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221A -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221A
KR20050070221A KR1020030099272A KR20030099272A KR20050070221A KR 20050070221 A KR20050070221 A KR 20050070221A KR 1020030099272 A KR1020030099272 A KR 1020030099272A KR 20030099272 A KR20030099272 A KR 20030099272A KR 20050070221 A KR20050070221 A KR 2005007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coil
portable terminal
slide
float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221A/ko
Publication of KR2005007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2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저면에 장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부상되는 부상 전자기 코일과,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에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 코일이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자동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 자석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진보함에 따라, 단순한 무선 통신 수단을 넘어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과 같이 무선 통신 외적인 기능들이 휴대용 단말기에 부가되고,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개선과 고속 통신의 실현에 의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미 상용화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를 궁극적인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보통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로 구분되고, IMT-2000 서비스, 카메라 기능, 무선 인터넷의 도입 등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정보가 화상으로 표시되므로 커다란 액정 화면을 도입할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바형 휴대용 단말기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커다란 액정 화면이 장착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바형이나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 비해서는 커다란 액정 화면이 사용될 수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 크기의 절반 이하의 액정화면만 수용할 수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최근에는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화면과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를 동일한 공간에 겹쳐서 설치되어 작은 크기의 휴대용 단말기로 커다란 액정 화면을 장착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1 및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1)는 후술한 엘씨디를 포함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10)와, 통신 제어 등을 담당하고 입력 기구인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10)는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엘씨디(LCD:Liquid Crystal Display)(11)와, 통화시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그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로 형성된 수화부(12)와, 엘씨디(11)와 수화부(12)를 감싸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부 케이싱(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21)와, 사용자가 음성을 전달하도록 마이크로 형성된 송신부(22)와,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본체부(20)의 상단에 형성된 안테나(23)와,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피시비(미도시)와, 상기 메인 피시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부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24)와, 상기 메인 피시비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26)을 구비한다.
여기서,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1)의 개폐 장치는 본체부(10)에 대하여 슬라이드부(20)가 상하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20)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부(10)의 후면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요입되어 형성된 안내홈(18)과, 상기 안내홈(18)에 맞물려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26)의 전면에 형성된 안내 돌기(25)로 구성된다. 즉, 본체부(20)에 대하여 슬라이드부(10)는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 안내홈(18)을 따라 본체부(20)에 형성된 안내돌기(25)가 맞물려 상하로 이동함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개폐된다.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부(10)를 주로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밀어 올림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개방 상태로 되며, 사용자가 슬라이드부(10)를 주로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끌어내림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는 폐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1)는 손가락에 의하여 수동으로 슬라이드부(10)를 밀어 올리거나 끌어내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으로 슬라이드부(10)를 본체부(20)에 대하여 멈출 때까지 일정한 크기의 힘을 가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력을 힘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본체부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저면에 장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부상되는 부상 전자기 코일과,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에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 코일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의 동작을 지시하는 슬라이드 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마그네트는 일측면에 상기 안내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요입홈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요입홈의 저면 및 양측면에는 각각 같은 극의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의 안내돌기 끝단면과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마그네트의 요입홈 저면에는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의 안내돌기 끝단면과 접촉시 상기 전자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접점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는 엘씨디(11)를 포함하여 상하로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10)와, 통신 제어 등을 담당하고 입력 기구인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10)는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엘씨디(LCD:Liquid Crystal Display)(11)와, 통화시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그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로 형성된 수화부(12)와, 엘씨디(11)와 수화부(12)를 감싸도록 형성된 슬라이드부 케이싱(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키패드(21)와, 사용자가 음성을 전달하도록 마이크로 형성된 송신부(22)와,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본체부(20)의 상단에 형성된 안테나(23)와, 통신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피시비(미도시)와, 상기 메인 피시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부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24)와, 상기 메인 피시비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26)을 구비한다.
본체부(10)에 대하여 슬라이드부(20)가 상하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드부(10)의 후면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요입되어 형성된 안내홈(18)과, 안내홈(18)의 저면에 장착되어 안내홈(18)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마그네트(140)와, 본체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8)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돌기(131)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4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부상되는 부상 전자기 코일(130)과,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130)에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내홈(18)의 양 끝단부에 장착되는 전자기 코일(151, 152)로 이루어진다.
상기마그네트(140)는 일측면에 상기 안내돌기(1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요입홈(142)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요입홈(142)의 저면(142a) 및 양측면(142b)에는 각각 같은 극의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고 본 구성에서는 N극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안내돌기(131) 끝단면(131a)과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마그네트(140)의 요입홈(142) 저면(142b) 중앙부에는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안내돌기(131) 끝단면(131a)과 접촉시 상기 전자기 코일(151, 152)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접점스위치(143)가 장착된다.
또한, 슬라이드부(10)의 전면에 형성된 엘씨디(11) 하측부에는 부상 전자기 코일(13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동작을 지시하는 슬라이드 버튼(153)이 형성된다. 이때, 종래의 다른 버튼이 슬라이드 버튼(153)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슬라이드부(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버튼(153)을 누르면 부상 전자기 코일(130)에 전류가 공급되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안내돌기(131)에 N극의 극성이 형성된다. 안내돌기(131)에 N극의 극성이 생성되면 마그네트(140)의 요입홈(142) 저면(142a) 및 양측면(142b)에 형성된 N극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척력이 발생되어 안내돌기(131)가 요입홈(142)의 중간부분에 부상된 상태가 되어 안내돌기(131)가 형성된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고정된 슬라이드부(10)가 부상된 상태로 된다. 슬라이드부(10)에 고정된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부상된 상태가 되면 접점스위치(143)가 안내돌기(131)의 끝단부(131a)에 접촉된 상태에서 해지되면서 안내홈(18)의 상단부에 장착된 전자기 코일(151)에는 S극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장착된 전자기 코일(152)에는 N극이 형성되어 상단부에 형성된 전자기 코일(151)과 부상 전자기 코일(130)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발생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전자기 코일(152)과 부상 전자기 코일(130) 사이에는 서로 미는 척력이 발생되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상단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드부(10)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슬라이드부(10)가 완전하게 열리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상단부의 전자기 코일(151)과 접촉되면서 S극 극성으로 변환되면서 N극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143)와 인력이 작용하여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안내돌기(131)가 마그네트(143)의 저면(142b)에 밀착되어 고정되면서 접점스위치(143)가 작동되어 전자기 코일(151, 152)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슬라이드부(10)를 다시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부(1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버튼(153)을 누르면 부상 전자기 코일(130)에 전류가 공급되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안내돌기(131)에 N극의 극성이 형성된다. 안내돌기(131)에 N극의 극성이 생성되면 마그네트(140)의 요입홈(142) 저면(142a) 및 양측면(142b)에 형성된 N극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척력이 발생되어 안내돌기(131)가 요입홈(142)의 중간부분에 부상된 상태가 되어 안내돌기(131)가 형성된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고정된 슬라이드부(10)가 부상된 상태로 된다. 슬라이드부(10)에 고정된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부상된 상태가 되면 접점스위치(143)가 안내돌기(131)의 끝단부(131a)에 접촉된 상태에서 해지되면서
안내홈(18)의 상단부에 장착된 전자기 코일(151)에는 슬라이드부(10)가 열릴때와는 다른 전류 공급으로 N극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장착된 전자기 코일(152)에는 S극이 형성되어 상단부에 형성된 전자기 코일(151)과 부상 전자기 코일(130) 사이에는 서로 미는 척력이 발생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전자기 코일(152)과 부상 전자기 코일(130)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이 발생되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하단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드부(10)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슬라이드부(10)가 완전하게 닫히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하단부의 전자기 코일(152)과 접촉되면서 S극 극성으로 변환되면서 N극 극성을 갖는 마그네트(143)와 인력이 작용하여 부상 전자기 코일(130)의 안내돌기(131)가 마그네트(143)의 저면(142b)에 밀착되어 고정되면서 접점스위치(143)가 작동되어 전자기 코일(151, 152)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 안내홈(18)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131)가 형성된 부상 전자기 코일(130)과 슬라이드부(10)에 형성된 마그네트(140)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부상 전자기 코일(130)이 부상되고 접점스위치(143)가 작동되어 전자기 코일(151, 152)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슬라이드부(10)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는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부상 전자기 코일과 슬라이드부에 형성된 마그네트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부상 전자기 코일이 부상되고 접점스위치가 작동되어 전자기 코일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슬라이드부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가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욕구 충족에 의한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드부 18 : 안내홈
20 : 본체부 130 : 부상 전자기 코일
131 : 안내돌기 140 : 마그네트
151, 152 : 전자기 코일

Claims (4)

  1. 본체부의 일측면에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 소정의 폭으로 요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저면에 장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내돌기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부상되는 부상 전자기 코일과,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에 인력 및 척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 코일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부에는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의 동작을 지시하는 슬라이드 버튼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마그네트는 일측면에 상기 안내돌기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요입홈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요입홈의 저면 및 양측면에는 각각 같은 극의 극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의 안내돌기 끝단면과 일시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마그네트의 요입홈 저면에는 상기 부상 전자기 코일의 안내돌기 끝단면과 접촉시 상기 전자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접점스위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20030099272A 2003-12-29 2003-12-29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50070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272A KR20050070221A (ko) 2003-12-29 2003-12-29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272A KR20050070221A (ko) 2003-12-29 2003-12-29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21A true KR20050070221A (ko) 2005-07-07

Family

ID=3726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272A KR20050070221A (ko) 2003-12-29 2003-12-29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2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02B1 (ko) * 2005-12-27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100781165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US7620425B2 (en) 2005-09-30 2009-11-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0425B2 (en) 2005-09-30 2009-11-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KR100745802B1 (ko) * 2005-12-27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
KR100781165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400B1 (ko)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71349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3348204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
KR10054379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및 슬라이드 방법
KR200500702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715810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단말기
KR2005003764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00014986A (ko) 플립형 무선 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6724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830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040020B1 (ko) 자기력을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383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974678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338943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23233A (ko) 전자석을 이용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26841B1 (ko) 휴대단말기용 오토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67739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044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CN216250488U (zh) 按键机构和终端设备
KR100565304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99275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50036598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엘씨디 와이퍼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