단일 수신 안테나를 갖는 MRT (Maximum Ratio Transmission)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A composite transmit diversit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aximum ratio transmission (MRT) system having a single receive antenna. 다수의 송수신안테나를 사용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시스템에 있어서,In a transmission diversity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4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개방 루프형 시공간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과 안테나 가중치를 사용하는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을 결합하여, 수신단의 출력 신호대잡음비(SNR) 및 시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By combining open-loop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cheme using four transmit antennas and closed-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using antenna weights, the output signal-to-noise ratio (SNR) and space-time diversity gain of the receiver are increased. Transmission diversity metho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n loop transmit diversity scheme STTD-OTD(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기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A transmission diversity method, which is a Space-Time Transmit Diversity-Orthogonal Transmit Diversity (STTD-OTD) techniq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MRT (Maximum Ratio Transmission) 기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Transmission diversit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RT (Maximum Ratio Transmission) techniq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루프형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osed loop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단일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A transmit diversity method using a single receive antenna.
KR1020040003593A 2004-01-17 2004-01-17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KR200500756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593A KR20050075650A (en) 2004-01-17 2004-01-17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593A KR20050075650A (en) 2004-01-17 2004-01-17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650A true KR20050075650A (en) 2005-07-21

Family

ID=3726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593A KR20050075650A (en) 2004-01-17 2004-01-17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65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503B2 (en) 2009-09-09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transmission/reception mode of plural transmission/reception pairs
CN113721192A (en) * 2020-05-25 2021-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to-noise ratio of distance sens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503B2 (en) 2009-09-09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transmission/reception mode of plural transmission/reception pairs
CN113721192A (en) * 2020-05-25 2021-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to-noise ratio of distance sensor
CN113721192B (en) * 2020-05-25 2024-03-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to-noise ratio of distance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9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multi-transmit multi-receive antenna arrays
RU2291570C2 (en) Spatial-temporal distancing during transfer for multiple antennas in radio communications
KR10141461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antenna system
CN100375419C (en) Dynamic power control for space time diversity transmit antenna pairs
US91306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F signal combining and adaptive bit loading for data rate maximization in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1553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US2005026547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926781A (en) Multi-input-multi-output communication mode based on distributed transmitting source
WO2001069814A1 (en) Transmit diversity method and system
KR20050120441A (en) Transmission d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using multiple antenn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436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backing antenna shuffling information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 using a multiple space time block coding technique
EP1386421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50106657A (en) A smart antenna system for forming an eigenbeam for uplink in ofdm/tdd systems, and a method thereof
CN111901023A (e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782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diversit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ouzi et al. Millimeter wave massive MIMO with Alamouti code and imperfect channel state information
KR2005006980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WO2005008831A2 (en) System and method for rf signal combining and adaptive bit loading for data rate maximization in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KR20050075650A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lex transmit diversity
Meng et al. The combined beamforming and space-time block coding technique for downlink transmission
Tran et al. Adaptive beamforming for multiuser space-time block coded systems
Xiao et al. MIMO precoding of CDMA systems
Roopa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of MIMO System Using OSTBC
Xiao et al. Canceling co-channel interference for MIMO CDMA systems
Liu et al. SVD aided joint transmitter and receiver design for the uplink of multiuser detection assisted MIMO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