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975A - 미디어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975A
KR20050054975A KR1020057005469A KR20057005469A KR20050054975A KR 20050054975 A KR20050054975 A KR 20050054975A KR 1020057005469 A KR1020057005469 A KR 1020057005469A KR 20057005469 A KR20057005469 A KR 20057005469A KR 20050054975 A KR20050054975 A KR 20050054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output
devices
user devic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에이. 벨
스테판 레이맨
리즈벳 엠. 스콜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5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97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33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manufacturer, processing or storag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7Control parameters, e.g. trick play commands, view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유저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시간 동기화된 방식으로 비디오 클립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유저 디바이스(11,12,13)상에 비디오 클립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바이스(10,11,12)는 통신 연결(13,14,15)을 통해 통신망 상에서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서로 통신한다. 상기 비디오 클립은 보기 전에 유저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계속해서 보는 동안 '재생', '정지', '일시정지' 등과 같은 작은 제어 명령만이 디바이스간에 전달될 필요가 있는데, 그러한 작은 명령은 대역폭 제한 및 통신망의 지연을 덜 겪기 때문이다.

Description

미디어 통신 방법 및 장치{MEDIA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 상에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미디어가 압축되지 않은 전자 형식(electronic format)을 사용하여 표현될 경우에, 시각적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및 기억 또는 전송을 위한 전자 형태의 다른 그러한 미디어 컨텐트(종종 멀티미디어 정보라고 한다)의 표현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양의 데이터, 따라서 큰 파일 크기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인지된다. 표현에 필요한 전자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압축 기술이 미디어의 표현을 생성하는 한편 감소된 양의 전자 데이터를 요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압축되지 않은 형식과 반대로 압축된 형식으로 표현되는 정보의 전자 전송은 보다 적은 데이터의 전송을 필요로 하여 특정 용량을 구비하는 전송 채널 상에 보다 빠른 전송을 용이하게 하거나, 보다 낮은 데이터 전송 용량을 구비하는 전송 채널의 사용을 가능하게한다. 게다가, 전송 비용이 전달된 데이터 양을 기초로 해서 부과되는 경우에, 압축된 데이터 파일은 감소된 전송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전자적으로 필름 클립(film clip)과 같은 오디오-시각적 정보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양의 상당한 감소는 MPEG-4 형식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MPEG-4 기반 표준에 따라 오디오-시각적 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MPEG은 동영상 전문가 그룹(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어이다). 그러나, 인코딩 공정은 본 표준에 의해 많은 계산을 요구하므로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서 발견되는 성능을 구비하는 장치에 의한 오디오-비디오 이미지의 MPEG-4 형식으로의 실시간 인코딩은 상당한 양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MPEG-4 데이터의 디코딩은 훨씬 더 적은 계산을 요구하므로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출력 스크린 등에 표현을 위해 상기 장치에 의한 오디오-시각적인 이미지의 디코딩 및 렌더링을 가능하게 한다.
휴대용 전화기, PDA 및 다른 개인용 컴퓨팅 장치와 같은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는 그들의 계산 능력을 향상시키고 고품질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러한 디바이스 유저는 그들의 디바이스 상에서 오디오-비디오 클립을 보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그러한 디바이스가 카메라와 함께 구비되기 때문에 유저는 또한 그들의 디바이스를 정지 화상 또는 심지어 그들의 주위환경을 보여주는 동영상 클립을 캡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정지 화상 또는 비디오 클립을 통신망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간에 전달하기 위해서, 전달을 하기 전에, 상기에서 설명한 이유 때문에, 그들 화상 또는 클립의 전자적 표현을 압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실시간 유저들이 동일한 장소에 함께 모여 있는 경우에 가능한 방법으로 음성 통신이 그들 사이에서 자연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통신 장비 유저가 실질적으로 실시간 음성 통신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본 출원인은 또한 그러한 유저는 또한 모든 유저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동일한 정지 화상 또는 비디오 클립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보는 것을 즐길 수 있어, 유저로 하여금 그들이 동시에 보는 이미지에 대해 음성 통신 채널을 통해 토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나,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그러한 동시적인 시청을 달성하기 위해서, 통신 세션내의 모든 유저가 그들의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는 것을 하나의 유저가 제어할 수 있는 경우에, 이는 특정 제한 시간 내에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유저 디바이스로의 이미지 데이터의 믿을 만한 전달을 요구한다. 필요한 시간이 제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유저 사이의 자발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은 통신의 실시간 느낌의 감소로 인해 가능하지 않다. 비디오 클립을 표현하는 데이터의 양이 압축되어, 통신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동안 매우 빠르게 감소될 수 있는 경우에도, 특정 통신망 상의 유저 디바이스간에 데이터량을 전송하는 시간은 통신의 실시간 느낌을 덜 들게 할 수 있다. 이는 실로 유저 디바이스가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또는 글로벌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시스템 또는 심지어 유니버설 모바일 전화 시스템(UMTS) 기반의 통신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한 망은 다른 알려진 시스템 상에서 개선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비하는 반면, 여전히 유한의 데이터 전송 성능을 구비하며 또한 유저로부터 유저로의 데이터 통신시에 지연(latency)을 겪는다.
도 1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유저 디바이스 및 그들 디바이스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인프라스트럭쳐의 개략적인 표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유저 디바이스의 정면도.
도 3은 유저 디바이스 중 하나의 기능적 구성 요소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 이상의 유저 디바이스상에서 미디어의 출력을 제어하여 그들 디바이스에 의한 미디어의 출력이 상당히 동기화된 방식으로 수행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라 일그룹의 유저 디바이스 상에서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그룹의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에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와의 통신시 상기 그룹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통제하기 위해서인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유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상기 그룹의 각각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에서 공통의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 커맨드 하에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미디어 그 자체의 표현을 전달하기보다는 유저 디바이스간에 실질적으로 실시간 제어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보다 작은 량의 데이터(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가 상기 그룹의 디바이스를 통해 미디어의 제어된 출력을 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간에 전달될 수 있으며, 출력은 그룹의 모든 디바이스를 통해 실질적으로 동기화된다. 게다가, 특정 통신 인프라스트럭쳐내에서 보다 작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보다 큰 양의 데이터에 수반된 지연보다 낮은 지연으로 전달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단순히 전송할 데이터가 더 적기 때문이 아니라, 기설정된 크기 이하이며 따라서 다수의 서비스 배달 유닛을 전송할 필요없이 오히려 한 번의 동작으로 예컨대, 하나의 서비스 배달 유닛의 전송으로 통신망에 의해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진 커맨드 명령이 이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또한 상기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로 공통적인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방법은 또한 원격 소스로부터 상기 공통적인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스는 URL 또는 다른 적절한 포인터 형태로 유저 디바이스 중 하나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원격 소스는 서버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원격 소스는 예컨대 랜, 전화망 또는 인터넷과 같은 망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또한 유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되, 그러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출력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보다 앞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위해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디어 컨텐트를 표현하는 전체 파일이 유저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거나, 스트리밍 타입의 정보 전달 동작에 있어 더욱 일반적이므로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 전에 그 컨텐트의 일부만이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디바이스내에서 생성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유저 디바이스의 제어 수단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그룹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에서의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과 비교시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공통적인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 명령 커맨드 하에서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유저 디바이스는 다른 유저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동일한 제어 명령에 의한 출력내에서 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측면은 참고문헌에 의해 본 명세서로 병합되고 독자가 이제 참조하는 첨부된 청구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에 대해서 단지 예시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면은 개략적인 것이며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이 아니라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도면의 부분의 상대적 크기 및 비율은 도면내에서 명료함 및 편리함을 위해 크기에 있어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나타난다. 동일한 참조 싸인은 일반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도 1에 대해, 한 그룹의 휴대용 유저 디바이스(10, 11, 12)의 형태로 제공되는 두 개 이상의 유저 디바이스는 통신 기지국(16)을 통해 일방향 통신 연결(13, 14, 15) 각각 상에서 서로 통신한다. 본 예제에 있어서, 유저 디바이스 각각은 PDA, 스마트폰 또는 통신 연결(13, 14, 15)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한 무선 통신 장치가 장착된 계산 기능이 있는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와 같은 포켓용 컴퓨팅 디바이스다. 그러한 연결은 GSM 및/또는 GPRS 시스템에 따라 확립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동작 설명에 대해, 랜과 같은 다른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3개의 유저 디바이스가 설명을 목적으로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저 디바이스 수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동작 단계에서, 디바이스 중 하나의 유저가, 이 예에서 유저 디바이스(10)가 특정 미디어 컨텐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특정 세션을 참가(join)하기 위해 통신 연결(13, 14, 15)을 통해 각각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11, 12)에 초대를 보낸다. 미디어 컨텐트는 비디오 클립 또는 사진 같은 정지 화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11, 12)의 유저는 초대가 생성되는 유저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이 초대의 생성에 대해 그들의 디바이스에 의해 경보를 받는다. 유저 디바이스(11, 12)는 그 후 특정 세션에 참여할 초대를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락 또는 거부는 채널(13, 14, 15)을 통해 디바이스(10)에 중계될 수 있다.
디바이스(11, 12) 유저가 세션에 참가하는 초대를 수락하는 경우에, 이것은 디바이스(11, 12)의 유저에게 출력할 준비를 하도록 당해 세션에 필요한 미디어 컨텐트의 사본이 유저 디바이스(11, 12)에 전송되어 그 안에 저장되는 것을 야기한다. 이 예에서, 미디어 컨텐트는 통신 채널(13, 14, 15)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10)에 의해 유저 디바이스(11, 12)에 전송된다.
도 2에 대해, 제1 유저 디바이스의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20)이 나타난다. 디스플레이는 미디어 컨텐트의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화상 출력 영역(2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또한 오디오 시각적 장비 상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제어와 관련된 제어 버튼의 아이콘에 의한 표현을 포함한다. 특히, 표현은 '재생(play)'(22), '일시정지(pause)'(23), '정지(stop)'(24), '되감기(rewind)'(25) 및 '고속 재생(fast forward)'(26) 커맨드에 대한 버튼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또한 본 세션에 참여하고 있는 특정 유저 디바이스(10, 11, 12) 각각을 나타내는 버튼(27a, 27b, 27c)의 표현을 포함하며, 이들 버튼(27a, 27b, 27c)의 동작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버튼(27a, 27b, 27c) 각각은 그들이 표현하는 세센의 특정 유저 디바이스에 대응해서 "10, 11, 12"로 라벨링되나, 대안적으로 그들은 당해 디바이스 유저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도록 예컨대, 이름, 전화 번호 또는 사진 이미지에 의해 라벨링될 수 있다.
컨텐트, 이 예에서 비디오 클립의 표현을 시작하기 위해, 디바이스(10) 유저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재생' 버튼(22)을 선택하며, 이 선택은 디바이스(10)로 하여금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한다. 제어 명령은 유저 디바이스(10)의 제어 수단에 의해 국부적으로 수신되어 디바이스(10)로 하여금 화상 출력 영역(21)내의 터치 스크린(20)상에서 당해 세션에 대한 동영상 클립의 표현을 시작하도록 한다. 도 3에 대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어 수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34), 메모리(35), 버스(33) 등을 포함하는 유저 디바이스(10)의 기능적인 구성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이 제어 명령은 통신 연결(14) 및 기지국(16)을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통신 링크(14 및 15) 각각을 거쳐 유저 디바이스(11 및 12)에 전달되어 세션내의 유저 디바이스(11, 12) 및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가 그들의 로컬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동일한 동영상 클립을 표현하도록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10) 유저의 제어하에 동일한 비디오 클립이 동일한 세션내의 모든 디바이스 유저에게 이용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비디오 클립이 동일한 세션내의 디바이스의 모든 유저에게 이용 가능하게 되어, 비디오 클립이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모든 디바이스를 통해 표현된다. 디바이스(10) 유저는 또한 추가적인 제어 버튼 중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유저는 '일시정지'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어 버튼(23)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맨드는 디바이스(10)에서는 비디오 클립의 표현을 일시 정지하나 화상 출력 영역(21)에서는 비디오 클립의 프레임을 유지하는 제어명령의 생성을 야기한다. '일시 정지'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은 통신 연결(13, 14, 15)을 통해 디바이스(11, 12)에 전달되어 그들 디바이스 또한 그들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는 비디오 클립의 표현을 일시 정지하는 반면 비디오 클립의 프레임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는 것을 야기한다.
유저에게 이용 가능한 추가적인 제어는 버튼(25)을 작동시킴으로써 시작되는 '되감기' 및 버튼(26)을 작동시킴으로써 시작되는 '고속 전진'을 포함한다. 유저에 의한 이들 커맨드 중 하나의 시작은 제어 명령의 생성을 야기하며, 상기 명령은 비디오 클립으로 하여금 증가된 속도로 적당히 전진하거나 역진하도록 하는 한편, 화상 출력 영역(21)에 나타나도록 한다. 제어 명령은 통신 라인(13, 14, 15)을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유저 디바이스(11, 12)로 전달되며 상기 통신 라인은 비디오 클립으로 하여금 증가된 속도로 적당히 전진하거나 역진하는 한편, 디바이스 각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추가적인 제어(미도시)는 '찾기(seek)' 커맨드를 포함하며 이 커맨드는 디바이스(10)의 유저로 하여금 출력을 위한 비디오 클립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저에 의한 찾기 커맨드의 시작은 디바이스(10)로 하여금 제어 명령을 생성하게 하며, 이 제어 명령은 디바이스(10)로 하여금 특정 위치로 점프하여, 선택적으로 그 특정 위치로부터 비디오 클립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한다. 제어 명령은 통신 연결(13, 14, 15)을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유저 디바이스(11, 12)로 전달되어 그들 디바이스로 하여금 또한 비디오 클립의 특정 위치로 점프하여, 선택적으로 그 특정 위치로부터 비디오 클립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한다. 찾기 커맨드는 비디오 클립에 대해 프레임 기준 또는 시간 기준에 의해 특정 위치를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된 기준의 성질은 API 또는 코덱에 따를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어 명령은 이 디바이스들이 서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한, 블루투스 적응 연결(Blooth compliant link)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짧은 범위의 무선 연결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 11, 12) 간에 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16)을 통해 제어 커맨드를 보내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선택적으로, 제1 유저 디바이스(10)는 재동기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그들 재동기화 제어 명령을 통신 링크(13, 14, 15)상에서 다른 유저 디바이스(11, 12)에 전송할 수 있다. 재동기화 신호는 디바이스간에 동기화가 실패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책으로서 재생하는 동안 비디오 클립의 동기화를 유지하거나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유저 디바이스(11, 12) 중 하나에 도달하거나 유저 디바이스(11, 12)에 전혀 도달하지 못하는 디바이스(10)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명령 내에서의 예기치 못한 지연(unaccounted delay)이 있는 경우에 동기화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동기화는 또한 디바이스(10, 11, 12) 중 하나가 성능 면에서 다른 것들과 상이할 때 실패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유저 디바이스가 비디오 클립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기 전에 더욱 높은 성능으로 유저 디바이스가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거나, 다른 유저 디바이스보다 더욱 큰 속도로 비디오 클립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한다. 이는 이론적으로 동일한 성능을 구비해야 하는 디바이스간에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보다 높은 속도로 동작하는 시간 기준을 구비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동기화의 '드리프트(drift)'를 야기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 11, 12)는 비디오 클립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임의의 오디오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기능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유저 디바이스(10, 11, 12)는 음성호(voice call)가 서로간에 확립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그들의 유저가 서로간에 전화호(telephone call)를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시에, 디바이스(10)의 유저는 세션의 모든 유저 디바이스(10, 11, 12, ...n)상에서 실질적으로 비디오 클립의 동기식 출력을 야기하는 방법으로 세션 비디오 클립을 제어할 수 있는 반면에 유저는 디바이스(11, 12)에 의한 재생을 위해 전송되는 라이브 오디오 해설(live audio commentary)을 동시에 한다. 실제로, 주어진 통신 세션 동안, 세션에 관련된 모든 유저는 그들이 한 그룹으로서 보고 있는 비디오 클립에 대한 생각을 토론하고 공유하기 위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서로간에 전화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는 그들이 모두 함께 모여 있는 경우에 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모든 유저로 하여금 토론을 공유하고 비디오 클립을 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성이 기지국(16)을 통해 통신하는 유저 디바이스(10, 11, 12)에 대해 검토되었으나, 이는 오직 예로써이며 본 발명의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그러한 통신은 예컨대 다수의 통신망의 기지국을 통해 확립되거나(이는 모바일 스위칭 센터(MSC)에 그 자체가 결합될 수 있는 기지국 제어기(BS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심지어 다수의 유사한 또는 상이한 망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예컨대, PC 형태의 추가적인 유저 디바이스(17)가 게이트웨이(19)를 통해 기지국(16)과 관련된 통신 구조를 통해 통신하는 다이얼 업 연결(18)을 통해 세션에 참가할 수 있다.
디바이스(10, 11, 12)에 각각 대응하는 세션에 참가하는 유저 버튼(27a, 27b, 27c)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들은 유저가 주어진 세션에 참가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게다가, 하나의 버튼을 외관상 다른 것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유저 디바이스가 주어진 세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있는지를 버튼이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유저는 세션의 유저 디바이스가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 허용되거나 인에이블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버튼 중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한 접근법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제어 버튼(22, 23, 24,25 또는 26)을 작동시키는 둘 이상의 유저로부터 초래할 수 있는 하나의 세션동안의 혼란스런 작동 및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저는 세션의 음성 연결을 통해 누가 그리고 언제 제어 명령을 시작할 것인지 그들간에 구두로 동의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세션을 시작하는 유저 디바이스만이 제어 명령을 생성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누가 어느 디바이스를 언제 제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특정한 규칙 클래스(classes of rules)가 때로 '바닥 제어(floor control)' 정책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적합한 정책이 본 경우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저 디바이스는 LAN 또는 무선 LAN 또는 무선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유저 디바이스는 소위 GSM 또는 GPRS 또는 UMTS - 후자는 또한 "3G"로서 알려져 있는 - 기반의 통신 시스템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여하튼간에, 주요 요구는 유저 디바이스가 미디어 컨텐트의 적합한 공유 및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디바이스상에서 작동하는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바이스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는 능력과 함께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 11, 12)의 기능적인 구성 요소의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 3에 나타난다. 구성 요소는 RF 안테나(31) 및 안테나(31)를 통신 버스(33)에 연결하는 RF 스테이지(32)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4), 메모리(35), 디스플레이(36) 및 오디오 장비(37)를 포함한다.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생성하고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이들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통해 수행된다.
특정 사용 시나리오가 이제 GSM 및 GPRS 기반의 통신 시스템과의 관계에서 설명될 것임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측면은 다른 기술 기반의 통신 시스템, 예컨대 UMTS 기반의 통신 시스템과 원칙적으로 공통될 것이다.
이를 설명하는 동안, 제1 모바일 단말기(10)가 호를 추가적인 모바일 단말기(11) 및 추가적인 모바일 단말기(12)에 호를 시작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모바일 단말기가 제1 모바일 단말기가 그들 추가적인 단말기에 호를 시작하는 경우에 또한 포함될 수 있으나, 그들의 참가는 모바일 단말기(11, 12)의 참가와 유사하여 그들은 개별적으로 설명될 필요가 없다.
다시 도 1을 참조해서 시작하자면, 디바이스(10) 및 디바이스(11, 12)의 유저는 기지국(16) 및 임의의 관련된 통신 인프라스트럭쳐를 통해 생성된 GSM호로의 일반적인 연결을 설정한다; 이로써 디바이스(10)는 통신 연결(13)을 통해 기지국(16)과 통신하며 디바이스(11, 12)는 통신 연결(14, 15) 각각을 통해 기지국(16)과 통신한다. 실제로 디바이스(10) 유저 이외의 유저는 호를 시작할 수 있다. 다음에, 미디어 공유 세션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세션의 설정은 음성호에 관련된 모바일 단말기의 임의의 유저에 의해 시작될 수 있으나, 이 예에서는 디바이스(10) 유저이다. 통신 채널(13, 14, 15)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는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경우에 문의하는(enquiring) 디바이스(11, 12)에 초대를 발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도록, 디바이스(10)는 연결(13)상에서 기지국(16)과의 GPRS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며, 이는 특히 동적 IP(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로 하여금 디바이스(10) 유저에게 할당되도록 한다. 다음에, 디바이스(10)는 SMS(단문 메시징 시스템)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 메시지는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여할 유저 디바이스(11, 12)를 위한 초대를 포함한다. 그러한 SMS 메시지는 유저 디바이스(11, 12)상에 존재하는 미디어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SMS 초대 메시지는 또한 메시지 발신자(originator), 그들의 디바이스(10)의 동적으로 할당된 IP 어드레스 및 공유될 미디어에 대한 정보(예컨대 파일 이름 또는 주제 카테고리의 형태로)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디바이스(11, 12) 유저는 메시지 생성자 및 비디오 클립의 성질에 대한 정보와 함께 그들이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된다는 것이 그들의 디바이스상에서 작동하는 미디어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보된다. 디바이스(11, 12) 유저는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할 초대를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그들의 대답은 유저 디바이스(10)에 보내지고 이것은 SMS 메시지를 반환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접근법은 유저 디바이스(11, 12)가 통신 연결(14, 15) 각각을 통해 기지국(16)과 그들 자신의 GPRS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며(그들이 초대를 수락하든지 거부하든지와 무관하게), 이는 유저 디바이스(11, 12)에 동적 IP 어드레스가 할당되는 것을 야기한다. 디바이스(11, 12)가 유저 디바이스(10)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기지국(16)을 통해 GPRS 연결에 의해 초대를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디바이스(10)에 그들의 대답을 발할 수 있다. 대답은 디바이스(10)의 미디어 공유 어플리케이션에 보내져 디바이스(10) 유저는 응답을 통보받게 된다. 특정 디바이스(11 또는 12)가 초대를 거부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디바이스까지의 GPRS 연결이 드롭된다. 그러나, 특정 디바이스(11 또는 12)가 초대를 수락하는 경우, GPRS 연결이 유지된다; 나아가 디바이스(10)는 또한 디바이스(11 또는 12)에 할당되는 IP 어드레스와 함께 제공되어, GPRS 연결이 디바이스(10)와 디바이스(11, 12)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디바이스(11 또는 12) 중 적어도 하나가 초대를 수락하는 경우, 디바이스(10)에 의해 이전에 확립된 GPRS 연결이 유지된다. 따라서, GPRS 연결이 이제 유저 디바이스(10)와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할 초대를 수락한 유저 디바이스(11 또는 12) 중 어느 것과의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GPRS 연결을 설정하는 상기 접근법은 GPRS 연결이 디바이스 유저의 승낙없이는 망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11 또는 12)상에서 강제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그들 환경하에서 필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저 디바이스(11, 12)는 망에 의해 시작되는 GPRS 연결에 관계할 유저, 또는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디바이스(10)의 다른 유저의 아이덴티티가 알려져 있거나 믿을만한 경우에 특히 유저 디바이스(10)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SMS 메시지를 발하는 단계는 필요 없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10)는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하도록 GPRS 연결에 의해 초대를 디바이스(11, 12)에 직접 발한다.
유저가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할 것을 수락하는 경우에, 미디어 클립의 파일이 GPRS를 통해 유저 디바이스(10)로부터 세션에 참가하는 그들 유저 디바이스(11, 12)에 전송된다. GPRS 연결의 성질은 전송 속도를 개선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일단 수신하면, 유저 디바이스(11, 12)는 GPRS를 통해 유저 디바이스(10)에 파일 수신을 통지한다.
이제 디바이스(10) 유저는 유저 디바이스(10)에서 제어 신호의 생성을 야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 11 및 12)에 의한 미디어 정보의 출력을 통제하도록 제어 버튼(22 내지 26) 중 어느 것을 작동함으로써 세션의 모든 유저 디바이스 상에서 비디오 클립의 출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 신호는GPRS 연결을 사용하는 통신 연결(13, 14, 15)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10)에 의해 디바이스(11, 12)에 전송된다.
예시적인 제어 명령 및 그들의 대응하는 메시지 구조가 아래 표에 나타난다:
제어 명령 메시지 구조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하도록 초대 <syncplayback>,<invitation>,<inviting user id>,<invited user id>,<session id>,<file ie>,<command timestamp>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초대를 수락 <syncplayback>,<accept>,<inviting user id>,<invited user id>,<session id>,<file id>,<command timestamp>
미디어 공유 세션에 참가하기 위한 초대를 거부 <syncplayback>,<reject>,<inviting user id>,<invited user id>,<session id>,<file id>,<command timestamp>
미디어 공유 세션 종료 <syncplayback>,<end>,<inviting user id>,<invited user id>,<session id>,<file id>,<command timestamp>
미디어 네비게이션 커맨드, 여기서 <cmd, argument>는 다음 중 하나이다:<play, from location x><pause, at location x><stop, at location x><fast forward, from location x><rewind, from location x><jump, to location x><display, image number x> <syncplayback>,<cmd,argument>,<inviting user id>,<invited user id>,<session id>,<file id>, <command timestamp>
동기화: 여기서 <synchronise,threshold>는 비디오 클립의 프레임 번호 또는 타임 포인트에 대한 참조 및 허용 오차 값을 포함한다. <syncplayback>,<synchronise,threshold>,<inviting user id>,<invited user id>,<session id>,<file id>,<command timestamp>
동기화 메커니즘은 유저로 하여금 동기화 커맨드가 생성되고 전송되는 빈도수를 지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동기화 커맨드의 빈번한 생성은 미디어 출력을 모든 디바이스 상에서 비교적 근접한 동기화로 유지할 것이나 빈번한 재동기화는 출력하는 동안 시퀀스의 한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으로 점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비교적 비연속적인 출력을 야기할 것이다. 덜 빈번한 생성은 디바이스간에 덜 정확한 동기화를 야기할 수 있으나 미디어를 출력하는 동안 점프의 발생을 감소시켜 더욱 부드러운 재생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 디바이스의 동기화 손실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신하는 유저 디바이스가 오직 커맨드에 따라 작동하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선택적으로 재동기화 커맨드는 허용 한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모든 유저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공통 클럭 참조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그러한 참조는 기지국, 망 공급업자, 또는 낮은 지연 예컨대 음성 채널 상에서의 톤 버스트(tone burst)로 전송되는 유저 디바이스 중 하나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GPRS 시스템에서, 제어 명령이 128 옥텟 또는 그보다 작은 크기를 구비하는 서비스 배달 유닛(service delivery unit)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GPRS 망을 통한 평균 전송 지연은 0.5 초보다 작을 수 있으며, 95%의 서비스 배달 유닛은 1.5초 내에 도착한다. 또한 GPRS 서비스 설명 정보가 유럽 통신 표준 협회의 참고 문헌 ETSI EN 301 113 (v6.3.1 (2000-11))내에서 발견될 수 있다.
GPRS 메커니즘을 통해 제어 명령을 보내는 대신에, GSM 기반의 통신 시스템이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유럽 통신 표준 협회의 참고 문헌 ETSI EN 301 113 (v6.3.1 (2000-11))내에서, 소위 유저로부터 유저로의 시그널링(UUS)에 의해 보충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저 디바이스는 MPEG-4 코덱으로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스택을 제공함으로써 미디어 공유 세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필립스 MP4Net, 코덱의 최상부의 자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자바 미들웨어 레이어 및 미들웨어 레이어의 최상부의 자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부터 이용 가능한 것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은 GSM/GPRS 연결성을 제공하는 무선 팩과 함께 공급되는 컴팩 아이팩 포켓용 PC(Compaq iPaq Pocket PC) 또는 심비안(symbian) OS 스마트폰과 같은 유저 디바이스 상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를 참조해 설명되었으나, 다른 구성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예견될 수 있다. 예컨대, 미디어 공유 세션을 시작하는 디바이스는 미디어 클립 그 자체를 제공할 필요는 없으나, 오히려 URL과 같은 포인터를 미디어 클립이 다운로드될 위치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디바이스에 의한 출력 전에 전체 미디어 클립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클립의 일부를 다운로드하여 동기화된 재생 세션 및 클립의 출력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클립의 나머지는 이후 백그라운드내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점에서 미디어 스트리밍 기술 시스템에 더욱 근접하는 작동 시스템이 미디어 클립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여전히 제어 커맨드를 유지하여 제어 커맨드가 참가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통해 미디어의 동기화된 시청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유저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명령은 중앙집중형의 '서버'에 포워딩되어 이 서버는 제어 명령을 피어-투-피어 타입 구성으로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유저 디바이스로 보내는 것보다는 제어 명령을 세션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에 포워딩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디바이스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모든 디바이스상에서 수행되는 방식으로 미디어를 출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성과 관련되나, 동기화된 이라는 용어는 구현을 위해 사용된 시스템 및 장치를 예상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예컨대, 제어 커맨드가 무선랜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간에 전달되는 경우에, 망의 지연은 출력이 거의 0.1초내에 동기화될 수 있을 정도로 된다. 비교시에, 제어 명령이 GPRS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에, 망의 지연은 그러한 커맨드가 디바이스간에 통신하는데 1.5초만큼 길게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해서, 동기화의 허용 오차가 덜 최적화될 것이나, 본 관계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동일한 미디어 컨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능력은 여전히 동기화 형태를 야기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구성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종래의 음성 채널을 통해, 예컨대 DTMF 톤을 사용하거나 당해 망에 의해 지원되는 다른 시그널링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간에 전달될 수 있다. 예제는 GSM 표준에 상술된 바와 같이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를 포함한다. 이 접근법은 유저 디바이스에 간섭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어 그러한 톤의 인식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유저로부터 그러한 톤을 숨기려고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일부 환경에서는 짧은 범위의 무선 연결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10, 11, 12)간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위 "블루투스"표준 기반의 연결을 확립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경우에 디바이스는 기지국(16)을 통하기보다는 서로 직접 통신한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그러한 디바이스간에 음성호가 확립되기 전에 유저 디바이스에 미디어 파일의 배포를 위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읽는 것으로부터, 다른 변형이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그러한 변형은 통신 장치와, 파일 전송과, 정보 시그널링과, 미디어 코딩, 디코딩 및 재생과, 이들의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제조 및 사용에 있어 이미 알려져 있는 다른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특성은 이미 상술한 특성을 대신하거나 이에 덧붙여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 상에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Claims (13)

  1.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10,11,12)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10)에서 상기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그룹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11,12)에서의 미디어의 출력을 통제하기 위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10)로부터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11,12)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11,12)에서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상기 그룹의 각각의 다른 유저 디바이스(11,12)에서 공통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 커맨드하에서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11,12)에서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공통 멀티디어 컨텐트를 상기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11,12)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원격 소스로부터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컨텐트가 출력을 위해 요구되기 전에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유저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위해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내에서 생성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하나의 유저 디바이스(10)의 제어 수단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의 상기 다른 유저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11,12)에서의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동기화된 방식으로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10)에서의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어 명령의 커맨드하에서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10)에서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비디오 시퀀스 또는 사진 이미지 집합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멤버를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정지, 재생, 포워드, 다음, 되감기, 이전, 레코드, 시퀀스 위치 x로 점프, 시퀀스 위치 x에서 시작, 시퀀스 위치 x에서 정지, 및 시퀀스 위치 x에서 동기화를 포함하는 커맨드 그룹 중에서 임의의 멤버의 표현을 포함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무선 랜, 블루투스 무선 연결, GPRS 및/또는 3G 기반의 통신 기반 시스템에 의해 확립된 통신 연결(13,14,15)을 통해 전송되는 한 그룹의 유저 디바이스상에 공통 미디어 컨텐트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항의 유저 디바이스의 기술적인 특성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저 디바이스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그 이상의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1. 프로그램할 수 있는 컴퓨터로 하여금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측면 중 임의의 것으로 본 발명의 특정 방법 단계 및/또는 장치 특성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 제11 항에 있어서,
    레코드 캐리어의 형태에 있어 임의의 컴퓨터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제11 항에 있어서,
    망위에서의 전자적 형태에 있어 임의의 컴퓨터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57005469A 2002-10-03 2003-09-15 미디어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50054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22926.8 2002-10-03
GBGB0222926.8A GB0222926D0 (en) 2002-10-03 2002-10-03 Medi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975A true KR20050054975A (ko) 2005-06-10

Family

ID=994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469A KR20050054975A (ko) 2002-10-03 2003-09-15 미디어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85823A1 (ko)
EP (1) EP1561346A1 (ko)
JP (1) JP2006501744A (ko)
KR (1) KR20050054975A (ko)
CN (1) CN1689327A (ko)
AU (1) AU2003260852A1 (ko)
GB (1) GB0222926D0 (ko)
WO (1) WO2004032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8294B2 (en) * 2003-06-20 2008-07-08 Lucent Technologies Inc. Application server component that notifies one or more communication devices of one or more invitations to join communication session
KR100606060B1 (ko) 2004-02-2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DE102004014440B4 (de) * 2004-03-24 2006-07-27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Bereitstellung einer Push-to-Talk-Verbindung zwischen mindestens zwei Endgeräten von Teilnehmern innerhalb eines Kommunikationsnetzes
TWI238638B (en) * 2004-04-22 2005-08-21 Benq Corp Method and device for multimedia processing
KR100880729B1 (ko) * 2004-06-30 2009-02-02 노키아 코포레이션 단말기에 물리적으로 근접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시스템 및 방법
US20060069457A1 (en) * 2004-09-24 2006-03-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ally adjustable shared audio processing in dual core processor
US7490140B2 (en) * 2005-05-12 2009-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 data transfer orchestration
US7546118B2 (en) * 2005-10-20 2009-06-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ordinated distribution and playback of multimedia programs
CN100455008C (zh) * 2006-08-11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通信方法及系统
US20080085682A1 (en) * 2006-10-04 2008-04-10 Bindu Rama Rao Mobile device sharing pictures, streaming media and calls locally with other devices
US8478250B2 (en) 2007-07-30 2013-07-02 Bindu Rama Rao Interactive media management server
US10803474B2 (en) 2006-11-22 2020-10-13 Qualtrics, Llc System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interactive advertisements to mobile devices
US11256386B2 (en) 2006-11-22 2022-02-22 Qualtrics, Llc Media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US8700014B2 (en) 2006-11-22 2014-04-15 Bindu Rama Rao Audio guided system for providing guidance to user of mobile device on multi-step activities
CN101072359A (zh) * 2007-05-18 2007-11-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实现网络媒体同步视听的方法、系统及用户端
US8428645B2 (en) * 2007-06-05 2013-04-23 Bindu Rama Rao Mobile device capable of sharing SMS messages, email screen display locally with other devices
US20120233644A1 (en) * 2007-06-05 2012-09-13 Bindu Rama Rao Mobile device capable of substantially synchronized sharing of streaming media with other devices
US20080313278A1 (en) * 2007-06-17 2008-12-18 Linqe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videos
CN101399725B (zh) * 2007-09-29 201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终端、vcr操作的网络控制方法、装置
US20090169171A1 (en) * 2007-12-27 2009-07-02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ordinating functions of multimedia devices
US8875181B2 (en) * 2008-08-05 2014-10-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JP5495533B2 (ja) * 2008-10-29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CN101588494B (zh) * 2009-06-30 201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媒体流处理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US9338515B2 (en) * 2009-09-03 2016-05-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al-time and secured picture/video upload via a content delivery network
KR101635615B1 (ko) * 2009-10-30 2016-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제어 방법
US11601477B2 (en) * 2010-01-25 2023-03-07 Kwingle Inc.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5912250B (zh) * 2010-07-01 2020-02-07 上海本星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同步传输方法
US8234411B2 (en) * 2010-09-02 2012-07-3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enhanced content
KR101201645B1 (ko) * 2010-12-30 2012-11-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망 분리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
CN102170584B (zh) * 2011-03-14 2015-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hs终端设备之间媒体播放的方法、装置和系统
US9767195B2 (en) 2011-04-21 2017-09-19 Touchstream Technologies, Inc. Virtualized hosting and displaying of content using a swappable media player
US9160965B2 (en) 2011-08-01 2015-10-13 Thomson Licensing Telepresenc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EP2592842A1 (en) * 2011-11-14 2013-05-15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Computer-implemented metho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output of media data across a plurality of devices
BR112014021401B1 (pt) 2012-03-09 2022-10-11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Método para processar um comando de transporte em um controlador de conteúdo local e método para processar um primeiro comando de transporte em um controlador de conteúdo local para controlar conteúdo compartilhado
US9584682B2 (en) 2012-05-24 2017-02-28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EP2667567A1 (en) * 2012-05-24 2013-11-27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ata Across Multiple Electronic Devices
CN103634621B (zh) * 2012-08-27 2019-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推荐业务中播放同步控制方法及装置、系统
US9756288B2 (en) 2013-04-10 2017-09-05 Thomson Licensing Tiering and manipulation of peer's heads in a telepresence system
JP2016526826A (ja) 2013-06-20 2016-09-05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コンテンツの分散型再生の同期化を支援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811582A (zh) 2014-01-28 2015-07-2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智能设备同步播放的方法和装置
CN103957218B (zh) * 2014-05-14 2018-09-28 刘瑞雪 共享媒体播放的方法和系统
US9990113B2 (en) 2015-09-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a current focus using a touch-sensitive remote control
US9928029B2 (en) * 2015-09-08 2018-03-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udiovisual feedback
US10771508B2 (en) 2016-01-19 2020-09-08 Nadejda Sarmova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virtual shared experience for media playback
US10372298B2 (en) * 2017-09-29 2019-08-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DK201870364A1 (en) 2018-05-07 2019-12-03 Apple Inc. MULTI-PARTICIPANT LIV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431891B2 (en) 2021-01-31 2022-08-3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e angle video conference
US11893214B2 (en) 2021-05-15 2024-02-06 Apple Inc. Real-time communication user interface
US11907605B2 (en) 2021-05-15 2024-02-20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20220368548A1 (en) 2021-05-15 2022-11-17 Apple Inc. Shared-content session user interfaces
US11770600B2 (en) 2021-09-24 2023-09-26 Apple Inc. Wide angle video conferen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6764A1 (en) * 1992-06-30 1994-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access to a resource by several user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H0946688A (ja) * 1995-07-26 1997-02-14 Fujitsu Ltd ビデオ情報提供/受信システム
US5808662A (en) * 1995-11-08 1998-09-15 Silicon Graphics, Inc. Synchronized, interactive playback of digital movies across a network
US5937331A (en) * 1996-07-01 1999-08-10 Kalluri; Rama Protocol and system for transmitting triggers from a remote network and for controlling interactive program content at a broadcast station
TW463503B (en) * 1998-08-26 2001-11-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Television chat system
US6993787B1 (en) * 1998-10-29 2006-01-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viding VCR functionality for data-centered video multicast
US6973662B1 (en) * 1999-10-13 2005-12-06 Starz Entertainment Group Llc Method for providing programming distribution
FI20001570A (fi) * 2000-06-30 2001-12-31 Nokia Corp Synkronoitu palveluntarjonta tietoliikenneverkossa
JP2002091863A (ja) * 2000-09-12 2002-03-29 Sony Corp 情報提供方法
GB2367216B (en) * 2000-09-26 2004-01-21 Hewlett Packard Co Selection of content for downlo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60852A1 (en) 2004-04-23
GB0222926D0 (en) 2002-11-13
CN1689327A (zh) 2005-10-26
WO2004032507A1 (en) 2004-04-15
JP2006501744A (ja) 2006-01-12
US20060085823A1 (en) 2006-04-20
EP1561346A1 (en)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54975A (ko) 미디어 통신 방법 및 장치
US9537667B2 (en) Duplicating digital streams for digital conferencing using switching technologies
US9030523B2 (en) Flow-control based switched group video chat and real-time interactive broadcast
KR101939773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중 채널 비디오 채팅을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9024997B2 (en) Virtual presence via mobile
US7715872B2 (en) Video call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video through third display
CN112291500B (zh) 用于双模式多媒体消息收发的方法和装置
US20120233644A1 (en) Mobile device capable of substantially synchronized sharing of streaming media with other devices
EP2196040A1 (en) Negotiation of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using configuration data received through rfid
US8704868B2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video conferencing apparatus, video conferencing control method, and video conferencing control program
CN113923470B (zh) 直播流处理方法及装置
US20130061280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ed media play out
JP5579660B2 (ja) 多地点接続テレビ会議装置
US10122896B2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two devices
JP2006229726A (ja) Ip電話機能に基づく呼接続中に映像コンテンツ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14095480B (zh) Ktv直播连麦方法、装置和系统
CN108632476B (zh) 融合pstn的移动互联网语音平台系统及其通信方法
EP2567741A9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ed media play 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