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494A -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 Google Patents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494A
KR20050069494A KR1020030101636A KR20030101636A KR20050069494A KR 20050069494 A KR20050069494 A KR 20050069494A KR 1020030101636 A KR1020030101636 A KR 1020030101636A KR 20030101636 A KR20030101636 A KR 20030101636A KR 20050069494 A KR20050069494 A KR 20050069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coal
rota
coal
housing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56028B1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028B1/en
Publication of KR2005006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1/00Pretreatment of solid fuel
    • F23K2201/10Pulve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1/00Pretreatment of solid fuel
    • F23K2201/30Sepa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및 석탄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석탄의 연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석탄을 미분화하여 버너에 공급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탄이 유입되는 석탄유입관(40)과, 상기 석탄유입관(40)의 둘레에 수직으로 입설된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석탄이 분쇄된 후 입자별로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개판(44)이 구비된 로타(46)와, 상기 하우징(4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로타(46)를 통과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탄 배출관(4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apparatus for pulverizing coal which is supplied to a burner by pulverizing co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mbustion of coal in a coal-fired power plant and a coal cogeneration plant. A housing 42 vertically erected around the tube 40 and a plurality of wing plates 44 provided inside the housing 42 and separated by particles after the coal introduced is crushed are provided. Rota 46 and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42 and the fine powder passing through the rota 46 is discharged.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미분탄 분리장치 내에서의 불균일한 유동으로 인한 미분효율 저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미분탄이 특정 위치에 집중되는 과부하 현상을 개선하여 부품 수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 및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greatly improve the pulverization efficiency reduction due to the non-uniform flow in 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and improve the component life by improving the overload phenomenon in which the pulverized coal is concentrated at a specific position, while also improving vibration and noise. It can be reduced.

Description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Pulverized Coal Separator of Pulverizer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및 석탄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석탄의 연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석탄을 미분화하여 버너에 공급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타의 상부를 원통형으로, 하부를 절두원추형으로 형성하고 미분탄 배출관의 입구에 오리피스부를 구비하여 미분탄의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미분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for pulverizing coal which is supplied to a burner by pulverizing co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mbustion of coal in a coal-fired power plant and a coal cogeneration plant. More specifically, the upper part of the rotor is cylindrical and the lower part is truncated conic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for forming a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having an orifice portion at the inlet of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pulverized coal and maximize the pulveriza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에서는 미분기를 사용하여 보일러로 유입되는 원료를 분쇄하는데, 수직형 및 수평형이 있다. 첨부도면 도 1에서는 수직형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1)는 수직으로 입설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선단부에 구비된 커버(12)와, 상기 커버(12)의 내측으로 내향구비된 로타(14)와, 상기 로타(14)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된 석탄유입관(16) 및 상기 로타(14)의 내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커버(12)의 상측으로 설치된 미분탄 배출관(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In general, thermal power plants use a pulverizer to grind raw materials introduced into a boiler. There are vertical and horizontal types. 1 shows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1 of a vertical pulverizer,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1 of a conventional pulverizer has a housing 10 vertically installed and the housing ( A cover 12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10), a rota 14 inwardly provided inwardly of the cover 12, and the rota 14 vertically penetrating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e coal inlet pipe 16 and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18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rota 14 and installed above the cover 12 is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커버(12)의 일측에는 로타(14)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모터(20)와, 이와 연결된 회전부(22) 등이 구비되고, 상기 로타(14)와 상기 미분탄 배출관(18)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완충부(24)가 구비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ver 12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20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or 14, and a rotating portion 22 connected thereto, and the rotor 14 and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18. The predetermined buffer part 24 is provided in between.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미분탄 분리장치(1)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석탄유입관(16)을 통해 석탄이 유입되면, 유입된 석탄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분쇄기(미도시)에 의해 분쇄되어 이송공기 또는 가스에 의해 위로 상승하고, 분쇄된 석탄은 상기 구동모터(20)를 통해 회전하는 로타(14)를 통과하며 입자크기별로 분리되어, 작은 입자의 미분탄은 상기 미분탄 배출관(18)을 통해 배출되고 기준치 이상인 큰 입자의 미분탄은 다시 하강하여 재분쇄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when coal is introduced through the coal inlet pipe 16, the introduced coal is a crus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10) Pulverized coal is pulverized by the transfer air or gas, and the pulverized coal passes through the rota 14 rotating through the driving motor 20 and is separated by particle size. Pulverized coal of large particle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8 and above the reference value is lowered again and regrind.

여기에서, 종래의 로타(14)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타(14)는 다수개의 날개판(vane)(26)이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절두원추형(截頭圓錐形)으로 배열되어 있는 측벽부(28) 및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를 막아주도록 설치되되 중앙에 통공(30)을 구비한 바닥부(32)로 이루어져 있다. Here, looking at the conventional rota 14 in detail,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rota 14 is truncated cone-shap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vanes (26)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consists of a side wall part 28 arranged in a shape and the bottom part 32 provided so that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side wall part may be provided with the through-hole 30 in the center.

또한, 상기 로타(14)의 상부(14a)와 중앙부(14b)에는 상기 날개판(26)을 지지 및 보강해주기 위한 보강링(34)이 설치되며, 아울러 상부의 보강링(34)은 상기 완충부(24)의 하단부와 맞닿아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14a) and the central portion (14b) of the rota 14 i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ring 34 for supporting and reinforcing the wing plate 26, and the upper reinforcement ring 34 is the buffer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art 24.

그런데, 이러한 로타(14)를 포함한 종래의 미분탄 분리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separation apparatus 1 including the rota 14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로타(14)를 통과하는 미분탄은 수직으로 상승하려는 관성력 때문에 절두원추형으로 이루어진 로타(14)의 하측보다는 상측에 편중되어 통과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로타(14)의 상측은 상대적으로 과부하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미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That is, the pulverized coal passing through the rota 14 tends to pass through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lower side of the rota 14 having a truncated cone because of the inertial force to rise vertically,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rota 14 is relatively overload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erivative is lowered due to this.

또한, 상기 로타(14)의 상부를 절단한 도면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타(14)를 통과하기 위해 접근하는 미분탄은 상기 미분탄 배출관(18)과 가까운 측은 유속이 빠른 반면, 미분탄 배출관(18)과 먼 측의 유속은 느려져서 속도의 편차의 생길 수밖에 없었고, 이 또한 미분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참고로, 도면에서 도시된 화살표의 길이는 당해 구간을 통과하는 미분탄 유동속도의 크기를 나타낸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which is a diagram of an upper portion of the rota 14, the pulverized coal approaching to pass through the rota 14 has a high velocity at the side close to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18, while The flow velocity on the side farther from the discharge pipe 18 was slowed to induce a variation in speed, which also caused a decrease in the fineness. For reference, the length of the arrow shown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magnitude of the pulverized coal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section.

따라서, 이러한 로타(14)를 구비한 종래의 미분탄 분리장치(1)를 이용하여 미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로타(14)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방법밖에는 없었는데, 이는 과속에 따른 압력손실 및 진동발생의 부착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이 방법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fineness using the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1 having such a rota 14, there was only a method of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 14, which caused the pressure loss and vibration caused by the overspeed. Adherent problems have arisen and this method has been limited.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기 로타의 상부를 원통형으로 제작하고 하부는 절두원추형으로 제작하여 상측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통과되는 미분탄의 과부하 현상을 해결하고, 상기 미분탄 배출관의 하측에 오리피스부를 형성하여 로타를 통과하는 미분의 불균일한 유동 분포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upper part of the rota is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in a frusto-conical shape to solve the overload phenomenon of pulverized coal passed by widening the upper surface are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for forming an orifice portion under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so as to improve the non-uniform flow distribution of the pulverized powder passing through the ro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석탄이 유입되는 석탄유입관, 상기 석탄유입관의 둘레에 수직으로 입설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석탄이 분쇄된 후 입자별로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개판이 구비된 로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로타를 통과한 미분탄이 배출되는 미분탄 배출관, 상기 로타와 미분탄 배출관의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된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에 있어서,상기 로타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날개판이 주연부를 따라 원통형을 이루며 배열되고, 상기 로타의 하부는 상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날개판이 절두원추형으로 배열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al inlet pipe into which coal is introduced, a housing vertically installed at the periphery of the coal inlet pipe,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is separated by particles after the introduced coal is crushed. To 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rot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g plates,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discharged the pulverized coal passing through the rota, a buffer provided between the rota and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In the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 is open, the wing plate i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periphery,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late is arranged in a truncated cone shape.

상기 로타의 원통형을 이루는 상부는 전체 로타의 높이의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ortion constituting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rota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75% of the height of the whole rota.

상기 로타와 상기 완충부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로타를 통과하는 미분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rifi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rot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part to uniformize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fine powder passing through the rota.

상기 로타의 하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승하는 미분탄의 불균일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art of the ro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having a hollow and conical shape in order to prevent the non-uniform flow of pulverized coal ris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상기 로타의 상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미분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ota and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pulverized coal to flow o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분탄 분리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석탄이 유입되는 석탄유입관(40)과, 상기 석탄유입관(40)의 둘레에 수직으로 입설된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석탄이 분쇄된 후 입자별로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개판(44)이 구비된 로타(46)와, 상기 하우징(42)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로타(46)를 통과한 미분이 배출되는 미분탄 배출관(4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al inflow pipe 40 through which coal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housing 42 vertically installed around the coal inflow pipe 40. And a rotor 46 provided inside the housing 42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ing plates 44 so that the coal introduced therein is crushed and separated by particles, and provided above the housing 42. And it comprises a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through which the fine powder passing through the rota 46 is discharged.

여기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타(46)의 상부(46a)는 개방되어 상기 날개판(44)이 주연부를 따라 원통형을 이루며 배열되고, 로타(46)의 하부(46b)는 상부(46a)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날개판(44)이 절두원추형으로 배열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 5, the upper portion 46a of the rota 46 is opened so that the wing plate 44 i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periphery, and the lower portion 46b of the rota 4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portion 46a, the wing plates 44 are arranged in a truncated cone shape.

즉, 상기 로타(46)의 상부(46a)에 구비되는 날개판(44)은 전체가 원통형을 이루도록 수직 입설되며, 바람직하게 미분탄의 분리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약 15°~ 60°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That is, the wing plate 44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46a of the rota 46 is vertically placed so as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is preferably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15 ° to 60 ° to maximiz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pulverized coal. Is installed.

따라서, 로타(46)의 상부(46a)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입되는 미분탄의 과부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로타(46)의 하부(46b)에 구비되는 날개판(44)은 수평선(X)과 약 50°~ 80°의 각도를 이루며 절두원추형으로 배열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verload phenomenon of the pulverized coal introduced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upper 46a of the rota 46. In addition, the wing plate 44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46b of the rota 46 forms an angle of about 50 ° to 80 ° with the horizontal line X and is arranged in a truncated cone shape.

또한, 상기 로타(46)의 상부(46a)와 하부(46b)가 맞닿아 있는 곳에는 보강을 위한 보강링(50)이 끼워지고, 로타(46)의 상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2)과의 사이에서 미분탄이 미분탄 배출관(18)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52)가 구비된다. In addition, where the upper portion 46a and the lower portion 46b of the rota 4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reinforcing ring 50 for reinforcement is fitted,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ota 46 is shown in FIG. 4. A sealing member 52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42 and the pulverized coal to prevent the pulverized coal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18.

상기 밀봉부재(52)는 바람직하게 탄소강 또는 내마모성 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42)의 하측 접촉면에 요홈(미도시) 등을 요설하여 상기 로타(46)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sealing member 52 may be preferably made of carbon steel or wear-resistant steel, and may be provided with grooves (not shown) on the lower contact surface of the housing 42 to insert the upper end of the rotor 46.

또한, 상기 로타(46)와 상기 미분탄 배출관(48)의 사이에는 상기 로타(46)를 통과하는 미분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54)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orifice portion 54 is formed between the rota 46 and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to make uniform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fine powder passing through the rota 46.

상기 오리피스부(54)는 상기 로타(46)와 상기 미분탄 배출관(48)과의 사이에 구비된 완충부(56)의 하측 직경이 상기 로타(46)의 상부 직경보다 작아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미분탄 배출관(48)과의 이격거리가 상이하게 나타났던 미분탄의 유동분포가 상기 오리피스부(54)를 통해 균일화될 수 것이다. The orifice portion 54 is formed by having a lower diameter of the buffer portion 56 provided between the rota 46 and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smaller than the upper diameter of the rota 46. The flow distribution of pulverized coal, which has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may be uniformed through the orifice portion 54.

또한, 상기 로타(54)의 하측에는 상기 하우징(42)의 하측으로부터 상승하는 미분탄의 불균일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부(58)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or 54 is provided with a guide 58 for preventing the non-uniform flow of pulverized coal ris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42.

상기 안내부(58)는 상기 석탄 유입관(40)이 관통되도록 내부에 통공(58a)이 형성되고, 상승하는 미분탄의 과유동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수평선(X')과 30°~ 60°각도를 이루는 원추형(圓錐形)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guide portion 58 has a through hole 58a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al inlet pipe 40 penetrates, and preferably 30 ° to 60 ° with a horizontal line X 'in order to minimize the overflow of rising coal dust. It consists of cones that form an ang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로타(46)의 표면적을 최대로 하여 통과되는 미분탄의 과부하 현상을 해결하고, 상기 로타(46) 주변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하우징(42) 내측에서 상승하는 미분탄의 불균일한 유동을 시정해준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olves the overload phenomenon of the pulverized coal passed through the maximum surface area of the rota 46, makes the flow distribution around the rota 46 uniform and at the same time rises inside the housing 42. It corrected the uneven flow of pulverized coal.

한편, 첨부도면 도 6에서는 원통형을 이루는 본 발명의 로타(46) 상부(46a) 높이와 로타(46) 전체의 높이비에 따른 통과 미분도 분포(200 메쉬 체)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x축의 0%는 로타(46) 전체 형상이 절두원추형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이고, 100%는 로타(46)의 전체 형상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졌을 경우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passage differential distribution (200 mesh sieve) according to the height ratio of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46a) of the rota 46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ylindrical shape, the x-axis of 0% means the entire shape of the rota 46 is truncated cone, and 100% means the whole shape of the rota 46 is cylindrical.

그래프에 따르면, 75%의 미만, 즉 원통형을 이루는 로타(46)의 상부(46a) 높이가 전체 로타(46) 높이의 75% 이하일 경우에 미분도의 분포가 적절함을 나타내고 있다. The graph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derivatives is appropriate when less than 75%, i.e., the height of the top 46a of the cylindrical rota 46 is 75%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entire rota 46.

따라서, 바람직하게 원통형을 이루는 상기 로타(46)의 상부(46a)는 전체 로타(46)의 높이의 75% 이하로 형성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46a of the rota 46 preferably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o be 75%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entire rota 46.

또한, 첨부도면 도 7에서는 상기 하우징(42) 상측의 오리피스부(54) 유무에 따른 유동 불균일비를 미분탄 배출관(48)과 상기 완충부(56)의 높이비를 기준으로 도시한 그래프로써, 상기 완충부(56)의 높이가 상기 미분탄 배출관(48) 직경의 0.5배 미만에서 유동 불균일 분포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오리피스부(54)가 구비된 경우가 오리피스부(54)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동 불균일 분포가 현저히 적을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non-uniformity ratio in the presence of the orifice portion 54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42 is a graph showing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and the buffer 56 based on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flow nonuniform distribution is large when the height of the buffer 56 is less than 0.5 times the diameter of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48.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ase where the orifice portion 54 is provided has a significantly smaller flow nonuniformity distribution than when the orifice portion 54 is not provided.

아울러, 오리피스 역할을 수행하는 완충부(56)의 입구직경(D)에 대한 미분도는 미분탄 배출관(18)의 직경(d)의 4배 이상에서는 거의 유사한 분포를 보여준 반면 압력손실 분포는 미분탄 배출관(18)의 직경(d)에 2배 미만에서 크게 증가하므로, 완충부(56) 입구직경(D)은 미분탄 배출관(18) 하부 직경(d)의 2~4배가 적절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derivative degree of the inlet diameter (D) of the buffer unit 56 serving as the orifice showed a nearly similar distribution at least four times the diameter (d) of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18, while the pressure loss distribution was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Since the diameter (d) of (18) is greatly increased at less than twice, the inlet diameter (D) of the buffer portion 56 may be appropriately 2 to 4 times the diameter (d) of the lower part of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18).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분탄 분리장치 내에서의 불균일한 유동으로 인한 미분효율 저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미분탄이 특정 위치에 집중되는 과부하 현상을 개선하여 부품 수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 및 소음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the pulverization efficiency due to the non-uniform flow in 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and improve the component life by improving the overload phenomenon in which the pulverized coal is concentrated at a specific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vibration and Noise can also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과도한 교체비용 없이 종래의 수직형 미분탄 분리장치를 개선할 수 있어 효과가 매우 크며, 나아가 화력발전소 이외에도 시멘트 공장의 시멘트 분말용 미분탄 분리장치 또는 기타 산업용 분쇄기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활용폭이 매우 크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tional vertical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without excessive replacement cost, the effect is very large, and in addition to the coal-fired power pla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for cement powder or other industrial pulverizer, the application range Would be very big.

도 1은 종래의 미분탄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로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2A and 2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rota

도 3은 종래의 로타 상면을 절단하여 미분탄의 속도분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3 is a plan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velocity distribution of pulverized coal by cutting a conventional Rota top surface;

도 4는 본 발명의 미분탄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 pulverized coal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로타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rot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로타의 상부 높이에 따른 미분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upper height of the rot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오리피스부 유무에 따른 미분탄의 불균일 유동분포를 도시한 그래프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non-uniform flow distribution of pulverized coal with or without orific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 석탄유입관 42 : 하우징40: coal inlet pipe 42: housing

44 : 날개판 46 : 로타44: wing plate 46: rota

48 : 미분탄 배출관 50 : 보강링48: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50: reinforcing ring

52 : 밀봉부재 54 : 오리피스부52 sealing member 54 orifice portion

56 : 완충부 58 : 안내부56 buffer unit 58 guide unit

Claims (5)

석탄이 유입되는 석탄유입관, 상기 석탄유입관의 둘레에 수직으로 입설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석탄이 분쇄된 후 입자별로 분리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날개판이 구비된 로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로타를 통과한 미분탄이 배출되는 미분탄 배출관, 상기 로타와 미분탄 배출관의 사이에 마련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된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에 있어서,A coal inlet pipe into which coal is introduced, a housing vertically installed around the coal inlet pipe, a ro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wing plates provided to separate the particles after the coal is crushed, the rotor In 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ulverized powder comprising a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discharged the pulverized coal passing through the rota, a buffer provided between the rota and the pulverized coal discharge pipe, 상기 로타의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날개판이 주연부를 따라 원통형을 이루며 배열되고, 상기 로타의 하부는 상부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날개판이 절두원추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The upper part of the rota is open, the wing plate i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periphery, the lower part of the rota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grind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late is arranged in a truncated cone sh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타의 원통형을 이루는 상부는 전체 로타의 높이의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able cylindrical part is pulverized coal sepa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75% of the height of the whole ro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타와 상기 완충부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로타를 통과하는 미분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The pulverized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fi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rot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uffer portion to uniformly distribute the flow of fine powder passing through the ro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타의 하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상승하는 미분탄의 불균일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이고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 안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device of the pulveriz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having a hollow inside and a conical shape in order to prevent non-uniform flow of pulverized coal ris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타의 상단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는 미분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기의 미분탄 분리장치.The pulverized coal separation apparatus of the pulverizer,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ota and the housing to prevent the pulverized coal from flowing out.
KR1020030101636A 2003-12-31 2003-12-31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KR100556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636A KR100556028B1 (en) 2003-12-31 2003-12-31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636A KR100556028B1 (en) 2003-12-31 2003-12-31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494A true KR20050069494A (en) 2005-07-05
KR100556028B1 KR100556028B1 (en) 2006-03-03

Family

ID=3725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636A KR100556028B1 (en) 2003-12-31 2003-12-31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0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94B1 (en) * 2007-10-05 2008-01-30 어드벤스드레곤(주) A fire sensor in the pulverizer for a thermal power pl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727B1 (en) * 1999-04-09 2002-01-09 윤영석 Classifier of pulverizer for thermal power pla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94B1 (en) * 2007-10-05 2008-01-30 어드벤스드레곤(주) A fire sensor in the pulverizer for a thermal power 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028B1 (en)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1547B2 (en) Classifier
CN206642897U (en) The used manifold type mill separator of rotation
EP0507983B1 (en) A pulverizer mill with a rotating throat/air port ring assembly
JP5716272B2 (en) Vertical roller mill
US4522343A (en) Micronized grinding apparatus
US2378681A (en) Pulverizer
JP2007136299A (en) Cement clinker grinding facility
CN206643008U (en) Mill separator
CN212791460U (en) Powder separator
JP6172577B2 (en) Vertical crusher
KR100556028B1 (en) The Pulverized Coal Classifier of Pulverizer
JP2009297597A (en) Vertical roller mill
JP3477437B2 (en) Airflow classifier
US5605292A (en) Pulverizer mill high performance classifier system
CN117000392A (en) Special superfine pulverizer for superhard material
KR200447331Y1 (en) Device for Reducing Coal Spillage of Bowl Mill
US53101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verizing glass
US2214832A (en) Pulverizer
JP4576577B2 (en) Crusher
KR100592922B1 (en) The dry process type nano crusher and the dry process type nano crush system using that
CN107413650A (en) A kind of fine powder winnowing machine
EP0636416A2 (en) Roller mill containing therein a rotary classifier
JP5577668B2 (en) Vertical roller mill
AU674817B2 (en) Rotating nozzle ring
RU2329867C2 (en) Conical cavitation gr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