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4865A - Folder type piano - Google Patents

Folder type pian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4865A
KR20050064865A KR1020030096468A KR20030096468A KR20050064865A KR 20050064865 A KR20050064865 A KR 20050064865A KR 1020030096468 A KR1020030096468 A KR 1020030096468A KR 20030096468 A KR20030096468 A KR 20030096468A KR 20050064865 A KR20050064865 A KR 2005006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late
keyboard
lower plate
pi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정오
Original Assignee
구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오 filed Critical 구정오
Priority to KR102003009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4865A/en
Publication of KR2005006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86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9/00Methods, tools or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usical instrument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56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foldable or rollable, e.g. for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piano,

각각의 건반이 새겨진 상판(41), 이 상판(41)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호 접합되어 양자간에 장방형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판(43), 및 상판(41)과 하판(43) 사이의 내부 공간에 삽설된 회로 기판(42)을 포함하는 건반부(40)와, 이 건반부(40)의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접속단과 연결되며, 이 접속단을 통하여 인출된 회로 기판(42)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어 장치(33), 이 제어 장치(3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34), 및 상기 제어 장치(33)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표출하는 스피커(32)가 내장된 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In the upper plate 41 in which each key is engraved, the lower plate 43 which is mutually bond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late 41 to form a rectangular inner space therebetween, and the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3. It is connected with the keyboard part 40 including the inserted circuit board 42, and the connection end which protruded in the upper end surface of this keyboard part 40, and is mu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circuit board 42 drawn out through this connection end. Main unit 30 incorporating a connected control device 33, a power supply 3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device 33, and a speaker 32 for sound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33. ),

피아노 연주시에는 상기 본체부(30) 및 건반부(40)를 펼친 상태로 사용하고, 휴대시에는 본체부(30)를 상기 건반부(40) 내 평활면상으로 절첩해 들인 다음, 건반부(40)의 나머지 부분을 당해 본체부 쪽으로 절첩하여 이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When playing the piano,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 keyboard portion 40 are used in an unfolded state, and when carrying, the main body portion 30 is folded onto the smooth surface in the keyboard portion 40, and then the keyboard portion 40 By fold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oward the body portion to form a shape that surrounds it,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설치 바닥면 상태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또한 절첩 후의 외관이 미려한 절첩식 피아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Not only is it easy to carry, but it is also effective in providing a folding piano that is completely free from the installation floor state and has a beautiful appearance after folding.

Description

절첩식 피아노{folder type piano} Folding type piano {folder type piano}

본 발명은 절첩식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를 절첩식으로 구성함에 따라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설치 바닥면 상태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또한 절첩 후의 외관이 미려한 점에 그 특징이 있는 절첩식 피아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piano,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carry by folding the whole structure, as well as the appearance after folding is beautiful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floor state at all. This is about a folding piano.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종래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경량화 내지 간편화된 제품들이 다양하게 개발 및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s industry, products that are light in weight and simplified to be incomparable with the prior art are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상당한 중량에 달하는 통상의 피아노 또는 오르간이 지닌 운반상의 제약을 없앤 휴대형 전자 오르간이 개발된 이후에도 경량화 경향은 계속되어, 근래에는 키이 보드(key board), 즉 건반부를 얇은 고무재로 만들어 감을 수 있도록 한 두루마리 피아노(도 1 및 도 2 참조)가 출시되기에 이르렀다. For example, after the development of portable electronic organs that eliminated the transport constraints of ordinary pianos or organs that weighed a considerable amount of weight, the trend of light weight continued, and in recent years, key boards, or keyboards, have been made of thin rubber material. A rollable piano (see FIGS. 1 and 2) has been released.

상기 두루마리 피아노에 있어서, 건반부(2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로서의 실리콘 고무재인 상판(21) 및 하판(23) 사이에는 연성 회로 기판(22)이 삽설되어 있으며, 상판(21)상의 각 건반을 누르면 그 하방에 놓인 회로 기판(22)상의 해당 지점이 접속됨으로써 본체부(10) 및 본체(11) 내의 스피커(12)가 울리게 된다. In the scroll piano, a flexible circuit board 22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21 and the lower plate 23, which is a silicone rubber material as the ma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keyboard portion 20, and each keyboard on the upper plate 21 is inserted. Pressing causes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circuit board 22 placed below to be connected to ring the main body 10 and the speaker 12 in the main body 11.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두루마리 피아노는, 종래의 휴대용 전자 오르간 보다 음질 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있기는 하나, 휴대가 극히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적어도 소아용 음계 교습기 또는 청소년층의 취미용품으로서는 나름대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실정이다. The scroll piano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ferior in sound quality than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organ, but because it is extremely easy to carry, at least as a hobby item of a pediatric scale trainer or a youth group, its value is recognized. It is true.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갖는 두루마리 피아노의 경우, 건반부의 경량화 및 유연성에 주안점을 둔 나머지, 실제로는 사용 가능 장소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scroll piano having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the focus is on weight reduction and flexibility of the keyboard portion, and in rea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place is restricted.

즉, 얇은 고무재로 구성된 상기 건반부(20)는 그 측방의 본체부(10) 둘레로 감을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반면, 풀밭 등과 같이 설치 바닥면이 연약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건반부(20)를 눌러도 소리가 제대로 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That is, the keyboard part 20 made of a thin rubber material has flexibility enough to be wound around the main body part 10 on the side thereof, whereas when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is weak, such as a grass, the user uses the finger with the keyboar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ound was not sounded properly even when the unit 20 was pressed.

이는, 사용자가 각각의 건반을 누를 경우, 회로 기판(22) 상의 해당 지점이 접속되지는 않고, 얇은 고무재로 구성된 상기 건반부(20) 전체가 연약한 바닥면과 함께 아래로 내려가 버리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user presses each key,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circuit board 22 is not connected, and the entire keyboard portion 20 made of a thin rubber material falls down together with the soft bottom surface.

또한, 휴대를 목적으로 상기 건반부를 본체부 둘레로 감았을 때의 전체 형상이 악기로서의 산뜻함이 아니라 감긴 타월(towel) 정도의 볼품 없는 이미지를 갖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shape when the keyboard is wound around the main body for portable purposes is not neat as a musical instrument, but has an unsightly image of a wrapped towel.

게다가, 상기 건반부를 본체부 둘레로 감아 나감에 있어서는,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각종 조작 버튼(button), 즉 음색 버튼(13a), 바이브레이션(vibration) 버튼(13b), 볼륨 다이얼(volume dial)(13c) 및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13d) 등이 눌려져 고장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얇은 고무재로서의 건반부와 통상 합성수지재로서의 상기 본체부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어야 하는 문제 또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In addition, in winding the keyboard portion around the main body, various operation button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at is, the tone button 13a, the vibration button 13b, and the volume dial 13c. Also,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should be a slight gap between the keyboard part as a thin rubber material and the main body part as a general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on / off switch 13d and the like are not pressed to cause a failure. You can't help it.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설치 바닥면 상태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연주가 가능하며, 또한 절첩 후의 외관이 미려한 절첩식 피아노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s easy to carry, and can be played without regard to the installation floor state at all, and also provides a folded piano with a beautiful appearance after folding. There i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식 피아노는, 비교적 얇은 고무재로 된 건반부의 우측단에 본체부를 연결함으로써 당해 건반부를 본체부 둘레로 감을 수 있도록 한 종래 구조와는 달리, 건반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재로서의 하판 하단면에 자체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보강판을 접합하는 동시에, 상기 건반부의 상단면에 본체부를 연결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휴대시에는 상기 본체부를 건반부 내 평활면상으로 절첩해 들인 다음, 건반부의 나머지 부분을 당해 본체부 쪽으로 절첩하여 이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도록 한 특징이 있다. (제 1 실시예) The folding piano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unlike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is wound around the main body by connecting the main body to the right end of the keyboard portion made of a relatively thin rubber material, By bonding the synthetic resin reinforcement plate having its own rigidity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ilicone rubber material and connecting the main body portion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keyboard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folded into a smooth surface in the keyboard portion when carrying. Next, there is a feature to form the form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keyboard portion folded to the body portion. (First embodiment)

경우에 따라서는, 건반부를 구성하는 실리콘 고무재로서의 상기 하판을 적정 두께로 보강하여 충분한 자체 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 보강판이 배제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In some cases,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reinforcing plate may be eliminated by reinforcing the lower plate as the silicone rubber material constituting the keyboard portion to a sufficient thickness to have sufficient self rigidity. (Second embodiment)

또한, 건반부를 구성하는 상기 하판 자체를 고무재가 아닌 충분한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제 3 실시예) Moreover, the structure which made the said lower board itself which comprises a keyboard part into sufficient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instead of a rubber material may be sufficient. (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를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the folding piano of an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본 발명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의 전개 상태, 즉 펼친 상태의 평면도인 도 3 및 그 개략적 전기 구성도인 도 4 와, 그 정단면도를 부분 단면도로 나타낸 도 5 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는 절첩식 피아노는 각각의 건반이 새겨진 상판(41)과, 이 상판(41)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호 접합되어 양자간에 장방형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판(43)과, 이들 상판(41)과 하판(43) 사이의 내부 공간에 삽설된 회로 기판(42)을 포함하는 건반부(40)와, 이 건반부(40)의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접속단과 연결되며, 이 접속단을 통하여 인출된 회로 기판(42)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어 장치(33), 이 제어 장치(3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34), 및 상기 제어 장치(33)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표출하는 스피커(32)가 내장된 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folded pian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plan view of the unfolded state of FIG. 3 and FIG. 4 of its schematic electrical configuration, and FIG. Is a top plate 41 in which each key is engraved, a bottom plate 43 which is joined to an edge of the top plate 41 to form a rectangular internal space therebetween, and between the top plate 41 and the bottom plate 43. A keyboard portion 40 including a circuit board 42 inserted into an internal space, a connection end projecting on an upper end surface of the keyboard part 40, and a circuit board 42 drawn out through the connection end; A main body having a control device 33 electrically interconnected, a power supply 3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device 33, and a speaker 32 for sound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33.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part 30.

상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피아노 중 그 제 1 실시예를 도면화한 것으로서, 건반부(40)를 구성하는 유연성 실리콘 고무재인 하판(43)의 하단면에 자체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서의 보강판(44)을 접합한 특징이 있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olding pian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its own rigidit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3, which is a flexible silicone rubber material constituting the keyboard portion 40, FIG. The reinforcing plate 44 is bonded.

보강판(44)은 풀밭 등과 같은 연성 바닥면상에 상기 건반부(40)를 올려놓고 누르더라도 휘청거리지 않을 정도의 자체 강성을 지님으로써, 연성 바닥면상에서도 정상적인 피아노 연주를 가능케 하는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이다. The reinforcement plate 44 has its own rigidity so as not to be wobbly even when the key portion 40 is placed on a soft floor such as a grass, and thus plays a main role of enabling normal piano performance even on a soft floor. It is absent.

상기와 같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한, 합성수지재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합성수지재 이외의 재질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long as it can play such a role,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the kind of synthetic resin material, Of course, it can also be materials other than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41) 및 하판(43)을 공히 실리콘 고무재로 하되, 상판(41)은 통상의 얇은 두께로 하여 유연성을 갖도록 한 반면, 하판(43)은 충분한 자체 강성을 가질 정도의 두께로 보강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 보강판을 삭제한 경우를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로 제시한다.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3 are both made of silicone rubber, but the upper plate 41 has a general thin thickness so as to have flexibility, while the lower plate 43 has sufficient self The case where the synthetic resin reinforcement plate is removed by reinforcing to a thickness sufficient to have rigidity is presented as a folding piano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역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하판(43) 자체를 충분한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한 경우를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로 제시한다. As also mentioned above, a case in which the lower plate 43 itself is made of sufficient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esented as a folding piano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판(44)의 하단면상에는 건반부(40)의 폭 방향으로 절첩 홈(44b)을 형성함으로써, 건반부(40) 절첩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절첩 형태 역시 도 6 에서와 같은 장방형 단면을 이루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folding groove 44b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board 44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board part 40, thereby making it easier to fold the keyboard part 40 and to fold it. The shape also form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in FIG.

상기 절첩 홈(44b)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첩 형태를 이루게 됨은 물론이며, 이들 절첩 형태는 전적으로 수요자의 취향에 따를 것이다. If the folding grooves 44b are not formed, the folding shapes as shown in FIG. 7 are of course formed, and these folding shapes will be entirely up to the taste of the consumer.

아울러, 상기 절첩 홈(44b)은 보강판(44) 없는 구조인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적정 두께를 지님으로써 자체 강성을 갖게 된 하판(43)의 하단면상에 절첩 홈을 형성하면 된다. In addition, the folding groove 44b can also be applied to the folding piano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ructure without the reinforcing plate 44. In this case, the lower plate 43 having its own rigidity by having an appropriate thickness is provid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a folding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

한편, 도 3 및 도 4 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의 조작 내지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s 3 and 4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folding piano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3 에 나타낸 펼친 상태의 절첩식 피아노에 있어 건반부(40) 내 상판(41)상의 각 건반을 누르면, 상판(41)과 상기 하판(43) 사이의 내부 공간에 삽설된 연성 회로 기판(42)상의 해당 지점이 접속되고, 그 결과, 이 회로 기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본체부(30) 내 제어 장치(33), 즉 제어 판넬(pannel)상의 각 구성 부품들이 작동함에 따라 스피커(speaker)(32)가 당해 음계의 음을 울리게 된다. That is, in the folded-type piano of the expanded state shown in FIG. 3, when each key on the upper board 41 in the keyboard part 40 is pressed, the flexible circuit board inserted in the internal space between the upper board 41 and the lower board 43 is shown.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42 is connected and, as a result, the speaker 33 as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 device 33 in the main body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42, i.e., the control panel, are operated. (speaker) 32 will sound the notes of the scale.

연주를 종료한 다음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의 번호 순서대로, 본체부(30)를 건반부(40) 쪽으로 절첩해 들인 다음, 건반부(40)의 우측단을 그 중앙부를 향하여 먼저 절첩함에 이어 나머지 좌측단을 역시 중앙부를 향하여 절첩함으로써 도 6 또는 도 7 과 같은 절첩 형태를 얻게 된다. After the performance is finished, the main body portion 30 is folded into the keyboard portion 40 in the numerical order as shown in Fig. 3, and then the right end of the keyboard portion 40 is first folded toward the center portion thereof. Then, the remaining left end is also folded toward the center to obtain a folded form as shown in FIG. 6 or 7.

보다 미려하고 확실한 절첩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41)의 좌측단과 상기 보강판(44)(제 1 실시예)의 하단면 또는 상기 하판(43)의 하단면상 적정 지점에는 각각 부착판(41a)과 자석(44a)을 설치해 둠으로써, 절첩이 완료됨과 동시에 이들 부착판(41a)과 자석(44a)이 서로 밀착되는 구조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a more beautiful and secure folded state, the attachment plate (at a suitable point on the left end of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44 (first embodiment) or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3, respectively) By providing 41a) and the magnet 44a, the folding is completed and the attachment plate 41a and the magnet 44a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건반부(40)의 상단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30)와의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접속단 부위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기판(42)을 감싸고 있던 상판(41) 및 하판(43)의 해당 부위를 절개함으로써, 절첩시의 유연성이 보다 양호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ion end part which protrudes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aid keyboard part 40, and provides the connection means with the main-body part 30, as shown in FIG. 3, the upper board 41 surrounding the circuit board 42 was shown. ) And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ower plate 43 to be more flexible at the time of folding.

그런 반면, 상기 회로 기판(42) 양 측방으로는 소폭의 상판(41) 및 하판(43)을 덧대는 식으로 연장시켜 나감으로써, 앞서 언급한 바의 유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적정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by extending the narrow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3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42,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strength while maintaining the flexibility as described above. Make sure

도면 부호 "34"는 전원으로서, 통상의 배터리(battery)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어댑터(adaptor)를 장착함으로써 가정용 교류를 인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power source, in which a normal battery is used, or a case in which home alternating current can be introduced by attaching an adapter.

상기 제어 장치(33)를 구성하는 음향 칩(chip)(도시하지 않음), 음색 버튼(33a), 바이브레이션 버튼(33b), 볼륨 다이얼(33c) 및 온/오프 스위치(33d) 등은 상기 도 1 에 나타낸 종래 두루마리 피아노에 있어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보편화된 공지의 전자 부품이며, 본 발명은 어디까지나 이들 구성 부품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절첩식 구조에 그 요지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들 구성 부품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An acoustic chip (not shown) constituting the control device 33, a tone button 33a, a vibration button 33b, a volume dial 33c, an on / off switch 33d, and the like are shown in FIG. It is a general and well-known electronic component which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conventional scroll piano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late to these component parts itself to the last, but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 which has the summary in a folding structure, Any further explanations ar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절첩식 피아노에 있어서는, 상기 음색 버튼(33a), 바이브레이션 버튼(33b), 볼륨 다이얼(33c) 및 온/오프 스위치(33d)의 상단면을 동일 평면상에 오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첩 과정에서 건반부(40)가 본체부(30)상의 각 구서 부품들을 누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olding piano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op surfaces of the tone button 33a, the vibration button 33b, the volume dial 33c, and the on / off switch 33d are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 folding is performed. In the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board part 40 does not press each writing component on the main body part 30.

이상,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를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라면 상기 설명을 참조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경 내지 수정이 가능할 것인 바, 회로 기판이 내장된 건반부를 구성하는 하판 하단면상에 보강판을 접합하거나, 또는 상기 하판으로 하여금 자체 강성을 가질 정도로 보강한 다음, 제어 장치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상기 건반부의 상단면에 연결함으로써, 풀밭 등과 같은 연성 바닥면상에서도 연주가 가능함은 물론, 연주 종료후에는 노트북 컴퓨터 형상의 산뜻한 절첩 형태를 이루는 구조인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마땅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folding piano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lower plate lower part constituting the keyboard part having a circuit board therein By joining a reinforcement plate on the surface or reinforcing the lower plate to have its own rigidity, and then connecting the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control device and the speak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portion, it is possible to play on a soft floor surface such as grass. Of course, after the end of the performance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belongs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forming a neat folding form of a notebook computer shap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설치 바닥면 상태에 전혀 구애를 받지 않고 연주가 가능하며, 또한 절첩 후의 외관이 미려한 절첩식 피아노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folding piano which is not only portable but also playable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floor state, and which has a beautiful appearance after folding.

도 1 은 종래의 두루마리 피아노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croll piano,

도 2 는 상기 두루마리 피아노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 2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croll piano;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를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folding piano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의 개략적 전기 구성도,4 is a schematic electrical diagram of a folding piano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 제 1 실시에의 절첩식 피아노를 나타낸 부분 정단면도, 5 is a partial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folding piano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의 절첩 형태를 나타낸 배면도, 6 is a rear view showing a folded form of the folding piano of the first embodiment;

도 7 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절첩식 피아노의 또 다른 절첩 형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Fig. 7 is a rear view showing another folded form of the folding piano of the first embodimen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30 : 본체부 20, 40 : 건반부           10, 30: main body 20, 40: keyboard

21, 41 : 상판 22, 42 : 회로 기판          21, 41: top plate 22, 42: circuit board

23, 43 : 하판 41a : 부착판           23, 43: lower plate 41a: attachment plate

44a : 자석 44b : 절첩 홈              44a: magnet 44b: folding groove

Claims (8)

건반이 새겨진 상판(41)과, 이 상판(41)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호 접합되어 양자간에 장방형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판(43)과, 이들 상판(41)과 하판(43) 사이의 내부 공간에 삽설된 회로 기판(42)을 포함하는 건반부(40)와; 이 건반부(40)의 상측면상에 돌출 형성된 접속단과 연결되며, 이 접속단을 통하여 인출되는 상기 회로 기판(42)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제어 장치(33), 이 제어 장치(3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34), 및 상기 제어 장치(33)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표출하는 스피커(32)가 내장된 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The upper plate 41 with the keyboard engraved thereon, the lower plate 43 joined to the edge of the upper plate 41 to form a rectangular inner space therebetween, and the inner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3. A keyboard portion 40 including an inserted circuit board 42; A control device 33 which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end protru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keyboard portion 40 and is electrically interconnected with the circuit board 42 drawn out through the connection end, and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device 33. And a main body portion (30) having a built-in power supply (34) and a speaker (32) for sounding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1) 및 하판(43)은 유연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재이며, 상기 하판(43)의 하단면에는 자체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서의 보강판(44)을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3 are made of a flexible silicone rubber material,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43 is bonded to a reinforcing plate 44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its own rigidity. A folding piano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1) 및 하판(43)은 실리콘 고무재로서, 상판(41)은 유연성을 갖는 반면, 하판(43)은 자체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2. The folding piano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3) are made of silicone rubber, and the upper plate (41) has flexibility while the lower plate (43) has its own rigid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1)은 실리콘 고무재로서 유연성을 갖는 반면, 하판(43)은 자체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The folding piano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late (41) is flexible as a silicone rubber material, while the lower plate (43)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its own rigid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3)는 음색 버튼(33a), 바이브레이션 버튼(33b), 볼륨 다이얼(33c), 온/오프 스위치(3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2. Folding piano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33) comprises a tone button (33a), a vibration button (33b), a volume dial (33c) and an on / off switch (33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44)의 하단면상에 절첩 홈(44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The folding piano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folding groove (44b) is form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44).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43)의 하단면상에 절첩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The folding piano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a folding groove is form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late (4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색 버튼(33a), 바이브레이션 버튼(33b), 볼륨 다이얼(33c) 및 온/오프 스위치(33d)의 상단면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피아노. 6. A folding piano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op surfaces of the tone button (33a), the vibration button (33b), the volume dial (33c), and the on / off switch (33d) form the same plane.
KR1020030096468A 2003-12-24 2003-12-24 Folder type piano KR20050064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468A KR20050064865A (en) 2003-12-24 2003-12-24 Folder type pian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468A KR20050064865A (en) 2003-12-24 2003-12-24 Folder type pian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865A true KR20050064865A (en) 2005-06-29

Family

ID=3725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468A KR20050064865A (en) 2003-12-24 2003-12-24 Folder type pian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486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42B1 (en) * 2012-10-19 2013-09-06 윤옥경 Hand roll pian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9006B1 (en) * 1996-08-30 2001-07-10 Raoul Parienti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piano
KR200246587Y1 (en) * 2001-04-24 2001-10-29 김상헌 digital melody pad
JP2002175077A (en) * 2000-12-08 2002-06-21 Sugiyama Electron:Kk Wound and housed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200326761Y1 (en) * 2003-06-11 2003-09-19 구정오 A Pad Using Key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9006B1 (en) * 1996-08-30 2001-07-10 Raoul Parienti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piano
JP2002175077A (en) * 2000-12-08 2002-06-21 Sugiyama Electron:Kk Wound and housed typ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200246587Y1 (en) * 2001-04-24 2001-10-29 김상헌 digital melody pad
KR200326761Y1 (en) * 2003-06-11 2003-09-19 구정오 A Pad Using Key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042B1 (en) * 2012-10-19 2013-09-06 윤옥경 Hand roll pian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5913B2 (en) Collapsible musical keyboard
US6664461B2 (e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detachable frame
US6274800B1 (en) Convertible musical instrument
EP4064273A1 (en) Performance operation device
US20060230913A1 (en) Controller for a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that can be folded up and rolled up
KR20050064865A (en) Folder type piano
US20050223603A1 (en) Music shoe
KR101886048B1 (en) Hand Roll Piano with flexible Keyboad Pad
KR101305042B1 (en) Hand roll piano
KR200142521Y1 (en) Karaoke picture book
KR101537344B1 (en) to use mobile and storage bags are transformed into digital piano toy
CN215933179U (en) Music circulation effect device with internal circulation function
JP3112648U (en) Foldable electronic organ keyboard control device
CN219780311U (en) Sound box with wireless pedal
CN219936668U (en) Pedal drum-beating device
JPS6326864Y2 (en)
CN202856942U (en) Handheld karaoke machine
KR200326761Y1 (en) A Pad Using Keyboard
KR200412551Y1 (en) Electronic harmony car
JPS6246236Y2 (en)
JP5298611B2 (en) Notebook with keyboard instrument
KR200294525Y1 (en) The toy piano
JP3158001U (en) Electronic piano
KR200270920Y1 (en) Doll having mp3 player
KR200245141Y1 (en) A piano toy with an au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