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232A - 래치형 광통신모듈 - Google Patents

래치형 광통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232A
KR20050051232A KR1020030084991A KR20030084991A KR20050051232A KR 20050051232 A KR20050051232 A KR 20050051232A KR 1020030084991 A KR1020030084991 A KR 1020030084991A KR 20030084991 A KR20030084991 A KR 20030084991A KR 20050051232 A KR20050051232 A KR 20050051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optic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socke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진
김대진
김도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03008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1232A/ko
Priority to US10/999,447 priority patent/US7189013B2/en
Publication of KR2005005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2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를 구비한 시스템 포트에서 래치에 의해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래치형 광통신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래치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홀이 소켓부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회전축에 끼워져 회전하고, 래치가 회전하여 래치 추진자에 의해 슬라이더를 밀어 주면, 힘이 인가된 슬라이더가 시스템 포트에 삽입된 광통신모듈의 고정탭을 들어 올려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킬 수 있는 래치형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추가적인 다수의 부품이 전혀 필요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인접한 광통신모듈에 상호 영향을 주지 않으며, 소정의 공구 없이 광통신모듈을 손쉽게 시스템 포트에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래치형 광통신모듈{LATCH TYPE OPTICAL MODULE}
본 발명은 래치형 광통신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지를 구비한 시스템 포트에서 래치에 의해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래치형 광통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을 탈착하기 위한 기술은, 기존의 플러그형 소형 폼 팩터(SFP: Small Form-Factor Pluggable) 모듈의 바닥에 있는 삼각형태의 고정탭을 시스템 포트에 구비된 케이지(cage)의 삼각형태의 고정홈에 삽입함으로써 광통신모듈을 시스템 포트에 고정시키고, 반대로 손이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키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광통신모듈이 조밀하게 연결되어 있을 경우, 탈착시 인접한 모듈을 건들게 되므로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6, 7의 종래의 일반적인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을 예로 들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는 종래의 릴리스 메커니즘에 따른 일반적인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에는 소정의 릴리스 부재(A2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릴리스 부재(A20)는 광송수신기 모듈의 정면(A14)에 형성된 슬릿(A18)에 끼워 넣어지고 인접한 한쪽 주면(A11) 상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움직인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은, 소정의 공구를 릴리스 부재(A20)의 홈(A22; A24)에 넣고 밀면서 요철 모양의 손잡이부(A12a)가 형성된 측면(A12)을 잡아 당겨 호스트 장치의 소켓(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7의 부호 30을 참조)으로부터 광송수신기 모듈을 빼내야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구조에 의하면, 호스트 장치의 소켓으로부터 광송수신기의 모듈을 분리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공구 없이 송수신기 모듈을 분리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광송수신기 모듈을 분리하기 위해, 드라이버와 같은 소정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광통신 장치의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광통신 장치의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6은 상술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은 모듈의 전면에 힌지(P51) 방식으로 결합된 회전형 레버(P50)가 아래쪽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쪽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딩 부재(P35)를 통해 소켓(P12)의 굴곡가능부(P26) 아래로 쐐기(P36)가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소켓(P12)의 슬롯(P22)으로부터 광송수신기 모듈의 고정탭(P32)이 분리되며, 그 다음에 광송수신기 모듈을 손으로 잡아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한 종래의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 광송수신기 모듈은, 상술한 릴리스 메커니즘을 달성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부품을 조립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광송수신기 모듈은 쐐기(P36), 이 쐐기(P36)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와 레버(P50)를 신축 자유롭게 연결하는 플렉시블 부재, 이 플렉시블 부재와 연결되는 축, 그리고 이 축과 일체로 형성된 레버(P50) 등의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종래의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은 릴리스 구조에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결국 모듈을 제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품비와 제작비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도 7은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또 다른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은, 광송수신기 모듈(100)이 소켓(30) 속으로 삽입될 때, 제1면(11) 상의 고정탭(16)은 탄성부(34)의 입술부(38)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고정탭(16)은 광송수신기 모듈(100)이 소켓(30) 속으로 삽입될 때, 입술부(38) 아래로 보다 잘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경사면(17)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탭(16)과 슬롯(36)은 삼각형태로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이에 의해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100)은 소켓(30) 내에 고정된다.
반대로, 소켓(30)으로부터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100)을 빼낼 때에는, 릴리스 부재(20)를 길이방향으로 전진시켜 경사면(23)을 구비한 쐐기부(22)가 탄성부(34)의 입술부(38) 아래로 미끄러져 전진하도록 한다. 그러면, 고정탭(16)은 쐐기부(22)의 작용에 의해 슬롯(36) 내부로부터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날개부(26)의 손잡이부(26a)와 또 다른 손잡이부(12a)를 함께 잡고 뒤로 당기면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100)이 소켓(30)으로부터 뽑혀진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광송수신기 모듈도 상술한 릴리스 메카니즘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인접한 모듈에 영향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은 상기에서 언급한 도 5의 기존의 모듈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고, 더욱이 릴리스 구조에 있어서 광송수신기 모듈이 조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인접 모듈에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도 5, 6, 7의 종래의 광송수신기 모듈은, 광송수신기 모듈을 분리할 경우 소정의 공구를 필요로 하고,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우면서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탈착시 인접한 모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탈착이 매우 용이하고, 분리시 소정의 공구가 전혀 필요 없고, 부품의 제작시 추가적인 다수의 부품이 필요 없어 비용이 저렴하며, 탈착시 인접한 모듈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 래치형 광통신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스템 포트에 삽입되어 케이지에 의해 고정되는 래치형 광통신모듈에 있어서,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일부 둘러싸는 하우징과; 소켓부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래치 회전축과, 래치 회전축과 약간 떨어져 소켓부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래치 제어핀 및, 소켓부의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고정탭으로 구성된 소켓부를 갖춘 마스터; 마스터의 후단부에 배치된 소켓부의 상단부의 홈을 따라 움직이고, 하우징과 결합될 때 하우징의 측면까지 굴곡 연장되는 "ㄱ"형태의 한쌍의 날개부를 갖춘 슬라이더 및, 소켓부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래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추진자와, 래치 회전축에 삽입되는 래치 홀로 구성된 "ㄷ"형태의 래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치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홀이 상기 소켓부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회전축에 끼워져 회전하고, 래치가 회전하여 래치 추진자에 의해 슬라이더를 밀어 주면, 힘이 인가된 슬라이더가 시스템 포트에 삽입된 광통신모듈의 고정탭을 들어 올려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킨다.
더욱이 본 발명은, 회전한 래치가 광통신모듈의 밑면을 통과하지 않게 래치 제어핀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고, 래치에 의해 작동한 슬라이더가 아래 위로 움직이지 않고 홈을 따라 움직여 소켓으로부터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추가적인 다수의 부품이 전혀 필요 없고, 인접한 광통신모듈에 상호 영향을 주지 않으며, 소정의 공구 없이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장착되어 있는 광통신모듈의 조립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장착되어 있는 광통신모듈의 조립 밑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된 광통신모듈간의 조립도 및 래치에 의한 광통신모듈의 분리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치형 광통신모듈(10)은,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쇄회로기판(PCB; 전기회로기판)을 일부 둘러싸는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고, 광통신모듈(10)에 장착하는 커넥터가 연결되는 소켓(receptacle)부(200a)를 갖춘 마스터(200) 및, 마스터(200)의 전단부에 배치된 소켓부(200a)의 상단부의 홈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더(3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광통신모듈(10)의 구성에 있어서, 마스터(200)의 전단부에 배치된 소켓부(200a)는, 이 소켓부(200a)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래치(bail clip) 회전축(201)과, 이 래치 회전축(201)과 약간 떨어져 소켓부(200a)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래치 제어핀(202) 및, 마스터(200)의 전단부 소켓부(200a) 쪽에 고정부착된 고정탭(203)으로 구성된다.
또한, 마스터(200)의 전단부에 배치된 소켓부(200a)의 상단부의 홈을 따라 움직이는 슬라이더(300)는, 하우징(100)과 결합될 때 하우징(100)의 측면까지 굴곡 연장되는 "ㄱ"형태의 한쌍의 날개부(300a, 300a)로 구성된다.
더욱이, 소켓부(200a)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래치 회전축(20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ㄷ"형태의 래치(400)는, 이 래치(400)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추진자(401)와, 래치 회전축(201)에 삽입되어 래치(400)를 회전시키는 래치 홀(402)로 구성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모듈의 장착 및 분리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스템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광통신모듈(10)을 장착하기 위해 광통신모듈(10)을 시스템 포트 쪽으로 전진시키면, 마스터(200)의 소켓부(200a)에 고정부착된 고정탭(203)이 시스템 포트에 구비된 케이지(cage)의 고정홈에 걸림으로써, 광통신모듈(10)이 시스템 포트에 간단히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광통신모듈(10)을 시스템 포트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200)의 전단부에 위치한 소켓부(200a)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래치 회전축(201)에 삽입결합되는 래치 홀(402)을 갖춘 래치(400)를 광파이버 쪽(화살표로 표시된 A방향)으로 내리면, 래치(400)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추진자(401)에 힘이 인가되어 슬라이더(300)가 홈을 따라 움직이면서 고정탭(203) 쪽으로 진행된다.
이때, 진행된 슬라이더(300)는 고정탭(203)을 고정시키고 있던 케이지의 고정부를 밀어 올림으로써 잠금이 해제되어 광통신모듈(10)을 시스템 포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광통신모듈(10)을 시스템 포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A방향으로 내린 래치(400)가 광통신모듈(10)의 밑면 아래쪽으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래치 제어핀(202)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데, 이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통신모듈(10)을 시스템 포트에 매우 인접하게 위 아래로 배치했을 경우, 래치(400)가 광통신모듈(10) 공간 내에서만 작동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상호 인접해 있는 광케이블 또는 광통신모듈을 서로 건들이지 않게 하여 각 모듈간 신뢰성이 도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래치형 광통신모듈(10)은, 래치(400)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홀(402)이 소켓부(200a)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회전축(201)에 끼워져 회전하고, 래치(400)가 회전하여 래치 추진자(401)에 의해 슬라이더(300)를 밀어 주면, 힘이 인가된 슬라이더(300)가 시스템 포트에 삽입된 광통신모듈(10)의 고정탭(203)을 들어 올림으로써, 인접한 광통신모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10)을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시 추가적인 다수의 부품이 전혀 필요 없어 비용이 저렴하고, 인접한 광통신모듈에 상호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소정의 공구 없이 광통신모듈을 손쉽게 시스템 포트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장착되어 있는 광통신모듈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장착되어 있는 광통신모듈의 조립 밑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접된 광통신모듈간의 조립도 및 래치에 의해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키는 동작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회전형 레버를 구비한 다른 플러그형 광송수신기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릴리스 부재를 구비한 또 다른 플러그형 광송수신기의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통신모듈, 100 --- 하우징,
200 --- 마스터, 200a --- 소켓부,
201 --- 래치 회전축, 202 --- 래치 제어핀,
203 --- 고정탭, 300 --- 슬라이더,
300a --- 날개부, 400 --- 래치(베일 클립),
401 --- 래치 추진자, 402 --- 래치 홀,

Claims (3)

  1. 시스템 포트에 삽입되어 케이지에 의해 고정되는 래치형 광통신모듈에 있어서,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일부 둘러싸는 하우징(100)과;
    소켓부(200a)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래치 회전축(201)과, 상기 래치 회전축(201)과 약간 떨어져 소켓부(200a)의 좌우 양측면에 고정부착된 래치 제어핀(202) 및, 상기 소켓부(200a)의 상단부에 고정부착된 고정탭(203)으로 구성된 상기 소켓부(200a)를 갖춘 마스터(200);
    상기 마스터(200)의 후단부에 배치된 소켓부(200a)의 상단부의 홈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될 때 하우징(100)의 측면까지 굴곡 연장되는 "ㄱ"형태의 한쌍의 날개부(300a, 300a)를 갖춘 슬라이더(300) 및,
    상기 소켓부(200a)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래치 회전축(201)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래치 추진자(401)와, 상기 래치 회전축(201)에 삽입되는 래치 홀(402)로 구성된 "ㄷ"형태의 래치(40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형 광통신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400)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상기 래치 홀(402)이 상기 소켓부(200a)의 양측면에 고정배치된 상기 회전축(201)에 끼워져 회전하고,
    상기 래치(400)가 회전하여 상기 래치 추진자(401)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300)를 밀어 주면, 힘이 인가된 상기 슬라이더(300)가 시스템 포트에 삽입된 광통신모듈의 고정탭(203)을 들어 올려 시스템 포트에서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형 광통신모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한 래치(400)가 광통신모듈의 밑면을 통과하지 않게 상기 래치 제어핀(202)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고,
    상기 래치(400)에 의해 작동한 상기 슬라이더(300)가 아래 위로 움직이지 않고 홈을 따라 움직여 소켓으로부터 광통신모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형 광통신모듈.
KR1020030084991A 2003-11-27 2003-11-27 래치형 광통신모듈 KR20050051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991A KR20050051232A (ko) 2003-11-27 2003-11-27 래치형 광통신모듈
US10/999,447 US7189013B2 (en) 2003-11-27 2004-11-29 Latch type optica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991A KR20050051232A (ko) 2003-11-27 2003-11-27 래치형 광통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232A true KR20050051232A (ko) 2005-06-01

Family

ID=3461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991A KR20050051232A (ko) 2003-11-27 2003-11-27 래치형 광통신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89013B2 (ko)
KR (1) KR200500512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57B1 (ko) * 2006-11-01 2008-02-13 (주) 빛과 전자 광트랜시버와 케이지의 착탈구조
KR100825665B1 (ko) * 2007-02-13 2008-04-29 이성기 Sfp용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3627A1 (en) * 2006-03-31 2007-09-30 Belden Cdt Canada Inc. Locking device for patchcord
US7766686B2 (en) * 2008-01-07 2010-08-03 Applied Optoelectronics, Inc. Pluggable form factor release mechanism
CN201263155Y (zh) * 2008-08-20 2009-06-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小型可插拔模组及其释出机构
CN201829715U (zh) * 2010-06-08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FI124018B (fi) * 2010-11-24 2014-02-14 Tellabs Oy Lähetinvastaanotinyksikkö
US9583862B1 (en) 2015-11-06 2017-02-2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and retention mechanism configured to maintain a mated relationship
US9958623B1 (en) * 2017-06-29 2018-05-01 Seikoh Giken Co., Ltd. Tool for plug, plug and cable with plu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867B2 (en) * 2001-04-14 2005-02-08 Jds Uniphase Corporation Cam-follower release mechanism for fiber optic modules with side delatching mechanisms
US6796715B2 (en) * 2001-04-14 2004-09-28 E20 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modules with pull-action de-latching mechanisms
US6819568B2 (en) * 2002-04-17 2004-11-16 Optical Communication Products, Inc. Pluggable optical transceiver with pivoting release actuator
US20060118942A1 (en) * 2002-08-06 2006-06-08 Schmidt William L Optoelectric module with handle-based delatching mechanism
US6929403B1 (en) * 2003-02-10 2005-08-16 Opnext, Inc. Small form-factor pluggable bail la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57B1 (ko) * 2006-11-01 2008-02-13 (주) 빛과 전자 광트랜시버와 케이지의 착탈구조
KR100825665B1 (ko) * 2007-02-13 2008-04-29 이성기 Sfp용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7855A1 (en) 2005-06-02
US7189013B2 (en)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2070B1 (en) Latch mechanism with spring back function
US8064207B2 (en) Electronic module with ejector mechanism
US8787025B2 (en) Electronic module with improved latch mechanism
US7445485B1 (en) Latch mechanism with pull tape
US7690939B2 (en) Electronic module with easily operated latch mechanism
US6976865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pull mechanism
JP4679280B2 (ja) 基板用抜き差しアダプタ
TW201921809A (zh) 用於可插入式收發器之不對稱閂鎖
EP1855360A1 (en) Connector boot and connector assembly
JP5233662B2 (ja) 電気コネクタ
US6872094B1 (en) Transceiver pluggable module
JP6267330B2 (ja) 薄型ラッチコネクタ
JP2000148214A (ja) プログラマブル論理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論理制御装置モジュ―ル
US9287660B2 (en) Pluggable connector having a coupling mechanism
KR20050051232A (ko) 래치형 광통신모듈
US904858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rotatable buckle
US7798843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able retaining means
US7023703B2 (en) Module retention latch assembly
US20150244109A1 (en) Actuator With Dual Finger Grip Portions
US8282290B2 (en)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a plurality of moveable mating arrays
EP1972036A1 (en)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mechanism
CN103684609A (zh) 简易型cxp光模块结构
TWI735989B (zh) 插拔式連接器
CN101814674B (zh) 线缆连接器组件
CN113225946A (zh) 利用杠杆作用退出抽取式模块的电子装置及一种杠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