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543A -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543A
KR20050068543A KR1020030100078A KR20030100078A KR20050068543A KR 20050068543 A KR20050068543 A KR 20050068543A KR 1020030100078 A KR1020030100078 A KR 1020030100078A KR 20030100078 A KR20030100078 A KR 20030100078A KR 20050068543 A KR20050068543 A KR 2005006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data
peer
streaming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성길
장창하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3010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8543A/ko
Publication of KR2005006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23Payment schemes or models based on the use of peer-to-pee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데이터를 공유할 때, 중앙에 파일 교환을 위한 데이터 서버를 두지 않고, 단지 음원 제공자 컴퓨터가 보유하고 있는 음원에 대한 목록만을 구비한 채, 개인들간에 스트리밍 파일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서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분류하고 목록화한 후, DB 서버에 이를 저장하는 단계;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음원에 대한 검색어를 웹 서버에 전송하면, 웹 서버는 DB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검색어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단계;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는 전송받은 음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로부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는 단계;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Method for streaming music data us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원 데이터를 공유할 때, 중앙에 파일 교환을 위한 데이터 서버를 두지 않고, 단지 음원 제공자 컴퓨터가 보유하고 있는 음원에 대한 목록만을 구비한 채, 개인들간에 스트리밍 파일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전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컴퓨터 또는 웹 서버들을 기술적인 네트(Net, 망)로 연결하여, 정하여진 규칙 아래에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연결 체제로 정의할 수 있다.
인터넷이 활성화되어 있는 현재 상당한 규모로 자료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료 교환은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서버 집중형 네트워크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고속 회선의 구축과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 향상에 의하여 각각의 개인의 컴퓨터가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각각의 개인의 컴퓨터가 서버로서 역할을 하여 파일 공유 또는 자료 교환을 할 수 있는 피투피(P2P : Peer to Peer) 개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P2P는 인터넷에서 중간에 서버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정보를 찾는 사람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개인 컴퓨터(PC)를 직접 연결시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술과 그 기술을 응용하여 만든 새로운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서, 인터넷 상의 정보를 일명 검색 엔진을 거쳐 찾아야 하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개인 컴퓨터로부터 직접 정보를 제공받고, 검색은 물론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파일을 공유하거나 중앙 처리 장치(CPU)를 공유하여 개인 PC와 PC를 서로 연결하여 줄 수 있는 방식을 총괄하여 칭하는 용어이다.
즉, 이 기술은 기존의 인스턴트 메시지 기술을 응용하여, 사용자들이 빠르고 정확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 메시지를 통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받는 각종 데이터는 전세계의 흩어진 개인 사용자들을 직접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P2P 방식의 통신 프로그램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국내의 '소리바다'라는 프로그램과 해외의 '당나귀(Edonkey)'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2P 통신 방식은 중앙의 서버가 개인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목록화시키면, 이를 개인 사용자들이 참조하여 각각의 개인들간에 서로 자료를 업/다운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이러한 P2P 프로그램은 음악(또는 파일)을 검색해서 음원을 공유할 수 있고, 또한 많은 음원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분류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사용자들이 제대로 검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료 교환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따른 스트리밍 방식이라는 것이 있다.
최근 컴퓨터와 더불어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상,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면, MP3)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디지털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플레이어의 개발이 활발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정보는 전송, 복사 및 저장의 용이성 및 인터넷의 보급 등으로 인하여 급속히 전파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파일을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자신의 컴퓨터로 디지털 파일 자체를 다운로드받은 후에 이용하는 방식이었는데, 이는 파일의 크기가 큰 동영상이나 음질이 좋은 음악 파일의 경우에는 다운로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운로드라는 것은 원본과 동일한 파일이 사용자에게 복사되는 것이기 때문에 불법 복제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한 기술이 바로 스트리밍 기술인데, 스트리밍(Streaming)이란 스트림(Stream)의 사전적 의미가 '흐름', '연속' 등과 같은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파일이 조금씩 흘러서 연속되어 나온다는 개념이다.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은 파일을 패킷으로 분할하여 하나씩 전송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다운로드 방법에서 20초 동안 재생되는 파일을 읽어 오기 위하여 걸리는 시간이 10초라고 하면, 10 초 동안의 읽어 오는 동작을 마친 후, 재생을 한다면 사용자는 10 초를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1 초 동안 읽은 데이터로 2 초 동안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트리밍 기술에서는 1 초 동안 읽어 온 데이터를 바로 재생하고, 그 2 초가 지나기 전에 그 다음 데이터를 읽어 재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트리밍 기술은 미국의 '리얼 네트워크'사에서 개발한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기술에서 유래하였으며, 스트리밍이 가능한 솔루션으로는 리얼 플레이어사의 'Real System'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Media Technology' 등이 있으며, 스트리밍 플레이어로는 'RealPlayer'시리즈가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은 1회만 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파일 다운로드 방식에 비하여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음악 파일에 대한 스트리밍 제작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샘플링(Sampling) 단계, 편집(Edit) 단계, 부호화(Encoding) 단계, 서버의 전송 단계 및 플레이(Play) 단계로 이루어지며,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오디오 시디등의 데이터 스트림을 샘플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축시키지 않은 상태의 Wave 파일 등의 형태로 디스크에 저장하고, 두번째로 상기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스트림에 내용 설명이나 저작권 관련 내용 등을 넣어서 편집한다. 때로는 상기 두번째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세번째로, 여러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는데, 이때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MPEG 등을 이용하여 압축한 후(부호화 단계), 네번째로 부호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압축된 파일과 신호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 전송되면, 서버는 클라이언트 들의 접속을 받아 들이고,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때, 부호화 소프트웨어로는 MP3 방식, OGG 방식 등의 부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다섯번째로, 클라이언트는 압축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실시간으로 플레이한다.
상술한 다운로드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을 간단히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다운로드 방식은 안정적인 재생이 가능하고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든 데이터를 받은 후에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래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달리, 스트리밍 방식은 처음 재생이 시작되기까지 기다리는데 걸리는 시간이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재생 품질이 크게 좌우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스트리밍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서버-클라이언트 구조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개인과 개인간의 P2P에는 적용된 바가 없었다.
한편, 국내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는 벅스 뮤직의 경우에는(2003년 현재 시점) 음원을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에 대한 문제때문에 끊임없이 분쟁을 일으키고 있다.
즉, 인터넷의 발달과 IMT-2000의 등장으로 파일, 특히, 디지털 파일의 이용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상업화된 디지털 파일 거래는 원본과 동일한 복제가 가능하다는 디지털 파일의 특성과 불안정한 서비스로 인하여 아직 시장이 활성화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불법 복제, 안정적 재생 및 재생까지의 기다림의 최소화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새로운 방식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원 데이터를 공유할 때, 중앙에 파일 교환을 위한 데이터 서버를 두지 않고, 단지 음원 제공자 컴퓨터가 보유하고 있는 음원에 대한 목록만을 구비한 채, 개인들간에 스트리밍 파일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한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서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분류(Classification)하고 목록화한 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음원에 대한 검색어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전송받은 음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는 제 3 단계;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함과 동시에 재생(Play)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더 양호하게는,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로컬 디스크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로컬 디스크에 없으면,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서브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으면, 이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전용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제 2 서브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지 아니하면,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게 재전송을 요구하는 제 3 서브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로컬 디스크에 있으면, 이를 읽어들여 플레이하는 제 4 서브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 다수의 음원 제공자 컴퓨터(140), 데이터베이스 서버(120), 웹 서버(130) 및 서비스 서버(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악의 분류 체계와 가사를 담고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20), 고객에게 접속 서비스 / 분류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웹 서버(130) 및 스트리밍을 구현하고 상기 웹 서버(130)를 통하여 분류 정보를 받아 들이는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어투피어 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설명을 보다 상세히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들(다수의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 다수의 음원 제공자 컴퓨터(140))은 미리 설치하여 둔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킨 후, 상기 웹 서버(130)에 접속한다. 이러한 접속 서비스는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하여 허용된 사람에게만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허용된 사람이 아닌 경우는 로그인시 게스트로 접속할 수도 있다. 게스트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여 회원과는 차별을 두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즉, 접속된 사용자가 본인의 음악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포인트 및 아바타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회원 가입을 하게끔 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고객들을 유인/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 서버(130)에 접속하면,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 기설정되어 있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 화면들을 나타나게 한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 인덱스에 분류가 잘 되어 있는 각종 서브 메뉴 진입 버튼 및 소개글이 표시된다. 가령, 탑텐 가요, 추천 테마, 추천 쟝르, 쟝르별 가수, 시대별 감상, 광고 음악, 종교 음악 및 국악 등의 서브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을 구성하는 정보는 상기 웹 서버(130)로부터 제공되며, XML(eXtended Markup Language),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및 소켓(Socket)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웹 서버(130)가 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두어, 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하게끔 설계할 수도 있다.
한편,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될 때, 공유가 허용된 음원들을 등록하게 되는데, 이 등록 사항은 상기 웹 서버측에 저장되지 않고 자기 컴퓨터에 저장된다. 물론 추후 변경이 가능하게끔 설계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들이 상기 웹 서버(130)에 접속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공유 허용한 음원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웹 서버(130)를 경유하여 전송받을 수도 있고, 다이렉트로 웹 서버를 거치지 않고 받을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전송받은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하여 노래 제목, 가사 이름, 앨범 번호, 곡 번호, 가사 정보 및 해당 가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음원들의 목록을 저장한다. 또한, 이 목록은 효율적인 저장 및 검색을 위하여 분류(Classification)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목록은 다른 클라이언트가 목록 요청을 해올 때, 검색되어 사용된다. 또한, 이 목록에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ID,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저장하고 있는 음원 데이터의 ID,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저장하고 있는 음원 데이터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부가적으로 클라이언트를 위한 커스터마이징된 정보,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이용 정보들을 저장하여 추후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 의하여 분류된 항목들은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로 전송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의 로컬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방대한 양의 음원 데이터들은 이 전송받은 분류 항목에 의거하여 자동 분류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자신의 음원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게끔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그리고, 접속되어 있는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가 잘 분류되어 있는 인덱스나 검색을 통하여 원하는 음악을 찾은 뒤, 이를 청취(Play)하기를 원하면, 상기 웹 서버(130) 또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로그인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음원 제공자 컴퓨터(140)가 보유하고 있는 공유 허용된 음원 중 해당하는 음원을 찾아내어 관련 정보(해당 음원 보유 클라이언트의 IP, 음악 관련 정보 등)를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음원의 가사 정보, 해당 가수와 연관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도 같이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는 전송받은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음원 제공자 컴퓨터(140)로부터 해당 음원을 스트리밍받게 된다. 이때, 이 스트리밍된 데이터는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의 내부에 설치된 로컬 디스크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같은 음악을 반복 청취할 때에는 스트리밍받을 필요없이 상기 로컬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스트리밍된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해서는 상기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은 스트리밍 수신 데몬(Stream Receive Daemon)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일단 스트리밍이 완료된 음원의 경우에는 재플레이시 스트리밍 수신을 받지 않고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하여 캐슁 데몬(Cooperative Caching Daemon)이 포함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스트리밍이 완료되지 않은 채 플레이가 중단되는 경우에는 해당 음원을 잘못 찾은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캐슁 데몬은 스트리밍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원의 음질이 적당치 않거나, 잘못된 경우에는 다시 찾기라는 기능을 두어,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저장된 음원을 삭제하고 재차 음원을 검색하여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첨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가 검색된 음원들 중에서 가장 네트워크 사정이 좋은 음원 제공자 컴퓨터(140)로부터 스트리밍을 받는 것이 유리한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피어투피어 프로그램 자체에 현재의 네트워크 상태를 측정하는 모듈을 설치하여 같은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이 스트리밍을 위하여 검색을 수행할 때, 관련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관련 네트워크 정보는 다이렉트로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에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웹 서버(130)를 경유하여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에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스트리밍받기를 원하는 음질을 상기 피어투피어 프로그램에 환경 설정을 함으로써, 해당 이하의 음질은 검색 자체가 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로컬 디스크에 보관되는 데이터 용량을 한정함으로써, 해당하는 용량이 오버되는 경우에는 재생 횟수가 가장 과거인 것부터 자동적으로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50)는 본 시스템에서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포인트/마일리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금 또는 타사의 포인트에서 전환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음악의 스트리밍이 성공하면, 음악 청취자는 음원 제공자에게 일정한 포인트를 지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포인트 제공 서비스와 관련하여, 음악 스트리밍이 성공하면, 이 포인를 음원 저작권자와의 별도로 정하여진 협의에 따라 수익금을 분배할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텝 S201에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상기 웹 서버(130)에 접속하면, 스텝 S203에서, 상기 다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공유가 허용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 스텝 S205에서, 상기 전달받은 공유 허용 음원 정보를 분류하고 목록화한 후, 저장한다. 이때, 공유 허용 음원 정보에는 해당 음원 보유 클라이언트의 IP, 음악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서, 스텝 S207에서, 음원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해당 음원을 검색하는 메시지를 상기 웹 서버(130)에게 전송하면, 스텝 S209에서, 상기 웹 서버(130)는 저장되어 있는 음원 목록으로부터 해당 음원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스텝 S211에서, 상기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해당 음원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IP를 이용하여 해당 음원이 저장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해당 음원을 스트리밍 수신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 내에는 스트리밍 수신 데몬(310), 캐슁 데몬(320), 로컬 디스크(330) 및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음원 제공 컴퓨터(140)로부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스트리밍 수신 데몬(310)이 작동되면서 상기 로컬 디스크(330)에 수신된 데이터를 템포러리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상기 스트리밍 수신 데몬은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 제어부에게 통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슁 데몬(320)에게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캐슁 데몬(320)은 상기 로컬 디스크(330)를 검사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상기 제어부에게 통보하고, 만일 이미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리밍 수신 데몬(310)에게 이를 통보하여 데이터 수신을 중지시킨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원 사용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간략하게 표시한 흐름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텝 S401에서,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로컬 디스크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로컬 디스크에 없으면, 스텝 S403에서,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403에서의 판단 결과, 성공하고 있으면, 스텝 S405에서, 이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하고, 스텝 S407에서,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전용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재생한 후, 종료한다.
상기 스텝 S403에서의 판단 결과, 성공하고 있지 아니하면, 스텝 S409에서, 음원 제공자 컴퓨터에게 재전송을 요구한 후, 상기 스텝 S403으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스텝 S401에서의 판단 결과, 로컬 디스크에 있으면, 상기 스텝 S407로 진행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원 데이터를 전송받는 경우,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미디어 음원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회사의 장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들 사이에 원하는 음원에 대한 공유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원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음원을 재생할 수 있고, 저작권을 보호하는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불법 복제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투피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전체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원 사용자 컴퓨터(11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원 사용자 컴퓨터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간략하게 표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음원 사용자 컴퓨터 120 : 데이터베이스 서버
130 : 웹 서버 140 : 음원 제공자 컴퓨터
150 : 서비스 서버 310 : 스트리밍 수신 데몬
320 : 캐슁 데몬 330 : 로컬 디스크

Claims (15)

  1.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서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분류(Classification)하고 목록화한 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음원에 대한 검색어를 상기 웹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웹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데이터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전송받은 음원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로부터 직접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는 제 3 단계;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스트리밍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함과 동시에 재생(Play)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는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한 목록을 자체 내부에 저장한 후, 이를 상기 웹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전송하는 공유 허용된 음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의 IP(Internet Protoco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다수 존재하면, 이들에 대한 정보 모두를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때,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는 통신 상태가 양호한 순서대로 상기 다수의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의 IP를 정렬하여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가 다수인 경우, 통신 상태가 양호한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로컬 디스크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로컬 디스크에 없으면,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서브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으면, 이를 로컬 디스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전용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제 2 서브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성공하고 있지 아니하면,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게 재전송을 요구하는 제 3 서브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로컬 디스크에 있으면, 이를 읽어들여 플레이하는 제 4 서브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 프로세싱은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 포함되어 있는 스트리밍 수신 데몬(Stream Receive Daemon)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수신받고자 하는 데이터가 로컬 디스크에 있으면, 이를 읽어들여 플레이하는 것은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 포함되어 있는 캐슁 데몬(Cooperative Caching Daemon)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이 성공하면, 현금 또는 타사의 포인트에서 전환된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제공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포인트를 지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이 성공하면, 상기 스트리밍에 성공한 음원 데이터의 저작권자와의 기결정된 협의에 따라 현금 또는 타사 포인트를 분배하는 수익 분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지 아니한 채, 플레이가 중단되면,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디스크에 저장되는 데이터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면, 이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생 횟수가 가장 과거인 것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Classification)하고 목록화된 정보를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면,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음원 사용 클라이언트의 로컬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들을 상기 전송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분류하여 목록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30100078A 2003-12-30 2003-12-30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68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78A KR20050068543A (ko) 2003-12-30 2003-12-30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078A KR20050068543A (ko) 2003-12-30 2003-12-30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43A true KR20050068543A (ko) 2005-07-05

Family

ID=3725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078A KR20050068543A (ko) 2003-12-30 2003-12-30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85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80B1 (ko) * 2006-12-21 2007-05-10 한한수 피투피를 이용한 개인홈페이지 음악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80B1 (ko) * 2006-12-21 2007-05-10 한한수 피투피를 이용한 개인홈페이지 음악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8075835A1 (en) * 2006-12-21 2008-06-26 Han Su Han Music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which use the p2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9916A1 (en) Method for Sharing and Searching Playlists
JP5070324B2 (ja) 音楽チャンネルを選択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Drews et al. Virtual jukebox: reviving a classic
US8909741B2 (en) Playlist compilation system and method
JP6752144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マルチメディアプレイリストをレンダリングする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5586647B2 (ja) ポッドキャスティングの取得、管理及び同期化
US6748397B2 (en) File structure for preventing edition and deletion in internet, a variety of computers and computer application media, advertising method using the file structure and system used for the method
US8996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650563B2 (en) Aggregating metadata for media content from multiple devices
US8122037B2 (en) Auto-selection of media files
JP5038295B2 (ja) ポッドキャスティングをサポートする技術及びシステム
US8249427B2 (en) Content playing device, content play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playing system
US20090282102A1 (en) Playback device
US200600801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ownloading of music files
US20120203932A1 (en) Multi-master media metadata synchronization
US20020129693A1 (en) Interactive audio distribution system
US8438145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presentable content via a subscription service
JP2005535979A5 (ko)
US200801258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ation of entertainment selections in response to user feedback
JP2009122139A (ja) 情報処理装置、楽曲配信システム、楽曲配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146925B2 (en) User defined internet jukebox kiosks set top box
JPH09247599A (ja) インタラクティブ映像記録再生方式
KR20050068543A (ko) 피어투피어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음원 데이터 스트리밍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25851A (ko) 온라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스트리밍 기법에 의해 원음과동영상 서비스가 되는 노래방시스템
KR20060125024A (ko) 멀티미디어 재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