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876A -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876A
KR20050059876A KR1020030091598A KR20030091598A KR20050059876A KR 20050059876 A KR20050059876 A KR 20050059876A KR 1020030091598 A KR1020030091598 A KR 1020030091598A KR 20030091598 A KR20030091598 A KR 20030091598A KR 20050059876 A KR20050059876 A KR 2005005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duct
bent
cabl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장규
Original Assignee
최장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규 filed Critical 최장규
Priority to KR102003009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9876A/en
Publication of KR2005005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87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레이스웨이 시스템, 및 케이블 덕트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덕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purpose ducts that can be used as cable tray systems, raceway systems, and cable duct systems.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 외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다목적 덕트는,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 및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로 이루어진다. Multi-purpose ducts for form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for supporting cables by combining straight sections and other parts are bent in a roughly b-shape to form a fastening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The upper cover is bent in a c-shape as a whole, and the lower main body is bent in an S-shape to correspond 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in the upper cover at both ends of the steel plate, and bent in a c-shape again.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레이스웨이, 및 케이블 덕트로 공용될 수 있는 다목적 덕트 및 그 제조 방법{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레이스웨이 시스템, 및 케이블 덕트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레이스웨이 및 케이블 덕트 시스템으로 겸용가능한 다목적 덕트를 구성하는 상부 덮개와 하부 본체에 각각 체결가능한 체결부를 갖는 것을 다목적 덕트의 구조 및 상기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purpose ducts that can be used as cable tray systems, raceway systems, and cable duct systems.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of a multi-purpose duc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purpose duct having a fastening part that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body, respectively, constituting a multi-purpose duct compatible with cable tray systems, raceways and cable duct system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Cable Tray System : 100)은 금속 케이블 트레이 섹션과 기타 부대 부품, 예를 들어, 스트레이트 섹션(1), 스트레이트 체널 섹션(2), 채널 수평 피팅(3), 수직 엘보(4), 수평 엘보(5), 수평 티(6), 수평 크로스(7), 수평 Y 브랜치(8), 레듀서(9), 조인트 커넥터(10), 채널 커넥터(11), 블랜드 엔드 프레이트(12), 엔드 드롭아웃(13) 등을 하나로 모아 전선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만드는 시스템을 지칭한다.Generally, the cable tray system 100 as shown in FIG. 1A is a metal cable tray section and other accessory parts, such as a straight section (1), a straight channel section (2), and a channel horizontal fitting ( 3), vertical elbow (4), horizontal elbow (5), horizontal tee (6), horizontal cross (7), horizontal Y branch (8), reducer (9), joint connector (10), channel connector (11) ), A blended end plate 12, end dropout 13, etc. are brought together to create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wire cable.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부에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각 층의 전선 케이블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uch a cable tray system 100 is generally installed in suspension on a ceiling of a building,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wire cables and the like on each floor.

도 1a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은 크게 나누어 볼 때,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형로 구현될 수 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형(channel type) 또는 구유형(trough typ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able tray system 100 shown in FIG. 1A may be embodied in a ladder shape as shown in FIG. 1B, and the channel type as shown in FIG. 1C on the other hand. Or by trough typ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b은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스트레이트 섹션(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있어서, 스트레이트 섹션(1)은 두께 1 ∼ 5 mm의 핫 코일 강판(hot coil steel plate), 아연 도금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stainless steel plate)을 롤러 성형기(roller forming machine)에 의해 ㄷ 자형으로 성형한 횡축 지지각관(21)에 종축 지지각관(23)을 용접 등에 의해 접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트레이트 섹션(1)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을 구성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부품 등을 접속 설치된다. 여기서 여러 가지 부품이란 스트레이트 체널 섹션(2), 채널 수평 피팅(3), 수직 엘보(4), 수평 엘보(5), 수평 티(6), 수평 크로스(7), 수평 Y 브랜치(8), 레듀서(9), 조인트 커넥터(10), 채널 커넥터(11), 블랜드 엔드 프레이트(12), 엔드 드롭아웃(13)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인 형태는 스트레이트 섹션과 같은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트레이트 섹션(1)의 끝단부에는 다른 여러 가지 부품과 볼트 너트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구멍(25)이 사전에 형성된다.FIG. 1B shows the basic straight section 1 constituting the ladder cable tray system 100. In Fig. 1A, the straight section 1 is formed by using a roller forming machine to form a hot coil steel plate, a galvanized steel plate, and a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 to 5 mm. The longitudinal axis supporting angle tube 23 is bonded to the horizontal axis supporting angle tube 21 molded by welding by welding or the like. This straight section 1 is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figure the cable tray system 100 as shown in Fig. 1A. The various components here include straight channel sections (2), channel horizontal fittings (3), vertical elbows (4), horizontal elbows (5), horizontal tees (6), horizontal crosses (7), horizontal Y branches (8), It refers to the reducer 9, the joint connector 10, the channel connector 11, the blend end plate 12, the end dropout 13, etc., and the basic shape is formed in a ladder shape such as a straight section. At the end of the straight section 1, a hole 25 is formed in advance for coupling the bolt nut with other components.

도 1c는 구유형 또는 덕트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스트레이트 섹션(1)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유형 또는 덕트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은 사각 박스형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판(33), 본체 각관(31), 클램프(39)를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각관(31)은 도 1e, 도 1g 또는 도 1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35)과 윗날개(37)을 포함하는 스트레이트 체널 섹션(2), 채널 수평 피팅(3), 수직 엘보(4), 수평 엘보(5), 수평 티(6), 수평 크로스(7), 수평 Y 브랜치(8), 레듀서(9), 조인트 커넥터(10), 채널 커넥터(11), 블랜드 엔드 플레이트(12), 엔드 드롭아웃(13) 각각 90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서 형성된다. 본체 각관(31)의 형상은 도 1e , 도 1g, 도 1h와 같은 형태로 각각 성형될 수도 있다. 1C shows a basic straight section 1 constituting a trough or ducted cable tray system 100. Trough or ducted cable tray system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shaped tube, which consists of a top plate 33, the main body tube 31, the clamp 39 as shown in Figure 1c. The body shell 31 has a straight channel section 2, channel horizontal fitting 3, vertical elbow 4, including a side 35 and a top wing 37, as shown in FIG. 1E, 1G or 1H. , Horizontal elbow (5), horizontal tee (6), horizontal cross (7), horizontal Y branch (8), reducer (9), joint connector (10), channel connector (11), blend end plate (12) End dropouts 13 are each formed by bending inwards by 90 °. The shape of the main body tube 31 may be molded in the form of FIG. 1E, FIG. 1G, and FIG. 1H, respectively.

도 1c에 있어서, 상기 본체 각관(31)과 상판(33)의 크기는 서로 접촉시 정확히 일치하는 크기로 제조된다. 상판(33)은 본체 각관(31) 위에 단순히 올려놓은 상태이고, 물리적으로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판(31)과 본체 각관(31)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램프(39)를 사용하여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한다. 클램프(39)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In FIG. 1C, the sizes of the body tube 31 and the top plate 33 are manufactured to exactly match each other upon contact with each other. Since the upper plate 33 is simply placed on the main body tube 31 and is not physically fastened, in order to firmly fix the upper plate 31 and the main body tube 31, a clamp as shown in FIG. 1F is provided. Using 39, it is fixed as shown in FIG. 1B. The clamp 39 is formed in a pair and can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chanism (not shown) such as a bolt nut or the like.

또한, 도 2a는 레이스웨이(케이블 덕트, 이하 단순히 레이스웨이라 칭함) 시스템(200)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이러한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을 기본적으로 구성하는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용 스트레이트 섹션(25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c는 스트레이트 섹션(250)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54)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용 스트레이트 섹션(250)의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A is a schematic view of the entire raceway (cable duc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raceway) system 200, and FIG. 2B illustrates a raceway system (basically constituting such a raceway system 200).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ight section 250 for 200, and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section of the connector 254 for connecting the straight sections 250 and the straight section 250 for the raceway system 200. FIG. to be.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은 대부분 비교적 굵은 동축 케이블 등을 천정부에 보이지 않는 곳에 지지되는 시스템인 반면, 도 2a 건물의 천정부 또는 벽면 등의 보이는 부분에 설치되어 레이스웨이 시스템(200) 내에 비교적 가느다란 전선 등을 포함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위치에 콘센트 박스 또는 조명기구와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cable tray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a system in which a relatively thick coaxial cable or the like is mostly supported at an invisible part of the ceiling, whereas the cable tray system 100 is installed at a visible part such as a ceiling or a wall of the building of FIG. A relatively thin wire, etc. within 200) and, if necessary, may be combined with an outlet box or lighting fixture in a suitable location.

이러한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은 케이블 분기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 정션 박스(junction box : 220), 필요한 위치에 콘센트 박스(outlet box : 230), 소정 위치에 설치된 조명기구(240)과 함께 연결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성한다. The raceway system 200 is connected to a junction box (220), a outlet box (230) at a required position, and a lighting fixture (24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a cable branch or crossing portion. Configure the system.

이러한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은 기본적으로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의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용 스트레이트 섹션(250)으로 이루어진다.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용 스트레이트 섹션(250)은 하부 본체(251), 상부 덮개(251) 및 클램프(254)로 이루어진다. This raceway system 200 basically consists of a straight section 250 for the raceway system 200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2B. The straight section 250 for the raceway system 200 consists of a lower body 251, a top cover 251 and a clamp 254.

도 2b에 있어서, 하부 본체(251)는 강판을 ㄷ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양끝단부(255)를 다시 안쪽으로 구부려서 ㄷ 자형상의 커넥터(253)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끝단부(255)는 ∩ 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고 후술하는 커넥터가 삽입된다. 커버(252)는 하부 본체(251)의 개방부를 덥기 위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In FIG. 2B, the lower main body 251 is formed to be able to insert and fix the c-shaped connector 253 by bending the steel plate in a c-shape and bending both ends 255 inward. Therefore, the end portion 255 is bent in a U-shape and a connector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cover 252 has a shape and size fo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lower body 251.

여기서, 커버(252)를 하부 본체(251) 위에 얹어놓음으로서, 전체적으로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용 스트레이트 섹션(250)은 구유형 또는 사각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본체(251)와 커버(252)를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해서는 띠형상의 클램프를 ㄷ 자 형상으로 접고, 다시 양 끝단부를 약간 내측으로 90도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의 클램프도 사용될 수 있다. Here, by placing the cover 252 on the lower body 251, the straight section 250 for the raceway system 200 as a whole is made of a trough or square tube shape, the lower body 251 and the cover 252 In order to fasten the), the belt-shaped clamp is folded in a c-shape, and both ends are bent inward 90 degrees inwardly. Of course, clamps of the type as shown in FIG. 1F may also be used.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의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 도강판(아연도금된 강판)으로 제조되거나 열연 철판 등으로 제조되어 후에 도금되어진다. The straight sections and parts thereof constituting the cable tray system 100 and the raceway system 200 shown in Figs. 1 and 2 are generally made of a galvanized steel sheet (galvanized steel sheet) to prevent corrosion or the like. It is made of hot rolled iron plate or the like and plated later.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은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tray system 100 and the raceway system 200

첫째로, 상술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레이트 섹션의 구조가 단순하여 불필요한 부품 예를 들어, 클램프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을 요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First, the straight section structure of the above-mentioned system is simple and requires unnecessary parts such as clamps, and many of these parts require a lot of tim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ere is this.

둘째로, 상술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커넥터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구조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서와 같이, 탄성력이 없는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에 시간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Second, since the connector constituting the system is made of a structure having no elastic force, such as in a fastening structure such as a bolt / nut or a raceway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셋째로, 상술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이 날카롭기 때문에 작업자가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시 상처를 입거나 케이블의 피복을 손상시켜 화재를 유발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Third, sinc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system are sharp, there are many problems in which an operator injuries or damages the cable coating d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causing fire.

넷째로, 아연 도강판 또는 열연 강판을 롤러 성형기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외관이 깨끗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도금 등에 의해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Fourth, by forming a zinc coated steel sheet or a hot rolled steel sheet by a roller forming machine, not only the appearance is not clean but also there are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plating or the lik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공용될 수 있는 스트레이트 섹션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 예를 들어, 클램프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straight section that can be shared with the cable tray system 100 and the raceway system described above,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parts, such as clamps, as well as installation and The purpose is to simplify mainten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100)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공용될 수 있는 스트레이트 섹션을 구성하는 덮개 및 하부 본체의 일부분에 탄성력을 갖는 자체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by forming a self-locking portion having elastic force in the cover and a portion of the lower body constituting a straight section that can be shared with the cable tray system 100 and the raceway system described above. To provide one cable tray system and a raceway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인레스 강으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을 제조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도금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을 유발하지 않는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nufactur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ble tray system and the raceway system in stainless steel,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and not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plating or the like. And to provide a raceway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의 손상 및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의 하중강도를 종래의 제품에 비해 1.5배 이상 향상시킨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cable damage and safety accidents of workers, and to provide a cable tray system and a raceway system in which the load strength of the cable tray system and the raceway system is improved by 1.5 times or more compared to conventional products. It is to.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 외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다목적 덕트는, A multi-purpose duct for construct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for supporting a cable by combining a straight section and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 및 An upper cover which is bent in an approximately b-shape to form a fasten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and is bent again in a c-shape as a whole;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로 이루어진다.Both ends of the steel plate is bent in an S shape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in the upper cover, and it is made of a lower body bent in a C shape agai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는, 상기 하부 본체의 바닥 부분의 양쪽면에는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body.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는, 스테인레스 강판, 열연 강판, 또는 아연 도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sheet, a hot rolled steel sheet, or a zinc coated steel shee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 외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다목적 덕트는, A multi-purpose duct for construct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for supporting a cable by combining a straight section and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 An upper cover bent in an approximately b-shape to form a fasten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steel plate, and bent back to a c-shape as a whole;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 및 A lower main body bent in an S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in the upper cover at both ends of the steel plate, and bent in a C shape again;

상단부가 하부 본체의 S 자로 이루어진 상부 체결부의 위쪽 개방 돌기에 걸리고, 전체적으로 하부 본체의 측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중간부가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333)가 하부 본체(310)의 바닥부에 걸리며, 이 하단부(333)가 힘을 받아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하부 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315)에 걸리도록 형성된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end is caught by the upper opening protrusion of the upper fastening part made of the S-shape of the lower main body, and is formed to almost coincide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as a whole, the middl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310, and the lower end 333 is connected to the lower main body ( It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310, and the lower end 333 is made of a connector formed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3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310 even when sliding under the forc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은, Method for producing a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롤러 성형기에 의해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를 제조하는 단계, Manufacturing a top cover which is bent in an approximately b shape to form fasten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by a roller forming machine, and is bent back to a c shape as a whole;

롤러 성형기에 의해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Manufacturing a lower main body bent in an S shape to correspond 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on the upper cover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by a roller forming machine, and then bent in a C shape; and

상단부가 하부 본체의 S 자로 이루어진 상부 체결부의 위쪽 개방 돌기에 걸리고, 전체적으로 하부 본체의 측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중간부가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333)가 하부 본체(310)의 바닥부에 걸리며, 이 하단부(333)가 힘을 받아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하부 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315)에 걸리도록 형성된 커넥터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The upper end is caught by the upper opening protrusion of the upper fastening part made of the S-shape of the lower main body, and is formed to almost coincide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as a whole, the middl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310, and the lower end 333 is connected to the lower main body ( It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310, even if the lower end 333 is slipped under the force is made of a step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formed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3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31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은, Method for producing a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목적 덕트의 스트레트 섹션과 스트레트 섹션을 접속하거나, 스트레트 섹션과 다른 부품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or is used to connect the strat section and the strat section of the multi-purpose duct, or to connect the strat section and other parts.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레이스웨이, 및 케이블 덕트로 공용될 수 있는 다목적 덕트를 구성하는 스트레이트 섹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섹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섹션과 다른 부품들간의 접속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d는 도 3c에 도시한 도면에서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traight section constituting a cable tray, a raceway, and a multi-purpose duct that can be shared by a cabl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basic view of the straight section shown in FIG. 3A.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Figure 3c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raight section shown in Figure 3a and other components, Figure 3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 line AA in the Figure shown in Figure 3c. to be.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섹션(300)은 도 1a 및 도 2a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부품임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기본 부품인 스트레이트 섹션(300)의 구조를 응용하여 여러 가지 부품을 제조하여 케이블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200)을 구성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3A to 3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basic components for constituting the cable tray system and the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shown in FIGS. 1A and 2A. . Therefore, it is well known that the cable system and the raceway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by manufacturing various components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straight section 300 which is a basic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덕트의 기본 구성인 스트레이트 섹션(300)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본체(310) 및 상부 덮개(320)로 이루어져 있다. 스트레이트 섹션(300)의 하부 본체(310)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볼 때,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상부 덮개(320)는 하부 본체(310)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반대방향으로 ㄷ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The straight section 300, which is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lower body 310 and an upper cover 320 as shown in Figure 3a. The lower main body 310 of the straight section 300 is bent in a c-shape, as shown in FIGS. 1b and 2b, and the upper cover 320 is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main body 310. It is bent in a c-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하부 본체(310) 및 상부 덮개(320)은 열연 강판, 아연 도강판, 스테인레스 강판을 롤러 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각 성형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롤러 성형기에서는 기다란 강판을 18∼20단의 성형 롤러에 의해 점진적으로 접혀지므로, 사전에 롤러 성형기의 롤러 금형은 사전에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덮개(320)를 제조하기 위한 롤러 금형 및 하부 본체(310)를 제조하기 위한 롤러 금형 각각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The lower main body 310 and the upper cover 320 each form a hot rolled steel sheet, a galvanized steel sheet, and a stainless steel sheet by a roller molding machine (not shown). It is important here that in a roller forming machine, the elongated steel sheet is gradually folded by the forming roller of 18 to 20 stages, so that the roller mold of the roller forming machine is a roller for manufacturing the upper cover 320 in advance as shown in FIG. 3B. It is well known that each of the roller molds for manufacturing the mold and the lower body 310 should be provided.

하부 본체(310)를 각각 제조하는 경우, 롤러 성형기(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된 열연 강판, 아연 도강판, 또는 스테인레스 강판은 우선 강판의 양쪽 모서리부에 먼저 S자의 윗부분의 원형을 먼저 구부리고, 그 다음 S자의 하단부의 원형을 그 다음으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려서 S자의 체결부(313)을 성형한다. 그 다음 하부 본체(310)의 측면이 형성되며, 그 다음 바닥면이 형성된다. 하부 본체(310)을 형성하는 공정은 18 내지 20 단의 롤러 성형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lower main body 310, the hot rolled steel sheet, the galvanized steel sheet, or the stainless steel sheet inserted into the roller forming machine (not shown) first bend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shape first at both corners of the steel sheet, and The circular shape of the lower end of the S-shape is then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form the S-shaped fastening part 313. The side of the lower body 310 is then formed, followed by the bottom surface. The process of forming the lower body 310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a roller forming machine of 18 to 20 steps.

하부 본체(310)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커넥터(330)의 하단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하중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돌기부(315)가 바닥의 양쪽에 형성된다.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310, protrusions 3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to prevent slippage o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crease load strength.

상부 덮개(320)는 아래 방향의 ㄷ 자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상부 덮개(320)의 측면의 끝단부에는 대략 b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상부 덮개(320)의 체결부(317)가 형성된다. 상부 덮개(320)의 체결부(317)는 하부 본체(310)의 S 자 형상의 체결부(313)의 외측에 약간의 힘을 가함으로써 체결되어 고정된다. The upper cover 320 is bent in a c-shap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end of the side of the upper cover 320 is bent in a substantially b-shaped to form a fastening portion 317 of the upper cover 320. The fastening part 317 of the upper cover 320 is fastened and fixed by applying a slight force to the outside of the S-shaped fastening part 313 of the lower main body 310.

여기서, 상부 덮개(320)의 체결부(317) 및 하부 본체(310)의 S 자 형상의 체결부(313)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 시스템은 도 1a 및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본체에 상부 덮개가 단순히 올려놓은 상태가 아니라 서로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부 덮개와 하부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수단이 불필요하고, 자체적으로 상부 덮개(320)의 체결부(3117)과 하부 본체(310)의 체결부(313)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한 형태의 스트레이트 섹션(300)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은 클램프와 같은 체결 수단은 불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은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설치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Here, it is important that the fastening part 317 of the upper cover 320 and the S-shaped fastening part 313 of the lower main body 310 have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Because the multi-purpose duc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a and 2a, the upper cover is fastened to each other rather than simply placed on the lower body, to secure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body This is because the clamping means is unnecessary, and the fastening part 3117 of the upper cover 320 and the fastening part 313 of the lower main body 310 are fastened and fixed to each other. Thus, when constituted by a straight section 300 of the type shown in Fig. 3a, it can be seen that a fastening means such as a clamp as in the prior art is unnecessary, and the cable tray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or a raceway For systems,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an be dramatically reduced.

이하, 도 3b를 참조하여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트레이트 섹션과 스트레이트 섹션 또는 다른 부품들 간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33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nector 330 for coupling between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straight section or other components used in the cable tray system and the raceway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B.

커넥터(33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330)의 상부(331)는 하부 본체(310)의 체결부(313)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려지고, 측면은 인장 또는 휘어지는 힘에 견딜수 있도록 내측으로 약간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330)의 하부(333)는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부 본체(310)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게 한다. The connector 330 has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The upper portion 331 of the connector 330 is bent in an S-shape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ortion 313 of the lower body 310, the side is preferably slightly bent inward to withstand tension or bending force. The lower portion 333 of the connector 330 is formed in a sawtooth shape so as to be easily fastened to the lower body 310.

이러한 다목적 덕트가 진동이 많은 위치 또는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하부 본체(310)과 커넥터(330)을 스크류 또는 볼트 너트를 사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천공 구멍(3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드릴 또는 다른 천공 수단에 의해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천공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러나, 커넥터와 하부 본체(310)를 동시에 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커넥터의 하부에 천공 구멍을 미리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se multi-purpose ducts form various forms of perforations 335 for the use of screws or bolt nuts for lower body 310 and connector 330 when vibrational locations or need to be more firmly fixed. It is desirable to. In this case, it is easy to drill to the side of the lower body 310 by a drill or other drilling means. However,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drill the connector and the lower main body 310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drilling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in advance.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스트레이트 섹션(300)과 스트레이트 섹션(300)을 연결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와 같은 상부 덮개(320) 및 하부 본체(310)에 체결부(313,317)을 형성한 구조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 피팅, 수직 엘보, 수평 엘보, 수평 티, 수평 크로스, 수평 Y 브랜치, 레듀서, 조인트 커넥터, 채널 커넥터, 블랜드 엔드 프레이트, 엔드 드롭아웃 등을 각각 제조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커넥터(330)을 사용하여 연결 접속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Figure 3c is a view showing a fixed connection between the straight section 300 and the straight section 300 to configure a multi-purpose duc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itting parts 313 and 317 are formed on the upper cover 320 and the lower body 310 as shown in FIG. 3C, and the horizontal fitting, vertical elbow, horizontal elbow, horizontal tee, horizontal cross, and horizontal Y are shown in FIG. 1. By manufacturing branches, reducers, joint connectors, channel connectors, blend end plates, end dropouts, etc., and connecting these parts using connectors 330, cable tray systems and raceway systems can be easily implemented. .

도 3d는 도 3b의 스트레이트 섹션의 접속부를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3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of the straight section of FIG. 3B taken along the line A-A.

도 3d를 참조함으로써, 상부 덮개(320)과 하부 본체(310)의 체결부(313, 317) 및 커넥터(330)의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커넥터(330)의 상단부(331)는 하부 본체(310)의 S 자로 이루어진 상부 체결부(313)의 위쪽 개방 돌기( 319)에 걸리고, 전체적으로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커넥터(330)의 중간부는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333)는 하부 본체(310)의 바닥부에 걸리고 이 하단부(333)이 힘을 받아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하부 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315)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3D, the fastening states of the fastening portions 313 and 317 of the upper cover 320 and the lower main body 310 and the connector 330 can be easily understood. The upper end portion 331 of the connector 330 is caught by the upper opening protrusion 319 of the upper fastening portion 313 made of the S-shape of the lower main body 310, and is formed to almost coincide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310 as a whole.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or 330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lower body 310, the lower end 333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310 and even if the lower end 333 is sliding under the force of the lower body 310 It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3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은 상부 덮개와 하부 본체에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클램프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설치 및 유지 보수시에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able tray system or the raceway system having such a structure does not require a component such as a clamp as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body. Therefore,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ecause the rapid work is performed during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such a cable tray system or raceway system.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열연 강판, 아연 도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등을 롤러 성형기에 삽입하여 강판 양끝단부에 b자 형상의 체결부(317)를 성형하는 단계, Inserting a hot rolled steel sheet, a galvanized steel sheet, a stainless steel sheet, or the like into a roller molding machine to form a b-shaped fastening portion 317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양 끝단부에 대략 b자 형상의 체결부(317)를 형성한 강판을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 상부 덮개를 형성하는 단계, Forming a top cover by bending a steel plate having a b-shaped fastening part 317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n a c-shape,

열연 강판, 아연 도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등을 롤 성형기에 삽입하여 하부 본체 측면의 개방부 양끝단부에 S 자 형상의 체결부(313)를 성형하는 단계,Inserting a hot rolled steel sheet, a galvanized steel sheet, a stainless steel sheet, or the like into a roll forming machine to form an S-shaped fastening portion 313 at both ends of the opening of the lower body side;

양 끝단부에 대략 S 자 형상의 체결부(313)를 형성한 강판을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 하부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Bending the steel plate having the approximately S-shaped fastening portion 313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n a c-shape to form a lower main body, and

상기 하부 본체 및 상부 덮개를 각각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cutting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cover into predetermined length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스트레이트 섹션을 구성하는 하부 본체와 상부 덮개에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 예를 들어, 클램프와 같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When configur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using the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fastening portion in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cover constituting the straight section, unnecessary parts, for example, parts such as clamps Not only is it necessary, it is also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또한, 스트레이트 섹션을 구성하는 덮개 및 하부 본체의 일부분에 탄성력을 갖는 자체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onfigur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using the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d maintain the cover and the self-fastening portion having elastic force in a portion of the lower body, which constitutes a straight section. Easy cable tray system and raceway system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을 제조함으로써, 제품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도금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등을 유발하지 않는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nfiguring the cable tray system or the raceway using the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ble tray system and the raceway system in stainless steel, not only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ble tray system and a raceway system that does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plating or the like.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테이블 덕트 시스템)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스트레이트 섹션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테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 예를 들어, 스트레이트 체널 섹션(2), 채널 수평 피팅(3), 수직 엘보(4), 수평 엘보(5), 수평 티(6), 수평 크로스(7), 수평 Y 브랜치(8), 레듀서(9), 조인트 커넥터(10), 채널 커넥터(11), 블랜드 엔드 프레이트(12), 엔드 드롭아웃(13) 등에 적용됨을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traight section commonly used in the cable tray system or the raceway system (table duct system)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cable tray system or the raceway system (table duct) System), for example, straight channel section (2), channel horizontal fitting (3), vertical elbow (4), horizontal elbow (5), horizontal tee (6), horizontal cross (7), horizontal Y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it is applied to the branch 8, reducer 9, joint connector 10, channel connector 11, blend end plate 12, end dropout 13 and the like.

도 1a는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1A is a diagram showing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a cable tray system;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다리 형상의 FIG. 1B is a ladder shape constituting the cable tray system shown in FIG. 1A

스트레이트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aight section,

도 1c는 도 1a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다른 형태로 구현하는 홈통(trough) 또는 구유형의 스트레이트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FIG. 1C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ough or trough straight section for implementing the cable tray system shown in FIG. 1A in another form; FIG.

도 1d는 도 1c에 도시한 구유형의 스트레이트 섹션에 사용되는 상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FIG. 1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used for the trough straight section shown in FIG. 1C;

도 1e는 도 1c에 도시한 구유형의 스트레이트 섹션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하부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1E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various types of lower bodies used in the trough straight section shown in FIG. 1C;

도 1f는 도 1c에 도시한 구유형의 스트레이트 섹션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1f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for fixing the trough straight section shown in Figure 1c,

도 2a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the raceway system,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레이스웨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트레이트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aight section constituting the raceway system shown in Figure 2a,

도 2c는 도 2b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섹션을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aight section shown in FIG. 2B taken along the line B-B;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덕트를 구성하는 스트레이트 섹션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aight section constituting the multipurpos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다목적 덕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Figure 3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multi-purpose duct shown in Figure 3a,

도 3c는 도 3a에 도시한 다목적 덕트의 스트레이트 섹션들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3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vely showing a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he straight sections of the multipurpose duct shown in FIG. 3A;

도 3d는 도 3c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섹션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3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aight section illustrated in FIG. 3C taken along the line A-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200 : 레이스웨이 시스템100: cable tray system 200: raceway system

300 : 다목적 덕트 313 : 하부 본체의 체결부300: multi-purpose duct 313: fastening portion of the lower body

315 : 하부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315: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317 : 상부 덮개의 체결부 310: 하부 본체317: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310: lower body

320 : 상부 덮개 330 : 커넥터 320: top cover 330: connector

Claims (9)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 외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다목적 덕트에 있어서, In a multi-purpose duct for form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for supporting a cable by combining a straight section and other parts,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 및 An upper cover which is bent in an approximately b-shape to form a fasten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and is bent again in a c-shape as a whole;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Lower body bent in an S shape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on the upper cover at both ends of the steel plate, and then bent in a C shape.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 Multipurpose duc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바닥 부분의 양쪽면에는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 2. The multipurpose duct of claim 1, wherein convex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lower body. 상기 다목적 덕트가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 Wherein said multipurpose duct is made of stainless steel. 상기 다목적 덕트가 열연 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 The multi-purpos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purpose duct is made of a hot rolled steel sheet. 상기 다목적 덕트가 아연 도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 The multi-purpose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purpose duct is made of a galvanized steel sheet.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 외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다목적 덕트에 있어서, In a multi-purpose duct for form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for supporting a cable by combining a straight section and other parts,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 An upper cover bent in an approximately b-shape to form a fasten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steel plate, and bent back to a c-shape as a whole;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 및 A lower main body bent in an S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in the upper cover at both ends of the steel plate, and bent in a C shape again; 상단부가 하부 본체의 S 자로 이루어진 상부 체결부의 위쪽 개방 돌기에 걸리고, 전체적으로 하부 본체의 측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중간부가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333)가 하부 본체(310)의 바닥부에 걸리며, 이 하단부(333)가 힘을 받아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하부 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315)에 걸리도록 형성된 커넥터 The upper end is caught by the upper opening protrusion of the upper fastening part made of the S-shape of the lower main body, and is formed to almost coincide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as a whole. The connecto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310, the connector formed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3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310 even when the lower end 333 is sliding under the force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 Multipurpose duc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스트레이트 섹션 및 그 외의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또는 레이스웨이 시스템(케이블 덕트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purpose duct for forming a cable tray system or a raceway system (cable duct system) for supporting a cable by combining a straight section and other parts, 롤러 성형기에 의해 강판의 양단부에 체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b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이를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다시 구부려진 상부 덮개를 제조하는 단계, Manufacturing a top cover which is bent in an approximately b shape to form fasten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by a roller forming machine, and is bent back to a c shape as a whole; 롤러 성형기에 의해 강판의 양단부에 상기 상부 덮개에 형성된 상부 덮개의 체결부에 대응하도록 S 자 형상으로 구부리고, 다시 이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하부 본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Manufacturing a lower main body bent in an S shape to correspond 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upper cover formed on the upper cover at both ends of the steel sheet by a roller forming machine, and then bent in a C shape; and 상단부가 하부 본체의 S 자로 이루어진 상부 체결부의 위쪽 개방 돌기에 걸리고, 전체적으로 하부 본체의 측면에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중간부가 하부 본체(310)의 측면에 접촉되고, 하단부(333)가 하부 본체(310)의 바닥부에 걸리며, 이 하단부(333)가 힘을 받아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하부 본체(3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돌출부(315)에 걸리도록 형성된 커넥터를 제조하는 단계 The upper end is caught by the upper opening protrusion of the upper fastening part made of the S-shape of the lower main body, and is formed to almost coincide with th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as a whole. Manufacturing a connector which is caught on the bottom of the 310 and is caught on the protrusion 3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310 even when the lower end 333 slides under the force.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multi-purpose duc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목적 덕트의 스트레트 섹션과 스트레트 섹션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nector connects the strut section and the strut section of the multipurpose duc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목적 덕트의 스트레트 섹션과 다른 부품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덕트의 제조 방법. 8. A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nnector is used to connect the strut section of the multipurpose duct to another part.
KR1020030091598A 2003-12-15 2003-12-15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500598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98A KR20050059876A (en) 2003-12-15 2003-12-15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98A KR20050059876A (en) 2003-12-15 2003-12-15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876A true KR20050059876A (en) 2005-06-21

Family

ID=3725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598A KR20050059876A (en) 2003-12-15 2003-12-15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987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26Y1 (en) * 2008-10-29 2011-04-27 지이테크 주식회사 Cable tray
KR101509714B1 (en) * 2014-10-30 2015-04-07 신동균 Prefabricated Cable Duct
KR20230000702U (en) 2021-09-30 2023-04-06 정철호 Variable 4way raceway having dual-channel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26Y1 (en) * 2008-10-29 2011-04-27 지이테크 주식회사 Cable tray
KR101509714B1 (en) * 2014-10-30 2015-04-07 신동균 Prefabricated Cable Duct
KR20230000702U (en) 2021-09-30 2023-04-06 정철호 Variable 4way raceway having dual-channel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598B2 (en) Pipe hanger
US9683590B2 (en) Strut system and strut fitting therefor
WO2006137637A1 (en) Multipurpose color duct made by aluminium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duct
US20130075152A1 (en) Photo-voltaic (pv) wire management system or pv conduit
US6559378B1 (en) Reducer fitting for routing system
TW200300200A (en) Mounting body for attachment to bolt body and nut body
NZ245193A (en) U-shaped bracket base fitted in end of a tubular member and bracket arms clamped to opposite grooved sides of adjoining frame member
KR20050059876A (en) Multipurpose duct to be usable as cable tray, raceway and cable 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5422991A (en) Water pipe clamp and injection mold used for manufacturing water pipe clamp
CN210218926U (en) Adjustable electromechanical pipeline installation&#39;s a gallows device of synthesizing
EP2156083B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JPH11287012A (en) Vertical bolt interlocking bearing device
KR101966590B1 (en) Cable tray production method formed with fold
CN201802016U (en) Railing assembled by connecting components
WO2013043599A2 (en) Pv conduit solar wire management system
KR101182635B1 (en) A side rail connecter of cable tray
JP4241519B2 (en) Rotating bird protection device for overhead cables
JP3471926B2 (en) Connection tool for bathtub fitting
CN216840411U (en) Exposed pipeline type skirting line
GB2536971A (en) A coupling device for use in connecting trunking sections
JPH11315613A (en) Vertical bolt engaging-fitting support
JPH1096486A (en) Pipe fitting used in light partition wall
JP2699290B2 (en) Core material for system desk
CN220768571U (en) Tubular furred ceiling decorative structure wears
KR20170087422A (en) Side panel of cable tra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