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810A -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 Google Patents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810A
KR20050065810A KR1020030096703A KR20030096703A KR20050065810A KR 20050065810 A KR20050065810 A KR 20050065810A KR 1020030096703 A KR1020030096703 A KR 1020030096703A KR 20030096703 A KR20030096703 A KR 20030096703A KR 20050065810 A KR20050065810 A KR 2005006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ome
data manager
manager
mai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0006B1 (en
Inventor
주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006B1/en
Publication of KR2005006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0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매니저에 의해서 집안 내에 소유한 모든 컴퓨터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며 저장, 편집, 복사 등을 해당 컴퓨터 단말의 구동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업/다운 로드를 통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ll the data connected to all computer terminals owned by the data manager in the house, and can manage the storage, editing, copying, and the like through integrated upload / download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terminal. To provide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본 발명의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은 실내 공간(1, 2)에서 컴퓨터 단말, 디지털 가전기기, 무선기기의 부팅 없이 그들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1데이터 매니저(20, 20')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50, 50')를 연결케이블(30)로 접속시킨 메인 스토리지(10, 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데이터 매니저(20, 20', 50, 50')가 메모리 매개체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을 상기 메인 스토리지(10, 10')에 업로드, 다운로드, 검색, 저장, 편집, 복사, 이동시키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제어회로(20a, 50a)를 내장하고 있다.The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the data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nd manages their data without booting a computer terminal, a digital home appliance, or a wireless device in an indoor space (1, 2), but at least one first data manager (20, 20). ') Or main storage (10, 10') connecting the second data manager (50, 50 ') with a connecting cable (30), wherein the first, second data manager (20, 20', 50) Control circuitry 20a, 50a configured to be circuitry for uploading, downloading, searching, storing, editing, copying, and moving data files stored in a memory medium to the main storage 10, 10 '. Doing.

Description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본 발명은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방에 설치되고 엘씨디 터치패드(LCD/Touch Pad)를 구비한 데이터 매니저를 통해 조작이 간단하고, 로컬 데이터 서버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l data server installed in each room and having a simple operation through a data manager having an LCD / Touch pad.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that can be used as a.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란 최고 수준의 물리적 보안 장치와 화재 및 기타 자연 재해에 대한 건물 안전장치, UPS와 발전기에 의한 안정적 전력공급과 항온 항습기를 통한 최적의 운영환경을 제공 및 최고의 네트워크 가용성을 갖추어 서버나 기타 장비들에 대한 관리 및 운영을 대행하는 곳을 의미이다.In general, data centers provide the highest level of physical security, building safety against fire and other natural disasters, stable power supply by UPS and generators, optimal operating environment through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aximum network availability. Means the place to manage and operate other equipment.

이와 같은 유사한 개념으로 살펴볼 때, 홈 데이터센터란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가정이나 홈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가정내의 모든 PC에 연결되어 모든 데이터의 입/출 내지 업로드 다운로드를 관리하여, 검색, 저장, 편집, 복사, 삭제, 이동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전용 시스템을 의미한다.In this similar concept, a home data center is connected to every PC in a home network or a home network that does not have a home network, and manages the input / output or upload download of all data, so that it can be searched, stored and edited. Refers to a system dedicated to data management that can perform copy, delete, move, etc.

현재, 인터넷정보가전표준포럼, IT정보업체, 가전업체, 연구소, 홈네트워크 관련 업체는 홈PNA, 이더넷, IEEE1394a, IEEE1394b,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e, IEEE802.11g, 전력선통신(PLC) 등 다양한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홈네트워크용 홈게이트웨이, 주거용 게이트웨이, 백본망, 관련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와 노력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Currently, the Internet Information Appliance Standard Forum, IT information companies, home appliance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and home network related companies include home PNA, Ethernet, IEEE1394a, IEEE1394b, IEEE802.11a, IEEE802.11b, IEEE802.11e, IEEE802.11g, power line communication (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PLC), we are continuously researching and working on home gateways for home networks, residential gateways, backbone networks, and related interfaces.

상기와 같은 통신방식의 홈네트워크는 고가의 홈네트워크 백본망, 주거용 게이트웨이 내지 전화선을 이용한 홈PNA 등의 홈네트워크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고, 메인에 위치한 홈네트워크 서버를 상기 홈네트워크 인프라를 통해서 로컬에 위치한 복수개의 컴퓨터 단말 내지 홈네트워크로 연결 가능한 장치(PC, PDA, 디지털 가전기기, 노트북, 태블릿PC 등)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키고 있다.The home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method is based on a home network infrastructure such as an expensive home network backbone network, a home gateway using a residential gateway or a telephone line, and a home network server located in the main is located locally through the home network infrastructure. A plurality of computer terminals or devices (PCs, PDAs, digital home appliances, laptops, tablet PCs, etc.) connectable to home networks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그러나, 고가의 홈네트워크 환경이 아닌 통상의 가정 내에서는 복수개의 PC나 노트북, PDA 등에 저장, 관리하고 있는 각종 데이터(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사진 등을 포함함)들을 한 곳에서 통합 관리하기가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in a typical home that is not an expensive home network environment, a variety of data (including multimedia files, data files, document files, pictures, photos, etc.) stored and managed in a plurality of PCs, laptops, PDAs, and the like is located in one place. It is very inconvenient to integrate management in.

즉, 각각의 컴퓨터 단말 또는 하기에 설명할 메모리 매개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만을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는 것 자체가 시공경제상 매우 불합리하고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That is, the installation of a home network in order to integrate and manage only data stored in each computer terminal or a memory medium to be described below is very unreasonable in construction economy and very inconvenient to use.

예컨대, 가정 내에서 PDA,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캠의 메모리 매개체[예 : 메모리 스틱, 스마트미디어(SM) 카드, 컴팩트플래쉬(CF)카드 등을 포함함]에 기록된 중요한 데이터를 관리할 때, 상기 메모리 매개체를 컴퓨터 단말의 특정 리더기에 접속시킨 후, 리더기가 접속된 해당 컴퓨터 단말을 부팅시키고, 이후 컴퓨터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된 서버 컴퓨터에 접근한 후, 사용자 확인을 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 매개체의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에 저장시킬 수 있는 등, 별도의 시스템 구동이 필연적이며, 이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관리할 때마다 해당 컴퓨터 단말을 부팅시키고, 복잡한 구조의 파일 탐색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사용상 복잡함이 존재하고, 더욱이 각각의 방에 설치된 컴퓨터 단말들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데 많은 준비 시간과 사용 시간이 요구되고 있다.For example, when managing important data recorded in memory media of PDAs, digital cameras, digital cams (including memory sticks, smart media (SM) cards, compact flash (CF) cards, etc.) in the home, After connecting the memory medium to a specific reader of the computer terminal, booting the corresponding computer terminal connected to the reader, and then accessing the server computer connected to the network environment of the computer terminal, and confirming the user, and then of the memory medium It is inevitable to operate a separate system, such as storing data on a server computer. This is inconvenient to use and to use a complex file explorer program whenever a user manages data. There exists a lot and more preparation to consolidate the management of the data of computer terminals installed in each room Time and time are required.

이에, 일반 회사처럼 인트라넷이나 또는 홈네트워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가정 내에서 간편하게 사용하면서도 각각의 컴퓨터 단말을 상호 연결하거나 서버에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Thus, a new interface is required to connect each computer terminal to each other or to a server while being easily used in a home where an intranet or a home network is not installed as a general company.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에 의해서 집안 또는 실내 공간 내에 소유한 모든 컴퓨터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며 저장, 편집, 복사, 이동 등을 해당 컴퓨터 단말의 구동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업/다운 로드를 통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anages all data connected to all computer terminals owned in the home or indoor space by the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and stores, edits, copies, moves, and the lik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that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upload / download with a simple operation without driving the comput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니버설 직렬 버스(USB), 파이어 와이어(IEEE1394a, IEEE1394b)와 같은 통신 규격의 리피터(repeater)를 통해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의 연결 회선을 더욱 연장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댁내에서 장소에 관계없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extend the connection line of the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through a repeater of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universal serial bus (USB), firewire (IEEE1394a, IEEE1394b), It aims to provide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that can configure a system in a large area ho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담당하는 제2데이터 매니저를 통해서 무선 환경에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of data in a wireless environment through a second data manager in charge of a data access point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 중 어느 하나에 외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가입자 통신 모뎀 또는 통신제어장치(CCU)를 연결하여,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다른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과 연결되어 둘 중 어느 하나의 홈 데이터센터가 로컬 데이터 서버로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a digital subscriber communication modem or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CCU) capable of external data communication to either the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another home data center system through an external network network In order to provide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in which either home data center can be utilized as a local data serv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실내 공간에서 컴퓨터 단말, 디지털 가전기기, 무선기기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데이터 매니저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를 연결케이블로 접속시킨 메인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데이터 매니저가 메모리 매개체 또는 컴퓨터 단말의 데이터 파일을 상기 메인 스토리지에 업로드, 다운로드, 검색, 저장, 편집, 복사, 이동시키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된 제어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t least one first data manager or second data manager in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ata of a computer terminal, a digital home appliance, and a wireless device in an indoor space. The first and second data managers for uploading, downloading, searching, storing, editing, copying and moving data files of a memory medium or a computer terminal to the main storage. It is achieved by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which is characterized by a built-in control circuitry.

이하 첨부 도면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네트워크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데이터 매니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데이터 매니저의 제어회로도이다.1 is a network layout diagram of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ata manager shown in FIG.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data manager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느 한 집 또는 실내 공간(1)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이용시, 상기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면서도, 컴퓨터 단말(노트북, PC1, PC2, PDA 등)의 부팅에 따른 번거로움을 일소에 해소하는 용도의 가정용 홈 데이터센터이다.As shown in Figure 1,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important data in any one of the home or indoor space (1), whil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data, a hassle due to the booting of the computer terminal (notebook, PC1, PC2, PDA, etc.) It's a home data center for homes that can help you solve your problems.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USB 2.0 내지 파이어 와이어(Fire wire)를 이용하여 데이터 접근 및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초고속 데이터 관리에 매우 효율적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data access and manipulation by using USB 2.0 to Fire wire, which is very efficient for ultra-high speed data management.

즉, 본 발명의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은 실내 공간(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실내 공간(1), 예컨대 댁내의 거실이나 소정 장소의 중앙 컴퓨터 데이터 저장수단, 즉 데이터 관리에 관하여 서버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메인 스토리지(10)와, 댁내의 각방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데이터 매니저(20)와, 이런 제1데이터 매니저(20)를 상기 메인 스토리지(10)에 접속시키기 위한 연결케이블(30)을 포함한다.That is, the home data cent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1, and the central computer data storage means of the interior space 1, for example, a living room in a home or a predetermined place, that is, a server for data management. A main cable 10 that plays a role, a plurality of first data managers 20 disposed in each room of the home, and a connection cable for connecting the first data manager 20 to the main storage 10 ( 30).

예컨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 스토리지(20)의 하드웨어는 일 백 기가바이트 저장용량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USB 2.0(480MB/S), IEEE1394a(400MB/S), IEEE1394b(800MB/S)를 지원하도록 해당 통신포트를 복수개로 구비한 메인보드를 장착하고 있다. 예컨대, 메인 스토리지(20)의 메인보드는 프로세서와, 프로그램의 액세스를 위한 메모리와, 메모리 콘트롤러 허브(MCH)와, 입출력 콘트롤러 허브(ICH)와, Low-Pin Count 버스 콘트롤러(LPC)와, 마우스포트, 키보드포트, 직렬포트(serial port), 프린터포트 등과 같은 기본 입출력포트를 갖는다.For example, the hardware of the main storage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storage device having a storage capacity of one hundred gigabytes, and includes USB 2.0 (480 MB / S), IEEE 1394a (400 MB / S), and IEEE1394b ( The motherboar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to support 800MB / S). For example, the main board of the main storage 20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for accessing a program, a memory controller hub (MCH), an input / output controller hub (ICH), a low-pin count bus controller (LPC), and a mouse. It has basic input / output ports such as port, keyboard port, serial port and printer port.

이때, 메인 스토리지(10)는 도터보드(daughter board) 형태의 USB 호스트 어댑터(host adapter)와 IEEE1394 호스트 어댑터를 메인보드의 PCI 슬롯에 삽착시키고 있다. 물론, 도터보드의 형태가 아닌 경우, 고성능 메인 스토리지(10)는 그의 메인보드에 통상적인 USB 2.0 모듈과, 통상적인 IEEE1394a/IEEE1394b 호환 모듈과, 메모리 스틱 콘트롤러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main storage 10 inserts a USB host adapter and an IEEE1394 host adapter in the form of a daughter board into a PCI slot of the main board. Of course, when not in the form of a daughter board, the high performance main storage 10 includes a conventional USB 2.0 module, a conventional IEEE 1394a / IEEE 1394b compatible module, and a memory stick controller on its main board.

예컨대, USB 호스트 어댑터 또는 USB 2.0 모듈은 USB 2.0 규격과 1.1 규격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으로서, 자동 인식 기능(Plug & Play) 기능을 지원하고, USB 2.0 또는 USB1.1로 작동하는 USB허브, 저장장치, PC비디오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CD-R/RW, DVD-RAM, 스캐너, 프린터 등의 여러 가지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되, 4개의 외장형 통신포트와 1개의 내장형 통신포트와 결합되어 있으며, PCI Local Bus, V.2.2를 만족한다.For example, the USB host adapter or the USB 2.0 module simultaneously supports the USB 2.0 specification and the 1.1 specification. The USB host adapter or the USB 2.0 module supports the Plug & Play function, and the USB hub, the storage device, I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products such as PC video camera, digital camera, CD-R / RW, DVD-RAM, scanner, printer, etc., but it is combined with 4 external communication ports and 1 internal communication port. Local Bus, meets V.2.2

메인 스토리지(20)의 소프트웨어는 윈도우ME, 윈도우XP 등과 같은 시스템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파일의 공유/편집/삭제/업로드/다운로드 기능을 지원함과 함께, 제1데이터 매니저(20)를 구동시키도록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oftware of the main storage 20 supports sharing / editing / deleting / uploading / downloading of files basically provided by a system operating system such as Windows ME, Windows XP, and the like, and drives the first data manager 20. It consists of a program.

메인 스토리지(20)에 설치될 제1데이터 매니저(20) 관련 프로그램은 USB 2.0 또는 IEEE1394의 설치 드라이버 파일을 제공하고, GUI 형식의 구성원별 보안 설정 및 변경 기능, 사용자 계정 설정 및 변경 기능, 인증 프로세싱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측 프로그램이다.The first data manager 20 related program to be installed in the main storage 20 provides the installation driver file of USB 2.0 or IEEE1394, and the security setting and changing function of each member in the GUI format, the user account setting and changing function, and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Server-side program that provides functionality.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하기에 설명할 제어회로에 의해서 연결케이블(30)에 의해 메인 스토리지(20)와 접속할 때, 메인 스토리지(20)의 USB 호스트 어댑터 등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식된 후 작동 대기상태가 된다.When the first data manager 20 is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20 by the connection cable 30 by a control circuit to be described below, the first data manager 20 is automatically recognized by a USB host adapter of the main storage 20 and then waits for operation. It becomes a state.

연결케이블(30)의 배선은 'USB 2.0' 내지 'IEEE1394'에 대응하는 통상의 케이블로서 해당 통신포트에 소켓 삽입 방식으로 결합된다.The wiring of the connection cable 30 is a conventional cable corresponding to 'USB 2.0' to 'IEEE1394' and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ort by a socket insertion method.

도 2에 도시된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상기 도 1의 메인 스토리지(10)에 접근 내지 액세스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remote controll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The first data manager 20 illustrated in FIG. 2 serves as a remote controller that accesses or accesses the main storage 10 of FIG. 1 to manipulate desired data.

즉, 원격 조작 장치로서의 역할은 외측면에 표출된 엘씨디 터치패드로서 디스플레이 신호 출력과 사용자 명령 입력을 동시에 수행하는 신호입력부(21)에 의해 데이터 관련 아이콘, 폴더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통해서 손쉽게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Upload/Download)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the remote control device serves as an LCD touch pad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and displays data-related icons and folders or displays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by the signal input unit 21 which simultaneously performs display signal output and user command input. This means that the file upload and download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원격 조작 장치로서의 역할이란 신호입력부(21) 상에 보여지는 사용자 인증 데이터 입력부위(적어도 손가락을 터치시 숫자, 문자를 입력하거나 스크롤 되는 블록상의 숫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 키보드 또는 화면 숫자 패드를 포함함)를 조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role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means a user authentication data input portion (at least when a finger is touched) displayed on the signal input unit 21 (a screen keyboard or a screen for inputting a number or a character on a scroll block or a character) (Including a numeric pad)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이를 위해서, 구성원은 메인 스토리지(10)에 의해서 사용자별 또는 세대 구성원별로 보안등급을 적용하여 구성원(사용자) 각각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증 데이터인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미리 설정하여야 한다.To this end, the member must apply the security level for each user or household member by the main storage 10 to set an account ID and password, which are user authentication data corresponding to each member (user), in advance.

또한, 제1데이터 매니저(20)와 하기 제2실시예의 제2데이터 매니저는 그의 제어부의 메모리에 소정의 접속 프로파일 목록을 갖고 있다.Further, the first data manager 20 and the second data manager of the following second embodiment have a predetermined connection profile list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접속 프로파일 목록에는 연결할 메인 스토리지(10)의 종류별로 미리 시스템 사업자에 의해서 정해진 메인 스토리지 접속용 데이터, 즉 서버 식별 데이터 등이 포함되어 있다.The connection profile list includes main storage connection data, that is, server identification data, which are previously determined by the system provider for each type of main storage 10 to be connected.

또한,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고유의 식별자(예 : 시리얼 넘버)를 제어부의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ata manager 20 records and stores a unique identifier (eg, a serial number)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메인 스토리지(10)는 상기 제1데이터 매니저(20)로부터 식별자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메인 스토리지(10)의 레지스터에 기록 관리하며, 이런 프로세스는 통상의 컴퓨터에서 외장 장치를 인식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ain storage 10 receives the identifier data from the first data manager 20 and records and manages the register data in the registers of the main storage 10. Since this process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computer, the external device recognizes the external devic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사용자가 제1데이터 매니저(20)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제어부는 접속 프로파일 목록을 기준으로 네트워크내에서 메인 스토리지(10)를 검색하고, 메인 스토리지(10)가 검색중인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식별자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저장 및 인식한 후, 그 인식 결과인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제1데이터 매니저(20)에 전달한다.When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first data manager 20, the control unit of the first data manager 20 searches for the main storage 10 in the network based on the connection profile list, and the main storage 10 searches for the main data. After storing and recognizing identifier data of the first data manager 20 in the register,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which i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ata manager 20.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러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보내온 해당 메인스토리지(10)에 접속을 한다.After receiving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the first data manager 20 connects to the main storage 10 to which the connection authentication data has been sent.

이후, 제2데이터 매니저(20)는 신호입력부(21)에 상기 인증 데이터 수신 결과에 대응하는 아이콘(접속중, 접속 완료)을 표시함과 동시에, 신호입력부(21)에 접속창을 표시한다.Subsequently, the second data manager 20 displays an icon (during connection, completion of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data reception result on the signal input unit 21 and displays a connection window on the signal input unit 21.

접속창에는 사용자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칸이 표시된다.The access window displays a space where you can enter your user ID and password.

이후,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메인 스토리지(10)와 제1데이터 매니저(20)가 접속하는 신호처리는 통상의 서버, 클라이언트 방식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ubsequently, the signal processing connected by the main storage 10 and the first data manager 20 by inputting an account ID and a password is the same as that of a normal server and client system,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방향키(24)들과 선택 버튼(25) 및 전원 온/오프(ON/OFF) 스위치(20b, 도 3참조)로 구성된 조작 버튼 조립체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복수개의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출력 통신포트(26, 27)를 갖는다. 예컨대, 입출력 통신포트(26, 27)는 복수개의 USB 2.0 포트(26)와, 복수개의 IEEE1394 포트(27)로서, 해당 규격에 대응한 각각의 삽입구멍에 일치하게 하기의 제어회로(20a)에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ata manager 20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button assembly composed of direction keys 24, a selection button 25, and a power on / off switch 20b (see FIG. 3). And input / output communication ports 26 and 27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interfaces. For example, the input / output communication ports 26 and 27 are a plurality of USB 2.0 ports 26 and a plurality of IEEE1394 ports 27, and are provided in the control circuit 20a to be matched with the respective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It is installed.

또한,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측면에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또는 SM 카드(smart media card)용 메모리 슬롯(22)과, 메모리 스틱용 메모리 슬롯(23)을 구비한다.In addition, a side of the first data manager 20 includes a memory slot 22 for a compact flash card or a smart media card and a memory slot 23 for a memory stick.

여기의 메모리 슬롯(22, 23)에 삽착 및 탈착 가능한 CF, SM, 메모리 스틱 등은 통상의 휴대용 데이터 저장수단으로서의 메모리 매개체를 의미한다.CF, SM, memory stick, etc.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memory slots 22 and 23 herein mean a memory medium as a normal portable data storage mean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제어회로(20a)는 직류를 공급하는 휴대 전원부(28b)의 전원, 또는 교류/직류 컨버터(28)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을 전원 안정기(28a)로 공급시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circuit 20a of the first data manager 20 supplies power to either the power supply of the portable power supply unit 28b for supplying direct current, or the power supply of the AC / DC converter 28. It is supplied to 28a to operate.

전원 안정기(28a)는 소정 전압과 전류에 해당한 직류 전원을 제어부(29), USB 통신 콘트롤러(26a), IEEE1394 통신 콘트롤러(27a)를 비롯한 제반적인 제어회로(20a)의 회로 구성 요소에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power stabilizer 28a reliably supplies DC power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voltage and current to the circuit components of the general control circuit 20a, including the control unit 29, the USB communication controller 26a, and the IEEE1394 communication controller 27a. It serves to provide.

이런 제어회로(20a)에서 각각의 메모리 슬롯(22, 23)은 해당 카드리더 모듈(22a, 23a)에 전기 회로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카드리더 모듈(22a, 23a)의 출력단은 내장 버퍼(도시 안됨)를 통해, 통상의 마이콤(micom), 마이크로 콘트롤러(PIC 계열의 칩셋),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을 원칩셋(one chip-set)으로 구성한 칩셋 중 어느 하나인 제어부(29)에 연결되어 있다.In this control circuit 20a, each of the memory slots 22, 23 is electrically circuitd to the corresponding card reader modules 22a, 23a,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card reader modules 22a, 23a has an internal buffer (not shown). No)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9, which is any one of a chipset including a micom, a microcontroller (PIC series chipset), a processor, and a memory in one chip set.

제어부(29)는 신호 입/출력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기록 저장된 소정 프로그램으로서, 신호입력부를 통한 입력, 화면 출력, 또는 버튼이나 키를 통한 입력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등의 기능을 프로세싱 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기록 저장하고 있다.The control unit 29 is a predetermined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signal input / output, and according to an input through a signal input unit, a screen output, or an input through a button or a key, at least one predetermined file upload, download, etc. The program that processes the function is stored in memory.

또한, 제어부(29)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20b)를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간편하게 제어회로(20a)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9 includes a power on / off switch 20b so that the control circuit 20a can be easily operated only when necessary.

또한, 제어부(29)는 데이터 전송과, 신호입력부(21), 방향키(24)들, 선택 버튼(25)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 명령 신호(여기서, 명령 신호는 데이터 전송, 삭제, 저장, 업로드,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에 따라서, 카드리더 모듈(22a, 23a)에 의한 입력 데이터를 각각의 USB 통신 콘트롤러(26a)와 IEEE1394 통신 콘트롤러(27a)로 입출력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9 transmits data, and a predetermined command signal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signal input unit 21, the direction keys 24, and the selection button 25 (in which the command signal is data transmission, deletion, storage). Or upload or download), and input / output data input by the card reader modules 22a and 23a to the respective USB communication controllers 26a and IEEE1394 communication controllers 27a.

신호입력부(21), 방향키(24)들, 선택 버튼(25)은 통상의 입/출력 콘트롤러(21a)를 통해서 제어부(29)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The signal input unit 21, the direction keys 24, and the select button 25 are connected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29 through the normal input / output controller 21a.

신호입력부(21)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콘트롤러(21b)를 개재한 상태에서 제어부(29)에 접속되어, 메인 스토리지(10)에서 전송되어오는 해당 정보를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신호입력부(21)는 사이즈 2.5인치, 색상 블루인 통상의 산업용 제품이 사용 가능하다. The signal input unit 2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9 via the normal display controller 21b and plays a role of visually display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in storage 10. For example, the signal input unit 21 may be a typical industrial product of size 2.5 inches and color blue.

이런 신호입력부(21)는 메인 스토리지(10)에서 그의 모니터에 보여지는 화상 정보를 제1데이터 매니저(20)에게 전달하고, 이후, 메인 스토리지(10)의 모니터에 보여지는 동일한 동영상이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신호입력부(21)에는 보여짐으로써, 일종의 PC 모니터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역할은 디스플레이 콘트롤러(21b)에 의해 회로적으로 실현되며, 제어부(29)에 의해 운영된다.The signal input unit 21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shown on the monitor in the main storage 10 to the first data manager 20, and then the same moving image shown on the monitor of the main storage 10 is the first data. As shown in the signal input unit 21 of the manager 20,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similar to a kind of PC monitor. This role is realized circuitry by the display controller 21b and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9.

본 발명의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설치방법과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method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ome data cent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이때, 각각의 방에 위치한 컴퓨터 단말은 홈네트워크나 랜 공유가 되지 않는 상태임을 가정한다.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computer terminal located in each room is not in the home network or the LAN sharing.

이런 환경에서 데이터를 통합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메인 스토리지(10)에 제1데이터 매니저(20)를 연결케이블(30)을 사용하여 연결한다.In order to manage the data in such an environment, the user connects the first data manager 20 to the main storage 10 using the connection cable 30.

메인 스토리지(10)와 각각의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전원을 온(ON)시킨다.The main storage 10 and the first data manager 20 are turned on.

메인 스토리지(10)가 부팅된 후, 최초에만 사용자가 설치 디스켓을 이용하여 메인 스토리지(10)에 데이터 매니저용 설치 드라이버를 세팅시킨다.After the main storage 10 is booted, the user sets the installation driver for the data manager in the main storage 10 only using the installation diskette for the first time.

이런 경우, 메인 스토리지(10)는 각방에 위치한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연결을 인식하고 스토리지 내의 회원 인증 관련 정보를 제1데이터 매니저(20)에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main storage 10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first data manager 20 located in each room and transmits the member authent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 the storage to the first data manager 20.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회원 인증 관련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인증 데이터 입력부위를 구성하고, 구성원으로부터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 first data manager 20 configures the user authentication data input part based on the member authentic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enters an account ID and a password from the member.

사용자가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신호입력부(21), 방향키(24)들, 선택 버튼(25)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1데이터 매니저(20)의 제어부(29)에 입력할 경우, 제어부(29)는 해당 통신포트에 결합된 연결케이블을 통해서 메인 스토리지(10)로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 데이터를 전송한다.When the user inputs the account ID and password to the control unit 29 of the first data manager 20 using any one of the signal input unit 21, the direction keys 24, and the selection button 25, the control unit 29 ) Transmits the account ID and password data to the main storage 10 through a connection cabl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ort.

메인 스토리지(10)는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알고리듬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값을 제1데이터 매니저(20)에게 전송한다.The main storage 10 receives the account ID and password data,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algorithm, and transmits the result value to the first data manager 20.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할 때, 또는 메인 스토리지(10)에서 디폴트 사용자로 세팅하여 어떠한 사람이나 다 사용할 수 있게 될 때에만, 제1데이터 매니저(20)는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후, 사용자는 제1데이터 매니저(20)를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파일을 해당 PC를 켜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메모리 매개체에서 메인 스토리지(10)로 또는 메인 스토리지(10)에서 소정 메모리 매개체로 복사 및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data manager 20 is only operable when the user enters his or her account ID and password correctly, or when any user is able to use it as the default user in the main storage 10. Then, the user manipulates the first data manager 20 to copy the desired file from the predetermined memory medium to the main storage 10 or from the main storage 10 to the predetermined memory medium without turning on the PC. You can move it.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은 제1데이터 매니저와 함께 무선환경을 위한 제2데이터 매니저가 제공되고, 넓은 집 또는 넓은 면적의 실내 공간에 적용 가능하도록 해당 통신 규격의 리피터가 연결케이블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the data manag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second data manager for a wireless environment is provided together with a first data manager, and a repeater of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tandard is applicable to a large house or a large indoor spac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cable.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7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Therefore,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FIGS. 1 to 7,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네트워크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데이터 매니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데이터 매니저의 제어회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layout diagram of a network of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data manager shown in FIG. 6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data manager shown in FIG. 5.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보여진 집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평수를 갖는 다른 집 또는 또 다른 실내 공간(2)에서는 각각의 USB 또는 IEEE1394의 연결케이블(30)이 5m까지 연장될 수밖에 없는 기술적 제한을 갖고 있음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5m간격마다 USB 또는 IEEE1394 리피터(40)가 더 결합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4, in another house or another indoor space 2 having a relatively wider area than the house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nection cable 30 of each USB or IEEE1394 extends to 5 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B or IEEE1394 repeater 40 is further coupled every 5 m.

예컨대, 해당 통신 규격에 해당하는 리피터(40)를 4개를 사용할 경우, 연결케이블(30)은 20m까지 그의 케이블 연장 길이가 확장 될 것이다.For example, if four repeaters 40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standard are used, the connecting cable 30 will extend its cable extension length to 20 m.

이런 경우, 메인 스토리지(10)에서부터 직선 연장 거리 20m떨어진 제1데이터 매니저(20)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50)가 물리적으로 회로적으로 메인 스토리지(10)에 접속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data manager 20 or the second data manager 50, which is 20 m away from the main storage 1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10 physically.

도 5에 도시된 제2데이터 매니저(50)는 외형적으로나 회로 구성적으로 앞서 상세히 설명한 제1데이터 매니저(20)와 유사하되, 가장 특징이 되는 부분이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모듈(DAP : Data Access Point)을 내장하고, 이에 대응한 안테나(51)를 갖고 있는 점이다.The second data manager 50 shown in FIG. 5 is similar in appearance and circuit configuration to the first data manager 20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most characteristic portion is a data access point module (DAP: Data Access Point). ), And has an antenna 51 corresponding thereto.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데이터 매니저(50)의 제어회로(50a)는 안테나(51)에 접속된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모듈(52)을 회로적으로 구성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circuit 50a of the second data manager 50 circuits the data access point module 52 connected to the antenna 51.

예컨대,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모듈(52)은 IEEE802.11b, IEEE802.11e, IEEE802.11g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을 만족하여 무선 기기들을 제2데이터 매니저에 접속시킬 수 있는 통상의 무선 인터넷용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회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된다.For example, the data access point module 52 satisfies a communication standard of any one of IEEE802.11b, IEEE802.11e, and IEEE802.11g to connect wireless devices to the second data manager, thereby enabling a data access point for a typical wireless Internet. Circuits ar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모듈(52)은 USB 2.0, IEEE1394 호스트 어댑터 내지 앞서 설명한 리피터와 호환되도록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data access point module 52 is configured in a circuit so as to be compatible with the USB 2.0, IEEE1394 host adapter or the repeater described above.

즉,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모듈(52)은 USB 통신 콘트롤러(26a), IEEE1394 통신 콘트롤러(27a)와 마찬가지로 제어회로(20a)로부터 소정 전압과 전류에 해당한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29)의 통제하에 USB 통신 콘트롤러(26a), IEEE1394 통신 콘트롤러(27a)로 무선 신호를 유선 신호로 변환시켜서, 결국 가정 내의 무선 기기의 데이터를 메인 스토리지에 통합적으로 저장시키거나, 메인 스토리지의 데이터를 무선 기기의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at is, the data access point module 52 receives the DC power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voltage and current from the control circuit 20a similarly to the USB communication controller 26a and the IEEE1394 communication controller 27a,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29. Th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verted into a wired signal by the USB communication controller 26a and the IEEE1394 communication controller 27a. The data of the wireless device in the home is integratedly stored in the main storage, or the data of the main storage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wireless device. It is responsible for storing it in.

도 7에는 본 발명의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이 다른 댁내에 설치된 홈 데이터센터와 외부선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7 shows a state in which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home data center installed in another home.

하기의 설명에서, '다른' 이란 의미는 기본적으로 '또 하나의' 란 뜻으로서, 기준이 되는 어느 한 구성과 차별되는 또 하나의 구성을 지칭하는 말로 정의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other' basically means 'another', and is defined as a term referring to another configuration that is different from any one configuration as a reference.

즉, 어느 한 실내 공간(1)의 홈 데이터센터가 다른 실내 공간(2)의 홈 데이터센터로 접속되기 위하여, 상기 한 실내 공간(1)의 메인 스토리지(10)는 연결케이블을 통해서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20, 50)에 접속되어 있고,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20, 50)는 역시 다른 연결케이블을 통해서 ADSL, VDSL 등의 초고속 인터넷용 통신 모뎀(60)에 결합되어 있다. 통신 모뎀(60)은 외부 통신 라인, 인트라넷 라인, 인터넷 라인 중 어느 하나의 외부 네트워크망(61)을 통해서 다른 실내 공간(2)의 또 하나의 통신 모뎀(60')에 연결되며, 여기서 또 하나의 통신 모뎀(60')은 연결케이블을 통해 다른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20', 50')에 접속되며, 이후 다른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20', 50')가 다른 메인 스토리지(10')에 결합되어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home data center of one indoor space 1 to be connected to the home data center of the other indoor space 2, the main storage 10 of the indoor space 1 is connected to the first or second through a connecting cabl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ta managers 20 and 50, and the first or second data managers 20 and 50 are also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em 60 for high speed internet such as ADSL and VDSL through another connection cable. . The communication modem 60 is connected to another communication modem 60 'of another indoor space 2 through an external network 61 of any one of an external communication line, an intranet line, and an internet line, where another one is Communication modem 60 'is connected to another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20', 50 'via a connecting cable, and then another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20', 50 'is connected to another main. Is coupled to storage 10 '.

이렇게 결합될 경우, 메인 스토리지(10, 10')들간에 사용자 인증이 상호 설정될 때, 메인 스토리지(10, 10')들 중 어느 한 측이 로컬 데이터 서버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When combined in this way, when user authentica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main storage 10, 10 ′, either side of the main storage 10, 10 ′ may serve as a local data server.

물론, 실내 공간(1, 2)의 컴퓨터 단말 내지 무선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제1, 제2데이터 매니저(20, 20', 50, 50') 등에 USB, IEEE1394 연결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는 연유로 인하여, 개별적인 컴퓨터 단말 내지 무선 기기들에도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또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스토리지(10, 10')에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computer terminals or the wireless devices in the indoor spaces 1 and 2 are bas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managers 20, 20 ′, 50, and 50 ′ through USB or IEEE 1394 connection cables. In addition, data may be stored in individual computer terminals or wireless devices, or may be integratedly managed in the main storage 10 and 10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을 더 응용할 경우, 아파트 등지의 관리실 등에 대용량, 고성능 마스터 메인 스토리지(도시 안됨)를 설치한 반면, 각각의 댁내마다 소정의 메인 스토리지(10, 10')를 구비하지 않고, 다만, 초고속 인터넷망이나, 아파트용 인터넷 라인을 통해서 접속된 통신 모뎀(60, 60')에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20, 20', 50, 50')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의 가정에서 저렴하게 홈 데이터센터를 구축 및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applied, while a large-capacity, high-performance master main storage (not shown) is installed in a management room of an apartment or the like, each house does not have a predetermined main storage 10, 10 ', In case of connecting the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20, 20 ', 50, 50' to the communication modem 60, 60 'connected through the high-speed Internet network or the apartment Internet line, Inexpensively will be able to build and use home data center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1 또는 제2데이터 매니저에 의해서 집안, 실내 공간, 댁내 등에 소유한 모든 컴퓨터 단말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며 저장, 편집, 복사 등을 해당 컴퓨터 단말의 구동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업/다운 로드를 통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신호입력부를 채용하여 조작과 사용이 간편하며, 복수개로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는 메모리 슬롯을 구비하여 호환성이 높고, 제2데이터 매니저에 의해 무선 환경에서 댁내의 모든 컴퓨터 단말의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r second data manager manages all data connected to all computer terminals owned in the home, indoor space, home, and the like, and stores, edits, copies, and the like drives the corresponding computer terminals. It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through up / down by simple operation without using, and it is easy to operate and use by adopting signal input part, and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memory slots corresponding to various standards, and it is highly compatible with the second data manager.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capable of uploading and downloading data of all computer terminals in a home in a wireless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은 가정 내 벽면 등에 편리하게 설치되는 콤팩트한 전용 기기인 제1, 제2데이터 매니저를 제공하되, 컴퓨터 단말, 디지털 가전기기, 무선기기 등에 모두 접속 가능한 호환성 높은 USB, IEEE1394 등의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및 다양한 종류의 전송에 대해 별도의 컨버터(converter) 없이 접근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ome data cent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and second data manager, which is a compact dedicated device that is conveniently installed on a wall of a home, and can be connected to a computer terminal, a digital home appliance, a wireless device, and the like. By providing a universal interface, such as IEEE1394,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and various types of transmissions can be accessed without a separate conver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네트워크 배치도,1 is a network layout diagram of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데이터 매니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data manag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데이터 매니저의 제어회로도,3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first data manager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네트워크 배치도,4 is a network layout diagram of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데이터 매니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data manager shown in FIG. 4;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데이터 매니저의 제어회로도,6 is a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second data manager shown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2 : 실내 공간 10, 10' : 메인 스토리지1, 2: indoor space 10, 10 ': main storage

20, 20' : 제1데이터 매니저 20a, 50a : 제어회로20, 20 ': first data manager 20a, 50a: control circuit

50, 50' : 제2데이터 매니저 30 : 연결케이블50, 50 ': second data manager 30: connection cable

Claims (4)

실내 공간에서 컴퓨터 단말, 디지털 가전기기, 무선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 매개체의 데이터 파일을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에 있어서,In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that integrates and manages data files of memory media used in computer terminals, digital home appliances, and wireless devices in an indoor space, 상기 메모리 매개체를 삽입시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메모리 슬롯과,A memory slot into which the memory medium is inserted to input and output data; 상기 메모리 슬롯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카드리더 모듈과,A card reader modul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memory slot; 상기 카드리더 모듈에 결합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을 원칩셋(one chip-set)으로 구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card reader module and including a processor and a memory in one chip set; 상기 메인 스토리지의 연결케이블과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메모리 매개체의 데이터를 업로드, 다운로드, 검색, 저장, 편집, 복사, 이동,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 매개체의 데이터를 상기 메인 스토리지에 전송하도록 유니버설 직렬 버스(USB)와 파이어 와이어(IEEE1394)에 각각 해당하는 통신 규격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콘트롤러와;The controller is electrically coupled between the connection cable of the main storage and the controller to upload, download, search, store, edit, copy, move, and authenticate the data of the memory medium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At least one communication controller having a communication standard corresponding to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a firewire (IEEE1394) to transmit data of a memory medium to the main storage;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와 디스플레이 출력신호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도록 입출력 컨트롤러에 접속된 신호입력부와;A signal input unit connected to an input / output controller to visually display an input signal and a display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제어회로 전반에 걸쳐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 또는 교류/직류 컨버터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원 안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And a power stabiliz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a power supply unit and an AC / DC converter to supply DC power throughout the control circu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원 안정기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콘트롤러와 각각 회로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무선기기의 접속을 수행하도록 안테나와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 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The control circu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ntenna and a data access point module to receive DC power from the power ballast, each circu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o connect a wireless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매니저는, 상기 메인 스토리지의 저장 공간을 로컬 데이터 서버로서 공유하도록, 연결케이블을 통해 통신 모뎀에 접속되고, 상기 통신 모뎀이 외부 네트워크망을 통해 또 하나의 홈 데이터센터의 통신 모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The data manager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em via a connection cable so as to share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storage as a local data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modem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modem of another home data center via an external network.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케이블에는 길이 확장을 위해서 소정 길이 간격마다 해당 통신 규격의 리피터(repeater)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매니저를 이용한 홈 데이터센터 시스템.The connection cable is a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a data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eater (repeater) of the communication standard is coupled every predetermined length interval for length extension.
KR1020030096703A 2003-12-24 2003-12-24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KR100560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703A KR100560006B1 (en) 2003-12-24 2003-12-24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703A KR100560006B1 (en) 2003-12-24 2003-12-24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810A true KR20050065810A (en) 2005-06-30
KR100560006B1 KR100560006B1 (en) 2006-03-13

Family

ID=3725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703A KR100560006B1 (en) 2003-12-24 2003-12-24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00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27B1 (en) * 2006-06-05 2007-04-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me gate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KR101333842B1 (en) * 2009-05-19 2013-11-27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127B1 (en) * 2006-06-05 2007-04-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me gatew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KR101333842B1 (en) * 2009-05-19 2013-11-27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KR101333912B1 (en) * 2009-05-19 2013-11-27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US8706933B2 (en) 2009-05-19 2014-04-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US9079278B2 (en) 2009-05-19 2015-07-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US9162333B2 (en) 2009-05-19 2015-10-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us control for a domestic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006B1 (en)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3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ug and play between host and client
US7921244B2 (en) Data sharing an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RU2453069C2 (en) Programming environment and metadata management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7426584B2 (en) Portable storage media as file servers
JP4166046B2 (en) Embedded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ystem
US7114030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US20070156850A1 (en) Secure remote access using portable storage device
CN103168477B (en)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with flexible user access and shared device configurations
US200701067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configuration using a portable flash memory storage device with an infrared transmitter
US7043336B2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a memory pack of an internet microwave oven
EA0243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igital content management
US8756300B2 (en) Terminal provided with networking modul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ame
JPH1069338A (en) Computer docking station that can be made multifunctional
CN101488867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storage medium and network setting method
Ramon et al. Intel galileo and intel galileo gen 2
BRPI0620169A2 (en) integrated multimedia, entertainment, communications and control system, method for programming a multimedia controller, architecture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and methods for creating services to be performed by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for operating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 to provide redundancy in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and video conferencing
US109971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USB devices to operate as internet of thing (IoT) devices based on thing description model
KR20040002626A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a computer
US7797396B2 (e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server having a plurality of automated media portals
KR100560006B1 (en) Home data center system using data manager
CN101296258A (en) Hard disk device with network function
CA26764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 for home network using the internet
KR100502612B1 (en) Usb apparatus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060058016A1 (en) Wireless projector equipped with embedded download server
KR200411273Y1 (en) Network switc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