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623A -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623A
KR20050061623A KR1020030092804A KR20030092804A KR20050061623A KR 20050061623 A KR20050061623 A KR 20050061623A KR 1020030092804 A KR1020030092804 A KR 1020030092804A KR 20030092804 A KR20030092804 A KR 20030092804A KR 20050061623 A KR20050061623 A KR 20050061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main transformer
predetermined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845B1 (ko
Inventor
한영재
김기환
이장무
이태형
김종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8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05Real-tim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amplifying stage being one or more operational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철도차량 및 도시철도차량에 설치된 주 변압기의 성능시험을 위해 전체적으로 측정장치를 구성할 경우에, 주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신호 측정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기능을 갖는 장치끼리 묶어서 전체적으로 주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함으로써 주 변압기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릴레이로부터의 공급전압 및 접지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소정의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와, 상기 전류/전압 센서를 통한 소정의 출력전류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소정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압레벨로 변환시켜 측정장치로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다수 개의 전류/전압 센서로서 감지한 다수 개의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값을 다수 개의 전류/전압 변환부를 통하여 다수 개의 측정장치로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측정장치에 입력된 신호들은 차량에 별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주 컴퓨터로 보내지므로 주 변압기 성능에 대한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주 변압기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가 있고, 또한 신호잡음(Noise)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기신호들을 얻을 수가 있다. 아울러 다른 전기장치 신호들과의 상호 비교를 통해 다른 장치들이 주 변압기에 주는 영향 또는 주 변압기가 다른 전기장치들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system for main transformer in trai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철도차량 및 도시철도차량에 설치된 주 변압기의 성능시험을 위해 전체적으로 측정장치를 구성할 경우에, 주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신호 측정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기능을 갖는 장치끼리 묶어서 전체적으로 주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함으로써 주 변압기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전장품의 성능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가 있다. 각 전장품의 성능 및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련 기업이나 연구소에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차량에 부착 설치되는 각 주 변압기들은 차량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차량에 부착 설치된 주 변압기(Main Transformer)의 전압 및 전류측정은 전체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완성차 및 본선시운전 시험마다 개별적으로 행하여져 왔기 때문에 차량 전체적인 측면에서 주 변압기의 전압과 전류 변화에 대한 시험결과를 해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주 변압기에 대한 성능시험을 개별적으로 행하여 왔기 때문에, 각각의 시험마다 개별적으로 시험장치를 구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서로 다른 주 변압기의 전압, 전류 등에 대한 시험데이터를 얻기 위해 별도의 시험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그로 인해 설치비용을 상승시키고, 최적화된 측정장치를 구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고속철도차량 및 도시철도차량에 설치된 주 변압기의 성능시험을 위해 전체적으로 측정장치를 구성할 경우에, 주 변압기의 전압 및 전류신호 측정장치를 개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기능을 갖는 장치끼리 묶어서 전체적으로 주 변압기의 전압, 전류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함으로써 주 변압기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릴레이로부터의 공급전압 및 접지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소정의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와, 상기 전류/전압 센서를 통한 소정의 출력전류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소정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압레벨로 변환시켜 측정장치로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직류/직류 변환부는 상기 릴레이로부터 소정의 공급전압과 접지전압을 입력받아 각각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제2 직류/직류 변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전류/전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제2저항과, 상기 제1, 제2저항을 통하여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과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압레벨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와,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이 입력전압과 동일하도록 가변 조정하는 가변저항기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전류/전압 센서로서 감지한 다수 개의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값을 다수 개의 전류/전압 변환부를 통하여 다수 개의 측정장치로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측정장치에 입력된 신호들은 차량에 별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주 컴퓨터로 보내지므로 주 변압기 성능에 대한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신호 측정장치를 구성할 경우에, 주 변압기(10)의 전압 및 전류 센서(3)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단자대(도시 생략됨)를 거쳐 전류/전압 변환부(4)로 입력된 후에 전류신호가 전압신호로 변환 된 후에 측정장치(5)에 전압신호가 입력되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릴레이로부터의 공급전압(72V) 및 접지전압(GND)을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직류 변환부(1)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1)에서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을 공급받아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전압(CT/PT) 센서(3)와, 상기 전류/전압 센서(3)를 통한 소정의 출력전류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1)로부터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압레벨(+5V,-5V)로 변환시켜 측정장치(5)로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2는 트레일러 모터(Trailer Motor) 단자함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직류 변환부(1)에서는 릴레이로부터 공급전압(72V) 및 접지전압(GND)을 입력받아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직류/직류 변환부(1)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은 각각 전류/전압(CT/PT) 센서(3)와 전류/전압 변환부(4)에 입력된다.
이 경우 전류/전압 센서(3)에서는 측정대상인 1차측 전류/전압에 비례하여 2차측에 소정전류를 출력하게 되고, 전류/전압 변환부(4)에서는 전류/전압 센서(3)에서 출력되는 소정전류와, 직류/직류 변환부(1)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압레벨(+5V,-5V)로 변환시켜 측정장치(5)로 입력시킨다.
즉, 릴레이에 공급되는 72V 직류전압을 5V로 변환하여 한가지 신호를 여러 채널에 걸쳐서 변환할 때에 사용할 수가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의 상세 회로 구성 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1에서 직류/직류 변환부(1)와 전류/전압 변환부(4)의 상세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직류/직류 변환부(1)는 릴레이(RY)로부터 소정의 공급전압(72V)와 접지전압(GND)을 입력받아 각각 소정의 직류전압(+24V,-24V)으로 변환시키는 제1, 제2 직류/직류 변환기(1a),(1b)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류/전압 변환부(4)는 전류/전압 센서(3)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제2저항(R11),(R12)과, 상기 제1, 제2저항(R11),(R12)을 통하여 반전(-)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Vi)과 비반전(+)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압레벨(+5V,-5V)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전압이 입력전압과 동일하도록 가변 조정하는 가변저항기(VR1)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R1∼R4는 저항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직류 변환부(1)내의 제1, 제2 직류/직류 변환기(1a),(1b)의 입력단(+IN,-IN)에 각각 릴레이(RY)로부터 소정의 공급전압(72V)와 접지전압(GND)이 입력되면, 제1, 제2 직류/직류 변환기(1a),(1b)를 거쳐 직류/직류 변환되므로 그의 출력단(+Out,-Out)에는 각각 +24V, -24V 로 변환된 직류전압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변환된 +24V, -24V 직류전압은 전류/전압(CT/PT) 센서(3)와 전류/전압 변환부(4)내의 병렬 접속된 저항(R11,R12)의 일단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전류/전압(CT/PT) 센서(3)에서는 측정대상인 1차측(입력측) 전류/전압에 비례하여 2차측(출력측)에 소정전류(Is)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 소정의 출력전류(Is)가 병렬 접속된 저항(R11,R12)을 통해 흐르게 되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에는 입력전압(Vi)이 인가되고, 이 입력전압(Vi)은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과 비교되어 그의 출력단에는 소정 레벨로 강하된 전압(Vo)이 출력된다.
이때 출력전압(Vo)이 입력전압(Vi)과 동일하도록 반전(-)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저항(R4)을 통하여 직렬 접속된 가변저항(VR1)을 미리 가변 조정하며, 입력저항(R11,R12)은 설계 시에 설치할 저항 값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한다.
또한,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출력전압(Vo)은 필요에 따라 5V, 10V, 또는 다른 전압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 장치의 연결 구성 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다수 개의 전류/전압 센서(3)로서 감지한 다수 개의 주 변압기(10)의 전류, 전압값을 다수 개의 전류/전압 변환부(4)를 통하여 다수 개의 측정장치(5)로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측정장치(5)에 입력된 신호들은 차량에 별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주 컴퓨터(Main Computer)(도시 생략됨)로 보내지므로 주 변압기 성능에 대한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다수 개의 주 변압기(10)를 통해 입력된 전류, 전압 측정 신호들은 네트워크 라인(Network Line)을 통하여 연결되며, 주 컴퓨터(Main Computer)에서 전체적으로 동시에 전류, 전압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므로서,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의 성능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및 해석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는, 각각의 주 변압기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가 있고, 또한 신호잡음(Noise)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기신호들을 얻을 수가 있다. 아울러 다른 전기장치 신호들과의 상호 비교를 통해 다른 장치들이 주 변압기에 주는 영향 또는 주 변압기가 다른 전기장치들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의 블록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의 상세 회로 구성 도.
도3은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 장치의 연결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직류/직류 변환부
1a,1b: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3: 전류/전압 센서
4: 전류/전압 변환부
5: 측정장치
10: 주 변압기
R11,R12: 저항
VR1: 가변저항
OP1: 연산증폭기(OP-Amp)

Claims (4)

  1. 릴레이로부터의 공급전압 및 접지전압을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직류 변환부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에서 소정의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을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와,
    상기 전류/전압 센서를 통한 소정의 출력전류와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소정의 직류전압을 입력받아 소정의 전압레벨로 변환시켜 측정장치로 출력하는 전류/전압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는 상기 릴레이로부터 소정의 공급전압과 접지전압을 입력받아 각각 소정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1, 제2 직류/직류 변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부는 상기 전류/전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제2저항과,
    상기 제1, 제2저항을 통하여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과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소정의 전압레벨로 출력하는 연산증폭기와,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전압이 입력전압과 동일하도록 가변 조정하는 가변저항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4. 다수 개의 전류/전압 센서로서 감지한 다수 개의 주 변압기의 전류, 전압값을 다수 개의 전류/전압 변환부를 통하여 다수 개의 측정장치로 입력받아 저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측정장치에 입력된 신호들은 차량에 별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주 컴퓨터로 보내지므로 주 변압기 성능에 대한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KR1020030092804A 2003-12-18 2003-12-18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KR10067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804A KR100672845B1 (ko) 2003-12-18 2003-12-18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804A KR100672845B1 (ko) 2003-12-18 2003-12-18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623A true KR20050061623A (ko) 2005-06-23
KR100672845B1 KR100672845B1 (ko) 2007-01-22

Family

ID=3725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804A KR100672845B1 (ko) 2003-12-18 2003-12-18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64A1 (ko) * 2015-06-16 201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압 릴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전압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555B1 (ko) * 1996-02-12 1999-06-15 이종훈 변압기 고장검출장치
KR100194550B1 (ko) * 1996-11-28 1999-06-15 이종훈 주상변압기 부하관리용 측정장치 및 방법
KR100439646B1 (ko) * 2001-08-28 2004-07-12 주식회사프로컴시스템 휴대용 변압기시험기
KR100533994B1 (ko) * 2002-12-30 2005-1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 차량의 전압 및 전류 검지 시스템
KR100517106B1 (ko) * 2003-10-14 2005-09-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가선전압 및 가선전류에 의한 전기철도차량의 전기 제동력측정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64A1 (ko) * 2015-06-16 201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압 릴레이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전압 측정 시스템
US10365333B2 (en) 2015-06-16 2019-07-30 Lg Chem, Ltd. Transformation relay and battery voltage measurement system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845B1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1414B2 (en) Energy storage cel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methods and related systems
CN107942251B (zh) 电流检测系统、方法和电流检测装置
US9234919B2 (en) Sensor assembly, sensor controller and current-measuring circuit
EP1586910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insulation monitoring
CN101283282B (zh) 电流测量电路和诊断电流测量电路中的故障的方法
CN100549704C (zh) 蓄电池电压与阻抗测量电路
WO2005093773A1 (de) Anordnung mit einer fahrzeug-sicherung und einem analog/digital-wandler
US9714962B2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ine section using a monitoring device
EP3317683B1 (en) Energy storage cel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methods and related systems
WO2005054879A1 (en) Battery cell voltage and impedance measuring circuit
KR100672845B1 (ko) 철도차량의 주 변압기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AU2014204547A1 (en) Identifying defective electrical cables
KR20050061038A (ko) 철도차량의 전력변환장치 전압 및 전류 측정장치
CN208367124U (zh) 车载仪表耐久测试装置
JP4193112B2 (ja) 2端子回路素子測定装置およびコンタクトチェック方法
CN203231800U (zh) 智能模拟式称重传感器
CN113791277A (zh) 绝缘电阻检测装置及叉车
US6798213B2 (en) Circuit analyzer with component testing capability
KR100533994B1 (ko) 철도 차량의 전압 및 전류 검지 시스템
KR100262571B1 (ko) 전자 파워 스티어링 실차 성능 시험장치
CN105224003A (zh) 集成电路
CN109669067A (zh) 多通道高精度电流动态实时检测设备
US20010009365A1 (en)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for a filter
US9797958B2 (en) Monitoring system
US20240154438A1 (en) Asymmetric device for diagnosis, for charging and/or for discharging of electric batteries and conductors for sai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24

Effective date: 200612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