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266A -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266A
KR20050062266A KR1020030094287A KR20030094287A KR20050062266A KR 20050062266 A KR20050062266 A KR 20050062266A KR 1020030094287 A KR1020030094287 A KR 1020030094287A KR 20030094287 A KR20030094287 A KR 20030094287A KR 20050062266 A KR20050062266 A KR 2005006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terminal
input
exter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2266A/en
Publication of KR2005006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26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캠코더용 외부마이크를 이어마이크 단자에 입력하고, 동영상 촬영시 외부마이크를 카메라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음성을 입력받도록 하여 녹음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내부 스피커나 이어마이크 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선택부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내부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입력 선택부와,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장치가 외부마이크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음성 출력 선택부와 음성 입력 선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동영상 촬영 시 외부마이크로 음성을 입력받아 녹음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camcor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sound quality recorded by inputting a rotatable camcorder external microphone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and receiving the voice by rotating the external microphon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direction when shooting a video An external microphone device, comprising: an audio output selector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audio signal input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to an internal speaker or an ear microphone terminal, and an audio signal or an internal microphone input to an ear microphone terminal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A voice input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n input voice signal, and whether the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is an external microphone,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predetermin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and the voice input selection unit. By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When image taking is effective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to be recorded receives an external micro-speech.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camcord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가능한 캠코더용 외부마이크를 이어마이크 단자에 입력하고, 동영상 촬영시 외부마이크를 카메라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음성을 입력받도록 하여 녹음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a camcor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rotatable camcorder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an ear microphone terminal, and the external microphone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direction to receive a voice during video recor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a camcor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mproving sound quality of recording.

최근에는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Recently, a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other person while moving from an arbitrary place to another place has been developed and utilized.

또한, 점차 커져만 가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을 추가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atisfy the growing needs of users, mobile operators are adding various function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찍어서 볼 수 있는 사진 찍기 기능이나 상기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한 캠코더 기능도 있다.For example, a camera may be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ake a picture that a user wants to take and view, or there may be a camcorder function using the camera and a microphone.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캠코더 기능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또는 기 설정된 캠코더(또는 동영상) 기능 단축키를 이용하여 캠코더 기능을 실행한다.A brief description of the camcorder function using the camera is to execute a camcorder function using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reset camcorder (or video) function shortcut key.

캠코더 기능이 실행되면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고, 단말기에 구비된 음성통화용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아 촬영된 동영상을 압축(예를 들어, MPEG4)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When the camcorder function is executed, an image is input through a camera, a voice is input through a voice call microphone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the captured video is compressed (eg, MPEG4) and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하지만, 동영상 촬영시 음성의 입력이 단말기에 구비된 음성통화용 마이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카메라 방향과 마이크의 방향이 틀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런 경우 녹음되는 음성의 크기가 작아서 녹음된 음성을 알아듣기 힘들게 된다.However, when the video recording is made by the voice call microphone provided in the terminal, the direction of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may be different, and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recorded voice is small and the recorded voice is recognized. It's har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단말기에 두 개의 마이크를 구비하거나 음량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렇지만 두 개의 마이크를 구비하더라도 방향이 제대로 맞지 않으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음량을 높이는 방법은 음량이 높아지면 그에 따른 노이즈도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 노이즈에 따른 문제가 생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nventionally, a terminal having two microphones or a method of increasing the volume was used. However, even with two microphones, if the directions are not properly aligned, the above problem occurs, and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volume causes a problem due to noise because the noise increases as the volume increases.

상기와 같이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캠코더 기능을 사용하여 동영상 촬영시 영상이 입력되는 카메라와 음성이 입력되는 고정된 마이크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녹음되는 음성의 크기가 작아서 알아듣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rection of a fixed microphone for inputting a video and a camera for inputting a video does not coincide with a camcorder function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the size of the recorded voice is small.

또한, 종래 음량을 높여서 동영상을 촬영하더라도 높아진 음량에 비례하여 입력되는 노이즈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노이즈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shooting a video by increasing the conventional volume, there is a problem with noise because the input noise also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volume.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캠코더용 외부마이크의 이어마이크 단자로의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마이크를 카메라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동영상 촬영 시 외부마이크로 음성을 입력받아 녹음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to an ear microphone terminal of a rotatable camcorder external microphone and rotates the external microphon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so that the sound quality is recorded by receiving an external microphone voice when recording a vide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a camcor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내부 스피커나 이어마이크 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선택부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내부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입력 선택부와;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장치가 외부마이크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음성 출력 선택부와 음성 입력 선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oice output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external control signal to the internal speaker or ear microphone terminal; A voice input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voice signal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or an external microphone input voice signal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is an external microphone, and output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and the voice inpu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상기 외부마이크가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면, 상기 음성 출력 선택부는 음성 신호를 내부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입력 선택부는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the voice output selector outputs a voice signal to the internal speaker, and the voice input selector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to the controller. .

또한, 상기 외부마이크 플러그에 구비된 마이크 단자와 스피커 단자는 단락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마이크의 마이크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과 스피커 단자로 출력하는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외부마이크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speaker terminal provided in the external microphone plug are short-circuited, and the controller compares the phas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of the external microphone with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to the speak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microphone terminal.

또한,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이어마이크 또는 외부마이크가 입력되는지 감지하여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이어마이크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ar microphon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ear microphone or an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and to output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ontroller.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a camcor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해 회전 가능한 캠코더용 외부마이크를 연결하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캠코더용 외부마이크를 인식하여 동영상 촬영 시 음성을 캠코더용 외부마이크로 입력받도록 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rotatable camcorder external microphone through the ear microphone terminal, and recognizes the external microphone for the camcorder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from the terminal to receive a voice input to the camcorder external microphone during video recording. .

도1은 본 발명에서 단말기의 캠코더 기능을 사용할 때 음성 입력용으로 사용되는 외부마이크와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 캠코더용 외부마이크(M3)는 회전 가능하고, 기존에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해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1 illustrates an external microphone and a terminal used for voice input when the camcorder function of the terminal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microphone M3 for the camcorder is rotatable and the terminal 100 is conventionally connected through an ear microphone terminal. You can see that it is connected to).

도2는 본 발명에서 이어마이크 단자로 이어마이크가 입력될 때의 상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 단자(50)로 입력되는 이어마이크(70)를 감지하는 이어마이크 감지부(40)와, 증폭기(AMP)(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 스피커(SP1)나 이어마이크의 스피커(SP2)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선택부(30)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이어마이크의 마이크(M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단말기 내부 마이크(M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입력 선택부(60)와, 상기 이어마이크 감지부(40)에서 감지한 이어마이크(70) 유무에 따라 상기 음성 출력 선택부(30)와 음성 입력 선택부(60)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ate when an ear microphone is input to an ear microph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ar microphone detecting unit 40 which detects the ear microphone 70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and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amplifier AMP 20 are externally controlled. A voice output selector 30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internal speaker SP1 or the speaker SP2 of the ear microphone by a signal, and the voice signal or the inside of the termi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2 of the ear microphone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30 selectively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1 and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ar microphone 70 detected by the ear microphone detection unit 40. And a controller 10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voice input selection unit 60.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50)로 입력되는 이어마이크 플러그는 마이크단자(M)와 스피커단자(S) 그리고 접지단자(G)로 이루어져 있고, 이어마이크 감지부(40)는 소정의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어마이크 플러그가 입력되면, 그 이어마이크 플러그에 의해 스위칭 수단이 온(또는 오프)되어 제어부(40)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제어부(10)에서 이어마이크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다.The ear microphone plug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includes a microphone terminal M, a speaker terminal S, and a ground terminal G, and the ear microphone detecting unit 40 is configured by a predetermined switching means. When the ear microphone plug is input, the switching means is turned on (or off) by the ear microphone plug and outputs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ontroller 40, whereby the controller 10 can determine whether the ear microphone is present.

그럼, 이어마이크가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된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ase where the ear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will now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50)에 이어마이크(70)가 입력되면, 이어마이크 감지부(40)에서 제어부(10)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출력된 전압에 의해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ear microphone 70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the ear microphone detecting unit 40 outputs a predetermined voltage from the ear microphone detecting unit 40 to the control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상기 음성 출력 선택부(30)는 제어부(1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기(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이어마이크 플러그의 스피커 단자(S)로 출력하여 이어마이크의 스피커(SP2)를 통해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음성 입력 선택부(60) 또한 제어부(1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부(10)와 이어마이크의 마이크단자(M)를 연결하고, 이어마이크의 마이크(M2)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selector 30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amplifier 20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to the speaker terminal S of the ear microphone plug, and then the speaker SP2 of the ear microphone. The voice can be heard through, and the voice input selector 60 also connects the control unit 10 and the microphone terminal M of the ear microphone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and the microphone M2 of the ear microphone. The audio signal inputted from) is output to the controller 10.

도3은 도2에 도시한 구성 중에서 이어마이크 단자로 이어마이크가 아닌 캠코더용 외부마이크가 입력된 경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case in which an external microphone for a camcorder other than the ear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amo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50)로 입력되는 외부마이크(M3)의 플러그는 이어마이크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즉, 마이크단자와 스피커단자 그리고 접지단자로 이루어지며, 단지 이어마이크의 스피커단자(S)와 마이크단자(M)가 하나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내부적으로 단락된 상태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plug of the external microphone M3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is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plug of the ear microphone, that is, a microphone terminal, a speaker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and only the speaker terminal of the ear microphone ( S) and the microphone terminal (M) is formed in one or internally short-circuited form.

그럼, 외부마이크가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된 경우에 대한 본 발명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case where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will now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50)로 외부마이크(M3)가 입력되면, 이어마이크 감지부(40)에서 제어부(10)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고, 그 출력된 전압에 의해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When the external microphone M3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a predetermined voltage is output from the ear microphone detecting unit 40 to the control unit 10,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based on the output voltage. Output

상기 음성 출력 선택부(30)는 제어부(1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기(20)에서 출력한 음성 신호를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스피커(SP1)로 출력하고, 음성 입력 선택부(60)는 제어부(1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마이크(M3)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즉, 외부마이크(M3)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고, 단말기(100)는 음성(또는 음악)을 내부 스피커(SP1)로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selector 30 outputs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20 to the speaker SP1 provided in the terminal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and the voice input selector 60. The control unit 10 outpu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microphone M3 to the control unit 10 by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0. That is, the voice is input from the external microphone M3, and the terminal 100 outputs voice (or music) to the internal speaker SP1.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부마이크 장치를 이용하면 동영상 촬영 시 카메라의 방향과 일치하는 외부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때문에 녹음되는 음성이 크고 음질이 좋아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xternal microphone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used, the voice recorded is large and the sound quality is improved because the voice is input from the external microphone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camera when shooting a video.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어부(10)에서 이어마이크 단자(50)로 입력되는 장치가 이어마이크인지 외부마이크인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 제어부에서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is an ear microphone or an external microphone.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in the control unit.

제어부(10)에서 이어마이크 단자(5)로 입력되는 장치 종류에 대한 판단은 이어마이크 플러그와 외부마이크 플러그에 구비된 마이크단자와 스피커단자를 이용하는데, 제어부에서 이어마이크 단자로 장치 입력 시 상기 스피커 단자로 소정의 위상을 갖는 신호를 출력한 후 마이크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과 상기 출력된 위상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이 가능한 것은 외부마이크 플러그에 구비된 마이크단자와 스피커단자가 내부적으로 단락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마이크가 입력된 경우 스피커단자로 출력된 신호의 위상과 마이크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이 같게 되지만, 이어마이크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두 단자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두 위상이 서로 다르게 되어 제어부에서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두 장치를 구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determines the type of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 by using a microphone terminal and a speaker terminal provided in an ear microphone plug and an external microphone plug, and the speaker when the devic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by the control unit. After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hase to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phase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output phase. This method is possible because 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speaker terminal of the external microphone plug are internally short-circuited, so when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terminal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are the same. When the ear microphone is input, since the two terminals are separated, the two pha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distinguish the two device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s.

또한, 상기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의 물리적인 구성에 의한 판단이 아닌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판단할 수 도 있다. 즉, 단말기 메뉴에 이어마이크 단자(50)로 입력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설정하고, 그 항목 설정을 통해 제어부(10)에서 음성 출력 선택부(30)와 음성 입력 선택부(6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by a user input, not by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plug. That is, an item for selecting a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50 is set in the terminal menu, and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30 and the voice input selection unit 60 by setting the items. Can be controlled.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캠코더용 외부마이크의 이어마이크 단자로의 입력을 감지하고, 외부마이크를 카메라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동영상 촬영 시 외부마이크로 음성을 입력받아 녹음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to an ear microphone terminal of a rotatable camcorder external microphone and rotates the external microphon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mera, thereby receiving sound quality recorded by receiving an external microphone voice when recording a vide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도1은 본 발명에서 외부마이크와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ternal microphone and a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가 입력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an ear microphone is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외부마이크가 입력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when an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제어부 20:증폭기10: control unit 20: amplifier

30:음성 출력 선택부 40:이어마이크 감지부30: Audio output selector 40: Ear microphone detection unit

50:이어마이크 단자 60:음성 입력 선택부50: Ear microphone terminal 60: Audio input selection part

70:이어마이크 100:단말기70: Ear microphone 100: terminal

M3:외부마이크M3: External microphone

Claims (5)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내부 스피커나 이어마이크 단자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 선택부와;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내부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 입력 선택부와;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장치가 외부마이크인지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음성 출력 선택부와 음성 입력 선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A voice output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voice signal input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to an internal speaker or an ear microphone terminal; A voice input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voice signal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or an external microphone input voice signal by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is an external microphone,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and the voice input sel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camcorder of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이크는 회전 가능하고, 외부마이크의 플러그는 이어마이크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The external microphon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microphone is rotatable and the plug of the external microphone is the same as the plug of the ear micro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이크가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면, 상기 음성 출력 선택부는 음성 신호를 내부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입력 선택부는 이어마이크 단자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The voice output selection unit outputs a voice signal to the internal speaker, The voice input selection unit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An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a camcord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이크 플러그에 구비된 마이크 단자와 스피커단자는 단락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마이크의 마이크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과 스피커단자로 출력하는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외부마이크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The microphone terminal and the speaker terminal of the external microphone plug are short-circuited, and the controller compares the phas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terminal of the external microphone with the phase of the signal output to the speaker terminal. If the same, the external microphone device for a camcor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로 이어마이크 또는 외부마이크가 입력되는지 감지하여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로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이어마이크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캠코더용 외부마이크 장치.The camcord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ar microphone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ear microphone or an external microphone is input to the ear microphone terminal, and to output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ontrol unit. External microphone device.
KR1020030094287A 2003-12-20 2003-12-20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622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87A KR20050062266A (en) 2003-12-20 2003-12-20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87A KR20050062266A (en) 2003-12-20 2003-12-20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66A true KR20050062266A (en) 2005-06-23

Family

ID=3725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87A KR20050062266A (en) 2003-12-20 2003-12-20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22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95A (en)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directional micro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WO2021143656A1 (en) * 2020-01-16 2021-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Stereo sound pickup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95A (en)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directional micro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WO2021143656A1 (en) * 2020-01-16 2021-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Stereo sound pickup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3355C2 (en) Volum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RU2666966C2 (en) Audi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504144B1 (en) Method for sensing a position of folder in a rotation touchable phone having a camera
US10051396B2 (en) Automatic microphone switching
KR2018001205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6109460A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nvironmental light sensor
US9769567B2 (en) Audio system and method
CN105187594A (en) Echo canceling method and device
JP2005184841A (en) Swivel-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30068821A (en) A portable telephon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CN108845787A (en)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the storage medium that audio is adjusted
CN105185396A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audio signal
CN105635916A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3310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050062266A (en) Extra microphone apparatus for camcord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7117943U (en) Speaker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388281B2 (en) Adap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terminal, and terminal
CN115623372A (en) Earphone and method for adjusting sound effect of earphone
JP2008271062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JP4121926B2 (en) mobile phone
CN113875213A (en) Sound processing logic connection
JP2008193288A (en) Mobile wireless device and antenna switching method, and program
CN109408025A (en) Audio frequency play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5447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volume of rotate folder type mobile
JP4745617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