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733A -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733A
KR20050066733A KR1020030098084A KR20030098084A KR20050066733A KR 20050066733 A KR20050066733 A KR 20050066733A KR 1020030098084 A KR1020030098084 A KR 1020030098084A KR 20030098084 A KR20030098084 A KR 20030098084A KR 20050066733 A KR20050066733 A KR 2005006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remote control
electricity
key butt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733A/ko
Publication of KR2005006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7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1Energy harvesting
    • G08C2201/112Mechanical energy, e.g. vibration, piez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발전형 무(無) 건전지 리모컨을 구현하기 위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 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버튼, 각 키 버튼의 하단에 위치하여 각 키 버튼의 가압(加壓)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 상기 압전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기량을 전압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서 출력된 전압 레벨에 비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서로 다른 전기량을 갖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각 버튼을 구별할 수 있는 주파수를 송출함으로써 건전지 교체에 따른 사용자 불편이나 환경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자가 발전형 무 건전지 리모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Remote Controller Using Piez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원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가 발전형 무(無)건전지 리모컨을 구현하기 위한 압전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은 예를 들어, 티브이(TV), 브이씨알(VCR), 브이티알(VTR), 에어컨 등은 그 기능 조작을 편리하게 하도록 원격 조정장치(Remote Controller; 이하, 리모컨이라 칭함)를 이용한다.
상기한 리모컨을 사용하면 제품 자체에 구비된 키 패널(Key Panel)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거리에서 원격으로 해당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모든 전자 기기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함으로써 전자기기의 각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전자 기기와 리모컨간의 신호 전달은 적외선 통신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리모컨의 특정 키 버튼을 입력하면 이에 따라 해당 키 코드 정보를 적외선 형태로 송출한다. 리모컨에서 송출된 적외선은 전자 기기의 수광부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된 정보를 내부 마이컴에서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리모컨 내부에 구현된 회로가 소정 전원을 필요로 하는데, 리모컨 전원으로는 현재 보편적으로 일회용 건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회용 건전지를 이용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건전지 교체로 발생하는 폐품으로 인해 환경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회용 건전지의 반복적인 교체로 인한 사용자 불편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Rechargeable) 방식의 충전기를 채택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리모컨에 사용되는 건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미사용 중일 때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건전지 소모를 줄이는 절약형 리모컨 기능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한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건전기/충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내부에 자가 발전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장착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이얼식 충전용 손잡이를 두어 사용자가 충전용 손잡이를 회전시키면(태엽 방식) 내부에 충전용 손잡이와 맞물려 있는 기어가 회전하고, 이때 기어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원을 내부 충전 장치로 저장함으로써 리모컨 전원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별도의 자가 발전장치를 가지는 상기한 리모컨의 경우는 실제적으로 방전이 빠르게 진행되며, 사용자가 필요한 시점(채널 전환이나 음성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 리모컨이 방전된 상태라면 충전 과정을 거친 후 명령을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건전지 교체에 따른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건전지 교체 시점에 대한 대응책 마련으로부터의 우려가 없는 리모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가 발전형 무(無) 건전지 리모컨을 구현하기 위한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는 키 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버튼, 각 키 버튼의 하단에 위치하여 각 키 버튼의 가압(加壓)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 상기 압전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기량을 전압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서 출력된 전압 레벨에 비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 소자에 일정한 압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키 버튼의 가압을 조정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이하, 리모컨으로 칭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이용한 리모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의 키 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버튼(1), 각 키 버튼(1)의 하단에 위치하여 각 키 버튼의 가압(加壓)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3), 상기 압전 소자(3)에서 발생하는 전기량을 전압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부(4), 상기 변압부(4)에서 출력된 전압 레벨에 비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5), 상기 신호 출력부(5)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압전 소자(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박을 여러 장으로 겹쳐 형성하여 외부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외력(外力)에 비례하는 양(+)과 음(-)의 전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한 압전 소자(3)를 리모컨의 키 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버튼(1) 밑에 각각 위치시킨다.
그리고, 각 키 버튼(1)에 설치된 압전 소자(3)의 양을 모두 달리 함으로써 각 키 버튼(1)의 일정한 가압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때문에, 다수의 키 버튼(1) 하단에 위치된 압전 소자(3)에 일정한 압력을 전달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 버튼(1)의 가압을 조정하기 위한 레귤레이터(Regulator)(2)를 고정시킨다. 즉,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1)을 일정 압력 이상 가하더라도 상기 레귤레이터(2)에 의해 항시 일정한 압력이 압전 소자(3)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이용한 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키 버튼(1)을 누르게 되면 레귤레이터(2)에 의해 일정 압력이 압전 소자(3)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압전 소자(3)는 키 버튼(1)으로부터 일정 압력이 전달되면 자신의 압전 양에 상응하는 전기량을 발생시킨다.
상기 압전 소자(3)에서 발생된 전기량은 변압부(4)를 거쳐 그에 상응하는 전압 레벨로 변환된 후 출력된다.
그리고, 신호 출력부(VCXO, Voltage Control Oscillator)(5)는 상기 변압부(4)에서 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입력된 전압 레벨에 비례하는 특정 주파수를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각 키 버튼(1)마다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하는 압전 소자(3)를 이용함으로써 각 키 버튼(1)의 가압에 의해 발생되는 압전 소자(3)의 전기량에 비례하는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다수의 키 버튼(1)을 도 2와 같이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하는 압전 소자(3)와 각각 연결 구성함으로써 리모컨의 키 패드를 구성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패드의 각 키 버튼(1)을 OR형으로 연결하여 변압부(4)로 연결시킨다.
즉, 상기 키 패드를 구성하는 모든 키 버튼(1)에서 출력되는 압전 소자(3)의 전기량(+, -)은 OR 방식으로 변압부(4)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출력부(5)는 압전 소자(3)의 전기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 키 버튼(1)을 구별할 수 있는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상기 신호 출력부(5)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송신부(6)를 거쳐 외부 전자 기기로 송출함으로써 해당 키 버튼(1)에 따른 리모컨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전자 기기 측에서는, 리모컨의 각 주파수별 버튼 명령을 룩업테이블(Look Up Table)로 구성하고, 리모컨으로부터 특정 주파수가 수신되면 수신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버튼 명령에 따라 시스템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건전지나 충전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키 버튼(1)에 가해진 사용자의 가압이 압전 소자(3)에 전달될 때 발생하는 전원을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특정 주파수를 외부로 송출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는 전자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컴과 같은 제어수단 없이 각 키 버튼(1)마다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방생하는 압전 소자(3)를 이용함으로써 각 키 버튼(1)을 구별할 수 있는 주파수를 송출하여 해당 버튼 명령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전 소자의 서로 다른 전기량에 비례하는 주파수를 송출함으로써 리모컨의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건전지나 충전지가 필요 없기 때문에 사용자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건전지 교체로 인한 환경 오염을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서로 다른 전기량을 갖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각 버튼을 구별할 수 있는 주파수를 송출함으로써 자가 발전형 무 건전지 리모컨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 'A'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원격 조정장치를 적용한 리모컨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키 버튼 2: 레귤레이터
3: 압전 소자 4: 변압부
5: 신호 출력부 6: 송신부

Claims (3)

  1. 키 패드를 구성하는 다수의 키 버튼,
    각 키 버튼의 하단에 위치하여 각 키 버튼의 가압(加壓)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
    상기 압전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기량을 전압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변압부,
    상기 변압부에서 출력된 전압 레벨에 비례하는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발생된 주파수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에 일정한 압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키 버튼의 가압을 조정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는
    각 키 버튼마다 서로 다른 압전 소자의 양을 구성하여, 일정한 압력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전기량을 방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KR1020030098084A 2003-12-27 2003-12-27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KR20050066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084A KR20050066733A (ko) 2003-12-27 2003-12-27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084A KR20050066733A (ko) 2003-12-27 2003-12-27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733A true KR20050066733A (ko) 2005-06-30

Family

ID=3725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084A KR20050066733A (ko) 2003-12-27 2003-12-27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7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925A (ko) * 2013-09-06 2015-03-1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가 발전식 카드형 리모컨
KR20160104474A (ko) 2015-02-26 2016-09-05 양도근 외부 전원공급 독립형 횡단보행자 감지 무선통보 보도블럭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925A (ko) * 2013-09-06 2015-03-17 한국세라믹기술원 자가 발전식 카드형 리모컨
KR20160104474A (ko) 2015-02-26 2016-09-05 양도근 외부 전원공급 독립형 횡단보행자 감지 무선통보 보도블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3702B2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position pointer
EP2454799B1 (en) Inductive power transfer
US9362780B2 (en) Piezoelectric 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2001145355A (ja) 電気機器の待機電力削減回路
US20110109201A1 (en) Manual control device with power generation function and remote control device with power generation function
EP09962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ing mode in a power supply
US20050025480A1 (en) Circuit device dedicated in remote control switch
CN1874659A (zh) 利用压电元件的遥控装置
KR20050066733A (ko) 압전 소자를 이용한 원격 조정장치
CN213043666U (zh) 低功耗待机电子设备
WO2019114091A1 (zh) 一种自发电遥控方法及系统
US1074736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201222178Y (zh) 一种多功能电子钟
KR100499048B1 (ko)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KR20130074428A (ko)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리모콘 중계장치
CN102081467A (zh) 智能节能鼠标
KR20110024764A (ko)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20130125034A (ko) 태양광 자가발전 절전형 무선 입력장치
CN203950132U (zh) 旋钮调节式数字时钟
CN215121052U (zh) 一种具有语音提示功能的数字电视机顶盒遥控器
KR200385903Y1 (ko) 배터리가 필요없는 리모컨
KR100396598B1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초절전 스탠바이 장치
WO2019227600A1 (zh) 一种无线开关和门铃
KR200326848Y1 (ko) 리모콘의 저전력 소비 장치
KR200100900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