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622A -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622A
KR20050072622A KR1020040000977A KR20040000977A KR20050072622A KR 20050072622 A KR20050072622 A KR 20050072622A KR 1020040000977 A KR1020040000977 A KR 1020040000977A KR 20040000977 A KR20040000977 A KR 20040000977A KR 20050072622 A KR20050072622 A KR 2005007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panel
lamp unit
light guid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걸
장양규
홍권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2622A/ko
Publication of KR2005007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6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6Staple-feeding devices, e.g. with feeding means, supports for staples or accessories concerning feeding devices
    • B25C5/1606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21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 B25C5/0242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having a pivoting upper leg and a leg provided with an anvil supported by the table or work
    • B25C5/025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having a pivoting upper leg and a leg provided with an anvil supported by the table or work the plunger being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판표시장치를 개시한다. 평판표시장치는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패널 및 구리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방열 시트를 구비한다. 방열 시트는 방열판의 양 측단부에서 일부분이 제거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온도 분포는 램프 유닛측의 온도가 도광판측의 온도보다 더 높다. 따라서, 방열 패널로 전도된 열은 램프 유닛이 위치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 도광판이 위치하는 중앙부로 이동한다. 즉, 방열 시트는 램프 유닛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영역의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방열 시트는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편광판이 우는 현상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평판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정보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일종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평판표시장치의 일종으로, 액정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 액정표시장치 및 직하형 액정표시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에지형 액정표시장치는 도광판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광원이 구비된다. 직하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다수의 광원이 구비되고, 다수의 광원은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으로 광을 직접 조사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지형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TFT 기판(11), TFT 기판(11)과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컬러필터 기판(12), 및 TFT 기판(11) 및 컬러필터 기판(12)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12)은 광에 의해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가 형성된 기판이다.
액정표시패널(10)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미도시)은 액정표시패널(1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영역인 광원 영역(LA)에 대응하여 각각 위치한다.
광원은 광을 발생함에 따라 부수적으로 열을 발생한다. 광원 영역(LA)은 액정표시패널(10)의 다른 영역에 비해서 광원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액정표시장치가 구동됨에 따라, 액정표시패널(10)은 영역별로 온도 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패널(10)의 중앙 영역(PC)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반면, 광원 영역(L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온도가 상승한다.
액정표시장치의 초기 구동시, 중앙 영역(PC) 및 광원 영역(LA)의 온도가 동일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앙 영역(PC) 및 광원 영역(LA) 간의 온도 편차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편광판(미도시)이 위치한다. 편광판은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따라, 주변 온도가 적정 온도를 초과하여 상승할 경우에는 우는 현상이 발생한다. 에지형 액정표시장치의 경우, 광원이 위치하는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므로, 편광판은 광원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우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편광판의 움 현상은 액정표시패널(10)의 광원 영역(LA)에서 빛샘 현상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패널(10)의 광원 영역(LA)에서 반구 형태의 얼룩(BR)을 발생하므로, 표시 품질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램프 유닛, 도광판, 방열 패널 및 방열 시트로 이루어진다.
표시패널은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램프 유닛은 상기 표시패널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광을 발생한다. 도광판은 상기 램프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을 가이드하여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한다. 방열 패널은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램프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방열 시트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램프 유닛을 커버하도록 상기 방열 패널과 상기 도광판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방열 패널로 전도한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에 의하면, 방열 시트는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보다 신속하게 방열판으로 전도함으로써,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하고, 평판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시트류들의 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장치(600)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00) 및 상기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수납하는 제1 수납 용기(300),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00)를 수납하는 제2 수납 용기(400) 및 탑 샤시(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표시패널 어셈블리(100)는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10),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이하, TCP)(120, 125),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30, 13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111), 상기 TFT 기판(111)과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컬러필터 기판(112) 및 상기 TFT 기판(111)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112)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111)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111)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112)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인 RGB 색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111)의 소오스측에는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TCP(120)가 부착된다. 상기 TFT 기판(111)의 게이트측에는 상기 다수의 게이트측 TCP(125)가 부착된다.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120, 125)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 및 구동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인가한다.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120, 125)는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30, 135)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130, 135)은 상기 구동 신호 및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데이터측 및 게이트측 TCP(120, 125)로 각각 인가한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100)의 아래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광을 발생하는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 상기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도광판(230), 상기 도광판(230)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광학 시트들(240), 상기 도광판(23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250), 제3 수납 용기(260), 방열 패널(270) 및 방열 시트(2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은 상기 도광판(230)의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230)으로 상기 광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두 개의 램프 유닛을 구비하나, 상기 램프 유닛(210)의 개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크기에 따라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210)을 일례로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2 램프 유닛(2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램프 유닛(210)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상기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제1 램프(211) 및 상기 다수의 램프(211)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230)측으로 반사하는 제1 램프 리플렉터(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램프 리플렉터(212)는 상기 다수의 제1 램프(211)의 일부분을 감싸고, 상기 도광판(230)측이 개구된다. 상기 제1 램프 리플렉터(212)는 상기 다수의 제1 램프(2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램프(211)로부터 입사된 광을 상기 도광판(230)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도광판(23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출사한다.
상기 도광판(23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10)과의 사이에는 상기 광학 시트들(240)이 개재된다. 상기 광학 시트들(240)은 상기 도광판(230)으로부터 입사된 상기 광의 특성, 예컨대, 휘도 증가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제공한다.
상기 도광판(230)의 아래에는 상기 반사판(25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250)은 상기 도광판(230)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다시 상기 도광판(230)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판(250)의 아래에는 상기 제3 수납 용기(260)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수납 용기(260)는 상기 반사판(250), 상기 도광판(23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40), 및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을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제3 수납 용기(260)는 알루미늄과 같은 단단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전도된다.
상기 제3 수납 용기(260)의 아래에는 상기 방열 패널(270)이 구비된다. 상기 방열 패널(27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 패널(270)은 상기 제3 수납 용기(260)의 바닥면으로부터 전도된 상기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상기 제3 수납 용기(260) 및 상기 방열 패널(270)과의 사이에는 상기 방열 시트(280)가 개재된다. 상기 방열 시트(280)는 상기 방열 패널(270)에 부착되어 상기 제3 수납 용기(260)로부터 상기 열을 신속하게 흡수하고, 상기 열을 상기 방열 패널(270)으로 신속하게 전도한다. 상기 방열 시트(280)는 구리 등과 같은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 패널(270)의 아래에는 상기 제1 수납 용기(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3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수납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300)는 바닥면이 일부분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열 패널(270)은 상기 열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패널 유닛(11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수납 용기(4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4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수납하고, 바닥면이 일부분 개구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상기 제2 수납 용기(400)는 제1 수납 용기(300)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상기 제1 수납 용기(300)에 고정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부에는 상기 탑 샤시(500)가 구비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상기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 표시영역이 개구되도록 덮으면서 상기 제2 수납 용기(400)와 결합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상기 제2 수납 용기(400)에 고정한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수납 용기(26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반사판(250), 상기 도광판(230) 및 상기 광학 시트들(240)이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1 램프 유닛(210)은 상기 제3 수납 용기(260)의 측벽 및 상기 도광판(220)과의 사이에 수납된다. 각 램프는 상기 도광판(230)의 일측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램프 리플렉터(212)는 제1 단부가 상기 광학 시트들(240)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1 단부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제1 램프 리플렉터(212)의 제2 단부는 일부분이 상기 반사판(250)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3 수납 용기(260)의 아래에는 상기 방열 시트(280) 및 상기 방열 패널(270)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방열 시트(280)는 상부면이 상기 제3 수납 용기(260)의 바닥면과 접하고, 하부면이 상기 방열 패널(270)과 접한다.
상기 제1 수납 용기(300)에는 상기 방열 패널(270), 상기 방열 시트(280) 및 상기 제3 수납 용기(260)가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제2 수납 용기(400)는 상기 제1 수납 용기(300)와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2 수납 용기(4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이 안착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제1 및 제2 편광판(140, 145)이 각각 부착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편광판(14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제공된 광을 제1 방향으로 편광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 제공한다. 상기 제2 편광판(145)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편광하여 출사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기 제2 수납 용기(4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탑 샤시(500)는 상면이 일부분 개구된다. 상기 탑 샤시(500)의 상면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에지 영역과 일부분이 오버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열 시트(280)는 상기 제1 수납 용기(300)로부터 전도된 열을 상기 방열 패널(270)으로 신속하게 전도시키므로, 상기 방열 패널(270)은 효율적으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140, 145)의 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평판표시장치(6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방열 패널 및 방열 시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방열 패널(270)의 상면에는 상기 방열 시트(280)가 안착된다. 상기 방열 시트(280)는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과 대응하는 상기 방열 패널(270)의 제1 및 제2 영역(LA1, LA2)을 커버한다. 상기 방열 시트(280)는 상기 도광판(230)과 대응하는 상기 방열 패널(270)의 제3 영역(LGA)을 일부분 커버한다. 이때, 상기 제3 영역(LGA)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LA1, LA2)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방열 시트(280)는 상기 제3 영역(LGA)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단부(EA1, EA2)가 일부분 제거된다. 이때, 제거된 상기 방열 시트(280)의 양측 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열 시트(280)가 상기 제3 영역(LGA)을 모두 커버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영역(LA1, LA2)으로부터 전도된 열이 상기 제3 영역(LGA)의 전체로 전도된다. 이때, 상기 방열 패널(270)은 상기 제1 및 제2 단부(EA1, EA2)와 대응하는 영역에도 상기 열이 전도된다.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140, 145)(도 4 참조)은 편광축이 형성되는 특성상 상기 제1 및 제2 단부(EA1, EA2)와 대응하는 영역에서 빛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 패널(270)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LA1, LA2)의 열이 상기 제1 및 제2 단부(EA1, EA2)와 대응하는 영역으로 집중될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발생되는 빛샘 현상은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양측 단부에서 발생되는 빛샘 현상은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 시트(28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단부(LA1, LA2)의 일부분이 제거될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의 모든 단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평판표시장치(6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LA1, LA2)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이 위치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램프 유닛(210, 220)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LA1, LA2)의 온도가 상기 제3 영역(LGA)의 온도보다 높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열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영역(LA1, LA2)으로 전도된 열은 외부로도 일부분 방출되나, 일부분 상기 제3 영역(LGA)측으로 전도된다.
상기 제3 영역(LGA)에서는 상기 방열 시트(280)가 일부분 제거되므로, 상기 방열 시트(280)와 접하는 중앙부에서 보다 열이 신속하게 전도된다. 따라서, 상기 방열 패널(270)에서의 상기 열의 이동은, 상기 방열 시트(280)와 접하는 상기 제3 영역(LGA)의 중앙부측으로 상기 열이 이동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표시장치는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해서 방열 패널 및 방열 시트를 구비한다. 방열 시트는 구리와 같이 열 전도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보다 신속하게 방열 패널으로 전도할 수 있으므로, 방열 패널은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 시트는 램프 유닛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편광판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패널의 빛샘 현상을 방지하고, 평판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 시트는 액정표시패널의 양 측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이 일부분 제거되므로, 방열 패널의 상단부 및 하단부측의 열이 양 측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방열 시트는 편광판의 양 측단부에서 발생되는 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평판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지형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방열 패널 및 방열 시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어셈블리 110 : 액정표시패널
140, 145 : 편광판 2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220 : 램프 유닛 230 : 도광판
270 : 방열 패널 280 : 방열 시트
300 : 제1 수납 용기 400 : 제2 수납 용기
500 : 탑 샤시 600 : 평판표시장치

Claims (5)

  1. 광을 발생하는 램프 유닛;
    상기 램프 유닛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을 가이드하여 출사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도광판 및 상기 램프 유닛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패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램프 유닛을 커버하도록 상기 방열 패널과 상기 도광판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방열 패널로 전도하는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널은 상기 램프 유닛과 대응하는 광원 영역 및 상기 도광판과 대응하는 도광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광원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도광 영역에서 일부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시트는 상기 도광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단부가 일부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는 톱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패널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 시트는 구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040000977A 2004-01-07 2004-01-07 평판표시장치 KR20050072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77A KR20050072622A (ko) 2004-01-07 2004-01-07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77A KR20050072622A (ko) 2004-01-07 2004-01-07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622A true KR20050072622A (ko) 2005-07-12

Family

ID=3726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977A KR20050072622A (ko) 2004-01-07 2004-01-07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26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29B1 (ko) * 2006-12-19 2009-12-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및 정보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29B1 (ko) * 2006-12-19 2009-12-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디스플레이 패널 유닛 및 정보 처리 장치
US8072555B2 (en) 2006-12-19 2011-12-06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043B1 (ko) 표시 장치
TWI512371B (zh) 液晶顯示裝置用背光單元
TW20112053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70063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realizing a large surface display screen
KR20140115045A (ko) 좁은 베젤영역을 갖는 액정표시 장치
KR101990523B1 (ko) 표시 장치
KR100975813B1 (ko) 표시장치
KR20050072622A (ko) 평판표시장치
KR2005003039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72623A (ko)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066412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KR20130112176A (ko) 액정표시장치
KR10098161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65705A (ko) 평판표시장치
KR10098350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121433A (ko) 평판 표시장치
KR20070015698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158599B1 (ko) 백라이트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5926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14713A (ko) 표시장치
KR2006000515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50097791A (ko) 표시장치
KR20060030655A (ko) 표시장치
KR20050072887A (ko) 평판표시장치
KR2006001291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