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436A -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436A
KR20050052436A KR1020050039035A KR20050039035A KR20050052436A KR 20050052436 A KR20050052436 A KR 20050052436A KR 1020050039035 A KR1020050039035 A KR 1020050039035A KR 20050039035 A KR20050039035 A KR 20050039035A KR 20050052436 A KR20050052436 A KR 20050052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put
control uni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0046B1 (en
Inventor
이원달
Original Assignee
테라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046B1/en
Publication of KR2005005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0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98Subscriber equip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to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a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data or control command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연결케이블과,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입력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송하는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와 접속되고, 상기 컨넥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의 제어가 이루어져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outputs a signal to execute the control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able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evice to the wire, and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A control unit,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through a wireless network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to the outside.

또한, 중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에 내장하므로써 생산단가를 낮출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by embedding the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having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a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data or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t relates to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정보화 사회가 진전되면서 각 가정마다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 등과 같은 컴퓨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가 풍부해지면서 컴퓨터에 통신기능이 강화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progresses, personal computers are widely used in each household, and in recent years, communication functions using computers, such as the Internet, have become abundant.

상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의 통신 기능은 주로 모뎀이나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회선(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나, 케이블과 같은 물리적인 선로(전화선과 같은 유선망)가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망에 접속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ersonal computer is mainly provided through a modem or an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DSL), but when there is no physical line such as a cable (wired network such as a telephone line), it is connected to a network.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특히, 전기,가스 등의 사용량을 자동으로 검침하거나, 특정 위치 또는 시간에서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각종 장치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유선선로를 연결해야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automatically read the amount of electricity, gas, etc., or to transmit data of various devices continuously operated at a specific location or time, it is inconvenient to connect a wired lin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휴대용 장치나 개인용컴퓨터(PC) 등에 무선랜 등을 장착하기도 하지만, 상기와 같은 무선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선랜을 지원하기 위한 중계기 등이 설치되어야만 하고, 이러한 중계기가 설치된 지역 역시 아주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wireless LAN, etc. may be installed in a portable device or a personal computer (PC). However,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LAN, a repeater for supporting a wireless LAN must b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ed area is also very limited.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중계망이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망을 활용하는 무선 모뎀을 개인용컴퓨터나 각종 외부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ireless modem utilizing a wireless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nationwide relay network is installed may b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or various external devic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 모뎀은 그 제작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wireless modem has a problem that its manufacturing cost is high.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data or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장치는 입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연결케이블과,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입력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송하는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와 접속되고, 상기 컨넥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의 제어가 이루어져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input device, and a connection cable for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evice by wire,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to execute control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nnection cable,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connector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입력신호를 모뎀 제어 명령어인 AT Command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change an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into an AT command format, which is a modem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컨넥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이어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네트워크망과 원활하게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하는 외장형 안테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syste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antenna connector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mooth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external network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antenna to make.

또한, 상기 표시부는 시스템이 초기화중인지 정상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전원LED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상태를 나타내는 전송LED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메시지 중에서 미확인 메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LED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시에 에러가 발생하는 지를 나타내는 데이터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power LED indicating whether the system is initializing or normal, a transmission LED indicating a message transmiss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ssage LED indicating whether an unacknowledged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received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ata LED indicating whether an error occurs when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연결케이블과 제어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의 전압세기를 제어부의 동작전압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전압조절부와,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에 제공되는 전원의 세기를 상기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ltage control unit is mounted between the connection cable and the control unit, and adjusts the voltage strength of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device to correspond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trength of the power provided to the system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gulator for adjusting to correspond to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 또는 입력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상태인 경우에는 각각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 상기 초기화단계에서 초기화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수신측 전화번호와 메시지내용을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와, 상기 데이터입력단계에서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의 출력수단에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와, 상기 데이터표시단계에서 표시된 데이터가 정상상태이면 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unit or the input device in the abnormal state and the initialization step of initializing each, in the initialization step A data input step of inputting a receiving telephone number and a message content through an input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of the initialized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when data input is completed in the data input step, A data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output means of the input devic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hecked,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the data displayed in the data display step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1 is a view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FIG.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입력장치(10), 연결케이블(20), 전압조절부(30), 제어부(40), 컨넥터(50), 이동통신 단말기(60), 외장형 안테나(70), 표시부(80), 스위치(90) 및 레귤레이터(10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1 h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includes an input device 10, a connection cable 20, a voltage adjusting unit 30, a control unit 40, and a connector. 50,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 external antenna 70, a display unit 80, a switch 90, and a regulator 100.

입력장치(10)는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개인용 컴퓨터(PC:Personal Computer) 또는 피디에이(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장치로서, 전기, 가스 등의 검침기능 또는 특정위치에서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측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바람직하다.The input device 10 is a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ncluding an input means and an output means, and repeatedly reads data at a specific position or a reading function such as electricity and gas. A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measuring a is preferable.

이때, 입력장치(10)는 사용자가 직접 필요로 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40)에 명령을 전송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input device 10 inputs a command directly required by the user or transmits a command to the controller 40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연결케이블(20)은 입력장치(10)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전압조절부(30)를 경유하여 제어부(40)에 전송한다.The connection cable 20 transmits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evice 10 to the control unit 40 via the voltage adjusting unit 30.

이때, 연결케이블(20)은 RS-232규격을 충족하는 9핀의 직렬케이블로서, 2번핀에 RXD, 3번핀에 TXD, 5번핀에 GND를 할당하여 입력장치(10)에 구비된 포트(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cable 20 is a 9-pin serial cable that satisfies the RS-232 standard, and RXD is assigned to pin 2, TXD to pin 3, and GND is assigned to pin 5. Is preferably connected.

전압조절부(30)(Level Transfer)는 제1연결케이블(20)과 제어부(30) 사이에 장착되고, 제1연결케이블(20)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입력신호의 전압세기를 제어부(40)의 동작전압에 대응되도록 조절한다.The voltage control unit 30 (Level Transfer) is moun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able 20 and the control unit 3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voltage strength of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via the first connection cable 20 Adjust to correspond to the operating voltage of.

전압조절부(30)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SIPEX사의 SP232A가 사용되었으며, 입력장치(10)의 ±12V전압과 이동통신 단말기(60)의 +3V 사이의 전압차를 조절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tage regulator 30 uses a SIPEX SP232A, and adjusts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 12V voltage of the input device 10 and the + 3V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제어부(40)는 전압조절부(30)를 통해 전송된 입력신호를 모뎀 제어 명령어인 AT Command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60)에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60)의 동작를 제어하며, 시스템(1)의 전반적인 제어를 실행한다.The control unit 40 changes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voltage adjusting unit 30 to AT Command format, which is a modem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Perform overall control of system 1.

이러한 제어부(40)는 마이크로칩스사의 PIC16F876모델의 마이컴으로서, 크게 기본동작부(1번핀, 8번핀, 9번핀, 10번핀, 19번핀, 20번핀), 단말기측 연결부(17번핀, 18번핀, 23번핀~28번핀), PC측 연결부(21번핀, 22번핀), LED연결부(11번핀, 12번핀, 13번핀, 16번핀) 및 외부 연결부(2번핀~7번핀)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40 is a microcomputer PIC16F876 model of the microcomputer, the main operation unit (pin 1, 8 pin, 9 pin, 10 pin, 19 pin, 20 pin), terminal side connection (pin 17, 18 pin, 23) It consists of number pin ~ 28 pin), PC side connection part (pin 21, pin 22), LED connector (pin 11, pin 12, pin 13, pin 16) and external connection (pin 2 ~ pin 7).

기본동작부의 20번핀에는 3V가 공급되고 8번핀과 19번핀에는 그라운드(GND)가 할당되며, 9번핀과 10번핀에는 크리스탈 발진이 할당되고 1번핀에는 마이컴의 리셋이 할당된다.Pin 20 of the basic operation part is supplied with 3V, pins 8 and 19 are assigned ground (GND), pins 9 and 10 are assigned a crystal oscillation, and pin 1 is assigned a microcomputer reset.

단말기측 연결부의 17번핀에는 115.2Kbps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수신 데이터가 할당되고 18번핀에는 송신데이터가 할당되며, 23번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기-리셋(PH_RESET)이 할당되고, 24번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온오프기능을 담당하는 스위치-온(ON_SW)이 할당된다.Pin 17 of the terminal-side connection receives 115.2 Kbps of incoming and outgoing data, Pin 18 sends data, and Pin 23 allocates a terminal reset (PH_RESET)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powered. , Pin 24 is assigned a switch-on (ON_SW) for the on-off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말기측 연결부의 25번핀에는 단말기의 데이터 반송파 감지를 위한 DCD(Data Carrier Detect)단자가 할당되고, 26번핀에는 단말기의 호출 표시를 위한 호 표시 단자(RI:Ring Indicator)가 할당되며, 27번핀과 28번핀은 여분의 콘트롤단자로 남겨둔다.Pin 25 of the terminal side is assigned a DCD (Data Carrier Detect) terminal for detecting the data carrier of the terminal, pin 26 is assigned a ring indicator (RI: Ring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call of the terminal. Pin 28 is left as a spare control terminal.

PC측 연결부의 21번핀에는 전압조절부(30)에 의해 3V로 변환된 수신데이터단자(PC_RXD)가 할당되고, 22번핀에는 송신데이터단자(PC_TXD)가 할당되며, 96Kbps의 데이터전송속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in 21 of the PC side connection is allocated a receiving data terminal (PC_RXD) converted to 3V by the voltage regulator 30, the pin 22 is assigned a transmission data terminal (PC_TXD), achieving a data transfer rate of 96Kbps desirable.

LED연결부의 11번핀에는 전원LED단자가 할당되고, 12번핀에는 전송LED단자가 할당되며, 13번핀에는 메시지LED가 할당되고, 14번핀에는 데이터LED가 할당된다.Pin 11 of the LED connector is assigned the power LED terminal, pin 12 is the transmit LED terminal, pin 13 is the message LED, and pin 14 is the data LED.

외부연결부의 2번핀 내지 7번핀은 6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용도 또는 필요성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Pins 2 to 7 of the external connection portion is composed of six terminals can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user's use or needs.

컨넥터(50)는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60)에 전송하며, RS-232규격을 충족하는 입출력 컨넥터로서 24핀으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or 50 transmit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and consists of 24 pins as an input / output connector that meets the RS-232 standard.

본 실시예에서는, 6번핀, 12-14번핀, 17-19번핀, 21번핀, 22번핀의 총9개 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total of nine pins, such as pin 6, pin 12-14, pin 17-19, pin 21, pin 22.

이동통신 단말기(60)는 컨넥터를 통해 전송된 제어부(40)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고,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60)는 사용자들에 의해 분실되거나 버려진 중고 단말기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중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면 시스템의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60 is preferably used or lost terminal is abandoned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ice of the system can be reduced by using the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60)는 단말기전원공급부(65)가 외부전원 5V를 단말기(60)의 21번단자와 22번단자에 공급하므로써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is supplied with power by the terminal power supply unit 65 supplying external power 5V to terminals 21 and 22 of the terminal 60.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60)의 오작동시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기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제어부(40)의 마이컴 23번핀과 단말기전원공급부(65)의 5번단자를 저항(R20)을 경유하여 연결시킨다. 즉, 컨넥터(70)의 6번단자를 통해 단말기(60)를 초기화 시킬 수 있게된다.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23 pin of the control unit 40 and the 5th terminal of the terminal power supply unit 65 are connected via the resistor R20 to initialize the terminal in softwa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malfunctions. That is, the terminal 60 may be initialized through the sixth terminal of the connector 70.

외장형 안테나(70)는 이동통신 단말기(60)에 구비된 안테나(미도시)의 컨넥터로부터 시스템(1)의 외부로 이어져 이동통신 단말기(60)가 외부의 네트워크망과 원활하게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외장형으로 이루어진다. The external antenna 70 extends from the connector of the antenna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to the outside of the system 1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60 can smoothl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network. Is done.

이때, 외장형 안테나(70)의 저면에는 자성체(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철판 등과 같은 위치에 외장형 안테나(7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antenna 70 is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x the external antenna 70 in a position such as a steel plate, if necessary.

표시부(8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른 시스템(1)의 상태를 표시하며, 전원LED, 전송LED, 메시지LED 및 데이터LED로 이루어진다.The display unit 80 displays the state of the system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and includes a power LED, a transmission LED, a message LED, and a data LED.

전원LED는 시스템(1)이 초기화중일 때는 1초주기로 점멸하고, 정상상태 일때는 점등하며, 전송LED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1회 점멸한다.The power LED flashes at 1 second intervals when the system 1 is initializing, and lights up when it is in a normal state, and the transmit LED flashes once when sending a message.

메시지LED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메시지 중에서 미확인 메시지가 있을 때 1회 점멸하고, 데이터LED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할 전화번호와 메시지내용에 에러가 검출되었을 때에 점멸한다.The message LED blinks once when there is an unconfirmed message among the received messag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ata LED blinks when an error is detected in the telephone number and message content to b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메시지는 단문메시지(SMS)가 바람직하지만, 장문메시지(L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essage is preferably a short message (SMS), but may be various forms such as a long message (LMS) or a multimedia message (MMS).

스위치(90)는 어댑터(미도시)를 통해 시스템(1)에 제공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고, 레귤레이터(100)는 스위치(9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의 세기를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변환한다.The switch 90 turns on and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system 1 through an adapter (not shown), and the regulator 100 converts the strength of the power provided from the outside by the switch 90 to correspond to the system. .

즉, 레귤레이터(100)는 어댑터(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5V의 외부전원을 3V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전원을 통해 제어부(40)의 마이컴과 표시부(80)의 4개 LED를 구동시킨다.That is, the regulator 100 converts and outputs 5V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an adapter (not shown) to 3V, and drives the microcomputer of the control unit 40 and four LEDs of the display unit 80 through the output power. Let's do it.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는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초기화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메시지 전송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메시지 수신확인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3 is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essage acknowledgment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스템을 초기화 시키면, 입력장치의 출력수단에 초기화면이 표시되며(S110), 제어부는 입력된 초기화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기화(S120)시켜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고(S130), 만약 이상이 있다면 초기화를 다시 진행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system is initialized according to a user or a preset program, an initial screen is displayed on the output means of the input apparatus (S110), and the controller initializ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input initialization signal (S120). Check the status of the terminal (S130), and if there is an error, the initialization is repeated again.

이어서, 표시부의 4개의 LED상태를 확인하여(S140) 이상이 있다면 초기화를 다시 진행하고, 이상이 없다면 발신할 메시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50).Subsequently, by checking the state of the four LEDs of the display unit (S140), if there is an error, the initialization proceeds again.

발신할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입력장치(10)의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의 상태를 확인하고(S160), 만약 이상이 있다면 초기화를 다시 진행한다.If there is no message to be sent, check the status of the input means and output means of the input device 10 (S160), if there is a problem, the initialization proceeds again.

입력장치(10)의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정상상태이면 초기화를 완료한다.If the input means and output means of the input device 10 is in a normal state, th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입력장치의 키보드를 통해 수신측의 전화번호를 N(Number):011-3333-5555와 같이 입력한다(S210).As shown in FIG. 4,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party is inputted as N (Number): 011-3333-5555 through the keyboard of the input device to transmit a message required by the user (S210).

전화번호입력이 완료된 후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를 통해 M(Message): xxx xxxx xxx xxxx와 같이 입력한다(S220).After the telephone number input is completed, a message such as M (Message): xxx xxxx xxx xxxx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to input a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S220).

메시지 입력이 완료된 후 입력된 전화번호 및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D(Display):(엔터)와 같이 입력한다(S230).After the message input is completed, in order to check the inputted telephone number and the message content, it is inputted as D (Display) :( Enter) (S230).

이에따라, 입력장치의 모니터와 같은 출력수단에는 입력된 전화번호와 메시지 내용이 표시되고,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된다.Accordingly, the output means such as the monitor of the input device displays the input telephone number and the message content,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측 전화번호와 메시지 내용이 확인되면, T(Transmit):(엔터)를 입력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수신측으로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전송하도록 한다(S240).When the receiving telephone number and the contents of the message to be transmitted are confirmed, T (Transmit): (enter) is input to transmit the contents of the input message to the receiving si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S24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머(S310)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새로운 메시지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S320).As shown in Figure 5, to check the received message using a timer (S310) to check whether a new message is receiv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320).

만약,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된 상태이면 수신된 메시지를 입력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한다.If a new message is received, the received messag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input device.

이어서, 수신된 메시지의 총 갯수를 확인하여(S330) 수신된 메시지의 총 갯수가 일정갯수(예를들면 5개) 이상이면 일찍 수신된 순서대로 메시지를 삭제하고, 이를 메시지LED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S340).Subsequently, the total number of received messages is checked (S330), and if the total number of received messages is more than a certain number (for example, five), the messages are deleted in the order of early reception, and the user is blinked through the message LEDs. Notify to (S340).

따라서, 본원발명은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서 입력장치에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AT Command 포맷으로 변경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ata input to the input device to the control unit in order to transmit the data input to the input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the control unit AT command format for controlling the input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hanging the contro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장치의 입력수단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의 세팅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수신측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user directly inputs various data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apparatus,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message set to the preset receiving side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reset program.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은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 또는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data or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etwork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 and receive.

또한, 중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에 내장하므로써 생산단가를 낮출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by embedding the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상세 회로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초기화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메시지 전송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메시지 수신확인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message acknowledgment of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입력장치 20 : 연결케이블10: input device 20: connection cable

30 : 전압조절부 40 : 제어부30: voltage control unit 40: control unit

50 : 컨넥터 60 : 이동통신 단말기50: connector 6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0 : 외장형 안테나 80 : 표시부70: external antenna 80: display unit

90 : 스위치 100 : 레귤레이터90: switch 100: regulator

Claims (6)

임의의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ata input from any input device to the outside via wireless,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연결케이블과;A connection cabl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and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evice to a wire;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입력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송하는 컨넥터와;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컨넥터와 접속되고, 상기 컨넥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의 제어가 이루어져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to and from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입력신호를 모뎀 제어 명령어인 AT Command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The controller converts an in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into an AT command format, which is a modem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i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상기 시스템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state of the system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안테나 컨넥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이어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의 네트워크망과 원활하게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하는 외장형 안테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external antenna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antenna connector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l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smoothl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network.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표시부는 시스템이 초기화중인지 정상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전원LED와;The display unit includes a power LED indicating whether the system is initializing or in a normal stat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상태를 나타내는 전송LED와;A transmission LED indicating a message transmiss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메시지 중에서 미확인 메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LED와;A message LED indicating whether there is an unacknowledged message among the received messag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시에 에러가 발생하는 지를 나타내는 데이터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data LED indicating whether an error occurs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or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연결케이블과 제어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입력신호의 전압세기를 제어부의 동작전압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전압조절부와;A voltage adjusting unit mounted between the connection cable and the control unit and adjusting a voltag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device to correspond to an operating voltage of the control unit; 외부전원으로부터 상기 시스템에 제공되는 전원의 세기를 상기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And a regulator configured to adjust the strength of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system so as to correspond to the system. 임의의 입력장치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무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In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put from any input device to the outside via wireless,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 또는 입력장치의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상태인 경우에는 각각을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An initialization step of checking a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splay unit, or an input device and initializing each in an abnormal state; 상기 초기화단계에서 초기화된 무선 데이터 전송 장치의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수신측 전화번호와 메시지내용을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입력단계와;A data input step of inputting a receiving telephone number and a message content through an input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of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 device initialized in the initialization step; 상기 데이터입력단계에서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의 출력수단에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단계와;A data display step of displaying on the output means of the input device to check the input contents when data input is completed in the data input step; 상기 데이터표시단계에서 표시된 데이터가 정상상태이면 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 And a data transmission step of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ransmit the data displayed in the data display step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KR1020050039035A 2005-05-10 2005-05-10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KR1007100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035A KR100710046B1 (en) 2005-05-10 2005-05-10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035A KR100710046B1 (en) 2005-05-10 2005-05-10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436A true KR20050052436A (en) 2005-06-02
KR100710046B1 KR100710046B1 (en) 2007-04-20

Family

ID=3724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035A KR100710046B1 (en) 2005-05-10 2005-05-10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0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22B1 (en) * 2006-06-2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ssenger service and the system therefor
WO2010088315A2 (en) * 2009-01-28 2010-08-05 William Gary Leeks Wireless accessible display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56A (en) * 2002-07-16 200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phone with wireless mod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622B1 (en) * 2006-06-2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messenger service and the system therefor
WO2010088315A2 (en) * 2009-01-28 2010-08-05 William Gary Leeks Wireless accessible display and methods
WO2010088315A3 (en) * 2009-01-28 2010-10-28 William Gary Leeks Wireless accessible display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046B1 (en) 200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20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frared remote controls of home appliances
JP6028174B1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ntrol system
US20140149064A1 (en) Temperature monitor
JP5878411B2 (en) Wireless slave for meter reading, handy wireless meter reading system, and meter reading system switching method
KR100710046B1 (en) Device and metho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US9202364B2 (en) Wireless alarm device for detecting and communicating environment and system specific states using the internet
KR201800964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KR100555911B1 (en) A Relay for transfering measured data in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JP2010097390A (en) Data rewriting system
EP3499928B1 (en) Determining signal quality in a low-power wide-area network
KR100545267B1 (en) A wireless digital measuring instrument and a wireless remote meter read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9165129A (en) Serial communication test device
KR100258348B1 (en) Monitoring/debuging apparatus of remote communication equipment
CN108545558B (en) Elevator control panel and elevator control system
KR20030027975A (en) Wireless Modem for Remote Telemetering
KR200290109Y1 (en) The electric light control equipment it sells
KR100345597B1 (en) A method of connecting external keyboard for pcp
JP2004021771A (en) Measuring device for radio telemeter system
JP343868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219831960U (en) Testing device and testing system
KR20040026793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obile phone to a personal computer using wireless mode
GB2493174A (en) Temperature monitors
JP5941719B2 (en)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Jenitta et al. Home Automation using Android
JP4758304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