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819A -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819A
KR20050058819A KR1020030090800A KR20030090800A KR20050058819A KR 20050058819 A KR20050058819 A KR 20050058819A KR 1020030090800 A KR1020030090800 A KR 1020030090800A KR 20030090800 A KR20030090800 A KR 20030090800A KR 20050058819 A KR20050058819 A KR 2005005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ode
memor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95629B1 (en
Inventor
허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629B1/en
Publication of KR2005005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8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6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개인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범용 직렬 통신(USB)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USB 포트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포함된 USB 포트 역시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므로 PC용으로 사용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USB 메모리 장치를 개발한다 할지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PC용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부피가 큰 표준 USB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원으로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USB 포트와, PC측과 연결하기 위한 표준 USB 인터페이스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4단자 이어잭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와,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내부 USB 포트가 4단자 이어잭 소켓에 연결되며, 이 중 한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를 용이하게 확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PC와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wherein a USB port included in a general-purpose serial communication (USB) memory device applied to a personal computer operates in a slave mode. The internal USB port also operates in slave mode, so the USB memory device used for the PC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even if a dedicated USB memory device is developed for the mobile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add a bulky standard USB interface to connect a USB memory devic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for allowing a user to manually select a power source, a USB port in which one of a master mode and a slave mode is selected as a power source selected by the switch operation, and a standard for connecting to a PC side. A dual mode USB memory device including a dedicated USB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four terminal ear jack of a mobile terminal with a USB interface, and an internal USB port is connected to the four terminal ear jack socket to enable connection with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By providing a mobile terminal that supplies power to one of the terminals, the memory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expand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shared with other mobile terminals or a PC. have.

Description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범용 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칭함)와 이동통신 단말기 모두에 적용가능하도록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를 선택 지원하는 USB 포트 및 종류별 연결 인터페이스를 가진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와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al computer) support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mode USB memory device having a USB port and a type-specific connection interface that supports selection of a master mode and a slave mode to be applicable to bo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장이 확대 되었으며, 그에 따라 더 많은 기능들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As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en generalized, the marke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en expanded.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more functions has been rapidly achieved.

특히 높은 성능의 제어기, 많은 용량의 메모리, 화려한 표시부등은 이미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이들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개인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 및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수 많은 정보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인용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In particular, high-performance controllers, large memory capacity, and colorful displays have become basic conditions for general mobile terminals. By using them, a large amount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various multimedia data can be generated and reproduced. Therefore, in order to store and manage such a large number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communication is gradually increased by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personal computer.

최근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많은 데이터를 외부의 데이터 처리 장치(예를 들어, PC)와 보다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를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Recently rel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pport Universal Serial Bus (USB), which can transmit and receive a lot of data more quickly with an external data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a PC).

이러한 PC와의 연결을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데이터를 이동시켜 정리할 수 있지만, 최근에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사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 만으로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사용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The internal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moved and organize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PC. However, due to the use of large-capacity multimedia data,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the memory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made it difficult to use such multimedia data. .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메모리 매체(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저장용 매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메모리 소자를 착탈하면서 사용하는 방법과, PC와 연결하여 내부 정보를 자주 비우는 방법 뿐이며, 다양한 데이터를 제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모두 저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The only way to overcome this is to use the memory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upports a memory medium (various types of multimedia storage media) while detaching the memory device and to frequently empty internal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PC. It is not possible to store them all in the memo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하지만, 이러한 메모리 매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물리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메모리 매체의 착탈 소켓 장착에 따른 부피 증가로 인해 실용성이 낮으며, 개인용 컴퓨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매체 리더(reader)가 필요하므로 정보의 교환이나 공유를 위해서 사용하기 불편하여 이러한 단순 메모리 증가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PC와 연결하여 내부 정보를 교환하면서 필요한 정보 만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USB 통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PC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연결해 주는 유선 케이블이 필요하며, 그 부피는 상당히 크다. 따라서, 휴대가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관리한다고 하더라도 항상 작은 크기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해 부피가 큰 노트북 컴퓨터와 연결 케이블을 휴대하기 어려우므로 실효성이 낮은 메모리 관리법이다. 따라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한된 메모리 공간 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확장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어렵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such a memory medium has low practicality due to the increase in volume due to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a memory medium which must be physically configured, and requires a separate media reader to be applied to a personal computer. It is inconvenient to use for exchanging or sharing the memory, so it is rarely used as part of this simple memory increase. Therefore, a commonly used method uses a method of connecting only with a PC to exchange internal information and storing only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connect a mobile terminal and a PC through such USB communication, a wired cable connecting them is required, and its volume is quite large. Therefore, even when a portable notebook computer is used to manage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ifficult to carry a bulky notebook computer and a connection cable for a small siz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urrently uses only limited memory space, and it is difficult to expand and store more data.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고 싶은 경우 멀티미디어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개인용 컴퓨터를 중간 매체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하거나 장소의 제약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ired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generated or the location is severely restricted because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or a personal computer should be used as an intermediate medium.

PC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고 편리한 저장매체로서 USB 메모리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PC에 내장된 USB 포트와 연결하여 내장된 대용량 메모리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PC에서는 상기 USB 메모리 장치가 USB 포트에 연결되면 이를 실시간 인식하여 하나의 독립된 저장 공간(하드 디스크로 인식)으로 간주하게 된다. 즉, PC가 수시로 해당 USB 메모리에 억세스하면서 내부 정보를 이용하고, 필요한 경우 정보를 기록 및 삭제할 수 있다. The PC uses a USB memory device as a simple and convenient storage medium to solve this problem, which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built into the PC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built-in mass memory. When the USB memory device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the PC recognizes it in real time and regards it as one independent storage space (recognized as a hard disk). That is, a PC can access internal USB memory from time to time, use internal information, and record and delete information if necessary.

따라서, 상기 USB 메모리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다른 PC에 장착하면 해당 PC에서도 기록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피가 크고 길이가 긴 통신 케이블이나 부피가 크고 취급이 어려우며 용량이 작은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PC들 간에 정보를 쉽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 없으며, PC의 전원을 조작해야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Therefore, if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USB memory and mounted in another PC, the recorded information can be used in the corresponding PC. This makes it easy to transfer information between PCs without the need for bulky, long communication cables, bulky, difficult-to-handle, and small floppy disks.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hardware for this purpose, and there is no need to operate a PC power supply, and its use is gradually increasing.

도 1은 종래 PC용 USB 메모리 장치와 PC 사이의 연결 및 정보 교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간단한 접속 방식을 보면, PC측 USB 인터페이스(13)에 대응하는 USB 인터페이스(23)를 가진 USB 메모리 장치(20)를 상기 PC측 USB 인터페이스(13)에 연결하면, PC측 USB 포트(15)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 장치(20)의 USB 포트(25)와 통신을 시작하고, 이를 통해 상기 메모리(27)를 PC(10)가 억세스 할 수 있게 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method between a conventional USB memory device for a PC and a PC. In the simple connection method, when the USB memory device 20 having the USB interface 23 corresponding to the PC-side USB interface 13 is connected to the PC-side USB interface 13, the PC-side USB port 15 This is detected and communication with the USB port 25 of the memory device 20 is started, thereby allowing the PC 10 to access the memory 27.

상기 PC(10)의 USB 포트(15)에 관련된 구성을 보면,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핀들(D+, D-)에 약한 풀다운 저항들(R1, R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연결이 없는 경우 상기 PC측 USB 포트(15)의 데이터 핀들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항상 접지 전위가 된다. In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USB port 15 of the PC 10, weak pull-down resistors R1 and R2 are connected to the data input / output pins D + and D- for data communication, respectively. Thus, when there is no external connection,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data pins of the PC side USB port 15 is always at ground potential.

상기 USB 메모리 장치(20)의 경우 USB 포트(25)에 관련된 구성을 보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Vcc)에 의해 입출력 핀들 중 하나(D+)가 풀업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출업 저항(R3)은 PC측에 사용된 풀다운 저항에 비해 작은 저항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USB 메모리 장치(20)가 PC(10)에 연결되는 경우, PC측 USB 포트(15)의 D+단자는 접지 전위에서 Vcc 전위로 상승하게 되며, 이를 인지한 USB 포트(15)가 외부 USB 장치의 연결 여부를 알게 되어 그에 따른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B memory device 20,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USB port 25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of the input / output pins D + is pulled up by a power supply Vcc applied from the outside. Since the start-up resistor R3 has a smaller resistance than the pull-down resistor used on the PC side, when the USB memory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PC 10, the D + terminal of the USB port 15 of the PC side is connected. The voltage rises from the ground potential to the Vcc potential, and the USB port 15 that recognizes this may recognize whether the external USB device is connected and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ly.

여기서, 한가지 주목해야 하는 점은 USB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은 항상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별되어 사용된다는 점이다. 즉, 마스터에서 슬레이브 USB 장치의 연결을 인식한 후 슬레이브 USB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PC측에서 제공하는 USB 포트(15)는 마스터로 동작하며, 상기 PC측 USB 포트(15)와 연결되는 외부 USB 장치들은 모두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한다. 따라서, 상기 USB 메모리 장치(20)의 USB 포트(25)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물리적인 전원 변경을 통해 슬레이브 모드의 USB 장치가 연결되었음을 상기 PC측 USB 포트(15)에 알리는 것이다. One thing to note here is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 used for USB communication is always used as a master and a slave. In other words, the master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slave USB device and then controls the slave USB device. In general, the USB port 15 provided by the PC side operates as a master, and all external USB devices connected to the PC side USB port 15 operate in slave mode. Therefore, since the USB port 25 of the USB memory device 20 operates in the slave mode, it notifies the PC side USB port 15 that the slave device USB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physical power change as described above. will be.

작고 용량이 큰 PC용 USB 메모리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면 PC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쉬워지고, 불편한 케이블의 사용을 피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확장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겠지만, 불행히도 현재 사용되는 PC용 USB 메모리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없다. If a small and large USB memory device for a PC can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data exchange between the PC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performed, avoiding the use of inconvenient cables, and greatly improving the internal memory expand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Unfortunately, currently used USB memory devices for PCs cannot be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그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PC의 USB 포트와 연결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포트 또한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즉,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USB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 USB 통신은 불가능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USB 메모리 장치를 직접 연결할 수 없다.The reason is that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designed to be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PC, the USB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operates in slave mode. That is, when the USB devices operating in the slave mode are interconnected, USB communication is impossible, and thu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B memory device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USB 메모리 장치와 직접 연결 가능한 USB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는 것은 크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자인 추세에 비추어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USB 메모리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a USB interface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USB memory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burden due to the design tren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strives to reduce its size. Not don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개인용 컴퓨터에 적용되는 범용 직렬 통신(USB)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USB 포트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포함된 USB 포트 역시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므로 PC용으로 사용되는 USB 메모리 장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USB 메모리 장치를 개발한다 할지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PC용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부피가 큰 표준 USB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USB port included in the universal serial communication (USB) memory device applied to a conventional personal computer operates in the slave mode, and the USB port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operates in the slave mode. USB memory devices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and even if a USB memory device for mobile terminals is developed, an additional bulky standard USB interface is provided for connecting a USB memory device for a PC to the mobile terminal.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do.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원으로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USB 포트와, PC측과 연결하기 위한 표준 USB 인터페이스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4단자 이어잭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내부 USB 포트가 4단자 이어잭 소켓에 연결되며, 이 중 하나의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를 용이하게 확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PC와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for allowing a user to manually select a power source and a USB port in which one of a master mode and a slave mode is selected as a power source selected by the switch operation, and for connecting to a PC side. Provides a dual-mode USB memory device including a USB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four-terminal ear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ong with a standard USB interface, and has an internal USB port connected to the four terminal to enable connection with the dual-mode USB memory device. It is connected to a jack socket and provides a mobile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one of the terminals, thereby easily expanding the memory of the mobile terminal and easily sharing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PC. To provide a serial bus memory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It is an obje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표준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와; 상기 표준 USB 인터페이스와 전원 인가 경로가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4단자 이어잭 USB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USB 인터페이스들의 외부 전원 인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외부 전원에 의해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중모드 USB 포트와; 상기 이중모드 USB 포트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tandard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A four-terminal ear jack USB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wer supply path from the standard USB interface;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paths of the USB interfaces by a user's selection; A dual mode USB port in which one of a master mode and a slave mode is selec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selected by the switch; And a memory connected to the dual mode USB port.

또한,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며 외부 신호에 의해 외부 장치의 연결을 인식하는 USB 포트와; 내부 전원, 상기 USB 포트로부터 제공되는 한쌍의 데이터 신호선, 그리고 접지가 연결된 4단자 이어잭 소켓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port for operating in the slave mode and recognizes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by an external signal; And an internal power supply, a pair of data signal lines provided from the USB port, and a four-terminal ear jack socket USB interface to which ground is connec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외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연결 대상에 따라 별도로 제공되고 있다. Figure 2 shows the external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interface for connection is provi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arget.

즉, 개인용 컴퓨터(PC)등과 같은 표준 USB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외부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표준 USB 인터페이스(32)와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4단자 이어잭 USB 인터페이스(33)가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연결 대상을 지정할 수 있는 스위치(31)가 부가되어 있다. That is, a standard USB interface 32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that provides a standard USB connection interfa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nd the four-terminal ear jack USB interface 33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wly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Each is composed separately. Then, the switch 31 is protrud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specify the connection target.

상기 스위치(31)를 이용하여 연결한 대상을 지정하고, 대응하는 인터페이스(32, 33)를 이용하여 PC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이어잭 단자를 통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장착할 필요가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nnected object is designated using the switch 31 and connected to a PC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orresponding interface 32 or 33. In particular, since the physical interfac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ear jack terminal already 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n additional interface, s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방식을 보이는 개념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의 구성과, 상기 구성과 연결되는 개인용 컴퓨터(10)의 USB 통신부 구성 및 이동통신 단말기(40)의 USB 통신부 구성을 보이고 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ual-mode USB memory device 3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USB communication unit of the personal computer 10 connected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a USB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먼저,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의 구성을 보면, 각각 연결 대상이 다른 USB 인터페이스(32, 33)를 구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 각 USB 인터페이스들(32, 33)의 통신 단자들(D+, D-)과 접지들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인터페이스들(32, 33)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전원들(Vcc) 중 하나가 스위치(31)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31) 전환은 인가되는 전원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Firs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dual-mode USB memory device 30,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target is provided with different USB interfaces (32, 33), respectively. The communication terminals D + and D- of the USB interfaces 32 and 33 and the grounds are connected in common, and o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s Vcc provided through each of the interfaces 32 and 33 is connected. It can be seen that it is selected by the switch 31. That is, switching of the switch 31 by the user selects the path of the applied power.

먼저, 표준 USB 포트(3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선택되는 경우를 보면 해당 전원은 이중모드 USB 포트(35)의 D+ 단자를 풀업함과 동시에 슬레이브 선택(Slave Enable:SE) 단자를 활성화 시켜 상기 이중모드 USB포트(35)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First, when the power provided from the standard USB port 32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power pulls up the D + terminal of the dual mode USB port 35 and simultaneously activates the slave enable (SE) terminal. Mode Allows the USB port 35 to operate in slave mode.

만일,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의 스위치를 PC쪽으로 맞추어 전원 경로를 위와 같이 설정한 후 PC(10)측 인터페이스(13)에 연결하면,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는 상기 PC(10)의 전원(17)을 통해 제공되는 외부 인가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D+ 단자의 풀업에 의해 연결이 실시됨과 동시에, 마스터로 동작하며 풀다운 저항(R2)에 의해 접지 전위가 인가되고 있던 PC측 USB 포트(15) D+ 단자에 Vcc 전위를 제공하여 연결 상태를 PC측 USB 포트(15)가 인식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는 PC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If the switch of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is set toward the PC and the power path is set as described above, and then connected to the PC 10 side interface 13,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is connected to the PC. It is operated by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ource provided through the power source 17 of (10). In addition, the connection is performed by the pull-up of the D +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a Vcc potential is provided to the D + terminal of the PC-side USB port 15, which is operated as a master and the ground potential is applied by the pull-down resistor R2. The PC side USB port 15 is recognized. Through this,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can be used for a PC.

만일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1)를 전환하여 인가되는 전원의 경로를 이동통신 단말기용 4단자 인터페이스(33)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과 연결하면, 상기 전원은 전체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의 전원으로 사용되면서 상기 이중모드 USB포트(35)의 마스터 선택(Master Enable:ME) 단자를 활성화 시켜 상기 이중모드 USB포트(35)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표준적으로 마스터로 동작하는 USB 포트에서 슬레이브로 동작하는 USB 포트에 전원을 제공해야 하지만, 이 경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오히려 받아들여 이를 전원으로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를 동작시킨다는데 주의한다.If the user switches the switch 31 and connects the path of the applied power with the power provided through the four-terminal interface 33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wer is the power of the entire dual-mode USB memory device 30. The dual mode USB port 35 operates in the master mode by activating a master enable (ME) terminal of the dual mode USB port 35 while being used as a. In general, power should be supplied from a USB port acting as a master to a USB port acting as a slave. However, in this case,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is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 careful.

이를 위해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이어잭 소켓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4단자 이어잭 소켓 USB 인터페이스(43)로 변경해야 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해 사용되는 4단자 이어잭 소켓에는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전원(47), 단말기측 USB 포트(45)로부터 제공되는 한쌍의 데이터 신호선(D+, D-), 그리고 접지가 연결된다. To this end, the ear jack socke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should be changed to the four-terminal ear jack socket USB interface 43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interface with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The four-terminal ear jack socket used for the USB interface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4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a pair of data signal lines D + and D- provided from the terminal-side USB port 45, and a ground. do.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의 스위치(31)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선택하는 쪽으로 전환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4단자 이어잭 소켓 USB 인터페이스(43)와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의 4단자 이어잭 USB 인터페이스(33)를 연결하면 상기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는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전원으로 구동되면서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0)의 USB 포트(45)는 이를 알 수 없으므로 상기 이중모드 USB 포트(35)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40)에 기 약속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40)가 상기 데이터를 확인하여 현재 연결된 장치가 이중모드 USB 메모리 장치(30)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After switching the switch 31 of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to sel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our-terminal ear jack socket USB interface 43 and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selected. When the four-terminal ear jack USB interface 33 is connected,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is operated in the master mode while being driven by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Since the USB port 45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does not know this, the dual mode USB port 35 transmits the predetermined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when receiving the master mode, and receives the received data.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may check the data to confirm that the currently connected device is the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전원으로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USB 포트와, PC측과 연결하기 위한 표준 USB 인터페이스와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4단자 이어잭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USB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USB 메모리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내부 USB 포트가 4단자 이어잭 소켓에 연결되며, 이 중 한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를 용이하게 확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PC와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al-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include a switch for selecting a power source manually applied by a user and a power source selected by the switch operation. Provides a USB memory device including a selected USB port, a standard USB interface for connecting to the PC side, and a dedicated USB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4-terminal ear j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be connected to the USB memory device. The internal USB port is connected to a four-terminal ear jack socket to easily expand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oviding a mobile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one of the terminals, and th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mobile terminal.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share with me.

도 1은 종래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범용 직렬 버스(USB) 메모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 방식을 보이는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general-purpose serial bus (USB) memory device connected to a conventional personal computer.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외부 구성도.Figure 2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방식을 보이는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개인용 컴퓨터(PC) 13: PC측 USB 인터페이스10: Personal computer (PC) 13: PC side USB interface

15: PC측 USB 포트 17: PC측 전원15: PC side USB port 17: PC side power supply

30: 이중모드 USB 메모리장치 31: 선택 스위치30: Dual mode USB memory device 31: Selection switch

32: PC용 USB 인터페이스 33: 4단자 이어잭 USB 인터페이스32: USB interface for PC 33: 4-terminal ear jack USB interface

35: 이중모드 USB 포트 37: 메모리35: dual mode USB port 37: memory

40: 이동통신 단말기 43: 4단자 이어잭 소켓 USB 인터페이스4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3: 4-terminal ear jack socket USB interface

45: 단말기측 USB 포트 47: 단말기 전원45: terminal side USB port 47: terminal power

Claims (4)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표준 범용 직렬 버스(USB) 인터페이스와; 상기 표준 USB 인터페이스와 전원 인가 경로가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4단자 이어잭 USB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USB 인터페이스들의 외부 전원 인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외부 전원에 의해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이중모드 USB 포트와; 상기 이중모드 USB 포트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A standard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to connect with a personal computer; A four-terminal ear jack USB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wer supply path from the standard USB interface; A switch for selecting one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paths of the USB interfaces by a user's selection; A dual mode USB port in which one of a master mode and a slave mode is selec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selected by the switch; And a memory coupled to the dual mode USB po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표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이중모드 USB 포트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외부 전원에 의해 데이터 단자 중 하나가 풀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The dual mode USB port operates in a slave mode when the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the standard USB interface is selected by the switch, and one of the data terminals is pulled up by the external power supply. Dual-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전용 4단자 이어잭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전원이 선택되는 경우 연결을 통해 인가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에 의해 상기 이중모드 USB 포트는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연결 사실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The dual mode USB port of claim 1, wherein the dual mode USB port is powered by a pow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hrough a connection when the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a dedicated 4-terminal ear jack USB interface is selected by the switch. The dual-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notify the connection b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며 외부 신호에 의해 외부 장치의 연결을 인식하는 USB 포트와; 내부 전원, 상기 USB 포트로부터 제공되는 한쌍의 데이터 신호선, 그리고 접지가 연결된 4단자 이어잭 소켓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모드 범용 직렬 버스 메모리 장치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USB port operating in a slave mode and recognizing a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by an external signal; And a four-terminal ear jack socket USB interface connected to an internal power source, a pair of data signal lines provided from the USB port, and a ground.
KR1020030090800A 2003-12-12 2003-12-12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100595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800A KR100595629B1 (en) 2003-12-12 2003-12-12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800A KR100595629B1 (en) 2003-12-12 2003-12-12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819A true KR20050058819A (en) 2005-06-17
KR100595629B1 KR100595629B1 (en) 2006-06-30

Family

ID=3725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800A KR100595629B1 (en) 2003-12-12 2003-12-12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62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787A (en)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phone had a fuction of usb host/slave at the same body
CN106210949A (en) * 2016-06-29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The mode switching method of a kind of earphone and mode-changeover device
CN114356060A (en) * 2020-10-14 2022-04-15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Master-slave interchange type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ho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26412A (en) * 2009-08-10 2010-01-13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Mobile terminal circuit with multifunctional earphone socket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787A (en) * 2004-02-20 2005-08-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phone had a fuction of usb host/slave at the same body
CN106210949A (en) * 2016-06-29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The mode switching method of a kind of earphone and mode-changeover device
CN114356060A (en) * 2020-10-14 2022-04-15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Master-slave interchange type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host
CN114356060B (en) * 2020-10-14 2024-02-23 全汉企业股份有限公司 Master-slave exchange type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h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629B1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662B2 (en) Memory drive having multi-conn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069880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functions of a powered-off device via a serial data bus interface
US7921244B2 (en) Data sharing an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8150452B2 (en)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 memory medium of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CN108885601B (en) USB multi-host endpoint reflector hub
US20060106962A1 (en) USB On-The-Go implementation
EP2040174B1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7895386B2 (en) USB interface provided with host/devic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JP3090671U (en) Double interface CF flash memory card
GB2484833A (en) Command based mode selection in USB devices
CN109791528A (en) Configure depressed place
US20090307507A1 (en) Computer storage components that provide external and internal access
TW200415828A (en)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a USB connection
US20050060490A1 (en) Apparatus for multiple host access to storage medium
JPH11119878A (en) Computer interface device
US7066392B1 (en) Multimedia connector reader device
CN1367438B (en) Semiconductor storage method for supporting several interfaces and device
KR100595629B1 (en) Dual mode universal serial bus memor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040143693A1 (en) Data storage apparatus of multiple serial interfaces
CN102508810A (en)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method
JP51447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ng computer peripherals
KR20080000559A (en) Low-power solid state storage controller for cell phones and other portable appliances
US20030016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terface conversion for handheld device
CN213151196U (en) Signal adapter
US20040203278A1 (en) [signal transmission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