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292A -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292A
KR20050054292A KR1020030087647A KR20030087647A KR20050054292A KR 20050054292 A KR20050054292 A KR 20050054292A KR 1020030087647 A KR1020030087647 A KR 1020030087647A KR 20030087647 A KR20030087647 A KR 20030087647A KR 20050054292 A KR20050054292 A KR 2005005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consonant
vowel
comple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292A/en
Publication of KR2005005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292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한글이 입력될 때 입력 완료된 문자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문자에 대한 음성 신호가 명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character is completed when a Korean character is input in a terminal so that a voice signal for the character is clearly outpu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을 음성으로 출력하되, 입력 완료된 문자를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여 문자를 형성할 때,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관계에 따라 상기 문자가 입력 완료된 문자인지를 판단하는 문자 입력 판단단계와; 상기 문자가 입력 완료된 문자이면,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를 알리는 설정된 알림수단을 출력하는 알림수단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while outputting the Hangul input by the user as a voice, in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completed characters, when the user forms a letter by inputting the consonant or vowel of the Hangul, a combination of the first, neutral, and final A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s a completed character according to a relationship; If the character is an input-completed character, it provide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input completed character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notification means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et notification means for informing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character.

Description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본 발명은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tinguishing input characters.

특히, 단말기에서 한글이 입력될 때 입력 완료된 문자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문자에 대한 음성 신호가 명확하게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n input character is completed when a Korean character is input in a terminal so that a voice signal for the character is clearly output.

근래에는, 입력되는 한글의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대두되고 있기는 하지만,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어느 문자(자음 또는 모음)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구분하여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술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Recently, various ideas for outputting Hangul characters inputted by voice have emerged. However, in the process of inputting characters, any character (consonant or vowel) can be divided into one character and outputted as a voice. There is no clear description of whether this is the cas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의 문자 입력 완료 시점을 명확히 판단함으로써, 상기 한글의 문자가 명확히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upporting the Korean characters to be clearly output by voice by clearly determining the completion time of the character input of the Hangul input by the user.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을 음성으로 출력하되, 입력 완료된 문자를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여 문자를 형성할 때,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관계에 따라 상기 문자가 입력 완료된 문자인지를 판단하는 문자 입력 판단단계와; 상기 문자가 입력 완료된 문자이면,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를 알리는 설정된 알림수단을 출력하는 알림수단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input characters, the user inputs the Hangul input by the user as a voice. A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s an input-completed character according to a combination relationship of initial, neutral, and longitudinal when forming; If the character is an input-completed character, it provide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input completed characters,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notification means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et notification means for informing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character.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 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이 다음 문자의 초성에 해당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is input, the second input consonant if the second input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It is characterized by judging the previous character as one character.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 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두 번째 입력된 자음이 해당 문자의 종성에 포함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is input, if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included in the finality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until the second input consonant It is characterized by judging by one character.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 모음이 2회 이상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마지막에 입력된 모음이 해당 문자의 모음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마지막 입력된 모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when the vowel is continuously input two or more times, if the last input vowel is not included in the vowel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o determine before the last input vowel as one character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 중성이 입력된 후 자음이 입력되고 이후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자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the character input determin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neutral is input and the vowel is subsequently input, before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수단 출력단계의 알림수단은, 음성, 사운드, 라이트, 진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means of the notification means output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voice, sound, light, vibration.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s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설명을 위한 키패드의 일 실시예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 화면도 및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mbodiment diagram of a keypad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Screens and flowcharts.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 문자에 대한 입력 완료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가 구비된 단말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istinguishing the input completed character for the Hangul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it can be applied to all terminals equipped with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Hangul characters, the following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omponent as shown in FIG. 1, and a brief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s as follows.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는 키입력부(10)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주파 신호의 증폭 및 필터링, 신호 변/복조를 수행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30)와, 단말기의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40)와, 무선주파 송/수신부(3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및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제어부(2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로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변/복조를 수행하는 음성처리부(60) 등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다.A key input unit 10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bers and function keys and generates key data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key data to the control unit 20, a control unit 20 which performs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terminal,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 receiver unit 30 for amplifying and filtering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performing signal modulation / demodulation, and a display unit 40 for displaying information signals generated during an operation and operation of a terminal; The memory unit 50 stores data received through the radio frequency transmitter / receiver 30 and key data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 and a microphone and a speaker under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voice processing unit 60 that performs modulation / demodulation of input / output voice signals.

상기 키 입력부(10)는 한글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며, 제어부(20)는 한글이 입력될 때 입력 완료된 문자를 구분하는 본 발명의 알고리즘을 포함한다.The key input unit 10 includes a keypa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and the controller 20 includes an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istinguishing input characters when Korean characters are input.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어 하나의 문자(한 글자)가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된다.Hangul is composed of consonants and vowels to form a single character (one letter).

예를 들어, '검'이라는 문자는 초성인 'ㄱ'과 중성인 'ㅓ', 종성인 'ㅁ'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종성이 포함되지 않는 문자도 있다.For example, the letter 'sword' can be divided into 'b' as a consonant, 'ㅓ' as a neutral, and 'ㅁ' as a finality, and some characters do not include a star.

따라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야 하며, 키패드의 각 키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의 키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나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put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must be combined, and each key of the keypad is assigned one or more consonants or vowels so that key data of the consonants or vowels is outpu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도 2에는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된 키패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keypad to which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단말기에서 어떠한 한글의 문자 입력방식을 채택하는지에 따라, 키패드에서 자음 또는 모음이 할당되는 키가 차이가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2의 키패드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pending on which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is adopted by the terminal, a key to which consonants or vowels are assigned is different from the keypad. Hereinafter, the keypad of FIG. 2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도 2와 같은 키패드의 키에는 자음 또는 모음이 하나(또는 둘)씩 인쇄되어 있으며, 획 추가는 '*'로, 쌍자음은 '#'를 입력하여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Consonants or vowels are printed one by one (or two) on the keys of the keypad as shown in FIG. 2, and the stroke may be added by '*', and the consonants may be input by entering '#'.

예를 들어, '1' 키에는 자음 'ㄱ'이 인쇄되어 있는데, 'ㅋ'은 '1'키를 입력 후 '*'키를 입력하고, 'ㄲ'은 '1'키를 입력 후 '#'를 입력하면 된다.For example, the '1' key is printed with the consonant 'ㄱ', 'ㅋ' enters the '1' key, enters the '*' key, and 'ㄲ' enters the '1' key, followed by '#' Type '.

도 2와 같은 키패드가 구비된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할 때, 입력 완료된 문자를 구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When inputting the Hangul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in the terminal equipped with a keypad as shown in Figure 2,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input completed characters are as follows.

1)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 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이다.1)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is input.

1-1) 두 번째 입력된 자음이 다음 문자의 초성에 해당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한다.1-1) If the second input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before the second input consonant.

'언제'라는 문자를 입력할 때에 사용자가 초성의 'ㅇ'과 중성인 'ㅓ', 종성인 'ㄴ'을 입력하면 '언' 문자가 형성된다.When the user enters the letter 'when', the user's letter 'o', the neutral 'ㅓ' and the last word 'b' are entered, and the 'word' is formed.

종성인 'ㅁ'이 입력되고 난 후 'ㅈ'이 입력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ㅈ'은 첫 번째 문자의 종성에 포함되지 않고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이동된다.If the final character 'ㅁ' is input and 'ㅈ' is input, the second input 'ㅈ' is not included in the final character of the first character and is moved to the first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이러한 경우에 'ㅈ'이전에 입력된 문자까지가 입력 완료된 문자로 판단되며, '언'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nput before 'ㅈ' is regarded as an input completed character, and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un'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입력 완료된 문자인 '언'을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에서 검색하여 해당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The 'un', which is an input character, is searched in a mapping table to output a corresponding voice signal.

상기 매핑 테이블에는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모든 문자에 대한 음성 신호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The mapping table stores voice signals for all characters that can be formed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입력이 완료된 문자로 판단된 후에는 상기와 같이 음성 신호가 출력되거나 또는, 사운드, 라이트, 진동 등의 알림수단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문자가 입력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After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is completed, the voice signal may be output as described above, or a notification means such as sound, light, or vibration may be output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completed.

사운드가 알림수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프(beep)음이 출력될 수 있으며, 라이트가 알림수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패드의 LED 또는 백라이트가 점멸동작될 수 있다.When the sound is set as the notification means, a beep sound may be output. When the light is set as the notification means, the LED or the backlight of the keypad may be blinked.

또는, 두 개 이상의 알림수단이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wo or more notification means may be output at the same time.

1-2)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 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두 번째 입력된 자음이 해당 문자의 종성에 포함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한다.1-2) 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is input, if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included in the finality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

'앉아서'라는 문자를 입력할 때, 초성인 'ㅇ'과 중성인 'ㅏ'를 입력하고 종성인 'ㄴ', 'ㅈ'을 입력하면 '앉' 문자가 형성된다.When you enter the letters 'sit', enter the initial 'ㅇ' and the neutral 'ㅏ' and the final 'b' and 'ㅈ' to form the 'sit' character.

종성인 'ㄴ'과 'ㅈ'을 입력한 후 다음 문자의 초성인 'ㅇ'이 입력되면 상기 'ㄴ'과 'ㅈ'은 첫번째 문자의 종성에 포함된다.After entering the finality of 'b' and 'ㅈ' and entering 'ㅇ' of the next character, 'b' and 'ㅈ' are included in the finality of the first character.

즉, 상기 경우는 종성이 두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In other words, this case is the case where the finality consists of two consonants.

이때에는, 다음 문자의 초성인 'ㅇ'이전에 입력된 문자까지가 입력 완료된 문자로 판단되며, '앉'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character inputted before the letter ㅇ, which is the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is determined as a completed character, and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sit'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2) 모음이 2회 이상 연속 입력되는 경우이다.2) A vowel is entered more than once in a row.

마지막에 입력된 모음이 해당 문자의 모음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마지막 입력된 모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한다.If the last vowel that is input is not included in the vowel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before the last input vowel.

'왜'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초성인 'ㅇ'과 중성으로 'ㅗ', 'ㅏ', 'ㅣ' 3개를 입력해야 한다.In order to enter the 'why' character, you need to enter 'ㅇ' which is a consonant and 'ㅗ', 'ㅏ', and 'ㅣ' as neutral.

3개의 모음을 입력하고 난 후, 또 하나의 모음을 입력하면 마지막에 입력된 모음은 '왜'라는 문자의 모음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마지막에 입력된 모음 이전까지가 입력 완료된 문자로 판단되며, '왜'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After entering three vowels, if you enter another vowel, the last vowel is not included in the `` why '' vowel.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3) 중성이 입력된 후 자음과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이다.3) Consonants and vowels are input after neutral is input.

상기 자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한다.Before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도 4를 참조하면, '어머니'라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문자의 초성인 'ㅇ'과 중성인 'ㅓ'를 입력한 후(S10, S20), 두 번째 문자의 초성으로 'ㅁ'을 입력한다(S30).Referring to Figure 4, in order to enter the character 'mother' after entering the first letter 'ㅇ' and the neutral 'ㅓ' (S10, S20), the first letter of the second letter 'ㅁ' Input (S30).

이때 상기 'ㅁ'은 첫 번째 문자의 종성으로 인식되어 '엄'이라는 문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두 번째 문자의 중성인 'ㅓ'가 입력되면(S40) 상기 'ㅁ'은 두 번째 문자의 초성으로 이동된다.In this case, the 'ㅁ' may be recognized as the last character of the first letter and may be formed of a letter 'Um'. However, when 'ㅓ', which is the neutral of the second letter, is input (S40), the 'ㅁ' is the first letter of the second letter. Is moved to.

도 3에서와 같이 '엄'문자가 형성된 후 모음인 'ㅓ'가 입력됨에 따라 'ㅁ'이 두 번째 문자의 초성으로 이동되어 '어머'의 문자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as the letter 'm' is formed, 'ㅁ', which is a vowel, is moved to form a letter of 'mother' by moving to the beginning of the second letter.

따라서, 'ㅁ'이전까지가 입력 완료된 문자로 판단되며, '어' 문자를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존재하면(S50)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S60).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s inputted before 'ㅁ', and if the 'er' character is searched for in the mapping table (S50),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S60).

상기와 같이 받침(종성)이 없는 문자는 두 번째 문자의 모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자음(종성으로 간주)이 두 번째 문자의 초성으로 이동되므로, 종성 이전까지가 입력 완료된 문자로 판단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owel of the second character is input, the input consonant (regarded as the finality) is moved to the first consonant of the second character when the vowel of the second character is input.

4) 표시부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가 입력된 경우이다.4) A key is used to move the cursor on the display.

상기 키 입력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한다.Before the key inpu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이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완료된 문자가 구분되는 경우이다.In this case, the characters inputted by the user are distinguished.

'어머니'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ㅇ', 'ㅓ', 'ㅁ', 'ㅓ' 등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ㅇ'와 'ㅓ'를 입력한 후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키를 입력하고 'ㅁ'을 입력하면 'ㅁ'이 다음 문자의 초성으로 바로 입력된다.When entering the character 'mother', as described above, 'ㅇ', 'ㅓ', 'ㅁ', 'ㅓ', etc. may be entered sequentially, but after entering 'ㅇ' and 'ㅓ' If you input a key to move and input 'ㅁ', 'ㅁ' is directly input as the first character of the next character.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키는 방향키 또는 엔터(enter) 키, 스페이스(space) 키 등일 수 있다.The key for moving the cursor may be a direction key, an enter key, a space key, or the like.

상기와 같은 한글 입력은, 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등록 시 상대방 이름을 입력할 때 또는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때 등에 이용될 수 있다.The Korean input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when inputting a name of the other party when registering a phone book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when writing a text message.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임의의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한글 입력 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의 문자 입력 완료 시점이 명확히 판단되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nputs Hangul in an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acter input completion time of the Hangul input by the user is clearly determined, the voice can be outpu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 설명을 위한 키패드의 일 실시예도Figure 2 is an embodiment of a keypad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 화면도 및 순서도3 and 4 are screen views and flowcharts of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사용자가 입력하는 한글을 음성으로 출력하되, 입력 완료된 문자를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input characters, but output Hangul input by the user as a voice, 사용자가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여 문자를 형성할 때,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관계에 따라 상기 문자가 입력 완료된 문자인지를 판단하는 문자 입력 판단단계와;A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haracter is an input character according to a combination relationship of initial, neutral, and final when the user inputs a consonant or a vowel of a Hangul character; 상기 문자가 입력 완료된 문자이면, 해당 문자의 입력 완료를 알리는 설정된 알림수단을 출력하는 알림수단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And a notification means outputting step of outputting a set notification means for informing input completion of the character if the character is an input-completed charac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is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 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이 다음 문자의 초성에 해당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is input, when the second input consonant corresponds to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character,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before the second input consonant. How to distinguish input completed charac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is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된 후 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두 번째 입력된 자음이 해당 문자의 종성에 포함되면 상기 두 번째 입력된 자음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When another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finality is input, when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included in the finality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he second input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How to distinguish input charac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is 모음이 2회 이상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마지막에 입력된 모음이 해당 문자의 모음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마지막 입력된 모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If the vowel is input two or more times, if the last vowel is not included in the vowel of the character, the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efore the last input vowel as one charac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판단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determination step, 중성이 입력된 후 자음이 입력되고 이후 모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자음 이전까지를 하나의 문자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If the consonant is input after the neutral is input, and then the vowel is input, after the consonant is input, characterized in that until before the consonant is determined as one charac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 출력단계의 알림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means of the notification means output step 음성, 사운드, 라이트, 진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완료된 문자 구분방법.Characterized inpu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r more of voice, sound, light, vibration.
KR1020030087647A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KR200500542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47A KR20050054292A (en)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47A KR20050054292A (en)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292A true KR20050054292A (en) 2005-06-10

Family

ID=3724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647A KR20050054292A (en)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2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33B1 (en) * 2006-01-12 201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33B1 (en) * 2006-01-12 201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6989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keypad for optimization of character input
KR20050054292A (en) Method for controlling inputted character
KR1007684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100397509B1 (en)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100351644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107066A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53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code of portable phone
KR100881000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phone
KR1006635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in a mobile terminal
KR100458280B1 (en)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1007389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200378650Y1 (en)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JP2002116862A (en) System for inputting ring-shaped character and system for selecting function
KR10142425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therefor
KR20040003092A (en)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w expanded keypad
KR100365791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54130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and terminal therefor
KR100421545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7389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terminal
KR100363548B1 (en) Hangul code generat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650567B1 (en) Arrangement method of a letter for mobile phone and input method
KR20060044219A (en)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
KR20210150133A (en) Mobile terminal and inputting character method thereof
KR20020055880A (en) Alphanumeric inputt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