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371A -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371A
KR20050072371A KR1020040000774A KR20040000774A KR20050072371A KR 20050072371 A KR20050072371 A KR 20050072371A KR 1020040000774 A KR1020040000774 A KR 1020040000774A KR 20040000774 A KR20040000774 A KR 20040000774A KR 20050072371 A KR20050072371 A KR 2005007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od glucose
communication
glucose meter
eg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정일
Original Assignee
위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정일 filed Critical 위정일
Priority to KR102004000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2371A/ko
Publication of KR2005007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3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계와 휴대폰이 일대일 교류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는 혈당계에서 사람의 혈당을 측정한 후 그 값을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에 RS-232C통신을 이용하고 자체 프로토콜에 맞추어 전달하도록 한다.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는 혈당계에서 받은 값을 내부에서 가공하여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을 한다.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에서 가공된 데이터는 단말기와 RS-232C나 USB 통신을 통하여 전달하게 되는데 RS-232C나 USB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Description

의료장비와 휴대푠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medical eguipment and celluler phone connection interface eguipment}
만성질환자의 치료는 병원 내원을 통한 의료행위(검사, 처방을 통한약물투여)와 함께 실생활에서의 철저한 자기 관리 프로그램(측정기를 통한 체크를 바탕으로 식이요법, 운동요법)이 병행되어야 하나 현재 국내 의료상황은 의료행위에만 집중되어있고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자기 관리 프로그램의 효율적 구현은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환자를 위한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 대두되고 있다.
인터넷의 도입으로 온라인 관리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의료행위의 주체인 병원과 관리의 주체인 인터넷 사이트들이 이원화되어 환자들은 이중의 비용부담을 행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만성질환의 주연령층이 인터넷 등 온라인 매체이 익숙치 못함으로 인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서비스 발전의 저해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인터넷이 대표적인 한계점인 시공간적 한게 또한 주요한 어려움을 호소 하고 있다.
이에 측정기와 휴대폰, PDA 등 무선 휴대단말기를 연결시키고 제어할 수 있는 원-터치형 인터페이스 카드를 이용해 무선인터넷 망을 통하여 병원과 환자간의 원격 관리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일원화된 지역 주치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력한 의료 DB를 원격 자기 관리 프로그램에 도입하여 주치의의 처방을 실생활에서 효율적으로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원격 주치의제에 기반을 둔 Community Communication 서비스를 통해 만성질환자의 편의를 도모 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단말기(Cellular Phone)과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 그리고 혈당계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중간 인테페이스 장비는 혈당계와 단말기와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혈당계와는 RS-232C통신을 하게 되며, 단말기와는 RS-232C 통신과 USB통신을 모두 할 수 있도록 된다.
기본적 동작은 혈당계에서 사람의 혈당을 측정한 후 그 값을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에 RS-232C통신을 이용하고 자체 프로토콜에 맞추어 전달하도록 한다.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는 혈당계에서 받은 값을 내부에서 가공하여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을 한다.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에서 가공된 데이터는 단말기와 RS-232C나 USB 통신을 통하여 전달하게 되는데 RS-232C나 USB통신 중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만약 RS-232C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게 될 때 USB 포트를 이용하여 전달을 해야할 경우가 발생한다면 RS-232C 와 USB 모두 통신이 가능하다.
혈당계는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갖고 있으며 외부로 나와 있는 RS-232C 포트 3개의 선(RxD, TxD, GND)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하드웨어적인 흐름제어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확성을 위하여 혈당계와 중간 인터페이스장비의 통신 프로토콜에서는 오류검출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와 통신을 하도록 한다.
그림 2는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 내부 구성도이다.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는 단말기와 혈당계의 중간에서 통신을 원할 하도록 하기 위한 장비이다.
그림 3은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 회로도의 일부분 이다. MPU부분이 핵심이 되는 부품이다. 주변에 램과 롬 그리고 인터페이스를 위한 부품들이 있게 된다.
구성은 MPU(Micro-Processor Unit)과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RAM, RS-232C 드라이버 2개, USB 드라이버 등으로 구성된다. MPU는 모든 프로그램과 주변 장치들을 제어를 하며, 플래쉬메모리에는 장비에 전원이 들어와 기동하게 되면 장비가 움직여야 하는 순서와 동작 명령이 저장되어 있다. RAM에는 임시적으로 MPU가 사용하는 메모리를 제공하게 된다. 2개의 RS-232C는 각각 단말기와 혈당계에 연결되어 통신을 하게 된다. USB 포트는 단말기에만 연결되어 통신을 하게 된다. 현재 단말기의 경우 RS-232C와 USB가 모두 지원되기 때문에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와 모두 연결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RS-232C 한 포트는 혈당계에 연결이 되며, RS-232C 한개의 포트와 USB 포트는 단말기에 연결이 된다.
단말기와 중간인터페이스 장비와의 연결은 단말기의 카킷(carkit)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각 단말기마다 고유의 카킷잭이 있기 때문에 그 카킷마다 달리 만들어 단말기와의 통신을 원활하도록 한다.
그림 4은 카킷의 구성도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RS-232C와 USB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단말기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단말기의 밑에 있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그 부분으로 전원과 RS-232C, USB를 모두 연결 가능하다.
단말기에서는 카킷이 연결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단자를 만들어 카킷이 연결되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단말기에는 카킷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혈당계의 자료를 받아 들이는 프로그램이 수행이 된다. 이 프로그램은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와 프로토콜을 맞추어서 통신을 하게 되며 그 값들을 모두 전송받게 된다. 그 전송받은 데이터는 서버에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는 자동으로 WAP 서비스등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들어가 서버에 접속을 하도록 한다.
서버에서는 접속되는 단말기의 정보를 읽어 현재 접속한 단말기의 ID를 확인하여 접속한 단말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데이터를 로딩하여 단말기를 통하여 들어오는 데이터를 서버의 DB에 저장을 하도록 한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단말기는 접속을 끊어 사용자에게 전송이 완료 되었음을 알린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기의 데이터를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 단말기와 결합하고 통신용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서 무선인터넷 채널을 이용, 병원과 환자가 상호 원격으로 관리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일원화된 주치의 시스템 구축과 양질의 의료 DB를 원격 자기 관리 프로그램에 삽입하여 실지적인 환자 주치의의 처방을 실생활에서 효율적으로 이용 서비스할 수 있는 종합의료 정보제공 시스템이다.
〈그림1 구성도〉
〈그림2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 내부 구성도〉
〈그림 3 중간 인터페이스 장비 회로도〉
〈그림 4 카킷의 구성도 〉

Claims (3)

  1. 혈당계와 휴대폰이 일대일 교류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장비에 있어서, 수검자의 혈당을 측정한 후 그 값을 RS-232C통신을 통하여 인터페이스장비에 전달해 주는 장치,
    인터페이스 장비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RS-232C통신이나 USB통신을 통하여 단말기에 전달하는 장치,
    인터페이스장비 내부의 단말기와 혈당계의 통신을 원활하도록 하는 장치,
    단말기의 카킷(carkit)에 인터페이스장비가 연결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단자,
    단말기의 카킷을 통하여 인식된 정보를 자동으로 WAP 서비스 등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들어가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중간인터페이스 장비를 혈당계 또는 단말기에 일체화시키는 장치.
  3. 기타 의료장비(전자혈압계, 심전도기, 체온계)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40000774A 2004-01-06 2004-01-06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20050072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74A KR20050072371A (ko) 2004-01-06 2004-01-06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774A KR20050072371A (ko) 2004-01-06 2004-01-06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371A true KR20050072371A (ko) 2005-07-11

Family

ID=3726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774A KR20050072371A (ko) 2004-01-06 2004-01-06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23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gueredo et al. Mobile telemedicine system for home care and patient monitoring
EP1593338B1 (en) Remote medical system
US71568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lth and disease management combining patient data monitoring with wireless internet connectivity
US20020143576A1 (en) Remote patient health management system
US20020158775A1 (en) Telemetry system and method for home-based diagnostic and monitoring devices
US20080287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Konstantas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vital constants for mobile users: the MobiHealth approach
CN104200418A (zh) 基于移动互联网的智能居家诊疗系统和方法
US20150363565A1 (en) Monitor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using mobile terminal
CN102090930B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AU2022231711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ntinuous blood glucose tester
CN205458640U (zh) 一种移动病房系统
KR100883744B1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Ping et al. The research of telemedicine system based on embedded computer
JPH1147101A (ja) 家庭用健康管理ネットワーク
CN203102286U (zh) 一种远程家庭诊疗系统
CN201658418U (zh) 基于gprs网络的远程医疗服务系统
KR20210020335A (ko) 펄스옥시미터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871711A (zh) 一种全自动通信监护系统及方法
CN101009035A (zh) 一种利用无线网络收集生理指标数据的方法
Juneja et al. Healthcare analysis via wireless sensor network
CN108538346A (zh) 一种智能化居家养老用健康档案管理系统及管理流程
CN101588406A (zh) 健康手机及在线专家诊断系统
KR20050072371A (ko) 의료장비와 휴대폰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20030025748A (ko) 재택 의료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재택 의료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