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851A -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851A
KR20050055851A KR1020030088890A KR20030088890A KR20050055851A KR 20050055851 A KR20050055851 A KR 20050055851A KR 1020030088890 A KR1020030088890 A KR 1020030088890A KR 20030088890 A KR20030088890 A KR 20030088890A KR 20050055851 A KR20050055851 A KR 20050055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ervice
address
acc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식
이철민
천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8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5851A/ko
Publication of KR2005005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IP 주소를 부여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IP 주소와 사용자 단말기의 ID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ONLINE SERVICE CONTROL METHOD USING ACCESS IP ADDRESS,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된 단말기의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또한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스마크폰, 개인휴대단말기(PDA), 텔레비전(TV), 홈 게이트웨이 등으로 증가되고 있다. 사용자에게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접속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시스템의 적법한 가입자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서비스에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접속된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의 서비스 시스템은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융합되고 있는 환경에서 PC에 비해 기능이 부족한 TV, 스마트폰, 홈 게이트웨이 등에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입자 정보를 식별하고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상기 IP 주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Identification)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IP 주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접속 세션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신청한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접속 IP 주소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인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와 접속 IP 주소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의 서비스 허용 여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에 대응되는 ID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의 가입자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에 접속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 장치(30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PC, 스마트폰, 홈 게이트웨이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로서,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고 있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210)과 NAS(Network Access System, 220)를 포함한다.
DSLAM(210)은 주파수에 대한 분할 기능을 갖는 분배 장치로서, 음성 전화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음성 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교환 장치를 통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서는 NAS(220)로 전달한다.
또한, NAS(22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도록 IP 주소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터넷을 연결시켜주는 통신 장치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인터넷에 접속된다.
서비스 제어 장치(300)는 접속 IP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접속 세션 관리부(310), 인터페이스 관리부(320),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 접속 고객 데이터베이스(340), 및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한다.
접속 세션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됨에 따라 관련 세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것이고, 인터페이스 관리부(320)는 서비스 시스템으로 접속되는 IP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식별하고, 접속된 가입자에게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는 접속 IP와 접속 ID의 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접속 세션 관리부(310)를 통하여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접속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또한, 접속 고객 데이터베이스(340)는 접속 서비스를 신청한 고객 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350)는 접속된 가입자가 신청한 서비스 정보들을 관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은 크게 3 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접속 정보를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네트워크 접속 설정 단계와,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를 이용하여 접속 IP 기반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단계와,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의 관련 정보를 삭제하는 네트워크 접속 해제 단계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가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입력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면(S201),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의 NAS(220)는 정당한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가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도록 IP 주소를 부여한다(S202).
이 때, NAS(220)는 서비스 제어 장치(300)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 IP와 해당 ID의 관계 정보를 전송한다(S203). 서비스 제어 장치(300)의 접속 세션 관리부(310)는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 IP와 ID의 대응 관계를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S204).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접속한다(S301).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와 결제 시스템 간의 TCP 연결이 설정된다.
이 후, 서비스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 IP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IP 주소에 대한 서비스 허용 여부를 서비스 제어 장치(300)의 인터페이스 관리부(320)로 요청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320)는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를 조회함으로써, 추출된 접속 IP 주소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유효한 경우 접속 ID를 추출한다(S303).
이 후, 추출된 ID를 이용하여 접속 고객 데이터베이스(340)를 조회함으로써, 관련 ID의 유효성을 검사하고(S304), 유효한 경우,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350)를 조회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신청 여부를 조회한다(S305).
인터페이스 관리부(320)는 상기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서비스 허용 여부에 대한 결과를 서비스 시스템(400)으로 전송하고(S306), 서비스가 허용된 경우, 서비스 시스템(40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서비스를 제공한다(S307).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해제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의 NAS(220)로 네트워크 접속 해제 요청을 수행하면(S401), NAS(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네트워크 접속을 해제하고, 부여된 접속 IP를 회수한다(S402).
이 후, NAS(220)는 서비스 제어 장치(300)의 접속 세션 관리부(310)로 접속 IP가 해제되었음을 알리고(S403), 접속 세션 관리부(310)는 해당 IP에 대한 관련 정보를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삭제한다(S40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접속 IP 주소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여부를 제어하므로, 적법한 가입자인 경우 별다른 인증 절차 없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기능이 부족한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에도 간편하게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그대로 이용하여 여러 가지 변형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접속 IP 주소를 이용하여 가입자를 식별하고 온라인 서비스를 제어함으로써, 서비스 시스템 접속 시마다 수행되는 고객 인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이로써, PC에 비하여 기능이 부족한 TV, 스마트 폰, 홈 게이트웨이 등에도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해제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와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된 상기 IP 주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Identification)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서비스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ID와 패스워드를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요청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한 IP 주소의 관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세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접속 세션 관리부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서비스 제공 여부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IP 주소와 ID의 상기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신청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이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서비스 제공 여부를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IP 주소에 대응되는 ID를 추출하고,
    추출된 ID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ID의 유효성을 확인하며,
    유효한 경우, 상기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를 신청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해제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해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부여되었던 IP 주소를 상기 서비스 제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8.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IP 주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접속 세션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신청한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상기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서비스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상기 접속 IP 주소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인증을 수행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IP 주소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관계 정보를 저장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기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와 접속 IP 주소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된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의 서비스 허용 여부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에 대응되는 ID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의 가입자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의 IP 주소를 추출하여 상기 IP 주소와 함께 상기 서비스 허용 여부 요청을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접속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IP 주소를 회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ID와 상기 IP 주소의 대응관계를 삭제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030088890A 2003-12-09 2003-12-09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KR20050055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90A KR20050055851A (ko) 2003-12-09 2003-12-09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90A KR20050055851A (ko) 2003-12-09 2003-12-09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51A true KR20050055851A (ko) 2005-06-14

Family

ID=3725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890A KR20050055851A (ko) 2003-12-09 2003-12-09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5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404A1 (en) * 2007-04-26 2008-11-06 Nhn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invalid click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3404A1 (en) * 2007-04-26 2008-11-06 Nhn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invalid click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US8996404B2 (en) 2007-04-26 2015-03-31 Nhn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invalid click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1997B2 (ja) 携帯電話による情報家電向け認証方法
US9124578B2 (en) Service opening method and system, and service opening server
KR102472362B1 (ko) 블록 체인 기반 사물 인터넷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53300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security level, and communication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ed therefor
KR20120064916A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접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시스템
US20060233160A1 (en) Call system, proxy dial server apparatus and proxy dial method for use therewith, and program thereof
JP2002077274A (ja) ホームゲートウェイ装置、アクセスサーバ装置及び通信方法
US6817519B2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CN101296267A (zh) 电话系统和通信终端
US20050108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multi-modal device and a web application
CN113572789A (zh) 一种物联网智能设备应用免密登录系统及方法
JP3332221B2 (ja) モバイル端末の接続管理方法及び方式
KR20150053422A (ko) 인증 전화번호 관리 서버 및 인증 전화번호 관리 서버에 의한 인증 전화번호 관리 방법, 및 전자거래 서버 및 전자거래 서버에 의한 전자거래 인증 방법
KR20050055851A (ko) Ip 주소를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JP2008140326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サービス連携方法、及び、サービス連携プログラム
KR101317403B1 (ko) 신뢰도 기반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27750A (ja) アクセス認証方法、接続制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3324883B (zh) 一种多媒体播放终端的认证方法、终端、服务器以及系统
KR101731289B1 (ko) Cpns 환경에서 개인 네트워크 정보 공개 방법 및 장치
CN112702743A (zh) 基于人工智能的网络数据监测保护方法
KR20090000289A (ko) 네트워크 자동 로그인 시스템
KR20040000713A (ko) 인터넷 도메인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처리 장치 및그 방법
KR20010095858A (ko) 모바일 인터넷 대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84190A (ja) 接続制御システムおよび接続制御方法
KR101237054B1 (ko)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