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700A -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 Google Patents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700A
KR20050054700A KR1020030088216A KR20030088216A KR20050054700A KR 20050054700 A KR20050054700 A KR 20050054700A KR 1020030088216 A KR1020030088216 A KR 1020030088216A KR 20030088216 A KR20030088216 A KR 20030088216A KR 20050054700 A KR20050054700 A KR 2005005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hing
detection sensor
flow path
sa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56780B1 (en
Inventor
윤상헌
박능서
한대영
전시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80B1/en
Publication of KR2005005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7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본체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저부영역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수집하는 섬프케이스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과, 상기 섬프케이스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세척수유로와, 상기 섬프케이스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중 일부가 분기되어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샘플링유로와; 상기 샘플링유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샘플링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검출된 세척수의 오염도의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having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comprising: a washing main body for forming a washing space therein; a sump case disposed at a bottom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and collecting wash water; and disposed inside the washing main body. At least one spray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 washing water flow path forme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flow between the sump case and the spray nozzle, and a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of the sump case to be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A dish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sampling channel formed to branch and flow a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washing water chann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sampling passage for detec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wash water flowing along the sampling passage. Thereby, the dishwasher provided with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whi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detected wash water is provided.

Description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Dishwasher with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본 발명은,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출된 세척수의 오염도의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having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having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ed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전면이 개구된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본체(111)와, 세척기본체(111)의 전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도어(미도시)를 구비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hwasher. As shown, the dishwasher includes a washing main body 111 that forms a washing space having a front opening therein, and a door (not shown)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of the washing main body 111. .

세척기본체(11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의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터브(113)를 구비하고 있다.The washing body 111 has a case 112 forming an appearance and a tub 113 arranged to form a washing space inside the case 112.

세척기본체(111)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세척될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랙(115) 및 하부랙(116)이 인출가능하게 수납되어 있으며, 상부랙(115) 및 하부랙(116)의 각 하측에는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upper rack 115 and the lower rack 116 are retractably accommodated in the washing main body 111 so as to accommodate the dishes to be wash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upper rack 115 and the lower rack 116 are disposed therein. On each lower side of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is rotatably installed so as to spray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dishes.

터브(113)의 저부에는 세척수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섬프케이스(1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섬프케이스(121)의 내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123)가 구비되어 있다. 섬프케이스(121)의 일측에는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펌프(1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섬프케이스(121)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127) 및 배수관(12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A sump case 121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tub 113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and a filter 123 is provided in the sump case 121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 pump 125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mp case 121 to pump the washing water, and a drain pump 127 and a drain pipe 128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sump case 121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have.

도 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오염도검출센서의 장착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오염도검출센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오염도검출센서의 장착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케이스(121)의 저부 일측에는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펌프(1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펌프(125)의 하류측에는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케이스(131)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히터케이스(131)의 내부에는 히터(133)가 수용설치되어 있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unting state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the conventional dishwash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Figure 2, Figure 4 is a mounting state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the conventional dishwasher.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 one side of the sump case 121 is provided with a pump 125 to pump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can be heated downstream of the pump 125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The heater case 131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heater 133 is accommodated in the heater case 131.

한편, 히터케이스(131)의 일측에는 히터케이스(131)의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오염도검출센서(135)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오염도검출센서(1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138)을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감지영역(138)을 통과하도록 광을 방사하는 발광부(137)와, 감지영역(138)을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139)를 구비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35 is integr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heater case 131 to detect the pollution degre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side the heater case 131. As illustrated in FIG. 3,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35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37 disposed to face the detection area 138 and emitting light to pass through the detection area 138, and a detection area ( The light receiving part 139 which receives the light which passed the 138 is provid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세척수가 전면적으로 유동하는 유로내에 오염도검출센서(135)가 설치되고, 오염도검출센서(135)는 발광부(137)에서 방사되어 감지영역(138)을 통과하여 수광부(139)로 도달된 광을 검출하여 감지영역(138)을 통과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어, 오염도검출센서(135)에 의해 검출되는 오염도의 정확도는 세척수중의 오물의 양 뿐만 아니라 세척수중의 세제 등에 의한 거품 등 기포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실제 세척수의 오염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dishwasher,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35 is installed in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entirely, and the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35 is 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7 and passes through the detection area 138. By detecting the light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unit 139 to detect the contamination of the wash water passing through the detection area 138, the accuracy of the contamination detected by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5 is not only the amount of dirt in the wash wa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affected by bubbles such as bubbles due to detergent in the washing water,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accurately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ctual washing water.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일부에서는 세제 거품 등 세척수의 기포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유로(141) 중에 유동단면적이 확장된 확장구간부(143)를 형성하고, 확장구간부(143)중 기포로부터 이격되고 비교적 세척수의 유동속도가 느린 저부영역에 오염도검출센서(135)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as shown in FIG. 4, an expansion section 143 having an extended flow section in the flow path 141 of the washing water is formed so as to exclude the influence of bubbles of the washing water such as detergent foam. In addition,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5 is arranged in the bottom region of the expansion section 143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bubbles and has a relatively low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그런데, 도 4와 관련하여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는, 오염도검출센서(135)의 주변은 세척수의 유동속도가 느려 세척수의 정체가 발생하기 쉽고 사용기간이 경과하게 될 경우, 세척수중의 오물이 오염도검출센서(135) 주변에 퇴적되어 검출되는 오염도의 신뢰도를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when the flow rate of the washing water is slow around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5, congestion of the washing water occurs easily, and the use period elapses, dirt in the washing water detects the contamination degre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ollution degree detected by being deposited around the sensor 135 is impa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된 세척수의 오염도의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equipped with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capabl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ed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본체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저부영역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수집하는 섬프케이스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과, 상기 섬프케이스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세척수유로와, 상기 섬프케이스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중 일부가 분기되어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샘플링유로와; 상기 샘플링유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샘플링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ashing main body to form a washing space therein, a sump case disposed in the bottom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and at least disposed inside the washing main body to spray the washing water; A dishwasher having one spray nozzle, a washing water flow path formed to allow the washing water to flow between the sump case and the spray nozzle, and a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of the sump case to be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The sampling flow path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washing water flow passage branches. And a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sampling flow path and detecting a contamination level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sampling flow path.

여기서, 상기 세척수유로는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 상부영역으로 연장되는 상부유로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 하부영역으로 연결되는 하부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링유로는 상기 상부유로 및 상기 하부유로의 분기 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ashing water flow passage includes an upper flow passage extending to the inner upper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and a lower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inner lower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wherein the sampling flow passage is before branching of the upper flow passage and the lower flow passage. It is preferably formed.

상기 샘플링유로는 상기 세척수유로의 하측에서 분기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It is effective that the sampling flow path is branched below the washing water flow path.

상기 섬프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부에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샘플링유로는 상기 오물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st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dirt case accommodated in the sump case to collect dirt therein, and the sampling flow path may be formed in the dirt case.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는 광이 방사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감지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may be effective to include a light emitting par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by being spaced apart with the light emitting part and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therebetween.

상기 샘플링유로는 입구측 유동단면적이 상기 오염도검출센서의 상기 감지영역의 유동단면적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mpling flow path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inlet flow cross section is smaller than the flow cross section of the detection zone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본체(111)와, 세척기본체(111)의 저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수집하는 섬프케이스(121)와, 세척기본체(111)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과, 섬프케이스(121)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125)와, 펌프(125)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로 각각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와,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로부터 각각 분기되어 섬프케이스(121)로 복귀되도록 형성되는 샘플링유로(151)와, 샘플링유로(151)에 배치되어 샘플링유로(151)를 따라 유동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having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The same and equivalent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ishwasher equipped with the present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includes a washing main body 111 for forming a washing space for the dishes therein and a sump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main body 111 to collect washing water. The pump 121 for pumping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and the washing water of the sump case 121 are disposed in the case 121,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 the washing body 111, and spray the washing water. ), An upper flow passage 142a and a lower flow passage 142b formed to allow the washing water pumped by the pump 125 to flow into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respectively, and the upper flow passage 142a. And a sampling flow path 151 which is branched from the lower flow path 142b to return to the sump case 121, and is disposed in the sampling flow path 151 to detec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 water flowing along the sampling flow path 151. Contamina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35 is configured to include.

세척기본체(11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2)와,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도록 케이스(112)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113)를 구비하고 있다. 터브(113)의 내부에는 세척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랙(115) 및 하부랙(116)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랙(115) 및 하부랙(116)의 각 하측에는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washing body 111 has a case 112 forming an appearance and a tub 113 disposed inside the case 112 to form a washing space therein. Inside the tub 113, the upper rack 115 and the lower rack 116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accommodate the dishes to be washed, and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to the lower sides of the upper rack 115 and the lower rack 116, respectively.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are rotatably installed, respectively.

터브(113)의 저부에는 세척수가 수집될 수 있도록 섬프케이스(121)가 결합되어 있으며, 섬프케이스(121)의 일측에는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127) 및 배수관(128)이 연결되어 있다. 섬프케이스(121)의 타측에는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펌프(125)가 설치되어 있으며, 펌프(125)의 유출측에는 세척수가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로 각각 유동될 수 있도록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A sump case 121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ub 113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collected, and a drain pump 127 and a drain pipe 128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mp case 121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have. The pump 125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sump case 121 to pump the washing water, and at the outlet side of the pump 125, the washing water flows to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respectively. The flow path 142a and the lower flow path 142b are formed, respectively.

한편,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에는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중 일부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152a) 및 제2유로(152b)가 각각 분기된 샘플링유로(151)의 유입측이 형성되어 있으며, 샘플링유로(151)는 서로 합류되어 섬프케이스(121)로 연결되어 있다. 제1유로(152a) 및 제2유로(152b)에는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역류방지밸브(155a) 및 제2역류방지밸브(155b)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샘플링유로(151)의 합류영역에는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오염을 검출할 수 있도록 오염도검출센서(135)가 구비되어 있다. 오염도검출센서(135)는 감지영역(13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되게 배치되며 감지영역(138)을 통과하도록 광을 방사하는 발광부(137) 및 감지영역(138)을 통과하여 도달되는 광을 검출하는 수광부(139)를 구비하고 있다. Meanwhile, some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upper passage 142a and the lower passage 142b flows into the upper passage 142a and the lower passage 142b so that the first passage 152a and the second passage 152b flow. Inflow sides of the sampling flow passages 151 branched to each other are formed, and the sampling flow passages 151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connected to the sump case 121. The first flow path 152a and the second flow path 152b are provided with a first backflow check valve 155a and a second backflow check valve 155b to prevent backflow, respectively, and joining of the sampling flowpath 151. The area is equipped with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5 to detect the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side.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5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nsing area 138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ight reach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part 137 and the sensing area 138 emitting light to pass through the sensing area 138. The light receiving part 139 which detects this is provided.

여기서, 제1유로(52a) 및 제2유로(152b)의 입구는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의 각 하측에 형성되도록 하고, 제1유로(152a) 및 제2유로(152b)의 유동단면적은 감지영역(138)의 유동단면적보다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let of the first passage 52a and the second passage 152b is formed at each lower side of the upper passage 142a and the lower passage 142b, and the first passage 152a and the second passage 152b.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nsing region (138).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펌프(125)가 구동되어 상부유로(142a) 및 하부유로(142b)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유동되어 해당 노즐(117,118)을 통해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세척수중 일부는 제1유로(152a) 및 제2유로(152b)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유동되고, 발광부(137)에서 방사된 광은 샘플링유로(151)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를 투과하여 수광부(139)에 수광됨으로써 오염도가 검출된다. 이 때, 감지영역(138)을 통과한 세척수는 정체됨이 없이 섬프케이스(121)로 복귀하게 되므로 감지영역(138)에는 오물의 퇴적이 거의 발생되지 아니하여 검출된 오염도의 신뢰도가 확보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pump 125 is driven to wash water flow into at least one of the upper flow passage 142a and the lower flow passage 142b to be sprayed through the nozzles 117 and 118 to wash the dishes. Meanwhile, some of the washing water flows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passage 152a and the second passage 152b,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7 passes through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sampling passage 151.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detected by receiving the light on the light receiving unit 139. At this time, since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sensing region 138 is returned to the sump case 121 without being stagnant, almost no accumulation of dirt occurs in the sensing region 138, thereby ensuring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ed contamin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요부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오염도검출센서영역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본체(111)와, 세척기본체(111)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과, 세척기본체(111)의 저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수집하는 섬프케이스(141)와, 섬프케이스(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155)와, 섬프케이스(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오물을 수집하며 펌핑된 세척수가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로 각각 유동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174)가 형성되어 있는 오물케이스(171)와, 세척수유로(174)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중 일부가 유동될 수 있도록 오물케이스(171)에 형성되는 샘플링유로(181)와, 샘플링유로(181) 중에 배치되어 샘플링유로(181)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1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h washer having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region of FIG. 7.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washing main body 111 to form a washing space for dishes therein, and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dispos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 washing main body 111 to spray the washing water. 118, a sump case 141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washing main body 111 to collect washing water, a pump 155 disposed inside the sump case 141 to pump the washing water, and a sump case 141. The waste case 171 and the washing water flow path 174 are disposed so as to collect dirt and flow the pumped washing water into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respectively. A sampling flow path 181 formed in the dirt case 171 and a sampling flow path 181 disposed in the sampling flow path 181 to allow a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furnace 174 to flow. Including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5 to detect the pollution degree There is sex.

세척기본체(111)의 터브(113)의 저부에는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섬프케이스(1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섬프케이스(141)의 일측에는 세척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153)가 결합되어 있다.A sump case 141 having a tubular shape upwardly opene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ub 113 of the washing main body 111, and a drain pump 15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mp case 141 to drain the washing water. Are combined.

섬프케이스(141)의 상부 개구영역에는 섬프케이스(141)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162) 및 메시부(163)를 구비한 필터부재(161)가 결합되어 있으며, 필터부재(161)의 하측에는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오물이 수집되도록 하는 오물케이스(171)가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opening region of the sump case 141 is coupled with a filter member 161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2 and a mesh portion 163 to suppres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sump case 141. The filter member 161 is provided with a dirt case 171 having a tubular shape upwardly open to allow dirt to be collected therein.

오물케이스(171)의 하측에는 오물케이스(171)와 상호 협조적으로 펌프(155)를 수용하는 펌프케이스(165)가 결합되어 있으며, 펌프케이스(165)에는 내부로 소정 크기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166)이 구비되어 있다.The pump case 165 for accommodating the pump 155 in cooperation with the dirt case 171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irt case 171, and the pump case 165 may be provided with foreign substanc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troduced therein. The screen 166 is provided to suppress it.

스크린(166)의 하측에는 세척수중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167)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분쇄기(167)의 하측에는 섬프케이스(141)의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168)가 구비되어 있다.The lower side of the screen 16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rusher 167 to crush the foreign matter in the wash water, the lower side of the crusher 167 heater 168 to heat the wash water inside the sump case 141 ) Is provided.

섬프케이스(141)의 하측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섬프케이스(14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펌프(155)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축(158)을 구비한 펌프구동모터(157)가 결합되어 있으며, 섬프케이스(141)의 내부 일측에는 세척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159)가 결합될 수 있도록 밸브결합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결합부(156)의 하측에는 유로조절밸브(159)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모터(160)가 결합되어 있다. A pump driving motor 157 having a rotating shaft 158 tha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sump case 141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rotates the pump 155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ump case 141, and the sump case A valve coupling part 15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141 such that a flow path control valve 159 for adjusting the washing water flow path is coupled thereto. A valve driving motor 160 for driving the flow control valve 159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alve coupling unit 156.

오물케이스(171)는, 내부에 오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저부에는 하측에 배치되는 펌프(155)의 상부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펌프수용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수용부(172)의 일측에는 펌프(155)로부터 펌핑된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174)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수유로(174) 중에는 세척수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159)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밸브수용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밸브수용부(176)의 하류측은 상부노즐(117) 및 하부노즐(118)로 세척수가 각각 유동될 수 있도록 상부유로(177) 및 하부유로(178)로 분기되어 있다. The filth case 171 has a tubular shape which is opened upwardly to collect filth therein, and a pump accommodating portion 172 is formed at a bottom thereof to accommodate an upper region of the pump 155 disposed below. have. One side of the pump accommodating part 172 is a washing water flow path 174 is formed to flow the washing water pumped from the pump 155, the washing water flow path 174, the flow path control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 The valve receiving portion 176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159. The downstream side of the valve receiving portion 176 is branched into the upper flow passage 177 and the lower flow passage 178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upper nozzle 117 and the lower nozzle 118, respectively.

한편, 세척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밸브수용부(176)의 상류영역에는 세척수중 일부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샘플링유로(1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샘플링유로(181)에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오염도검출센서(135)가 구비되어 있다. 오염도검출센서(135)는 세척수가 유동되는 감지영역(138)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발광부(137) 및 수광부(139)를 구비하고 있다. Meanwhile, a sampling passage 181 is formed in an upstream region of the valve accommodating portion 176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so that some of the washing water flows, and the sampling passage 181 detects the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Pollution degree detection sensor 135 is provided.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5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137 and a light receiving part 139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detection area 138 through which washing water flows.

여기서, 샘플링유로(181)의 상류, 즉 유입측은 세척수유로(174)의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에서 분기되도록 형성하고, 유입측의 유동단면적은 오염도검출센서(135)의 감지영역(138)의 유동단면적보다 작도록 구성하는 것이 세척수유로(174)를 따라 유동되는 기포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유속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upstream of the sampling channel 181, that is, the inlet side is formed to branch from the lower si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channel 174,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side of the detection area 138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5 Configuring to be smaller than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can suppress the flow of bubbles flowing along the washing water flow path 174 and can prevent the flow rate is excessively increas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펌프(155)가 구동되면 섬프케이스(141)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는 펌프케이스(165)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수유로(174)로 토출된다. 토출된 세척수는 유로조절밸브(159)에 의해 상부유로(177) 및 하부유로(178)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따라 유동하여 상부노즐(117) 및/또는 하부노즐(118)을 통해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ump 155 is driven,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sump case 141 is introduced into the pump case 165 and discharged into the washing water flow path 174. The discharged washing water flows along at least one of the upper flow path 177 and the lower flow path 178 by the flow path control valve 159 and is sprayed through the upper nozzle 117 and / or the lower nozzle 118 to dispose the dishes. It will be washed.

한편, 펌프(155)로부터 토출된 세척수중 일부는 샘플링유로(181)를 따라 유동되고, 오염도검출센서(135)의 감지영역(138)을 경유하여 오물케이스(171)의 내부로 유동된다. 오염도검출센서(135)는 발광부(137)에서 방사되어 감지영역(138)을 통과하여 수광부(139)에 도달된 광을 검출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게 된다. 이 때, 오염도검출센서(135)의 감지영역(138)은 펌프(155)의 구동시 세척수가 정체되지 아니하고 유동하게 됨으로써 세척수 중의 오물의 퇴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검출된 세척수의 오염도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Meanwhile, some of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155 flows along the sampling flow path 181 and flows into the dirt case 171 via the detection area 138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5.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135 detects the pollution of the wash water by det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37 and passing through the sensing region 138 to the light receiving unit 139. At this time, the detection area 138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35 is flowed without washing the washing water is not stagnant when the pump 155 is driven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dirt in the washing water,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ed washing water contamination. d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수중 일부가 유동할 수 있도록 세척수유로로부터 분기된 샘플링유로와, 샘플링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기포 및 오물의 퇴적 등에 기인하여 세척수의 오염도의 검출결과의 신뢰도가 저하되던 종래와는 달리, 기포 및 오물의 퇴적에 기인한 오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어 검출된 세척수의 오염도의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ampling channel branched from the washing water channel so that some of the washing water flows, and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sampling channel, bubbles and dirt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detecting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washing water is lowered due to the deposition of sediment, the possibility of error due to the accumulation of bubbles and dirt can be eliminate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detected washing water. A dishwasher with a sensor is provided.

도 1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hwasher,

도 2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오염도검출센서의 장착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도 3은 도 2의 오염도검출센서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FIG.

도 4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오염도검출센서의 장착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of a conventional dish washing machin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 washer having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도,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요부분리사시도,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ishwasher equipped with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오염도검출센서영역의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region of FIG. 7.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 세척기본체 121 : 섬프케이스111: cleaning body 121: sump case

125 : 펌프 135 : 오염도검출센서125: pump 135: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142a : 상부유로 142b : 하부유로142a: upper flow path 142b: lower flow path

151 : 샘플링유로 152a : 제1유로151: sampling euro 152a: first euro

152a : 제2유로 155a : 제1역류방지밸브152a: second flow passage 155a: first non-return valve

155b : 제2역류방지밸브155b: 2nd non-return valve

Claims (6)

내부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기본체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저부영역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수집하는 섬프케이스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과, 상기 섬프케이스와 상기 분사노즐 사이에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세척수유로와, 상기 섬프케이스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는 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A washing main body forming a washing space therein, a sump case disposed in the bottom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to collect washing water, at least one spray nozzle disposed in the washing main body to spray washing water, and the sump case In the dishwasher having a washing water flow path formed so that the washing water flows between the spray nozzle and a pump for pumping the washing water of the sump case to be sprayed through the spray nozzle. 상기 세척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중 일부가 분기되어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샘플링유로와;A sampling channel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washing water channel is branched and flows; 상기 샘플링유로 중에 배치되어 상기 샘플링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And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sampling flow path and detecting a pollution level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along the sampling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척수유로는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 상부영역으로 연장되는 상부유로와, 상기 세척기본체의 내부 하부영역으로 연결되는 하부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링유로는 상기 상부유로 및 상기 하부유로의 분기 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The washing water flow passage includes an upper flow passage extending to the inner upper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and a lower flow passage connected to the inner lower region of the washing main body, wherein the sampling flow passage is formed before branching of the upper flow passage and the lower flow passage. Dishwasher having a pollution detec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샘플링유로는 상기 세척수유로의 하측에서 분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And the sampling flow path is branch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washing water flow pa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섬프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부에 오물이 수집되는 오물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샘플링유로는 상기 오물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And a dirt case accommodated in the sump case to collect dirt therein, wherein the sampling flow path is formed in the dirt cas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오염도검출센서는 광이 방사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와 소정의 감지영역을 사이에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compris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spaced apart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predetermined sensing region between the pollution detection sensor, Dishwasher in stock.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샘플링유로는 입구측 유동단면적이 상기 오염도검출센서의 상기 감지영역의 유동단면적에 비해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도검출센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And the sampling flow path is formed such that an inlet flow cross section is smaller than a flow cross section of the detection area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KR1020030088216A 2003-12-05 2003-12-05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KR100556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216A KR100556780B1 (en) 2003-12-05 2003-12-05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216A KR100556780B1 (en) 2003-12-05 2003-12-05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700A true KR20050054700A (en) 2005-06-10
KR100556780B1 KR100556780B1 (en) 2006-03-10

Family

ID=3724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216A KR100556780B1 (en) 2003-12-05 2003-12-05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3472B2 (en) 2006-07-12 2011-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pump motor and pump motor receiving pa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3472B2 (en) 2006-07-12 2011-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pump motor and pump motor receiving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780B1 (en)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823B1 (en) apparatus of the dishwasher
KR101270538B1 (en) A tableware washing machine
KR102068151B1 (en) Dish-washer
US8268082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pump and filtration system
KR20050062145A (en) Apparatus gathering water in the dishwasher
US20060096615A1 (en) Wash and rinse system for a dishwasher
NZ222268A (en) Dishwasher: top spray arm supplied with filtered fluid from pump
KR101292538B1 (en) A dish washing machine
US7556050B2 (en) Self-drain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1003418B1 (en)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90024591A (en) Garbage collecting apparatus of dish washer
KR100556779B1 (en) Tableware washer
KR100556780B1 (en) Tableware washer with sensor for detecting pollution level
KR20060027096A (en) Driving apparatus of the dish washer
KR20070105046A (en) Dish washer
KR20060024597A (en) Structure of dishwasher
KR101052391B1 (en) Sump structure of dishwasher
KR20060099488A (en) Dishwasher
KR100693518B1 (en) Bubble's back current preventing structure of the sump for a dish washer
KR101138108B1 (en) A self drainage sensing structure of dish washer
JPH04187132A (en) Electric dish washer
KR100556407B1 (en) apparatus sensing water pollution in the dishwasher
KR100556406B1 (en) apparatus controlling washing flow in the dishwasher
KR101104542B1 (en) A sump structure of a dish washer
KR20060085782A (en) A sump of dish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