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795A -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795A
KR20050057795A KR1020030089986A KR20030089986A KR20050057795A KR 20050057795 A KR20050057795 A KR 20050057795A KR 1020030089986 A KR1020030089986 A KR 1020030089986A KR 20030089986 A KR20030089986 A KR 20030089986A KR 20050057795 A KR20050057795 A KR 20050057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se
protrusion
vacuum clean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7795A/en
Publication of KR2005005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79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호스손잡이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는, 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41)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45)이 단부에 설치되는 연장관(4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50)와; 상기 연결본체(50)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흡입노즐(45)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핸들(60)과; 상기 연결본체(50)와 핸들(6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60)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핸들(60)을 연결본체(50)와 직교하도록 회전할 수 있어, 청소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se handl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that allows the hose handle for moving the suction unit to rotate left and right.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body for connecting between the connection hose 41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pipe 4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ction nozzle 45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of the bottom surface 50; A handle (60) fasten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body (50) to move the suction nozzle (45) to a desired posi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body 50 and the handle 6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eans for allowing the handle 60 to selectively rotate. When comprised in this way, the handle 60 can be rotated so that it may become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main body 50, and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cleaning becomes easy.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호스손잡이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se handl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that allows the hose handle for moving the suction unit to rotate left and right.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2)와,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연결호스(4), 상기 연결호스와 연결되고 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 그리고 상기 연장관(6)의 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the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has a main body (2) with a built-in motor capable of generating a suction force, a connection hose (4)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connection ho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nsion tube (6) connected to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tube, and a suction nozzle (8)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tube (6) to suck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장치가 내장되어 있다.The main body 2 has a built-in motor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by forming a vacuum, and a filtering device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ucked air.

그리고 상기 본체(2)의 하측에는 한쌍의 바퀴(2a)가 설치되어 있어서, 청소기 본체(2)를 원하는 부분으로 이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A pair of wheels 2a are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2, so that the cleaner main body 2 can be led to a desired portion.

상기 연결호스(4)의 단부에는, 청소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호스핸들(4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스핸들(4a)에는 진공청소기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버튼(4b)이 설치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connection hose 4, a hose handle 4a for holding by the cleaner user by hand is installed, and the hose handle 4a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4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have.

사용중인 진공청소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호스(4)에 형성된 호스핸들(4a)을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할 장소가 평면 바닥이 아닌 계단이나 문턱이 있는 경우에는 본체(2)에 형성된 손잡이(2b)를 세운 후 청소기를 들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방의 모서리 등 구석진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b)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When moving the vacuum cleaner in use to another place, hold the hose handle (4a) formed in the connecting hose (4) to move in the desired direction. However, if the place to move is not a flat floor, but a staircase or threshold, the handle (2b) formed in the main body (2) is raised, then lift the cleaner. When the use of the vacuum cleaner is completed, the handle 2b is mainly used to move to a corner such as a corner of the room.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노즐(8)은 청소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흡입된 공기는 연장관(6) 및 연결호스(4)를 통하여 본체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2) 내부에서는, 예를 들면 필터링장치에 의하여 이물질은 필터링되어 일측에 모이게 되고, 필터링된 공기는 내부의 모터를 경유하면서 방열시킨 후 배기부(F)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the suction nozzle 8 inhales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portion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Then, the air sucked in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extension pipe 6 and the connection hose (4). In the main body 2, for exampl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collected at one side by a filtering device, and the filtered air is radiated while passing through an internal motor,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unit F.

이와 같이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8)은, 상기 연장관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흡입노즐(8)을 연장관(6)의 단부에서 분리하고, 크래비스툴 또는 브러시흡입구 등과 같은 별도의 흡입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us, the suction nozzle 8 which inhales the air containing a foreign material is comprised so that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said extension pipe are possible. If necessary, the suction nozzle 8 is separated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ipe 6, and a separate suction port such as a cravis tool or a brush suction port can be mounted and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진공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일반적으로 이물질, 특히 먼지는 벽과 장농사이의 틈에 다량으로 모인다. 따라서 청소기의 흡입노즐(8)을 틈 사이로 넣어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호스핸들(4a)을 직교하도록 잡을 수 밖에 없어 상기 흡입노즐(8)을 틈 사이에서 이동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foreign matter, especially dust, collects in large quantities in the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intestines. Therefore, the suction nozzle 8 of the cleaner is sucked into the gap to inhale foreign matters. In this case, the user has to grab the hose handle 4a to be orthogona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ove the suction nozzle 8 between the gaps.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핸들이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se handle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that allows the hose handle to selectively rotat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는, 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단부에 설치되는 연장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핸들과; 상기 연결본체와 핸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connection body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pip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uction nozzle for sucking the foreign matter of the bottom surface; ; A handle which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body and moves the suction nozzle to a desired posi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body and th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eans for allowing the handle to selectively rotate.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연결본체의 단부를 둘러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와; 성기 핸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rotation means, the rotation guide portion formed around the end of the connecting body; It is formed on the end of the penis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rotary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rotary guide portion.

상기 회전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돌기안내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안내홈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범위를 한정시키는 멈춤돌기가 더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Preferably, a projection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rotation guide part, and a stopper protrus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projection guide groove.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고정돌기가 더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pring is provided in the rotating guide part to allow the rotating protrusion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nd more preferably, a spring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spring is formed in the rotating guide.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에 의하면, 핸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벽과 장농사이의 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can be selectively rotat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farm can be easily cleaned.

이하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가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호스핸들구조의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se handle structure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먼저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측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바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first,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20 having a built-in motor (not shown) capable of generating suction force, and a pair of wheels 30 attach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It is configured by.

상기 본체(20)는 본체의 전방 상부에 부착되는 상부카바(22)와, 상기 상부카바(22)의 하부에서 집진공간과 그 외의 다수개의 내장품을 수용하기 위한 바디베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20 includes an upper cover 22 attached to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body base 24 for accommodating a dust collecting space and a plurality of other internal parts under the upper cover 22. do.

상기 상부카바(22)의 후방에는 필터와 모터를 거쳐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필터를 고정시키는 필터카바(22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카바(22a)의 측면에는 스위치버튼(S)과 코드릴버튼(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버튼(S)은 본체(2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코드릴버튼은 풀어진 파워코드를 감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ar of the upper cover 22 is provided with a filter cover 22a for fixing a filter for finally filtering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and the motor. A switch button S and a cord reel button (not shown) are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filter cover 22a, and the switch button S functions to turn on and off the power of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the cord reel button performs a function of winding the released power cord.

그리고 상기 본체(20)의 상부에는 손잡이(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6)는 본체(20)를 비교적 먼거리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손잡이(26)를 잡고 본체(2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 handle 26 protrudes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he handle 26 serves to move the body 20 relatively long distances. That is to hold the handle 26 to move the body 20.

그리고 상기 한쌍의 바퀴(30)는 본체 후방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퀴(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 측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도록 설계되는데 이것은 청소기가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청소기가 문턱을 넘어야 하는 경우에는 바퀴(30)의 지름이 큰 경우 더욱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다. The pair of wheels 30 are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ar of the main body. The wheel 30 is designed to occupy a large portion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order to allow the cleaner to move smoothly. In particular, when the cleaner has to cross the threshold, it is more easily movable when the diameter of the wheel 30 is large.

그리고 상기 바퀴(30)는, 일반적인 사출성형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바닥과 밀착되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사출성형된 바퀴의 원주면을 고무재질로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heel 30 may be manufactured by a general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easily move. In another embodiment, the same effect may be generated by coa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molded wheel with a rubber material.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20)에는,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41)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호스(41)는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본체(5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연결호스(41)가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을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이다.Meanwhile, the main body 2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hose 41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The connection hose 4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body 50 to be described below. The connection hose 41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suction nozzle to be described below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연결호스(41)가 연결되는 연결본체(50)의 일측에는 조작버튼(B)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B)은 상기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는 팬모터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기 조작버튼(B)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강약으로 조절되는 것이다.An operation button 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on body 50 to which the connection hose 41 is connected. The operation button (B) is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fan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that is,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cleaner by the operation button (B) is adjusted to the strength.

상기 연결본체(50)의 하단에는 연장관(43)이 연결된다. 상기 연장관(43)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8)과 연결본체(50) 사이의 거리,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본체(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위해 상기 연장관(43)은 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연장관(43)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연결본체(5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An extension pipe 4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50. The extension pipe 43 is install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nozzle 8 and the connection main body 50 to be described below,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main body 50. For this role, the extension tube 43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tube. That is,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ipe 43 is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body 50 is adjusted.

상기와 같은 연장관(43)의 단부에는, 공기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동시에 흡입하는 흡입노즐(45)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노즐(45)의 하면에는 내부와 관통하는 흡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 바닥면의 이물질이 상기 흡입노즐(45)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At the end of the extension tube 43 as described above, a suction nozzle 45 for suctioning air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at the same time. A suction hole (not show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suction nozzle 45 is formed to allow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into the suction nozzle 45.

상기와 같이 연결호스(41)와 연장관(43) 그리고 흡입노즐(45)로 구성되면, 바닥의 이물질은 흡입노즐(45)에서 흡입된 다음, 연장관(43)과 연결호스(41)를 거쳐 본체(20) 내부로 흡입되는 것이다.If the connection hose 41 and the extension pipe 43 and the suction nozzle 45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is sucked in the suction nozzle 45, and then the main body via the extension pipe 43 and the connection hose 41 (20) is sucked into the interior.

한편 상기 연결호스(41)와 연장관(43)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50)를 첨부된 도면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the connection body 50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hose 41 and the extension pipe 4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상기 연결본체(50)의 내부에는 소정의 흡입통로(P)가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통로(P)의 일측은 상기 연장관(43)과 연통되며, 타측은 상기 연결호스(41)와 연통된다. 즉, 연장관(43)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이물질은 상기 연결본체(50)의 흡입통로(P)를 거쳐 연결호스(41)로 이동한다.First, a predetermined suction passage (P)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body (50). One side of the suction passage (P) communicates with the extension pipe (43),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hose (41). . That is,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extension pipe 43 moves to the connection hose 41 via the suction passage P of the connection body 50.

그리고 상기 연결본체(50)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핸들(6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가이드부(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5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guide portion 51 to allow the handle 60 to be described below to rotate.

상기 회전가이드부(51)는, 상기 연결본체(50)의 상단 테두리를 둘러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51a)와, 상기 가이드돌기(51a) 내부에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핸들(60)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안착홈(5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51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핸들(60)의 회전돌기(61)가 삽입되는 돌기안내홈(51c)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돌기안내홈(51c)에는 핸들(60)의 회전돌기(61)가 삽입된 다음, 돌기안내홈(51c)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on guide portion 51, the guide protrusion (51a)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connecting body 50, and the end of the handle 60 is formed in the guide protrusion (51a) to be described below It is composed of a seating groove (51b) is fixed. 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51b has a recessed protrusion guide groove 51c into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61 of the handle 6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That is, the rotation guide 61 of the handle 60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guide groove 51c, and then rotates along the projection guide groove 51c.

그리고 상기 돌기안내홈(51c)에는 멈춤돌기(51d)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멈춤돌기(51d)는 상기 안착홈(51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기안내홈(51c)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돌기(61)의 회전범위를 한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전돌기(61)는 상기 돌기안내홈(51c)에 2 곳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안내홈(51c) 내부를 회전하는 회전돌기(61)는 좌우 각각의 회전범위가 한정된다.The stop guide groove 51c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 protrusion 51d. The stop protrusion 51d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51b and serves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protrusion 61 rotating along the protrusion guide groove 51c. Two such rotation protrusions 61 are formed in the protrusion guide groove 51c. Therefore, the rotation protrusion 61 for rotating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guide groove 51c is limit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ranges.

또한 상기 안착홈(51b)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멈춤돌기(51d)의 상방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프링(70)이 안착홈(51b)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고정돌기(51e)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고정돌기(51e)는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단에 스프링(70)의 지지단(71)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51b)의 대략 중심부분에는 지지턱(51f)이 상기 안착홈(51d)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턱(51f)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핸들(60)의 하면이 밀착된다.In addition, a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is formed inside the seating groove 51b, more specifically, above the stopper 51d so that the spring 70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inside the seating groove 51b. It is.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and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is support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support jaw 51f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aid mounting groove 51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said mounting groove 51b.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60 to be described below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jaw 51f.

한편 상기 회전가이드(51)의 가이드돌기(51a) 내부에는 핸들(60)이 삽입된다. 상기 핸들(60)은 사용자가 흡입노즐(45)을 원하는 위치로 옮기기 위해 사용되며, 그 하단 일측에는 상기 돌기안내홈(51c)에 삽입되는 회전돌기(6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돌기(61)는 상기 회전가이드부(51)의 안착홈(51b)에 고정되는 스프링(70)의 지지단(71) 사이에 삽입된다. 즉 상기 회전돌기(61)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돌기(61)의 외측 단부가 상기 스프링(70)의 지지단(71)의 일측을 밀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61)는 스프링(70)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the handle 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51a of the rotation guide 51. The handle 60 is used by the user to move the suction nozzle 45 to a desired positi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rojection 61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guide groove (51c) is protruded. The rotary protrusion 61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is fixed to the seating groove 51b of the rotary guide portion 51. That is, when the rotary protrusion 61 rotates, the outer end of the rotary protrusion 61 pushes one side of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to rotate simultaneously. Therefore, the rotary protrusion 61 is rotated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by the spring 70.

상기 안착홈(51b) 지지턱(51f) 내부에는 스프링(70)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70)은 소정의 철심을 원주방향으로 감아서 만들어진 일종의 코일스프링이며, 그 외연에는 상기 스프링고정돌기(51e)의 양단에 지지되는 지지단(7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70)의 중심은 지지턱(51f)에 삽입되고, 지지단(71)은 상기 스프링고정돌기(51e)의 양단에 지지된다.The spring 70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seating groove 51b and the supporting jaw 51f. The spring 70 is a kind of coil spring made by winding a predetermined iron co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support end 71 supported on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edge thereof. That is, the center of the spring 7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jaw 51f, and the support end 71 is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본체(50)와 핸들(60) 그리고 스프링(70)이 서로 조립되는 것은, 먼저 연결본체(50)의 안착홈(51b) 내부에 스프링(70)을 삽입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70)이 고정되는 것은, 스프링(70)의 지지단(71)을 좌우로 벌린다음, 상기 안착홈(51b) 내부의 스프링고정돌기(51e)의 양단에 지지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안착홈(51b)의 저면에 스프링(70)이 고정 설치된다. 이후 상기 핸들(60)의 하단을 안착홈(51b)에 삽입하면, 상기 핸들(60)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돌기(61)가 상기 안착홈(51b)의 돌기안내홈(51c)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61)는 스프링(70)의 지지단(71) 사이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턱(51f)의 상면에는 상기 핸들(60)의 하면이 밀착된다.Assembling the connection body 50 and the handle 60 and the spring 70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pring 7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51b of the connection body 50 first. The spring 70 is fixed, and spreads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from side to side, and then supports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inside the seating groove 51b. In this case, the spring 7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51b. Then, whe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6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51b, the rotary protrusion 61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handle 6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guide groove 51c of the seating groove 51b. In addition, the rotary protrusion 61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At the same time,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jaw 51f.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60)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handle 60 is selectively rotated in the assembled state as described above.

상기 연결본체(5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6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60)의 회전돌기(61)가 돌기안내홈(51c)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회전돌기(61)는 상기 스프링고정돌기(51e)의 양단에 지지되어 있는 스프링(70)의 지지단(71) 중 일측을 밀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돌기(61)의 회전은 상기 멈춤돌기(51d)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70)의 지지단(71) 타측이 상기 스프링고정돌기(51e)에 지지되어 있어, 상기 회전돌기(6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핸들(60)을 놓으면, 상기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60)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andle 60 is rotated to the right while the connection body 50 is fixed, the rotation protrusion 61 of the handle 60 rotates along the protrusion guide groove 51c. At this time, the rotating protrusion 61 rotates while pushing one side of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projection 61 is limited by the stopper (51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end 71 of the spring 70 is supported by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51e, so that the rotary protrusion 61 ha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at is, when the handle 60 is released, the handle 6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0.

또한 상기 핸들(60)은 상기 회전돌기(61)가 스프링(70)의 지지단(71)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일정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회전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handle 60 does not rotate unless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rotation protrusion 61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ends 71 of the spring 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는, 핸들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idea that the handle can be selectively rotated. 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more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상기 핸들을 연결본체와 직교하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각으로 꺾어진 핸들을 잡고 흡입노즐을 전후진 시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되면, 벽과 장농 틈 사이에서 흡입노즐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어, 청소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The handle is rota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body. And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bent at a right angle to move the suction nozzle back and forth.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nozzle can be easily moved between the wall and the trough gap, and the cleaning becomes easy.

그리고 틈 사이의 청소가 끝난 다음 핸들을 놓으면, 핸들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일반적인 바닥청소 또한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다.If the handle is released after the clearance is finished, the handl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general floor cleaning is also possible.

상기와 같이 틈 사이의 청소가 용이해지는 것은, 기존의 청소기로 부족했던 청소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고취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인지도가 상승하는 이점도 기대된다.Easy cleaning between the gaps as described above can satisfy the cleaning function that was lacking with the existing cleaners can enhance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 as well as increase the product awareness is expected.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호스핸들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to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hose hand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의 부분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편도.Figure 4 is a fla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본체 22: 상부카바20: main body 22: upper cover

22a: 필터카바 24: 바디베이스22a: filter cover 24: body base

26: 손잡이 30: 바퀴26: handle 30: wheels

41: 연결호스 43: 연장관41: connecting hose 43: extension tube

45: 흡입노즐 50: 연결본체45: suction nozzle 50: connecting body

51: 회전가이드부 51a: 가이드돌기51: rotation guide portion 51a: guide projection

51b: 안착홈 51c: 돌기안내홈51b: seating groove 51c: protrusion guide groove

51d: 멈춤돌기 51e: 스프링고정돌기 51d: Stopping protrusion 51e: Spring fixing protrusion

51f: 지지턱 60: 핸들51f: support jaw 60: handle

61: 회전돌기 70: 스프링61: rotation protrusion 70: spring

71: 지지단71: support

Claims (6)

본체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연결호스와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이 단부에 설치되는 연장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본체와;A connection main body connecting a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n extension tu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suction nozzle for suctio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연결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핸들과;A handle which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body and moves the suction nozzle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연결본체와 핸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body and the handle, comprising a rotating means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means, 상기 연결본체의 단부를 둘러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와;A rotation guide part formed around an end of the connection body; 성기 핸들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에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The hose handl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end of the penis handle, comprising a rotary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rotary guide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돌기안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3.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a protrusion guide groove for guiding rotation of the rotary protrusion is formed inside the rotary guide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안내홈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돌기의 회전범위를 한정시키는 멈춤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4] The hose handle structure of claim 3, wherein the end of the protrusion guide groove further comprises a stop protrusion defining a range of rotation of the rotary protrusio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The hose handle structure of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a spring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rotating protrusion is provided inside the rotating guide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고정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구조.The hose handle structure of claim 5, wherein a spring fixing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rotation guide part to fix the spring.
KR1020030089986A 2003-12-11 2003-12-11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KR200500577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986A KR20050057795A (en) 2003-12-11 2003-12-11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986A KR20050057795A (en) 2003-12-11 2003-12-11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795A true KR20050057795A (en) 2005-06-16

Family

ID=3725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986A KR20050057795A (en) 2003-12-11 2003-12-11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779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52B1 (en) * 2007-12-20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A handle assembly rotatable in all directions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52B1 (en) * 2007-12-20 201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A handle assembly rotatable in all directions and a cleaner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1889B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599416B1 (en) Inhaler for floor
US20060042041A1 (en)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structure thereof
KR100429479B1 (en) Electric cleaner
JP2006346279A (en) Electric cleaner and its suction port body
KR20050057795A (en) A structure of hose handle for vacuum cleaner
KR19980063263A (en) Small electric sweeper
JP3595313B2 (en) Mounting device for auxiliary suction tool of vacuum cleaner
KR100548932B1 (en) Locking assembly of button in vacuum cleaner
KR200344840Y1 (en) A fixing structure of exhaust filter in vacuum cleaner
KR200344844Y1 (en) Mounting structure of motor in vaccum cleaner
KR970001030B1 (en) Electric cleaner and mount base for electric cleaner
KR20110049106A (en) A suction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pipe reel apparatus
KR20050057800A (en) An equipment of the cord reel in vacuum cleaner
KR0137433Y1 (en) Power cord for a vacuum cleaner
KR20050043062A (en) A structure of handle for vacuum cleaner
KR200357163Y1 (en)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wheel
KR101192869B1 (en) Suction device for vaccum cleaner
JPH0535045U (en) Vacuum cleaner
KR200353549Y1 (en) An accessory structure of vacuum cleaner
KR100587095B1 (en) A mounting structure of Exhaust filter in vacuum cleaner
KR100669887B1 (en) A corner cleaning apparatus of a moving robot
KR960012811B1 (en) Suction nozzle of a vacuum cleaner
KR100873910B1 (en) Vacuum cleaner
JP2002065523A (en) Vacuum cleaner and floor brush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