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114A -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114A
KR20050063114A KR1020030094464A KR20030094464A KR20050063114A KR 20050063114 A KR20050063114 A KR 20050063114A KR 1020030094464 A KR1020030094464 A KR 1020030094464A KR 20030094464 A KR20030094464 A KR 20030094464A KR 20050063114 A KR20050063114 A KR 20050063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drum
air
receiving por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진
이순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114A/ko
Publication of KR2005006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드럼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순환공기가 컨덴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건조기 외부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모아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는 건조기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컨덴서; 상기 컨덴서의 전방에 형성되는 프런트 실링 수용부; 및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포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에 의하여, 드럼을 통과하여 고온다습한 상태로 된 공기가 컨덴서로 이동하는 도중에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Leakage preventing structure of condensed water in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드럼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순환공기가 컨덴서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건조기 외부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모아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장치가 구비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장치이다. 즉, 드럼이 회전하면서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도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에 의하여 세탁수와의 충돌이 발생하고, 상기 충돌에 의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물이 제거된다.
또한,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장치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 대상물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본 발명은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드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린트 필터를 지난 순환공기가 컨덴서로 이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프런트 실링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도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응축식 드럼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12)과, 상기 드럼(12)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13)와, 상기 드럼(1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벨트(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벨트(11)와 연결되는 모터축(21)과, 상기 모터축(2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6)의 맞은편에서 상기 모터축(21)과 연결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건조팬(18)과, 상기 건조팬(18)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12)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내부에 발열부(20)가 장착된 건조덕트(19)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13)가 삽입되는 개구부 하측에 형성되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필터(14)와, 상기 린트필터(14)로 들어간 공기가 응축기(미도시)로 이동되는 통로인 순환덕트(15)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7)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건조덕트(19) 내에 부착된 히터(20)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벨트(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에 있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벽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최상측부에 이르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드럼(12)의 내벽에 부착된 리프트(미도시)에 의하여 상승된다.
한편,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건조팬(18)이 모터(17)의 회전과 함께 작동하게 되어, 상기 린트필터(14)를 거친 순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9)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히터(20)를 거쳐 고온 건조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12) 내부를 지나면서 건조 대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린트 필터(14)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60)로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린트 필터(14)를 거친 공기는 하강하여 순환공기 하강부(51)를 거쳐,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50)의 순환공기 안내면(71)을 따라 컨덴서(60)로 이동되게 된다. 참고로, 상기 프런트 실링(70)은 실링 케이스(80)에 안착되고, 상기 실링 케이스(80)는 실링 커버(90)에 의해 닫혀진다.
또한,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냉각팬(16)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기 외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냉각팬(16)을 지나 상기 컨덴서(60)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로 이동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냉각팬(16)에 의해 흡입되어 컨덴서(60)로 이동된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컨덴서(60)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컨덴서(60)의 형상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지 않고 열교환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컨덴서를 지나면서 상기 실내 공기에 열을 빼앗기면서 저온 다습한 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지면서 순환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컨덴서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섬프로 이동된 수분은 응축 펌프에 의하여 건조기 상부에 위치한 응축수 저장고(미도시)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컨덴서(60)를 지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 다습한 공기로 전환 시키고,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 상기 린트 필터(14)를 거쳐 컨덴서(60)로 이동하는 공기는 고온 다습한 상태이기 때문에, 컨덴서(60)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프런트 실링(70)의 순환공기 안내면(71)을 따라 컨덴서(60)로 이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런트 실링(70)과 상기 프런트 실링(70)의 양측면에 나 있는 틈새를 따라 순환공기가 상기 프런트 실링(70)의 저면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틈새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는 건조기 외부와 접촉 또는 열교환하여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은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52)에 고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52)에 고인 물은 상기 실링 커버(90)를 개구시켰을 때, 건조기 외부로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에 고인 응축수가 건조기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는 건조기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컨덴서; 상기 컨덴서의 전방에 형성되는 프런트 실링 수용부; 및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포켓;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포켓은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포켓은 저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포켓은 또다른 실시예로서, 저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드럼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컨덴서로 이동되면서 응축된 물이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 포켓이 형성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베이스 포켓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포켓이 형성된 건조기(600)는 전면부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630)와, 상기 프런트 커버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631)와, 상기 개구부(631)를 통하여 투입된 세탁물이 포집되는 드럼(640)과, 상기 드럼(640) 내부에 형성된 건조 챔버(64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631)를 개폐하는 도어(610)와, 상기 프런트 커버(630)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기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전면 패널(6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610)의 내주면에는 도어 린트 필터(611)가 내장된 도어 린트 필터 하우징(61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610)는 도어 힌지(620)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의 하측면에는 상기 도어 린트 필터(611)를 거친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바디 린트 필터(66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커버(630)의 저면에는 컨덴서(200)와 프런트 실링(미도시)이 삽입되며, 상기 바디 린트 필터(660)를 거친 공기가 하강되는 프런트 실링 수용부(210)가 포함되고, 상기 프런트 커버(630)의 최저면에 길게 형성되는 실내공기 흡입구(670)가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121)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베이스 포켓(130)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 드럼에서 상기 컨덴서까지 이어지는 순환공기의 흐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드럼(640)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 챔버(141)로 들어온 고온상태의 순환공기는 상기 건조 챔버(141)내에 머무르는 동안,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순환공기는 상기 도어(610)에 구비된 도어 린트 필터(611)를 통과하여, 상기 개구부(631)의 하측에 구비된 바디 린트 필터(660)를 통과하면서, 상기 순환공기 내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이 와전히 제거된다.
상기 바디 린트 필터(660)를 거친 공기는 상기 순환공기 하강부(110)를 타고 하강하여,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120)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프린트 실링 수용부(120)에 도달한 순환공기는 프런트 실링 내면에 형성된 순환공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컨덴서(200)로 유입된다.
상기 컨덴서(200)로 유입된 순환공기는 냉각팬(미도시)에 의해 흡입되어 컨덴서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하면서 응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된 수분은 응축펌프로 이동된다.
한 편,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120)에 도달한 순환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순환공기 안내면을 따라 상기 컨덴서(200)로 이동되지만, 일부는 상기 프런트 실링과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따라,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121)으로 이동된다.
또한, 순환공기가 상기 순환공기 하강부(110)로 하강하면서 건조기 외부의 실내공기와 접촉하거나 열교환을 통하여,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일부는 상기 열교환에 의하여 응축되며, 또한 상기 수용부 저면(121)에 모인 순환공기도 응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응축된 수분은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121)에 고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된 수분은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121)에 일정 깊이를 가지는 베이스 포켓(130)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포켓(130)에 고인 응축수는 실링 커버를 열더라도 외부로 흘러 내리지 않게 된다.
상기 베이스 포켓(130)은 상기 컨덴서(200) 수용부가 시작되는 단턱 부분의 저면에서 시작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121)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포켓(130) 저면은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저면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포켓(130)은 저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포켓(130)의 형상, 크기 또는 깊이에 있어서는 상기 건조기의 용량 기타 응축되어 고이는 물의 양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에 의하여, 드럼을 통과하여 고온다습한 상태로 된 공기가 컨덴서로 이동하는 도중에 건조기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가 컨덴서 외부에서 응축되더라도 건조기 외부로 흐르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린트 필터를 지난 순환공기가 컨덴서로 이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프런트 실링 수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 포켓이 형성된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상기 베이스 포켓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순환공기 하강부
120 : 프런트 실링 수용부 121 :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
130 : 베이스 포켓 200 : 컨덴서
600 : 건조기 610 : 도어
620 : 도어 힌지 630 : 프런트 커버
640 : 드럼 650 : 전면 패널
660 : 바디 린트필터 670 : 실내공기 흡입구

Claims (4)

  1. 건조기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컨덴서;
    상기 컨덴서의 전방에 형성되는 프런트 실링 수용부; 및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포켓;이 포함되는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포켓은 상기 프런트 실링 수용부 저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포켓은 저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포켓은 저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KR1020030094464A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KR20050063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464A KR20050063114A (ko)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464A KR20050063114A (ko)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114A true KR20050063114A (ko) 2005-06-28

Family

ID=3725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464A KR20050063114A (ko) 2003-12-22 2003-12-22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1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778B1 (ko) 건조기의 컨덴서 하단부 배수유로 구조
KR100607266B1 (ko) 건조기의 덕트 구조
KR101093988B1 (ko) 건조기의 도어 린트 필터 밀착 장치
US7036243B2 (en) Laundry dryer and condenser assembly thereof
KR10069702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861831B1 (ko) 세탁 건조기
KR101093830B1 (ko) 건조기의 램프 커버 장착구조
KR20050063114A (ko) 건조기의 응축수 누출 방지구조
KR101079921B1 (ko) 건조기의 드럼 프런트 실링구조
KR101079934B1 (ko) 건조기의 도어 힌지 구조
KR101225962B1 (ko) 세탁 건조기의 증기 역류 방지 제어 방법
KR101181772B1 (ko) 응축식 건조기
KR101021710B1 (ko) 건조기의 전면부 실링구조
KR101079972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KR101079899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JP3952915B2 (ja) 洗濯乾燥機
KR101079999B1 (ko) 건조기의 실내공기 흡입구조
KR101192000B1 (ko) 드럼 세탁기
KR100607269B1 (ko) 건조기의 컨덴서 조립구조
KR20050063126A (ko)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KR20050111435A (ko) 건조기의 베이스 통풍구조
KR100607267B1 (ko) 건조기의 컨덴서 조립구조
KR100607268B1 (ko) 건조기의 컨덴서 조립구조
KR101093425B1 (ko) 건조기의 응축수 배관 고정 장치
KR20050063127A (ko) 건조기의 프런트 실링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